•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Dimmable LED, dimming, light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telemetry system

1. 서 론

1990년대에 GaN계 청색 LED(Light Emitting Diode)가 개발되고 이 청색 LED에 황색 형광체를 도포한 백색 LED가 조명용 광원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1]. 기존의 백열등이나 형광등에 비해 LED 조명은 수명이 길고, 낮은 소비 전력 등의 특징을 갖춘 조명으로서 실내조명, 감성조명, 도로조명 등의 조명산업 뿐만이 아니라 정보가전, 의료 등으로 그 응용분야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2]. 이러한 LED 조명의 상용화에 힘입어 2002년에 일본 게이오 대학에서 LED를 이용한 가시광 데이터 전송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하였고 이후 현재까지 근거리 무선 통신기술로서 LED를 이용한 가시광통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3,4].

가시광통신은 데이터의 전송에 파장범위 380nm에서 780nm의 가시광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기존 통신과의 주파수 할당에 대한 문제가 없고, 전자파 장해로 인해 종래의 무선 통신의 사용이 제한되었던 병원, 비행기, 원자력 발전소 등의 특수한 장소에서도 무선통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5,6]. 예를 들어, 국내 원자력 발전소는 디지털 기기의 사용으로 인한 전자파 장해를 방지하기 위해 미국의 전자기파 검증기준인 RG-1.180Rev1 (2003)을 따르고 있다[7].이에 따르면 원자력발전소의 계측제어 설비 중 외부 전자기파에 민감한 주제어실 제어반과 보호설비 및 제어설비의 여러 계통제어반에서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무선기기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8]. 그러므로 원자력 발전소에서의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으로는 가시광통신이 바람직하다.

한편, 최근에는 조명환경도 정보통신기술과 결합되어 광량뿐만이 아니라 광색이나 색온도를 가변시킬 수 있는 조광 가능 LED(=dimmable LED) 조명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9,10] 그러나 이러한 조광가능 LED를 가시광통신에 이용할 경우, 전송 데이터의 상태에 따라 LED의 광량이 변하고 이에 따라 조명의 조광수준(=dimming level)이 변하므로 이로 인한 플리커의 발생이나 광색이나 색온도의 순간적인 변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11,12]. 이러한 조광가능 LED를 가시광통신에 사용하기 위한 연구도 최근에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 데이터 전송기법과 연계하므로 50%, 또는 그 이상의 조광수준을 구현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13,14]. 조명환경을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조광범위 0%~100%의 조광수준을 구현할 필요가 있으나 모든 조광 수준이 보장되면서도 가시광통신이 가능한 기술은 아직 발표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전송 데이터에 의한 광속을 고려하여 조광 수준을 실시간으로 보정함으로써 전송 데이터의 광속 변동에 관계없이 10%~100%의 조광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가시광통신용 백색 LED의 디지털 조광기술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술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LED 조명의 조광수준에 따른 광속 변동률을 구하여 분석 평가하고, 제안된 기술이 적용된 가시광통신 시스템을 개발하여 원격 온도측정 실험을 수행하여 시스템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2. 제안된 가시광통신 시스템

2.1 가시광통신 시스템의 구성

그림 1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가시광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 시스템은 송신부와 수신부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 데이터 전송용 LED와 수신용 광 다이오드가 있는 양방향 통신의 구성을 가진다. 백색 LED 조명은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는 데이터용 LED들과 조광 신호에 의해 광량이 조절되는 조광용 LED들로 구성되고 이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동작한다. 먼저 수신부에서 청색 LED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request 신호를 보내면, 송신부의 광 다이오드가 이 광신호를 받아서 증폭기와 고역필터를 통과시켜 request 신호를 추출하고 이 신호를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로 보낸다. 송신부의 FPGA는 이 request 신호를 받으면 데이터 전송 과정을 시작한다. 데이터 발생기는 OFDM 등의 변조 기법과 OOK 코드 등의 디지털화를 거쳐 전송할 데이터를 생성한다.[15,16] FPGA는 데이터 발생기로부터 전송할 데이터를 받아서 데이터 전송용 LED를 구동하고 한편으로는 기 설정된 LED 조명의 밝기인 조광 수준으로부터 전송 데이터 신호로 인해 발생한 조광 수준의 증가분을 보정한 새로운 조광 수준을 생성하고 이것을 사용하여 조광용 LED를 구동한다. 수신기에서는 광 다이오드에서 수집된 광 신호들을 증폭시키고 고역 필터를 통과시켜 데이터 신호만 추출한다. 그리고 이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등으로 보낸다.

그림. 1. 가시광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Fig. 1. Block diagram of visible light communication

../../Resources/kiee/KIEE.2019.68.10.1230/fig1.png

2.2 가시광통신을 위한 LED의 디지털 조광 기술

그림 2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가시광통신 시스템의 타이밍도이다. 이 타이밍도에서 조광용 LED를 디지털 조광하기위하여 하나의 조광주기는 이진화되어 8개의 비트에 대응하는 8개의 부분조광(sub-dimming) 주기를 가진다. 그러므로 8개의 비트들을 on/off 시키면 0에서 255까지 256단계의 밝기 조절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광 다이오드의 특성을 고려하여 1비트의 부분 조광신호는 9.4 μs의 펄스폭을 가지며 조광의 한 주기는 플리커를 느낄 수 없도록 2.427 ms로 설정하였다. 광원의 점멸주기가 200Hz 이상이면 플리커를 느낄 수 없다고 알려져 있다[17]. 또한 여기서, 데이터용 LED를 구동하는 하나의 데이터 신호는 9.4 μs의 펄스폭을 갖도록 하였다.

그림. 2. 가시광통신 시스템의 타이밍도

Fig. 2. Timing structure of visible light communication

../../Resources/kiee/KIEE.2019.68.10.1230/fig2.png

송신부에서 전송 데이터의 변동에 따라 조광용 LED의 조광 수준을 보정하는 연산의 흐름도는 그림 3과 같고 다음과 같은 순서로 동작한다.

$Step1.$ 식(1)과 같이 송신부의 FPGA는 한 주기 동안 데이터 발생기로부터 받은 전송 데이터의 ON시간 $T_{k ON}$의 합 $T_{data}$를 구한다.

(1)
$T_{data}=\sum_{k=1}^{n}T_{k ON}$

$Step2.$ LED를 정격전류 부근에서 점등시키면 LED 전류와 ON 시간의 곱은 광량에 비례하므로 식(2)를 사용하여 데이터용 LED의 상대밝기 $L_{data}$를 구한다. 여기서 $I_{\dim}$과 $T_{\dim}$은 조광용 LED에 흐르는 전류값과 1 조광수준의 펄스가 가지는 ON 시간이고 $I_{data}$는 데이터용 LED에 흐르는 전류값이다. 식(2)의 $T_{data}$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이미 정해져 있는 값이므로 식(3)의 가중치 $W_{data}$를 미리 구해서 상수화하면 $L_{data}$는 간단히 $T_{data}$와 $W_{data}$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이렇게 구한 $L_{data}$를 이진화하여 $(L_{data})_{2}$ 를 얻는다.

(2)
$L_{data}=\dfrac{I_{data}\times T_{data}}{I_{\dim}\times T_{\dim}}=T_{data}\times W_{data}$

(3)
$W_{data}=\dfrac{I_{data}}{I_{\dim}\times T_{\dim}}$

$Step3.$ 기 설정된 조광수준이 이진화된 $(L_{data})_{2}$ 보다 더 큰 경우에는 조광수준에서 $(L_{data})_{2}$ 만큼 감산된 새로운 조광 수준의 신호가 조광용 LED들의 구동부로 보내어진다. 그러나 같거나 작은 경우에는 조광용 LED들은 꺼지고 데이터용 LED들만 켜진다.

이들 연산은 단순한 사칙연산과 한번의 이진화 연산으로 이루어지므로 송신기 내에서 실시간으로 이루어진다.

그림. 3. 실시간 조광 수준 보정을 위한 논리 흐름도

Fig. 3. Flow chart for real time dimming level compensation

../../Resources/kiee/KIEE.2019.68.10.1230/fig3.png

3. 실험 및 결과 검토

3.1 가시광통신 시스템의 구성

제안된 가시광통신 시스템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로 가시광통신 시스템을 제작하고 데이터 전송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림 4는 송신부에 사용한 백색 LED 조명의 LED 배열을 보인 것이다. 실험에서 LED는 Photron사의PP00W-8L61- Star 1W, 백색 power LED를 사용하였다. 이 백색 LED 조명은 조광용 LED와 데이터용 LED로 분리되어 있다. 그림의 왼쪽은 조광용 LED이며, 3개의 직렬 LED가 3줄의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오른쪽은 데이터용LED이며 3개의 LED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오른쪽의 PD는 수신부의 청색 LED에서 보낸 request 신호를 받는 역할을 한다.

그림 5는 실제로 개발된 LED 가시광통신 시스템이다. 좌측은 송신부이고, 우측은 수신부이다. 송신부에는 백색 LED 조명이 연결되어 있고 데이터 발생기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단자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단자에 온도센서 모듈을 연결하였다. 수신부에는 데이터의 전송을 요구하는 request신호를 송신부로 보내기 위한 청색 LED와 송신부로부터 데이터 광신호를 받는 광 다이오드가 설치되어 있다.

그림. 4. 송신부의 백색 LED 조명의 구조

Fig. 4. Structure of white LED lighting in transmitter

../../Resources/kiee/KIEE.2019.68.10.1230/fig4.png

그림. 5. 개발된 가시광통신 시스템

Fig. 5. Actually develope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Resources/kiee/KIEE.2019.68.10.1230/fig5.png

그림. 6. 송신부의 FPGA의 출력 파형 (위) 데이터 신호 (아래) 조광 신호

Fig. 6. Output waveform from FPGA in transmitter (Top) data signal (Bottom) dimming signal

../../Resources/kiee/KIEE.2019.68.10.1230/fig6.png

가시광통신 시스템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송신부에서 임의로 설정한 16개의 데이터를 보내고 수신부에서 받아들인 신호를 오실로스코우프로 측정하였다. 그림 6은 송신부의 FPGA에서 백색 LED의 구동부로 입력되는 신호의 파형을 측정한 것이다. 그림에서 위의 파형은 데이터 신호이고 아래의 파형은 조광 신호이다. 이 조광 신호는 데이터에 의해 증가된 조광 수준이 보정된 신호이다. 그림 7은 수신부의 광 다이오드에서 받은 신호를 2단 증폭한 후의 파형이다. 이 신호들은 고역필터를 사용하여 데이터 신호만 추출하고 수신부의 FPGA로 전달된다. 이 그림들은 송신부에서 보낸 신호가 수신부로 잘 전달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 7. 수신에서의 2단 증폭기의 출력 파형

Fig. 7. Output waveform from 2-stage amplifier of receiver

../../Resources/kiee/KIEE.2019.68.10.1230/fig7.png

3.2 데이터 광속을 고려한 조광 수준 보정 실험

제안된 디지털 조광기술을 검증하기 위하여 송신부에서 조광수준을 보정하지 않았을 때와 보정하였을 때의 백색LED 조명의 광속을 측정하였다. 광속의 측정은 Gigahertz-Optik사의 지름 50cm 적분구와 가시광의 분광 측정장치인 BTS256-LED를 사용하였다. 식(3)의 가중치가 작을수록 하나의 조광주기에 넣을 수 있는 데이터의 개수가 증가하므로 실험에서는 데이터용 LED와 조광용 LED의 전류비를 1/4로 하고 전송 데이터 펄스는 1 조광수준의 펄스와 동일한 ON시간을 가지도록 하였다. 실험에서는 한 조광주기에 들어가는 전송 데이터 펄스의 개수가 16, 32, 48, 64개일 때에 조광수준을 1부터 255까지 변화시키면서 백색 LED 조명의 광속을 측정하고 광속변동률을 계산하였다. 광속변동률은 식(4)와 같이 주어진 조광수준에서 전송 데이터가 없을 때와 있을 때의 광속의 차를 데이터가 없을 때의 광속으로 나눈 %비율이다.

(4)
$광속변동률=\dfrac{\left | F_{\omega}-F_{d}\right |}{F_{\omega}}\times 100(\%) $

여기서, $F_{\omega}$는 데이터 신호가 없을 때이고 $F_{d}$는 데이터 신호가 있을 때의 백색 LED 조명의 광속이다.

그림 8은 데이터 광속에 의한 조광수준의 증가분을 보정하지 않은 경우에 모든 조광수준에서의 광속을 측정하여 광속변동률을 계산한 것이다. 그림에서 데이터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리고 조광수준이 감소함에 따라 광속변동률은 증가한다. 이는 데이터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리고 조광수준이 낮아짐에 따라 원하는 조광수준을 유지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그림. 8. 조광 수준에 따른 광속변동률 (보정전)

Fig. 8. Luminous flux fluctuation ratio vs dimming level (before compensation)

../../Resources/kiee/KIEE.2019.68.10.1230/fig8.png

그림 9는 데이터용 LED의 광속을 고려하여 조광수준을 보정한 경우에 모든 조광수준에서의 광속을 측정하고 광속변동률을 계산한 것이다. 조광수준이 $(L_{data})_{2}$ 보다 클 때, 앞서 측정한 보정 전의 결과와는 달리 모든 조광수준에서 광속변동률이 2%를 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조광 가능 LED 조명은 10% 이하의 조광수준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이 결과는 데이터용 LED의 광속증가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조광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림. 9. 조광 수준에 따른 광속변동률 (보정후)

Fig. 9. Luminous flux fluctuation ratio vs dimming level (after compensation)

../../Resources/kiee/KIEE.2019.68.10.1230/fig9.png

식(1)에서 데이터의 ON 시간 $T_{k ON}$을 줄이거나, 식(2)에서 조광용 LED에 대한 데이터용 LED의 전류의 비를 낮추면 하나의 데이터 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용 LED의 광량이 감소하므로 한 조광주기에 넣을 수 있는 데이터의 수는 증가한다. 그러나 한 조광주기 안에 넣을 수 있는 최대 데이터의 개수는 수광부인 광 다이오드의 성능에 의존한다.

3.3 원격 온도 측정 실험

원자력 발전소나 병원 응급실 등에서는 각종 센서들을 사용한 측정 및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 경우 무선을 기반으로 한 원격 측정이 가능하다면 효율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가시광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원격으로 온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온도센서는 Microchip사의TC77-3.3MOA이다. 그림 10은 이 온도센서의 각 핀에 대한 타이밍도이다. 온도데이터를 활성화시키는 신호인 $\overline{CS}$는 가시광통신의 조광주기를 고려하여 조광주기 중 203.3 μs가 Low인 신호를 인가하였다. 이때 SI/0로부터는 온도에 관한 정보가 13bit의 직렬 데이터로 출력된다. 이 온도센서는 영하 –55°C에서 영상 +125°C까지 온도측정이 가능하며, 오차 범위는 약 ±1°C이다.

그림. 10. TC77-3.3MOA 온도 읽기 타이밍도 (첫 13비트 온도읽기)

Fig. 10. TC77-3.3MOA Temperature read timing diagram (Reading temperature at the first 13 Bits)

../../Resources/kiee/KIEE.2019.68.10.1230/fig10.png

송신부에서는 온도센서로부터 13비트의 온도데이터를 전달받아 이 신호의 앞뒤에 온도가 들어옴을 알리는 1비트와 데이터의 끝을 알리는 2비트를 추가한 16개의 데이터 신호를 만들고 이것을 데이터용 LED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동시에 사용자가 설정한 조광수준에서 데이터용 LED에 의해 증가된 조광수준을 보정하여 새로운 조광수준을 만들고 이것으로 조광용 LED를 구동시킨다. 수신부에서는 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16개의 직렬 온도데이터를 수신한다. FPGA에서 이것을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고 온도정보가 들어있는 13개의 데이터만 추출한다. 13개의 비트 중 최상위 2비트는 영하온도에서 ‘–’를 표현하는 코드이고 최하위 4비트는 소수점 첫째 자리를 나타내는 코드이다. 나머지 7비트는 일의자리, 십의자리, 백의자리를 나타내는 코드이므로 이것들을 처리하여 7-segment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그림 11에서 수신된 신호는 ‘11 1111 1100 0011 11’ 이다. 신호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신호를 제외한 온도데이터는 ‘1 1111 1100 0011’의 13개 직렬 데이터이다. 여기서 최상위 2개 비트가 ‘11’이므로 영하를 나타내므로 –3.8℃의 온도가 측정되었다. 그림 12는 수신된 신호가 ‘10 0110 0010 1111 11’ 이고 이때 온도데이터는 ‘0 0110 0010 1111’이므로 최상위 비트가 ‘00’이기 때문에 영상이고 98.9℃의 온도가 표시된다.

위 실험을 통하여, 개발된 가시광통신 시스템은 온도 데이터를 제대로 주고받음이 확인되었다. 이 시스템은 수신부에서 request 신호를 보내어 송신부와 동기시키므로 이 신호를 이용하면 하나의 가시광통신 시스템으로 복수개의 서로 다른 정보를 선택적으로 송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색온도나 광색을 가변시키는 LED 조명을 사용한 가시광통신 시스템의 연구와 함께 추후에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림. 11. 가시광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 온도 측정 (영하온도)

Fig. 11. Remote temperature measurement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blow zero)

../../Resources/kiee/KIEE.2019.68.10.1230/fig11.png

그림. 12. 가시광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 온도 측정 (영상온도)

Fig. 12. Remote temperature measurement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above zero)

../../Resources/kiee/KIEE.2019.68.10.1230/fig12.png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가시광통신을 위한 LED 조명의 새로운 디지털 조광기술이 제안되고 이 기술을 검증하기 위한 백색LED 가시광통신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가시광통신 시스템에서 LED 조명은 조명용인 조광용 LED와 데이터 전송용 LED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안된 디지털 조광기술에서 조광용 LED의 점등 주기는 8비트의 이진수에 대응하는 8개의 부분 조광주기로 나누어지고 이 8개 비트의 ON/OFF를 제어하여 0에서 255까지 256단계의 조광수준을 결정한다. 송신 데이터의 총 ON 시간에 미리 설정한 가중치를 곱하여 구한 데이터용 LED에 의한 조광수준의 증가값을 이진수로 변환하고 기 설정된 조광수준에서 빼서 데이터에 의한 광속이 보정된 새로운 조광수준을 얻는다. 이것은 간단한 이진연산으로 이루어지므로 실시간으로 조광수준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데이터용 LED와 조광용 LED의 전류비를 1/4로 하여 LED 조명의 광속을 측정한 결과, LED 조명은 10% 이상의모든 조광수준에서 데이터용 LED의 광속에 관계없이 2% 이하의 광속변동률을 가지고 조광수준이 일정하게 유지됨이 검증되었다. 개발된 가시광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원격으로 온도를 측정하고 전송하는 실험을 한 결과, 영하 –55°C에서 영상 125°C 범위의 온도측정이 가능하였으며, 실제로 7-segment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온도 데이터의 송수신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가시광통신 시스템은 수신부의 청색 LED에서 보내는 request 신호를 이용하여 송신과 수신을 동기시키므로 복수개의 센서를 이용한 선별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이용하면 색온도 가변 LED(tuneable LED) 조명이나 청, 녹, 적색 LED를 사용한 광색 가변 LED 조명을 가시광통신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추후에는 이들을 가시광통신에 적용하는 실험이 필요하다.

References

1 
S. Nakamura, M. R. Krames, 2013, History of Gallium–Nitride-Based Light-Emitting Diodes for Illumination, in Proceeding of IEEE, pp. 2211-2220DOI
2 
Y. K. Cheng, K. W. E. Cheng, 2006, General Study for using LED to replace traditional lighting devices, Power Electronics Systems and Applications Conf., pp. 173-177DOI
3 
T. Komine, M. Nakagawa, February 2003, Integrated System of White LED Visible-Light Communication and Power-Line Communication, IEEE Trans. on Consumer Electronics, Vol. 49, No. 1, pp. 71-79DOI
4 
X. W. Ng, W. Y. Chung, Apr 2012, VLC-based Medical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 Biomedical Engineering-Applications Basis and Communications, Vol. 24, No. 2, pp. 155-163DOI
5 
H. Elgala, R. Mesleh, H. Haas, Aug 2009, Indoor Broadcasting via White LEDs and OFDM, IEEE Trans. on Consumer Electron, Vol. 55, No. 3, pp. 1127-1134DOI
6 
L. U. Khan, 2017, Visible Light Communication : Applications, architecture, standardization and research challenges, Digital Communications and Networks, Vol. 3, No. 2, pp. 78-88DOI
7 
NRC, 2003, Regulatory Guide 1.180 Rev.1 Guidelines for Evaluating Electromagnetic and Radio-Frequency Interfere nce in Safety-Related Instrumentation, Google Search
8 
G. D. Lee, H. G. Jung, S. H. Ye, Y. S. Kim, S. I. Lee, 2013, The study of wireless application on operating nuclear plants,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394-395Google Search
9 
E. E. Dikel, G. J. Burns, J. A. Veitch, S. Mancini, G. R. Newsham, Dec 2014, Preferred Chromaticity of Color-Tunable LED Lighting, Journal of the Illuminating Engineering Society, Vol. 10, No. 2, pp. 101-115DOI
10 
A. T. L. Lee, H. Chen, S. C. Tan, S. Y. Hui, Jan 2016, Precise Dimming and Color Control of LED Systems Based on Color Mixing, IEEE Trans. on Power Electronics, Vol. 31, No. 1, pp. 65-80DOI
11 
S. H. Lee, S. Y. Jung, J. K. Kwon, Feb 2015, Modulation and Cod- ing for Dimmabl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 53, No. 2, pp. 136-143DOI
12 
S. Rajagopal, R. D. Roberts, S. K. Lim, Mar 2012, IEEE 802.15.7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ation Schemes and Dimming Support,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 50, No. 3, pp. 72-82DOI
13 
M. L. G. Salmento, G. M. Soares, J. M. Alonso, H. A. C. Braga, Sep 2018, A Dimmable Offline LED Driver With OOK-M-FSK Modulation for VLC Applications, IEEE Tra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66, No. 7, pp. 5220-5230DOI
14 
Y. Matsuda, Y. Kozawa, Y. Umeda, Jul 2018, Experimental Evalua- tion of Hybrid PWM/DPAM Dimming Control Method for Digital Color Shift Keying Using RGB-LED Array, Journal of Signal Processing, Vol. 22, No. 4, pp. 165-168DOI
15 
H. Elgala, T. D. C. Little, Oct 2013, Reverse polarity optical- OFDM (RPO-OFDM): dimming compatible OFDM for gigabit VLC links, Optics Express, Vol. 21, No. 20, pp. 24288-24299DOI
16 
H. Haas, L. Yin, Y. Wang, C. Chen, Mar 2016, What is LiFi?, Journal of Lightwave Technology, Vol. 34, No. 6, pp. 533-1544DOI
17 
S. M. Berman, R. D. Clear, D. S. Greenhouse, I. L. Bailey, T. W. Raasch, Aug 1991, Human Electroretinogram Re- sponses to Video Displays, Fluorescent Lighting, and Other High Frequency Sources,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Vol. 68, No. 8, pp. 645-662DOI

저자소개

김혜수 (Hea-Su Kim)
../../Resources/kiee/KIEE.2019.68.10.1230/au1.png

2017년 숭실대학교 전기공학부 졸업,

2017년9월~현재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석사과정.

염정덕 (Jeongduk Ryeom)
../../Resources/kiee/KIEE.2019.68.10.1230/au2.png

1987년 서울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1989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199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박사).

현재 숭실대학교 전기공학부 교수. LED 조명 응용기술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