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Chosun University, Korea.)
  2.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Magnet material, NdFeB, Nd-bonded, Ferrite, Coaxial magnetic gear, Magnet conductivity, Efficiency

1. 서 론

기계식 기어의 마찰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직접적인 접촉을 하지 않고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마그네틱 기어가 제안되었으나, 초기의 마그네틱 기어는 최대 5kNm/m3의 낮은 토크밀도를 갖고있어 기어박스로 고려될 수 없었다 (1,2). 이후 2001년 Atallah 등에 의해 100kNm/m3를 초과하는 출력밀도를 갖는 동축 마그네틱 기어(Coaxial Magnetic Gear)가 제안되어 기계식 기어를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었으나, 여전히 사이즈, 단가, 효율등의 문제로 인해 다양한 연구들이 국내외에서 진행 중이다 (3,4). 선행 연구들의 자료조사결과 마그네틱 기어의 대부분의 설계에는 희토류 영구자석이 사용되었다. 이 중에서도 NdFeB 영구자석이 주로 사용되는데,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 NdFeB 영구자석의 특성에 따라 사이즈 최소화 및 고 출력밀도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NdFeB 영구자석의 경우, 철 성분을 포함함에 따라 영구자석 내에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전도성의 성질로 인하여 영구자석 내부에 와전류에 의한 줄손실이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점을 갖는다 (5,6). 영구자석 내부의 와전류 손실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전도성이 없는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것이지만 전도성이 없는 영구자석은 낮은 에너지밀도로 인한 큰 사이즈를 갖는다. 적용분야에 따라 효율이 우선시 되거나 사이즈가 우선시 되는 등등 요구되는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어느 하나가 절대적으로 우수하다고 판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대효율을 기준으로, 영구자석 재질에 따른 각각의 동축 마그네틱 기어를 설계하고 비교하였다. 동일한 출력일 때 각각의 특성의 차이 정도를 나타내었으며 초기설계를 위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2. 본 론

2.1 동축 마그네틱 기어의 설계조건

동축 마그네틱 기어의 기본 형상은 그림 1과 같다. 각 회전자의 극수 및 폴피스 개수, 그리고 회전속도는 식(1)~(2)를 통해 결정되며 기어비는 8:1이다 (7). 내측 회전자의 극수는 4극, 외측 회전자의 극수는 32극, 폴피스의 개수는 18개 이다. 내측 회전자는 고속 회전자이며 140,000rpm으로 회전하고, 외측 회전자는 저속 회전자이며 17,500rpm으로 회전한다. 목표 출력토크(외측 회전자 토크)는 2.0Nm이다. 초기 설계를 위해 내측 회전자의 반지름은 15mm~25mm로 한정하였으며 폴피스의 길이는 1mm~14mm으로 설정한 후 각 파라미터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였다. 영구자석은 반경방향 5mm의 길이로 고정하였으며 영구자석 재질은 0.4T 잔류자속을 갖는 Ferrite, 0.8T Nd-Bonded, 1.2T Sintered NdFeB를 사용하였다. 그림 2-4에 영구자석 재질별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x축은 내측회전자의 반지름을 나타내고, y축은 폴피스의 길이이다.

(1)
$P_{ir}+P_{or}=2P_{pp}$

(2)
$G_{r}=\dfrac{P_{or}}{P_{ir}}=\dfrac{\omega_{ir}}{\omega_{or}}$

$P_{ir}$ 내측 회전자 극수, $P_{or}$ 외측회전자 극수, $P_{pp}$ 폴피스의 개수, $G_{r}$ 기어비, $\omega_{ir}$ 내측 회전자 회전속도, $\omega_{or}$외측 회전자 회전속도 이다.

그림. 1. 동축 마그네틱 기어

Fig. 1. Coaxial magnetic gear

../../Resources/kiee/KIEE.2020.69.2.271/fig1.png

그림. 2. 외측 회전자 토크 특성

Fig. 2. Outer rotor torque characteristics

../../Resources/kiee/KIEE.2020.69.2.271/fig2.png

그림. 3. 손실 특성

Fig. 3. Loss characteristics

../../Resources/kiee/KIEE.2020.69.2.271/fig3.png

그림. 4. 효율 특성

Fig. 4. Efficiency

../../Resources/kiee/KIEE.2020.69.2.271/fig4.png

2.2 Ferrite 및 Nd-bonded 모델 설계

영구자석 재질별 특성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출력토크와 철손의 경향성이 같다는 것이다. 영구자석 재질별 약 3배의 크기값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른 출력토크의 값의 변화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폴피스의 길이가 4mm 이상일 때 선형적인 출력토크가 나타남에 따라 폴피스는 4mm 전후의 길이에서 설계함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철손의 경우 영구자석 재질에 따라 약 2.5배의 차이를 나타내었고 Sintered NdFeB 영구자석의 경우 영구자석 와전류 손실이 추가로 발생하였다. 철손은 폴피스의 길이가 2~3mm인 모델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Sintered NdFeB모델의 영구자석 와전류 손실은 폴피스의 길이가 5mm 전후일 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효율에서는 영구자석 재질에 따라 각기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Ferrite 영구자석을 사용한 모델의 경우, 최적 효율을 나타내는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폴피스 길이 4mm, 내측회전자 반지름 18.5mm일 때 90.6%의 효율을 보인다. 하지만 Nd-Bonded 및 Sintered NdFeB를 사용한 모델에서는 그래프상 좌측면으로 갈수록 높은 효율을 나타내고 있어 최적 효율을 특정할 수 없다. 그래프상 좌측면을 넘어선 영역의 추가분석을 수행하여 그림 5에 나타내었다. Nd-Bonded 모델의 경우 폴피스 길이 4mm, 내측회전자 반지름 12mm일 때 93.1%의 효율을 나타내었다.

그림. 5. 효율특성 추가분석

Fig. 5. Additional analysis of efficiency

../../Resources/kiee/KIEE.2020.69.2.271/fig5.png

2.3 Sintered NdFeB 모델 설계

Sintered NdFeB 모델은 추가분석을 수행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래프상 좌측면으로 갈수록 높은 효율을 보이고 있다. 이는 철손대비 영구자석 와전류 손실이 5배 높으며, 그림 6(a) 같이 반지름이 작을수록 손실대비 출력이 높기 때문이다. 만약 영구자석 와전류 손실을 제외하여 효율을 계산하면, 그림 6(b) 같이 최적 효율을 나타내는 지점을 확인할 수 있고 Ferrite 및 Nd-bonded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철손만 고려된 그림 4(a), 그림 5(b), 그림 6(b)를 통해 두 가지를 확인하였다. 먼저는 폴피스의 길이가 4mm일 때 가장 높은 효율을 나타낸다는 것, 그리고 자석의 세기가 클수록 내측 회전자가 작은 모델에서 높은 효율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하지만 Sintered NdFeB 모델은 영구자석 와전류 손실을 반드시 고려해야 하며, 그림 5(c)를 통한 Sintered NdFeB의 최대 효율은 91.6%, 폴피스 길이는 6mm, 내측회전자 반지름은 6.5mm이다. 해당 모델의 전체 외경은 57mm이며 적층은 78mm으로 1:1.4의 비율이다. 그림 5(c)의 결과로 미루었을 때 사이즐르 더 감소시키면 효율은 더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사이즈를 무한정 감소시킬 경우 외경과 적층비율이 비정상적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불안정해질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그림. 6. Sintered NdFeB 모델의 영구자석 와전류 손실 특성

Fig. 6. Magnet eddy current loss of sintered NdFeB

../../Resources/kiee/KIEE.2020.69.2.271/fig6.png

2.4 토크밀도 특성

초기의 마그네틱 기어는 토크밀도가 낮은 문제가 있었으나 동축 마그네틱 기어는 100kNm/m3를 초과할 수 있는 높은 토크밀도를 나타낸다. 자석의 에너지 밀도가 가장 높은 Sintered NdFeB를 사용할 경우 가장 높은 토크밀도를 나타낼 것은 당연한 이치이나, 각 영구자석 재질별 토크밀도를 비교하기 위해 계산하여 그림 7에 나타낸다. 각 영구자석 재질별 약 3배의 토크밀도 차이를 나타내며 내측 회전자 반지름이 클수록 토크밀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토크밀도에서도 폴피스의 길이가 4mm일 때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7. 토크밀도 특성

Fig. 7. Torque density

../../Resources/kiee/KIEE.2020.69.2.271/fig7.png

표 1. 설계 결과

Table 1. The desigh result

Inner Rotor

Radius

(mm)

Pole piece

Length

(mm)

Outer

Diameter

(mm)

1

Ferrite

18.5

4

77

2

Nd-Bonded

12

4

64

3

Sint. NdFeB

6.5

6

57

4

Sint. NdFeB

no mag. loss

11.5

4

63

Stack

length

(mm)

Volume

(m3)

Torque

density

(kNm/m3)

Efficiency

1

Ferrite

70

32.3E-5

6.2

90.6%

2

Nd-Bonded

58

18.7E-5

10.7

93.1%

3

Sint. NdFeB

78

20.0E-5

10.0

91.6%

4

Sint. NdFeB

no mag. loss

20

6.3E-5

31.6

95.4%

2.5 설계결과 및 정리

표 1은 2.2 및 2.3에서 언급한 최대 효율 모델의 설계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영구자석 와전류 손실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면 Sintered NdFeB 영구자석을 사용한 모델이 가장 높은 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Ferrite, Nd-Bonded, Sintered NdFeB 모델을 종합했을 때 가장 높은 효율을 나타낸 모델은 Nd-Bonded를 사용했을 경우이다. 외경 대 적층 비율도 안정적이며 전체 체적 및 토크밀도 또한 가장 우수하다. 하지만 서론에서 언급한 100kNm/m3에 비해서는 현저하게 낮은 토크밀도를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 모델들에 대해 효율 최적화만을 진행했기 때문이며, 실제 적용에 있어서는 사이즈 제한조건 및 전동기와의 결합 조건을 고려하여 설계할 필요가 있다.

3. 결론

본 논문에서는 영구자석의 도전성에 의한 와전류 손실이 마그네틱 기어의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3종의 영구자석 재질을 사용한 최적설계를 진행하였다. Ferrite(0.4T), Nd-Bonded(0.8T), Sintered NdFeB(1.2T)를 사용하였고 각 영구자석 재질별 가장 효율이 높은 모델을 도출하였다. 영구자석 와전류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가정할 경우, 영구자석의 에너지밀도가 높을수록 고효율의 마그네틱 기어설계가 가능하였고 토크밀도에서도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표 1의 2, 3번을 통해, 영구자석 와전류 손실이 존재하는 도전성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것보단 비도전성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이나 토크밀도 측면, 그리고 외경 대 적층 비율의 안정성까지 유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동축 마그네틱 기어의 최대 효율설계를 위해서는 도전성을 갖는 영구자석을 제외한 조건 중 가장 높은 잔류자속밀도를 갖는 영구자석을 사용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Nd-Bonded 영구자석을 사용한 모델이 가장 우수했으며 실제로도 도전성을 갖는 고 에너지적 희토류 영구자석을 제외하면 가장 높은 잔류자속밀도를 갖는다. Nd-Bonded 영구자석의 경우 재료의 원가는 낮으나 금형 및 전용 착자요크가 동반됨에 따라 제작을 위한 초기비용이 높다. 따라서 마그네틱 기어가 소량만 적용되는 산업에서는 재료의 원가가 높으나 가공비용이 낮고, 효율 및 출력밀도도 차선으로 높은 Sintered NdFeB 영구자석이 유리할 수 있다.

한편, 그림 4의 효율특성, 그리고 그림 7의 토크밀도 특성을 통해 가장 우수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폴피스 길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마그네틱 기어의 기어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값으로, 최적 설계 시 폴피스의 길이에 대한 고찰 또한 반드시 필요하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Technology Innovation Program (10076577, Development of optimum design technology of non- contact magnetic gear driving module for electrical supercharger) fund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 (MOTIE, Korea)

References

1 
K. Atallah, D. Howe, 2001, A novel high-performance magnetic gear, IEEE Trans. Magnetics, Vol. 37, No. 4, pp. 2844-2846DOI
2 
K. Atallah, S. Calverley, D. Howe, 2004, Design, analysis and realisation of a highperformance magnetic gear, IEE Proceedings online, No. 200402224DOI
3 
M. Johnson, M. C. Gardner, H. A. Toliyat, 2018, Design comparison of ndfeb and ferrite radial flux surface permanent magnet coaxial magnetic gears, IEEE Trans. Industry Applications, Vol. 54, No. 2, pp. 1254-1263DOI
4 
M. Filippini, P. Alotto, 2017, Coaxial magnetic gear design and optimization, IEEE Trans. Industrial Electronics, Vol. 64, No. 12, pp. 9934-9942DOI
5 
Z. Q. Zhu, Apr 2008, Analysis and reduction of magnet eddy current loss in flux-switching permanent magnet machines, in Proc. PEMD, pp. 120-124DOI
6 
Z. Wu, Z. Zhu, H. Zhan, 2016, Comparative Analysis of Partitioned Stator Flux Reversal PM Machines Having Fractional-Slot Nonoverlapping and Integer-Slot Overlapping Windings, IEEE Trans. Magnetics, Vol. 31, No. 2, pp. 776-788DOI
7 
G. Jungmayr, J. Loeffler, B. Winter, f. Jeske, W. Amrhein, 2016, Magnetic Gear: Radial Force, Cogging Torque, Skewing, and Optimization, IEEE Trnas. Industry Applications, Vol. 52, No. 5, pp. 3822-3830DOI

저자소개

박의종 (Eui-Jong Park)
../../Resources/kiee/KIEE.2020.69.2.271/au1.png

He received B.S and M.S degree in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in 2013 and 2015, respectively.

Since 2015, he is doing a Ph.D course in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are numerical analysis and design of linear machineries and PM machineries.

정상용 (Sang-Yong Jung)
../../Resources/kiee/KIEE.2020.69.2.271/au2.png

He received the B.S., M.S.,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in 1997, 1999, and 2003, respectively.

From 2003 to 2006, he was a Senior Research Engineer with the R&D Division, Hyundai Motor Company, Korea, and the R&D Division, Kia Motor, Korea.

From 2006 to 2011, he was an Assistant Professor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He is currently an Associate Professor with the Schoo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the numerical analysis and optimal design of electric machines and power apparatus.

김용재 (Yong-Jae Kim)
../../Resources/kiee/KIEE.2020.69.2.271/au3.png

He received B.S degree in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in 1996 and the M.S,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Musashi Institute of Technology, Tokyo, Japan, in 2003 and 2006, respectively.

From 2006 to 2007, he was a Researcher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with the Musashi Institute of Technology, Tokyo, Japan.

He is currently an Associate Professor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the design and analysis of electric mach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