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Korea.)



Feedback interference cancellation, On-channel repeater(OCR), Least mean square(LMS) algorithm, Frequency shift sum spread spectrum(FSSSS), Integrated Bandwidth(iBW), Occupied Bandwidth(oBW)

1. 서 론

이동통신은 아날로그 통신에서 디지털 통신으로 변화되었으며, 디지털 통신에서도 GSM과 CDMA, 그리고 WCDMA을 거쳐 4G의 LTE로 전환되고 있다. LTE는 OFDM 기반으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어지고 있으며, 향후 5G에서도 OFDM 기반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동통신 시장에서 LTE 전환으로 무선 네트웍 시스템은 많은 변화를 겪었다. LTE 통신은 기지국(Base Station, BS)과 단말기(Mobile Station, MS), 그리고 중계기 노드(Repeater Node, RN)로 정의된다(1). LTE에 대한 E-UTRAN 아키텍쳐는 L1과 L2 그리고 L3의 계층으로 나누어지며, 본 논문에서 제안된 OCR은 L1의 Physical layer 부분에서 처리된다. L1은 L2 & L3 대비 전송속도를 개선시키지는 못하지만 커버리지 확장에 있어서는 가장 효율적 방법이다. 하지만 LTE와 같은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통신에서는 단지 커버리지 확장에 대한 네트웍 구성의 필요성에 대한 의문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실제 네트웍 구축에서는 외부 환경에 의한 소규모 음영지역이 발생하며, 이러한 음영 지역에 대한 서비스를 가장 적은 비용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소출력 OCR(동일 주파수 중계기)가 가장 적합하다. 그러나 OCR은 입력과 출력에서의 격리도(Isolation)가 중요하며, 만약 OCR에서 궤한신호 제가가 없다면 그림 1식(1)와 같이 중계기 설치 시 안테나의 격리도를 중계기 출력 Gain에 +15dB 이상에서 설치하여야 한다. 이는 설치 운영에서 커다란 제약 조건이다. 이에 따라 OCR이 원활하게 설치되어 운영하기

그림. 1. 안테나 격리

Fig. 1. Antenna isolation

../../Resources/kiee/KIEE.2020.69.3.495/fig1.png

위해서는 궤환 신호의 제거가 안정적으로 가능해야 한다.

(1)
안테나 격리$\ge G_{R,\:\max}+15 d B$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 제한된 OCR은 향후에도 발전 가능한 OFDM 기반 LTE에 적합하게 설계함으로써 향후 무선 네트웍의 구축에 따른 음영 지역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전체 통신망에 대한 경제성을 확보 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신호처리 관련 기술은 이동통신 분야에서 주파수 대역에 대한 선택과 특정 신호(noise)에 대한 제거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특정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하는 채널 필터와 특정 신호에 대한 제거를 위한 적응 필터가 적용되어지며, 이에 대한 이론은 1970년대에 완성되어 논문으로 발표되어 졌다. 1980년대에는 수신기 성능 향상을 위하여 입력 신호에 대한 적응 필터(adaptive filter)을 사용하여 Forward와 Feedback 성분에 대하여 Adaptive Equalization을 통해 처리함으로써 많은 성능 향상을 가져왔다(2)(3)(4). 1980년대에는 그 동안의 이론을 바탕으로 반도체 기술의 발전을 통해 High Speed ADC(Analog-to- Digital Convertor)와 DAC(Digital-to-Analog Convertor), 그리고 신호 처리 이론을 구현하기 위한 충분한 용량을 가지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가 개발되어 사용 가능함으로써 신호처리 알고리즘이 하드웨어 기반으로 실시간 처리가 가능해졌다(5)(6)(7). 이러한 환경은 이동 통신의 송신기와 수신기, 그리고 중계기 분야에서 널리 적용되었으며, 중계기 분야에서는 아날로그 방식의 단순 중계기에서 디지털 방식의 단순 중계기로, 그리고 신호처리 분야의 다양한 알고리즘이 적용되는 디지털 처리가능한 중계기로 발전되어지고 있다.

디지털 처리 중계기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통과를 목적으로 하는 단순 채널 필터에서 더 나아가 OCR와 같은 동일 주파수 사용 시 기존의 안테나 간 격리도를 증가하기 위한 궤환 신호를 제거하는 신호처리 기술이 적용되어 지고 있다. 궤환신호 제거 기술은 디지털 신호처리 알고리즘이 실시간으로 처리되는 적응 필터를 이용한 외부 환경에 대한 실시간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을 통해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여 상쇄시킨다(8)(9)(10)(11)(12).

신호처리가 가능한 디지털 중계기 구조는 기본적으로 RF(Radio Frequency)부분과 디지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RF 부분은 디지털에서 처리 가능한 주파수대역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Down Converter와 신호처리가 완료된 신호를 다시 RF 주파수 대역으로 변화하기 위한 Up Converter 로 구성되어진다. 디지털 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ing, DSP)는 RF 부분에서 처리된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에 대해 High Speed ADC을 이용하여 디지털로 변환 후 FPGA을 이용하여 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채널 필터로 처리한 후 신호에 맞는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수행 한 결과를 High Speed DAC을 이용하여 입력된 IF 주파수 신호와 동일하게 주파수에 생성하도록 구성되어진다. 추가적으로 RF을 통해 생성된 출력 신호는 중계기 출력에 맞는 HPA(High Power Amplifier)을 통해 원하는 출력에 해당되는 신호를 가진다. IF 대역의 신호처리 부분에서 사용하는 채널 필터는 FIR과 IIR 형태로 구현되며, 그 계수의 값은 해당 주파수에 맞추어 설계되어 적용된다. 적응 필터의 경우 주로 FIR 형태로 구성되어지며, 사용되는 계수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형태로 구성된다. 계수의 업데이트 값은 제거하는 신호 성분에 따라 달라지며, OCR과 같은 Feedback Signal의 제거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는 출력 신호를 기준으로 입력 신호에서 기준이 되는 출력 신호를 찾아 제거한다.

OFDM 기반 LTE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상용화되면서 주파수 사용 대역에 대한 가변성이 증가되고 있다. 이는 사용자(서비스 공급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대역과 실제 신호의 점유 대역이 상이할 수 있고 CDMA와 WCDAM등과 같은 이종 신호를 동시에 서비스 할 수도 있다. 이는 iBW(Integrated Bandwidth)와 oBW(Occupied Bandwidth)의 차이를 발생하게 되며, OCR에서도 이에 대한 서비스가 가능하여야 한다(13).

적응필터에 사용되는 알고리즘은 다양하지만 사용되는 리소스 측면에서는 실제 구현 가능한 알고리즘으로는 일반적으로 Least mean squares(LMS)을 사용한다. LMS은 다른 알고리즘 보다 실제 하드웨어로 구현이 쉽고 여러 형태로 변형되어 적용하기 용이하며, 다양한 분야에서의 적용을 통해 성능이 검증되었다. LMS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가중치 적용 방법이며, 이에 따라 NLMS와 VS-LMS, 그리고 VSS-LMS와 같은 알고리즘이 개발되어 있다(14)(15)(16).

전자파는 공중에 사방으로 퍼져 나가므로 전자파 자체는 쉽게 다른 사람에 의해 적정한 안테나를 사용하여 수신될 수 있고 반대로 외부 전자파에 의해 쉽게 방해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수신된 신호는 변조방법을 알면 쉽게 그 통화내용을 도청할 수 있고, 외부 전파에 의해 방해될 경우 중요 통신에 대한 방해를 받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지 위해 도청과 방해전파에 강한 통신 방법으로 대역확산 통신방식(Spread-Spectrum Technology)이 개발되었으며, 1960년대부터 보안이 중요한 군사용으로부터 주로 사용되어졌으며, 이동 통신 분야에서는 CDMA에서 본격적으로 사용하였다(17)(18)(19).

대역 확산의 방법으로는 직접 시퀀스(Direct Sequence, DSSS) 방식과 주파수 도약(Frequency Hopping, FHSS)이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도약 방식을 일부 응용하여 주파수 이동과 그에 대한 합산을 통한 대역 확산을 제안한다.(Frequency Shifting Sum, FSSSS)

본 논문은 iBW와 oBW의 차이에 의해 생기는 무신호 대역에 대해서도 입력 신호의 특성과 무관하게 안정적인 궤환신호 제거를 할 수 있는 OCR을 제안하며, 이에 따라 2.1장에서는 OCR의 궤환 신호 제거 알고리즘에 해당되는 LMS 기반의 적응 필터를 설계하고, 2.2장에서는 SS(Spread-Spectrum)에 대한 적용 방식을 살펴보며, 3.1장에서는 설계된 적응 필터에 SS을 적용을 제안하고, 그에 대해 시뮬레이션은 3.2장에서 확인한다. 3.3장에서는 구현 후 성능을 실제 통신 신호를 사용하여 확인하며, 최종적으로 4장에서 결론을 맺는다.

2. LMS와 SS 알고리즘 분석

2.1 LMS 알고리즘을 사용한 OCR에 대한 개요

그림 2는 OCR의 구조에 대해 보여준다. 그림 2에서는 수신된 RF(무선 주파수) 신호가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대역을 믹서를 통해 전송되며, ADC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보여준다. IF 대역에 존재하는 신호는 대역폭에 따라 채널 필터를 거치게 된다. 이 과정 중, RF 신호는 LMS 알고리즘을 통하여 피드백 신호가 제거되고, 다시 믹서를 통해 RF대역으로 전송된다.

그림. 2. On-Channel Repeater의 구조

Fig. 2. Structure of on-channel repeater(OCR)

../../Resources/kiee/KIEE.2020.69.3.495/fig2.png

그림 3은 LMS 알고리즘의 피드백 시그널을 제거하기 위한 적응형 필터의 구조 차트를 보여준다. 입력 신호 ($s_{k}$)를 통해 피드백 경로 ($h_{k}$)를 통과하면서 생성된 피드백 신호($n_{k}$)는 입력 신호 ($d_{k}$)와 통합 된 다음 출력 신호 ($y_{k}$)를 적응 필터 가중치 ($W_{k}$)의 추정 된 $h_{k}$로 전송하고 취소하고 이에 의해, ($W_{k}$)가 인접하여 출력된다.

그림. 3. LMS를 기반으로 하는 적응형 필터의 구조

Fig. 3. Structure of an adaptive filter based on LMS

../../Resources/kiee/KIEE.2020.69.3.495/fig3.png

필터 출력의 예상치는 $y(k)$ 이며, 아래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2)
$y(k)= w^{T}(k)x(k-l)$

실제 출력 값과, 요구되는 반응 값을 비교한 오차 값은 아래와 같다.

(3)
$e(k)=d(k)-y(k)$

적응형 절차는 탭-웨이트 벡터가 그라디언트 절차를 최소한의 오류 성능을 가지게 하며, 그 표면의 최소 값은 이론적으로 그라디언트에 대한 표현식을 얻고 0으로 같게 하여 찾을 수 있다.

간단한 그라디언트 예상치를 이용하면, 가장 가파른 하강치의 변화는 아래 식과 같다.

(4)
$w(k+1)=w(k)+2\mu e(k)x(k-l)$

$\mu$ 값의 한 점에 대한 양 벡터의 한계 값은 이렇게 도출될 수 있다.

(5)
$0 < \mu < \dfrac{1}{\lambda_{\max}}$

이 공식은 표준 LMS 알고리즘이다.

표 1. STEP SIZE 변경에 따른 수렴 조건

Table 1. Convergence condition according to step size

Step size

Convergence rate

System stability

초기 간계 변수, $\mu$는 도식 (4)에서 정의되어 있으며, 안정성과 컨버전스 속도에 대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방정식(5)의 정의된 경계에서 변경된 값에 따르게 된다. 다르게 표현하자면, $\mu$ 값이 커지면, 신호의 수렴속도는 증가하나, 안정성은 감소한다. 정리하면 표 1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mu$ 값이 작아지게 된다면, 결과는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가 되게 된다. 특수 특성으로 인해, $\mu$ 값은 수렴범위는 다양한 신호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이 논문은, $\mu$ 값의 경계를 다양한 하드웨어에 최대화되게 적용하여, 변수에 따라 출력 값이 바뀔 수 있게 설계되었다.

2.2 SS 알고리즘 개요

C. E. Shannon의 채널 용량 이론에 의하면 무선 통신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조건으로 대역폭과 잡음비(S/N)로 식(6)과 같다(20).

(6)
$c=W\log_{2}\left[1+\dfrac{S}{N}\right]$

대역확산(Spread Spectrum, SS)은 식(6) 에서 잡음비가 악조건에서도 데이터를 무선으로 오류 없이 전송하기 위해서 대역을 확장하는 방법이다. 이는 채널 환경이나 외부의 간섭 조건에 보다 강인한 전송 방식을 원할 경우 효율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동기 추적에 따른 수신기의 복잡도가 증가할 수 있으며, 대역 확산으로 인한 전송 대역이 과도하게 늘어 날 수 있다.

대역확산의 방법으로는 직접 확산(Direct Sequence, DSSS)방법과 주파수 도약(Frequency Hopping, FHSS), 그리고 시간 도약(Time Hopping, THSS) 방법이 있다.

직접 확산 (Direct Sequence, DSSS) 방식은 스펙트럼을 확산시켜야 할 신호의 대역폭에 비해 충분히 넓은 스펙트럼을 갖는 확산부호(Pseudo Noise : PN Code)를 직접 승산 함으로써 협대역 신호에서 광대역 신호로 변환시킨다. 그림 4와 같이 송신 시 사용된 PN은 수신시 적용할 경우 복원되는 성질을 이용한다.

그림. 4. 직접 확산 시스템

Fig. 4.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DSSS) systems

../../Resources/kiee/KIEE.2020.69.3.495/fig4.png

주파수 도약 (Frequency Hopping, FHSS) 방식은 스펙트럼을 확산시켜야 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를 어떤 특정 패턴에 따라 시간적으로 전환해 감으로써 시간 평균으로 협대역 신호를 광대역 신호로 변환시킨다. 그림 5와 같이 DSSS에서 사용되는 PN을 신호에 바로 곱하지 않고 주파수 이동의 값으로 사용함으로써 불규칙 적인 주파수 이동을 통해 주파수 대역을 넓힌다.

그림. 5. 주파수 도약 시스템

Fig. 5. Frequency-hopping spread spectrum(FHSS) systems

../../Resources/kiee/KIEE.2020.69.3.495/fig5.png

시간 도약(Time Hopping, THSS) 방식은 일종의 Pulse 변조 방식이며, PN 신호가 송신기의 출력을 On/Off 시킨다. 이때 출력되는 신호는 극히 짧은 시간 동안만 on이 되며, 이 경우 신호의 특성이 임펄스(impulse) 신호의 성격을 갖게 되어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에서는 확산되어 나타난다. 그러나 송신기 구조가 간단한 장점 이외에 전송 속도의 한계로 인하여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적용에 필요한 방법으로 위 3가지 방법을 고려 시,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있으며, 이를 회피하기 위해 주파수 이동을 통한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하모닉 성분을(Frequency shift in high order harmonic generation) 이용하고자 한다.

1) DSSS는 특정 데이터(PN)을 적용함으로써 원래의 신호에 대한 불규칙 왜곡의 발생에 의해 궤환신호 제거에 필요한 상관관계성(correlation)을 파괴된다.

2) FHSS와 THSS의 경우 주파수 영역과 시간영역에서 점유 대역이 변경되는 과정에서 적응 필터의 수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식(7)과 같이 본 신호에 주파수 이동으로 생기는 하모닉을 합치며, 이 때 원 주파수 대역을 고려하여 겹치지 않도록 이동하여 합치는 경우 하모닉 대역만큼의 대역확산의 효과를 가져 올수 있다.

(7)
\begin{align*} y(s)=x(t)\times(\cos(2\pi tf_{shift frequency})\\ +2\sin(2\pi tf_{shift frequency})) \end{align*}

그림 6과 같이 원하는 주파수 대역이 $f_{c}$에 있으며, 대역폭이 $f_{w}$일 경우 주파수 이동단위를 $f_{w}$ 단위로 이동하여 합칠 경우 전체 대역 확산은 이동한 횟수를 $S$ 일 때 식(8)과 같이 확산되는 대역($f_{tw}$)을 계산할 수 있다.

(8)
$f_{tw}=f_{w}+f_{w}\times 2\times S$

그림. 6. 주파수 이동 합 확산 스펙트럼 시스템(S=1)

Fig. 6. Frequency-shift sum(FSS) SS systems (S = 1)

../../Resources/kiee/KIEE.2020.69.3.495/fig6.png

3. FSSSS 알고리즘 구현 및 성능 검증

3.1 LMS 알고리즘 및 FSSSS를 사용한 간섭 제거

기존의 적응형 필터의 경우 그림 3과 같이 주 경로에서 궤환 신호의 제거와 적응형 필터의 입력신호 $X_{k}$을 사용한다. 이 경우 입력 신호 $S_{k}$의 사용 대역인 oBW가 궤환신호 제거 대역의 iBW보다 작을 경우 적응형 필터의 계수 $W_{k}$는 궤환 경로와 함께 $S_{k}$의 oBW 대역에 대한 특성이 반영된다. 이때 $S_{k}$는 oBW에 맞추어 $W_{k}$는 Band-Pass Filter 특성이 나타나며, Feedback Path에 해당되는 $y_{k}$는 iBW에서 신호가 있는 oBW에 대해서만 궤환 신호가 제거된다. 이 경우 그림 7과 같이 oBW 대역에 대해서만 궤환신호가 제거될 경우 iBW와 oBW의 차이에 Noise 성분이 발진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그림. 7.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입력 신호에 대한 LMS

Fig. 7. LMS for Input Signal with Frequency Characteristics

../../Resources/kiee/KIEE.2020.69.3.495/fig7.png

본 논문에서는 iBW에서의 에 대한 채널 추정을 위해 그림 8과 같이 적응형 필터를 듀얼로 구성하고, 실제 계수 생성 부분에서 사용되는 입력 신호(reference signal)을 주파수 이동의 합 (Frequency Shift Sum, FSSSS)을 이용하여 iBW 대역 만큼의 주파수 확산을 한다.

그림. 8. Dual Adaptive Filter와 FSSSS를 적용한 LMS 구조

Fig. 8. LMS structure with a dual adaptive filter and FSSSS

../../Resources/kiee/KIEE.2020.69.3.495/fig8.png

그림 8의 FSSSS을 적용 시 $W_{k}$에 대한 LMS 연산은 그림 9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대역(iBW)만큼 확산된 신호로 처리되며, 이에 대한 결과로 $W_{k}$는 iBW 대역을 처리하는 계수가 생성된다. 생성된 계수 $W_{k}$에 의해 $y_{k}$는 iBW 대역의 $h_{k}$의 채널 추정이 되어 $h_{k}$가 iBW 내에서 정상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3.2 시뮬레이션 결과

본 논문의 시뮬레이션은 2.2장에서 제안된 듀얼 적응형 필터 구조(그림 9)에서 궤환 신호 제거에 대해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그림. 9. FSSSS 적용 시 수렴 계수

Fig. 9. Convergence factor when FSSSS is applied

../../Resources/kiee/KIEE.2020.69.3.495/fig9.png

통해 성능을 예상한다. 시뮬레이션에서 사용되는 파라메터는 표 2와 같다.

표 2. 시뮬레이션 파라메터

Table 2. Simulation Parameter

Item

Parameter

Input Signal

5MHz Bandwidth Random Noise

Adaptive Algorism

LMS

Adaptive Filter Tap

64 tap

Sample Rate

35MHz

iBW

10MHz

FSSSS iBW

15MHz (S=1)

oBW

5MHz

표 2의 시뮬레이션 파라메터에서 입력신호는 Random Noise에 그림 10의 (a)와 같은 주파수 특성의 필터를 사용하여 생성한 후 사용한다. 또한 사용자 대역의 iBW을 10MHz로 가정하고 이에 대한 oBW을 최대 5MHz로 가정하여 iBW-oBW가 5MHz로 가정한다. 이 경우 FSSSS에서 처리되 대역은 $F_{tw}SUCC i BW$ 조건에서 식(8)에 의해 $S=1$이 된다.

그림. 10. 시뮬레이션 입력 신호 특성 : (a) 주파수 특성, (b) 시간 특성

Fig. 10. Simulation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 (a) frequency characteristics, (b) time characteristics

../../Resources/kiee/KIEE.2020.69.3.495/fig10.png

FSSSS 미적용 시 시뮬레이션 결과는 그림 11과 같이 LMS에 의한 수렴 계수가 입력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갖는 BPF(Band-Pass Filter) 형태로 수렴된다.

LMS 계수가 입력 신호 대역에 해당되는 BPF 특성을 갖는 경우 iBW와 oBW의 차이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궤환신호를 만들 수 없으며, 이는 궤환신호의 제거를 정상적으로 하지 못하게 된다. 그에 대한 결과는 그림 11과 같다.

그림. 11. FSSSS 미적용 시뮬레이션 결과 : 계수 특성 (a) 주파수 특성, (b) 시간 특성

Fig. 11. Simulation results without FSSSS: coefficient characteristics (a) frequency characteristics, (b) time characteristics

../../Resources/kiee/KIEE.2020.69.3.495/fig11.png

그림. 12. FSSSS 미적용 시뮬레이션 결과 : 주파수 특성 (a) LMS 입력 신호 (b) LMS 출력신호

Fig. 12. Simulation results when FSSSS was not applied :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a) LMS input signal and (b) LMS output signal

../../Resources/kiee/KIEE.2020.69.3.495/fig12.png

FSSSS을 적용할 경우 S=1일 때 LMS가 처리하는 대역은 대역확산을 통해 원 신호 5MHz을 포함하여 15MHz을 확보하다. 이에 따라 시뮬레이션 결과는 그림 13과 같이 LMS의 계수의 특성은 FSSSS 적용된 주파수 대역의 특성을 갖는다.

그림. 13. FSSSS 적용 시뮬레이션 결과 : 계수 특성 (a) 주파수 특성, (b) 시간 특성

Fig. 13. Simulation results when FSSSS was applied: the LMS coefficient’s (a)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b) time characteristics

../../Resources/kiee/KIEE.2020.69.3.495/fig13.png

그림 13과와 같이 LMS 계수의 주파수 특성이 oBW=10MHz 대역보다 넓은 특성을 나타남으로써 궤환 신호 제거 특성은 iBW와 oBW 차이 대역도 안정적으로 제거되는 것을 그림 14와 같이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4. FSSSS 적용 시뮬레이션 결과 : 계수 특성 (a) 주파수 특성, (b) 시간 특성

Fig. 14. Simulation results when FSSSS was applied: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a) LMS input signal and (b) ) LMS output signal

../../Resources/kiee/KIEE.2020.69.3.495/fig14.png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보듯 제안된 FSSSS의 적용에 의해 신호가 존재하는 대역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전체 대역에서의 궤환 신호를 제거하는 계수를 안정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3.3 구현 된 시스템의 성능 및 사양

본 장에서는 3.2장에서 정의된 시뮬레이션 구성을 FPGA로 구현하여 확인 하였다. FPGA는 자이링스사의 시스템 제너레이터를 사용하여 그림 15와 같이 구현하였다. 사용된 입력 신호는 LTE 5MHz(25RBs)로 iBW 10MHz 대역에 위치하게 되며, 그림 3그림 8에 구조에 대해 그림 16과 같은 테스트 환경에서 테스트 그 결과를 비교한다.

그림. 15. FPGA 구현

Fig. 15. FPGA implementation

../../Resources/kiee/KIEE.2020.69.3.495/fig15.png

ICS의 기능을 검사하는 실험실 테스트 환경을 그림 16에 제시하였다. 신호 발생기를 사용하여 입력을 삽입하고 ICS 리피터의 출력을 사용하여 루프백 경로를 구성하였다.

그림. 16. 실험 테스트 환경

Fig. 16. Laboratory test environment

../../Resources/kiee/KIEE.2020.69.3.495/fig16.png

성능 비교는 격리도를 스펙트럼상의 발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상태에서 스펙트럼을 통해 iBW 내에서의 발진 현상을 관찰 하였으며, 신호 성능 확인을 위해 EVM을 측정하였다.

그림 17에서 (a)와 같은 원 신호를 그림 16에 Vector Signal Generator을 이용하여 LTE 5MHz(25RBs)을 입력하며, (b)와 같이 일정한 단일 궤환 경로에 대한 궤환신호를 입력한다. 이때 그림 3의 LMS구조를 이용한 궤환 신호 제거 시 (c)와 같이 iBW와 oBW의 차이 대역에서 궤환 제거가 되지 않고 발진하는 현상이 타나난다. (b) 상태에서 FSSSS을 적용할 경우 (c)와 달리 iBW 대역 전체에 궤환 신호의 제거를 확인 할 수 있다.(일부 발진 성분이 있는 것은 그림 14의 (a-1) 부분에서 발생)

그림. 17. LTE 신호 스펙트럼 결과 : (a) 궤환 신호가 없는 입력 신호, (b) 궤환 신호가 있는 신호 출력, (c) LMS로 발진 제거 신호, (d) FSSSS를 적용한 발진 제거 신호

Fig. 17. LTE signal spectrum result : (a) input signal without feedback signal, (b) signal output with feedback signal, (c) oscillation cancellation signal with LMS, (d) oscillation cancellation signal with FSSSS

../../Resources/kiee/KIEE.2020.69.3.495/fig17.png

EVM 값은 식(9)와 같이 LTE 신호의 시간에 따른 RSM 값의 원래 신호 ($R_{k}$)에 대한 RMS(Root-Mean-Square) 값의 에러 벡터 ($e_{k}$)의 비율로 정의된다.

(9)
$EVM =\sqrt{\dfrac{\sum_{k=0}^{P 1}\left | e_{k}\right |^{2}}{\sum_{k=0}^{P 1}\left | R_{k}\right |^{2}}}\times 100\%$

EVM 측정은 그림 18에서 원 신호 1.64%(a)와 궤환 신호가 있을 경우 미세 발진이더라도 (b)와 같이 64QAM의 Symbol을 확인 할 수 없을 정도의 품질이다. 궤환 신호를 제거할 경우 FSSS 적용과 상관없이 신호 대역의 제거가 원활하게 되었기 때문에 EVM은 (c)와 같이 안정적으로 6%대를 유지한다.

본 실험에서는 LTE 5MHz(25RBs)을 S=1의 조건에서 iBW가 10MHz의 차이인 5MHz 신호 대역에서도 궤환 신호 안정적인 제거를 확인하였다.

그림. 18. LTE 신호 EVM : (a) 궤환 없는 신호, (b) 궤환 신호가 있는 신호, (c) 궤환을 제거한 신호

Fig. 18. LTE Signal EVM : (a) a signal without feedback, (b) a signal with feedback, and (c) a signal with feedback removed

../../Resources/kiee/KIEE.2020.69.3.495/fig18.png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입력 신호에 영향을 받지 않는 OCR에 대해 연구하였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LMS 기반의 OCR의 경우 궤환 경로와 무관한 입력 소스의 영향을 받아 수렴되는 계수에 의해 입력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가지며, 이는 iBW와 oBW의 차이의 대역, 즉 사용자 사용 대역 내(In-Band)에 무신호(Only Noise) 대역이 존재할 경우 iBW에 대한 궤환신호 제거에 영향이 줌으로써 iBW-oBW 대역에 대해 발진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iBW와 oBW의 차이가 존재하더라도 iBW 전체를 고르게 궤환 신호를 제거 할 수 있도록 입력 신호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제거함으로써 실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인 iBW 전체에 대한 궤환 경로를 정확히 채널 추정을 함으로써 안정적인 궤환 신호 제거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시뮬레이션에서는 iBW 10MHz에서 oBW가 5MHz의 조건으로 FSSSS의 적용 전후를 비교하였으며, 랩 테스트를 통해 실제 신호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로 iBW와 oBW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무신호 대역에 대한 궤환 신호의 안정적인 제거가 확인 되었으며, oBW에서의 각 신호에 대한 품질은 EVM을 통해 확인하였다. 향후 에는 본 논문에서 제안된 대역 확산 기법을 통해 보다 넒은 대역을 사용하는 5G와 FDD가 아닌 TDD 방식에서도 안정적인 단일 채널 중계기가 적용될 수 있도록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

References

1 
Sihombing Anto, 2009, Performance of Repeaters in 3GPP LTE, Master of Science Thesis Stockholm, SwedenGoogle Search
2 
Y. Sato, 1975, A method of self-recovering equalization for multilevel amplitude-modulation systems, IEEE Trans. Commun. COM-23, Vol. , No. , pp. 679-682DOI
3 
Qureshi, Shahid, Mar 1982, Adaptive Equalization,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pp. 9-16DOI
4 
D. Godard, Nov 1980, Self-Recovering Equalization and Carrier Tracking in two-dimensional data communication systems,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s, Vol. 28, No. 11DOI
5 
J. Mitola, May 1995, The software radio architecture, IEEE Commun. Mag., pp. 26-38DOI
6 
S. Im, W. Lee, C. Kim, Y. Shin, S. H. Lee, J. Chung, June 2000, Implementation of SDR-based digital IF channelizer/de- channelizer for multiple CDMA signals, IEICE Transaction on Communications, Vol. E83-B, No. 6, pp. 1282-1289DOI
7 
Jin-Yul Kim, Sung-Joon Park, 2013, NLMS Adaptive Digital Filter with a Variable Step Size for ICS (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 RF Repeater, International Journal of Energ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Vol. 4, No. 5, pp. 25-34Google Search
8 
S. J. Kim, J. Y. Lee, J. C. Lee, J. H. Kim, B. Lee, N. Y. Kim, 2003, Adaptive feedback 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 (AF-ICS), IEEE Microwave Symposium (MTT-S) Digest, pp. 627-630DOI
9 
Seung Won Kim, Yong Tae Lee, Sung Ik Park, Ho Min Eum, Jae Hyun Seo, Heung Mook Kim, Jine 2006, Equalization Digital On-Channel Repeater in the Single Frequency Networks, IEEE TRANSACTIONS ON BROADCASTING, Vol. 52, No. 2DOI
10 
R. Neil Braithwaite, Scott Carichner, 2007, Adaptive Echo Cancellation for an On-Frequency RF Repeater using a Weighted Power Spectrum, Proceedings of the 10th European Conference on Wireless TechnologyDOI
11 
M. Lee, B. Keum, Y. S. Shim, H. S. Lee, May 2009, An Interference Cancellation Scheme for Mobile Communication Radio Repeaters, IEICE Trans. Commun., Vol. E92-B, No. 05, pp. 1778-1785Google Search
12 
Jihoon Choi, Young-Ho Jung, 2015, Performance Analysis of an LMS Based Adaptive Feedback Canceller for On-Channel Repeaters, IEIC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s, Vol. E98.B, No. 5, pp. 908-916Google Search
13 
Shared Spectrum Company, September 23, 2010, General Survey of Radio Frequency Bands - 30 MHz to 3 GHz, General RF Band SurveyGoogle Search
14 
Y. K. Won, R.-H. Park, J. H. Park, B.-U. Lee, Aug 1994, Variable LMS algorithms using the time constant concept, IEEE Transactions on Consumer Electronics, Vol. 40, No. 3, pp. 655-661DOI
15 
Gazor Saeed, June 1999, Prediction in LMS-Type Adaptive Algorithms for Smoothly Time Varying Environments, IEEE TRAN- SACTIONS ON SIGNAL PROCESSING, Vol. 47, No. 6DOI
16 
Zhang Yonggang, Li Ning, A. Chambers Jonathon, Hao Yanling, New gradient-based variable step size LMS algorithms, EURASIP Journal on Advances in Signal Processing Archive Volume 2008.DOI
17 
R. Kohno, R. Meidan, L. B. Milstein, 1995, Spread spectrum access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 33, No. 1, pp. 58-67DOI
18 
P. G. Flikkema, 1997, Spread-spectrum techniqu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EEE Signal Processing Magazine, IEEE Journals & Magazines, Vol. 14, No. 3, pp. 26-36DOI
19 
Pereira Miguel, Postolache Octavian, Girao Pedro, 2009,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wireless communication, IEEE Instrumentation & Measurement Magazine, Vol. 12, No. 6, pp. 21-24DOI
20 
C. E. Shannon, July, October, 1948,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Reprinted with corrections from The Bell System Technical Journal, Vol. 27, pp. 379-423, 623-656Google Search

저자소개

김종민 (Jong-Min Kim)
../../Resources/kiee/KIEE.2020.69.3.495/au1.png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ongik University in 1998 and 2000,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pursuing the Ph.D. degree at Korea University.

He is interested in communication, LTE and 5G.

장경배 (Kyung-Bae Jang)
../../Resources/kiee/KIEE.2020.69.3.495/au2.png

He received his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in 2006.

He has been working as a professor at The Cyber University of Korea since 2014. He is interested in measurement, control, communication and 5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