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Closed loop distribution system, EMTP, IoT, Protection scheme

1. 서 론

현재 운용되고 있는 배전계통은 대부분 전원으로부터 한 방향으로 전류가 흘러가는 radial 형태의 배전계통이다. 그렇지만, 현재 신재생에너지 증가, 민감 부하의 증가, 전력공급에 대한 신뢰도 요구 등으로 인하여 loop 형태의 새로운 배전계통이 도입되고 있다. 기존의 radial 형태의 배전계통과는 달리 loop 형태의 배전계통에서는 양방향 전력공급이 가능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정전 구역을 최소화하여 전력 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렇지만, 기존의 배전계통과는 다른 전력조류의 흐름이므로 배전계통 보호 측면에서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1-2).

Loop 배전계통은 tie switch를 통하여 배전선로가 상호 연결되어 있다. 정상상태에서 tie switch의 동작상황에 따라 open loop 혹은 closed loop 형태가 나타날 수 있다. Open loop 배전계통에서는 tie switch의 close 상태 이전은 기존의 radial 배전계통과 동일하므로 보호 방법 역시 동일하나 tie switch의 close 이후 양방향 전류 공급으로 인한 보호계전기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Closed loop 배전계통에서는 양방향 전류 공급으로 인하여 고장 시에도 양방향으로 고장전류 공급이 가능하다. 따라서, 보호계전기 동작 시 방향성이 고려되지 않는 기존의 단방향 과전류계전기를 적용할 경우 보호계전기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1-2).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1)에서는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하여 open loop 배전계통에서 tie switch의 close 이후 정상부하전류와 고장전류 구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2)에서는 open loop 마이크로그리드에서 tie switch의 close 이후 고장점 분리의 성공유무를 고려하여 tie switch와 연결된 배전선로 중 고장선로 판별 및 다른 피더로의 정상 부하전류 공급을 구분한 후 보호계전기 오동작을 방지하고 tie switch까지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3)에서는 파일럿 보호계전 방법이 케이블이 연결된 closed loop 배전계통에서 제안되었다. (4)에서는 마이크로그리드를 위한 보호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방법은 load-way, loop-way, feeder, and microgrid로 4가지를 나누어 보호 방법을 다르게 적용한다. (5)에서는 loop 배전계통에서 웨이블릿 변환과 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하여 고장위치 추정 방법이 제안되었다. (6)에서는 loop 배전계통에서 확률적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적응형 고장 검출 방법이 제안되었다. (7)에서는 Open/close loop 배전계통에서 고장전류를 분석하고, 풍력발전의 운전을 고려한 적응형 보호계전 방식을 제안하였다. (1-2)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open loop 계통에서 tie switch의 close 시 발생하는 현상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 closed loop 계통에서는 tie switch가 정상조건에서 close 상태이므로 (1-2)의 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 (3-7)의 경우는 tie switch 제어는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closed loop 배전계통에서 tie switch를 제어하는 새로운 closed loop 배전계통의 보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closed loop 배전계통에서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의 새로운 보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loop 배전계통에서 보호 측면에서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closed loop 배전계통에서 IoT 기반 보호 방법의 구성도 및 알고리즘을 기술하였다. 4장에서는 EMTP(Electromagnetic Transients Program)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제안하는 방법의 시뮬레이션 및 검증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5장에서는 본 논문의 결론을 기술하였다.

2. Loop 배전계통에서 보호 측면에서의 문제점 분석

아래 그림 1은 Loop 배전계통을 나타낸다. 양단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며, 두 배전선로는 타이 스위치를 통하여 연결이 되어 있다. 그림 1과 같이 closed loop 배전계통에서 타이 스위치는 정상상태에서 close 상태로 동작하게 된다.

그림. 1. Loop 배전계통

Fig. 1. Loop distribution system

../../Resources/kiee/KIEE.2020.69.6.752/fig1.png

그림 1과 같이 i 배전선로의 임의의 지점 Fault1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가정하면, 타이 스위치가 close 되어 있기 때문에 source 1과 source 2 양방향으로부터 고장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발생가능 한 보호 측면에서의 문제점은 아래와 같다.

(1) 양방향으로부터 고장전류가 공급되므로 고장점으로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게 된다.

(2) 양방향 고장전류 주입으로 j 배전선로는 고장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정상전류 공급이 불가능하게 된다.

(3) i 배전선로의 고장임에도 불구하고 j 배전선로의 보호기기도 고장전류를 감지하여 동작할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양 배전선로의 보호기기가 모두 동작하여 정전구간이 확대될 수 있다.

(4) 전형적인 단방향 배전계통에서는 전류가 한 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보호기기에서 방향성이 부여되지 않는다. 위 그림에서 i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이후 부분은 j 배전선로로부터 고장전류가 공급된다. 그렇지만, 보호기기가 방향성을 갖지 못한다면 고장구간 이후 부분의 보호기기까지도 동작할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고장점을 정확히 검출하여 그 부분을 계통으로부터 가능한 빠르게 분리하는 것이다. 또한, 보호기기에 방향성을 설정하여 순방향 기준으로 고장구간에 가장 가까운 지점의 보호기기가 우선으로 동작하고, 선로의 역방향으로부터의 고장전류 주입의 경우에는 보호기기 동작을 blocking 하도록 설정하여야 한다. 그렇지만, 고장점을 정확히 알아내고 배전선로의 모든 보호기기에 방향성을 부여하도록 하는 것은 쉽지 않다.

3. IoT 기반의 Loop 배전계통에서 보호 방법

3.1 보호 방법 적용을 위한 배전계통 구성

위 2장에서 close loop 배전계통에서 보호 측면에서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해결방법으로써 고장발생 선로(그림 1의 경우 i 배전선로 혹은 j 배전선로)를 가능한 한 빠르게 알아낸 후 tie switch를 제어하고 보호기기에 동작 명령을 내려주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림 2는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IoT 기반의 loop 배전계통에서 보호 방법을 위한 계통 구성도이다. 그림 2와 같이 Control center가 존재하여야 한다. Control center에서는 양 배전선로(i 배전선로와 j 배전선로)로부터 전류(i1, i2)를 입력으로 받는다. 그 이후 제어센터에서는 일정한 연산을 수행한 후 tie switch에는 open/close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각종 보호기기에는 정상동작(operation) 혹은blocking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 방법 적용 시 양 배전선로부터 전류를 입력으로 빠르게 받아야 하므로 IoT 기술이 동반되어야 한다. 또한, 각종 보호기기 및 tie switch에 명령을 빠르게 전송하여야 하므로 이 경우에도 반드시 IoT 기술이 동반되어야 한다.

그림. 2. IoT 기반의 loop 배전계통에서 보호 방법을 위한 계통 구성도

Fig. 2. System configuration for protection scheme based on IoT in loop distribution system

../../Resources/kiee/KIEE.2020.69.6.752/fig2.png

현재 전 세계적으로 IoT에 대한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시장 파급력이 높은 공장자동화, 스마트그리드, 지능형 교통시스템과 같은 산업들은 IoT 기술 적용 시 유선 인프라 수준의 초고신뢰 저지연 통신 성능을 요구하고 있다 (8). (8)에서 스마트그리드의 경우에는 대략 10ms의 시간지연 내에 10-7 수준의 전송 실패율을 보장하여야 한다고 하고 있다. 따라서, IoT 기술은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의 구현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

3.2 동작 알고리즘

그림 2의 control center의 동작 알고리즘은 그림 3과 같다. 우선 양 배전선로로부터 전류(i1, i2)를 입력으로 받는다. 그 다음으로 i1과 i2의 실효치를 계산하고 두 전류의 차(Inormal=i1rms-i2rms)를 구한다. 그 다음 단계로 i1rms가 i 배전선로의 고장발생 판단을 위한 threshold값(그림 3에서 α) 보다 크거나 혹은 i2rms가 j 배전선로의 고장발생 판단을 위한 threshold값(그림 3에서 β) 보다 큰지 판단한다. 만약 이 조건이 성립한다면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양 배전선로의 전류 차이(i1rms-i2rms)와 고장이전 정상상태의 전류 차(Inormal)를 비교한다.

그림. 3. IoT 기반의 loop 배전계통에서 보호 방법의 흐름도

Fig. 3. Flow chart of protection scheme based on IoT in loop distribution system

../../Resources/kiee/KIEE.2020.69.6.752/fig3.png

만약 i 배전선로에서 발생한 고장이라면 source1로부터 고장점까지의 임피던스가 source2로부터 고장점까지의 임피던스보다 작게 되므로, 고장전류 증가가 i1 값이 i2보다 더욱 크게 된다. 따라서, 고장 시 양 배전선로의 고장전류의 차이(i1rms-i2rms)는 정상상태의 전류 차(Inormal)보다 크게 된다. 따라서, i1rms-i2rms > Inormal 조건이 만족하게 되고 i 배전선로에서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로써 j 배전선로에서 발생한 고장이라면 source2로부터 고장점까지의 임피던스가 source1로부터 고장점까지의 임피던스보다 작게 되므로, 고장전류 증가가 i2 값이 i1보다 더욱 크게 된다. 따라서, 고장 시 양 배전선로의 고장전류의 차이(i1rms-i2rms)는 정상상태의 전류 차(Inormal)보다 작게 된다. 따라서, i1rms-i2rms < Inormal 조건이 만족하게 되고 j 배전선로에서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Control center에서는 위와 같은 조건으로 i 배전선로 혹은 j 배전선로의 고장을 판단하게 된다. 판단 후 지속적인 고장전류 주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tie switch를 open한다. 또한, i 배전선로 고장의 경우에는 i 배전선로의 보호기기에는 정상동작 명령을 j 배전선로의 보호기기에는 blocking 명령을 내리게 된다. 반대로 j 배전선로 고장의 경우에는 j 배전선로의 보호기기에는 정상동작 명령을 i 배전선로의 보호기기에는 blocking 명령을 내리게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IoT 기반의 closed loop 보호 방법의 적용 시 고장선로를 판단하고 tie switch를 통한 고장전류 주입을 방지함으로써 고장이 발생한 배전선로에서는 보호기기 오동작을 방지하고 고장이 아닌 타 정상 배전선로에서는 정상전류 공급이 가능하다. 따라서, 정전구간이 확대되지 않고 전력공급의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시뮬레이션 및 결과 분석

4.1 Loop 배전계통 모델

그림 4는 제안하는 방법을 검증하기 위한 loop 배전계통 모델을 나타낸다. 양 배전선로가 말단에 위치한 tie switch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tie switch는 정상상태에서는 close 되어 있다. 양 배전선로의 선로 길이 및 부하의 크기 또한 그림 4에 표시되어 있다. 부하의 역률은 동일하게 0.9를 적용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그림 4의 배전계통 및 그림 2와 3에 제안한 방법을 EMTP/ATPDraw를 이용하여 모델링하였다. 배전선로는 EMTP/LINE CONSTANTS 보조 루틴을 사용하여 모델링 되었다. 그림 3에 나타난 IoT 기반의 loop 배전계통에서 보호 방법의 흐름도는 EMTP/MODELS를 이용하여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9-10). 정보 전송을 위한 IoT 또한 EMTP/MODELS를 이용하여 입력으로써 전류를 받고 출력으로써 각종 스위치(타이 스위치 및 각종 보호기기)에 정보 전송이 가능하도록 간단하게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IoT 기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간 지연으로 10ms를 설정하였다(8). 고장 발생을 확인하기 위한 threshold 값인 α 및 β는 모두 150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1cycle당 120samples를 받도록 설정하였다.

그림. 4. Loop 배전계통 모델

Fig. 4. Loop distribution system model

../../Resources/kiee/KIEE.2020.69.6.752/fig4.png

4.2 시뮬레이션 조건

제안하는 IoT 기반의 보호 방법을 검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조건은 표 1과 같다. 표 1에서 Case 1 – Case 6은 i 배전선로의 고장이며, Case 7 – Case 12는 j 배전선로의 고장이다. 각 case 에 대하여 고장저항을 1Ω과 100Ω으로 다르게 설정하였다.

공통적인 조건으로는 고장종류는 가장 흔히 발생하는 1선 지락고장으로 정하였으며 고장발생시간은 0.15초이다.

표 1. 시뮬레이션 조건

Table 1. Simulation condition

Case

고장발생 위치

고장저항(Ω)

Case 1

Line i1

1

Case 2

100

Case 3

Line i2

1

Case 4

100

Case 5

Line i3

1

Case 6

100

Case 7

Line j1

1

Case 8

100

Case 9

Line j2

1

Case 10

100

Case 11

Line j3

1

Case 12

100

4.3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시뮬레이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알고리즘에 따라 판정된 고장선로 판정 결과 및 tie switch 동작 그래프를 나타내었다. 또한, tie switch 동작 이후 두 배전선로의 전류를 나타내었다. 고장선로 판정 그래프에서 1은 i 배전선로에서의 고장을 의미하며, 2는 j 배전선로에서의 고장을 의미한다. tie switch 동작 그래프에서 1은 close 상태를 0은 open 상태를 의미한다.

그림 5는 Case 1과 2의 고장선로 판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두 경우 모두 결과가 1을 가리키고 있으므로 i 배전선로 고장임을 정확하게 판별하였다. Case 1의 경우 0.16초, case 2의 경우 0.166초에 고장선로 판정 결과가 나타났다. 차이가 발생한 이유는 case 2의 고장저항이 100Ω으로 고장저항이 Case 1보다 크기 때문에 고장발생을 탐지하는 threshold 값을 초과하는 시간이 느리기 때문이다.

그림. 5. Case 1과 2의 고장선로 판정 결과

Fig. 5. Results of fault line judgement at case 1 and 2

../../Resources/kiee/KIEE.2020.69.6.752/fig5.png

그림 6은 Case 1과 2의 tie switch 동작 그래프를 나타낸다. 그림 5에서 나타난 고장선로 판정과 같은 시간인 Case 1에서는 0.16초, case 2에서는 0.166초에 tie switch의 open 신호가 발생하였다. 이 신호가 전송되면, tie switch가 open 되고 전류 파형의 변화가 발생한다.

그림. 6. Case 1과 2의 tie switch 동작 신호 결과

Fig. 6. Operation signal of tie switch at case 1 and 2

../../Resources/kiee/KIEE.2020.69.6.752/fig6.png

그림 78에서는 고장상인 A상의 전류를 나타내었다. 그림 7은 Case 1에서 i와 j 배전선로의 전류를 나타낸다. i 배전선로의 경우 0.15초에 고장이 발생하고 그 이후 제안된 알고리즘에 따라 i 배전선로의 고장으로 판별 되므로 보호계전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고장구간에 가장 가까운 차단기인 그림 4에서 CBi1이 동작하게 되고 선로에 흐르는 전류는 0이 됨을 알 수 있다. j 배전선로의 경우 제안된 알고리즘에 따라 tie switch의 동작 이후 정상전류가 다시 흐르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림. 7. Case 1에서 i와 j 배전선로의 전류파형

Fig. 7. Current waveforms of i and j distribution line at case 1

../../Resources/kiee/KIEE.2020.69.6.752/fig7.png

그림 8은 Case 2에서 i와 j 배전선로의 전류를 나타낸다. 고장저항이 크기 때문에 고장전류가 그림 7보다는 작은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Case 1과 동일하게 i 배전선로의 경우 제안된 알고리즘에 따라 고장선로 판별 후 CBi1이 동작하여 고장전류를 차단하게 되며, j 배전선로의 경우 tie switch의 open 이후 정상전류가 다시 흐르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78의 결과와는 달리 만약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이 적용되지 않고 기존의 단방향 배전계통의 보호 방식을 적용하였다면 j 배전선로에서는 기존의 보호계전기가 동작하여 전력 공급이 중단되며 따라서 정전 구간 역시 확대될 것이다.

그림. 8. Case 2에서 i와 j 배전선로의 전류파형

Fig. 8. Current waveforms of i and j distribution line at case 2

../../Resources/kiee/KIEE.2020.69.6.752/fig8.png

그림 9는 Case 9와 10의 고장선로 판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두 경우 모두 제안된 알고리즘에 따라 j 배전선로 (그래프에서 값은 2)의 고장으로 판별하였다. Case 9의 경우 0.16초, Case 10의 경우 0.174초에 고장선로 판정을 하였다. 이렇게 차이가 발생한 이유는 Case 9보다 Case 10에서 고장저항이 더 크기 때문에 고장전류가 threshold 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시간이 더 느리기 때문이다.

그림 10은 Case 9와 10의 tie switch 동작 그래프를 나타낸다. Case 9에서는 0.16초, Case 10에서는 0.174초에 tie switch의 open 신호가 발생하였다. 이 신호가 tie switch에 전송되고 tie switch는 open 동작을 수행한다.

그림. 9. Case 9와 10의 고장선로 판정 결과

Fig. 9. Results of fault line judgement at case 9 and 10

../../Resources/kiee/KIEE.2020.69.6.752/fig9.png

그림. 10. Case 9와 10의 tie switch 동작 신호 결과

Fig. 10. Operation signal of tie switch at case 9 and 10

../../Resources/kiee/KIEE.2020.69.6.752/fig10.png

그림 1112에서는 고장상인 A상의 전류를 나타내었다. 그림 11은 Case 9에서 i와 j 배전선로의 전류를 나타낸다. i와 j 배전선로의 경우 0.15초에 고장이 발생한 후 큰 고장전류를 보이고 있다. 그 이후 제안된 알고리즘에 따라 j 배전선로의 고장으로 판별된다. 따라서, j 배전선로에서는 고장위치에 가장 가까운 CBj2 차단기가 open 되어 고장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그 이후 앞단에 부하가 존재하므로 앞단의 부하에는 정상전류가 공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배전선로의 경우 제안된 알고리즘에 따라 tie switch의 동작 이후 정상전류가 다시 흐르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림 12는 Case 10에서 i와 j 배전선로의 전류를 나타낸다. 고장저항의 차이로 인하여 0.15초에 고장 발생 이후 고장전류가 그림 11보다는 작은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고장이 발생한 j 배전선로의 경우 제안된 알고리즘에 따라 고장선로 판별 후 CBj2가 동작하여 고장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i 배전선로의 경우 tie switch의 open 이후 정상전류가 다시 흐르게 된다.

그림 1112의 결과와는 달리 만약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이 적용되지 않고 기존의 단방향 배전계통의 보호 방식을 적용하였다면 i 배전선로에서는 기존의 보호계전기가 동작하여 전력 공급이 중단되며 따라서 정전 구간 역시 확대될 것이다.

그림. 11. Case 9에서 i와 j 배전선로의 전류파형

Fig. 11. Current waveforms of i and j distribution line at case 9

../../Resources/kiee/KIEE.2020.69.6.752/fig11.png

그림. 12. Case 10에서 i와 j 배전선로의 전류파형

Fig. 12. Current waveforms of i and j distribution line at case 10

../../Resources/kiee/KIEE.2020.69.6.752/fig12.png

표 2. 시뮬레이션 결과

Table 2. Simulation results

Case

고장선로 판정결과

tie switch 동작 시간

Case 1

1

0.16초

Case 2

1

0.166초

Case 3

1

0.16초

Case 4

1

0.1664초

Case 5

1

0.16초

Case 6

1

0.1682초

Case 7

2

0.16초

Case 8

2

0.1679초

Case 9

2

0.16초

Case 10

2

0.1695초

Case 11

2

0.16초

Case 12

2

0.1758초

위와 같이 대표적인 case에 대하여 결과 그래프를 나타내었다. 전체 시뮬레이션 case에 대하여 결과를 정리하면 표 2와 같다. 고장선로 판정결과 Case 1에서 6까지는 1의 결과를 나타내어 i 배전선로 고장임을 정확하게 판별하였다. Case 7에서 12까지는 2의 결과를 나타내어 j 배전선로 고장임을 정확하게 판별하였다. 고장저항이 1인 Case 1, 3, 5, 7, 9, 11에서는 고장전류가 급격하게 증가하므로 제안된 알고리즘에 따라 threshold 값 이상으로 증가한 후 고장선로를 판단하고 tie switch를 동작시키는 시간이 모두 동일함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고장저항이 100인 경우를 보면 다른 양상이 나타난다. i 배전선로 고장 사례인 Case 2, 4, 6과 j 배전선로 고장 사례인 Case 8, 10, 12를 살펴보면 고장점이 전원에서 멀어질수록 tie switch 동작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고장거리가 전원에서 멀어질수록 전원에서부터 고장점까지의 임피던스가 증가하여 고장전류가 작아지므로 threshold 값 이상으로 증가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길어지기 때문이다.

5. Conclusion

Loop 배전계통에서는 양방향 전력조류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radial 계통에서 발생하지 않는 보호 측면에서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Closed loop 배전계통에서 IoT 기반 보호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은 우선, tie switch로 연결된 두 배전선로로부터 전류를 입력으로 받고, 정상상태에서 두 값의 차이를 계산한다. 고장이 발생한 후 두 값의 차이를 다시 구하여 이 값과 정상상태에서의 두 값의 차이를 비교하여 고장선로를 판단한다. 그 이후 tie switch를 개방하여 정상 배전선로에서는 지속적으로 정상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보호기기 동작은 Blocking을 하도록 한다. 고장선로의 경우 보호기기가 정상동작을 하도록 명령을 내려주게 된다.

제안하는 방법을 검증하여 위하여 EMTP를 이용하여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고장위치 및 고장저항을 변경하면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알고리즘에 따라 고장선로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tie switch 동작 신호 또한 전송함을 알 수 있었으며, 정상 배전선로는 지속적으로 정상 전력이 공급되고, 고장 배전선로의 보호기기는 정상동작하여 고장전류가 정확하게 차단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로써 closed loop 계통에서 고장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보호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References

1 
H. C. Seo, May 2019, Novel Protection Scheme considering Tie Switch Operation in Open Loop Distribution System using Wavelet Transform, Energies, Vol. 12, pp. 1725DOI
2 
H. C. Seo, Dec 2019, New Protection Scheme Based on Coordination with Tie Switch in an Open-Loop Microgrid, Energies, Vol. 12, pp. 4756DOI
3 
Z. H. Zhang, B. Y. Xu, P. Crossley, L. Li, Jan 2018, Positive- sequence-fault-component-based blocking pilot protection for closed-loop distribution network with underground cable,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ical Power & Energy Systems, Vol. 94, pp. 57-66DOI
4 
X. Liu, M. Shahidehpour, Z. Li, X. Liu, Y. Cao, W. Tian, May 2017, Protection Scheme for Loop-Based Microgrids, IEEE Trans. Smart Grid, Vol. 8, pp. 1340-1349DOI
5 
X. Deng, R. Yuan, Z. Xiao, T. Li, K. L. L. Wang, Feb 2015, Fault location in loop distribution network using SVM techn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ical Power & Energy Systems, Vol. 65, pp. 254-261DOI
6 
W. M. Lin, C. H. Lin, Z. C. Sun, Jan 2004, Adaptive multiple fault detection and alarm processing for loop system with probabilistic network, IEEE Trans. Power Delivery, Vol. 19, pp. 64-69DOI
7 
Shih-Chieh Hsieh, Chao-Shun Chen, Cheng-Ta Tsai, Cheng- Ting Hsu, Chia-Hung Lin, Member, March 2014, Adaptive Relay Setting for Distribution Systems Considering Operation Scenarios of Wind Generators, IEEE Tra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50, No. 2, pp. 1356-1363DOI
8 
W. I. Kim, E. A. Kim, Y. J. Ko, J. S. Song, C. H. Yoon, S. H. Moon, C. S. Kim, S. K. Baek, Oct 2018, Technical Trend and Challenging Issues for Celluar-Based Industrial IoT,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Vol. 33, No. 5, pp. 51-63DOI
9 
H. C. Seo, Sep 2017, New adaptive reclosing technique using second- order dierence of THD in distribution system with BESS used a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ical Power & Energy Systems, Vol. 90, pp. 315-322DOI
10 
H. C. Seo, S. B. Rhee, April 2018, Novel adaptive reclosing scheme using wavelet transform in distribution system with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ical Power & Energy Systems, Vol. 97, pp. 186-200DOI

저자소개

서훈철 (Hun-Chul Seo)
../../Resources/kiee/KIEE.2020.69.6.752/au1.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in Schoo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in 2004.

He received his M.S. and Ph.D. degrees in School of Electronic,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in 2006 and 2013, respectively.

He worked for Korea Electrical Engineering & Science Institute, Seoul, Korea, as a researcher in power system division from 2006 to 2009.

He was Post-doctor at Yeungnam University in 2013.

Since 2014, he has been an associate professor in the School of Electronic&Electrical Engineering, Yonam Institute of Technology,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analysis, transients, and prot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