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Korea.)
  2.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Korea.)



MVDC Distribution System, Protection Coordination, CLR, Slope Characteristics of Fault Current, Main Converter, Section Converter

1. 서 론

최근,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전원의 도입, DC 부하의 증가 그리고 고품질 및 고신뢰성의 전력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로 인하여, MVDC(medium voltage direct current) 배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1-3). 이러한 MVDC 배전계통은 고신뢰성, 고유연성 및 고효율로 계통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현대화하기 위한 기술이지만, 아직 연구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어 해결해야 할 도전과제와 어려움들이 남아있다. 특히, DC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도입되는 전력변환장치는 사고전류에 매우 민감하므로, 이를 보호하고 안정적으로 배전계통을 운용할 수 있는 MVDC 계통의 보호협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4-6).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0kV급 방사형 MVDC 배전계통을 대상으로 사고발생 시 정전구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CLR (current limit resistor)을 이용한 메인 컨버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방안과 사고전류의 경사각 특성을 이용하여, 최대한 빠른 속도로 사고구간을 분리하는 MVDC 배전계통의 보호협조 운용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운용알고리즘을 바탕으로 고압 및 수용가측의 사고특성을 분석한 결과, 적정한 용량의 CLR이 구간 컨버터의 2차측에 설치된 경우, LVDC 선로에서 사고가 발생하여도 메인 컨버터의 과부하내량보다 낮은 사고전류가 흘러, 메인 컨버터가 급격하게 탈락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보호구간별로 검출할 경사각범위를 적정하게 설정하면, 고압측에서 사고 발생 시 메인 컨버터가 탈락되기 전에 사고구간을 분리하여 MVDC 배전선로의 정전구간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보호협조 방안이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2. MVDC 배전계통의 보호협조 특성분석

MVDC 기술을 활용한 배전계통은 운영자의 필요와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방사형(radial), 환상형(loop), 다중터미널(multi-terminal) 그리고 BTB(back- to-back) 등의 형태로 구분된다(7). 여기서, 가장 기존의 계통과 유사한 방사형 구조의 MVDC 배전계통은 그림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일반적인 방사형 AC 배전계통의 구조에서 MVDC용 메인 컨버터(AC-DC)를 두어 간선에 DC 전력을 공급하고, 각 구간별로 선로가 분기되어 수용가 또는 분산전원에 연결된 형태이다(8). 이러한 방사형 구조는 국내의 AC 배전계통의 형태와 유사하며, 메인 컨버터 한 대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현재 운용중인 경전철의 LVDC 급전시스템에 적용하여, 공급효율과 신뢰도를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실현 가능성과 경제성 측면에서 가장 유망한 형태로 알려지고 있다(9,10). 그러나, 계통전원을 한 대의 메인 컨버터로만 공급하기 때문에, 컨버터의 운용이 중단될 경우, 비상전원용 ESS(energy storage system)나 UPS(uninterruptible power system)가 없는 경우에는 정전에 의한 경제적 손실이나 설비의 손상 등의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 있다. 특히, MVDC 배전계통의 운용 중에 고압 선로측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메인 컨버터의 공급용량을 초과하는 사고전류가 흘러, 컨버터가 급격하게 탈락할 수 있다. 이것은 전력반도체소자를 사용하는 메인 컨버터의 특성상 내부설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수 ms 단위의 짧은 시간 이내에 보호회로가 동작하기 때문이다(11,12). 이러한 메인 컨버터의 탈락은 MVDC 배전선로에 고속차단기를 설치함으로써, 컨버터의 차단동작보다 빠르게 사고구간을 분리시켜 해결할 수 있다(13).

그러나, MVDC 배전계통에서 고속차단기를 설치 및 운용하는 경우, 고속차단기는 사고 시 발생하는 전류의 크기가 피크값에 도달하기 전에 급속하게 사고전류를 차단하므로, 기존의 AC 배전계통에서 채용하고 있는 협조시간차와 T-C 곡선특성(반한시)를 이용한 보호협조 방법을 MVDC 배전계통에 동일하게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14). 즉, 보호기기간에 협조시간차를 두어 사고구간을 판별할 시간적인 여유가 없기 때문에, 메인 컨버터의 동작으로 인하여 정전구간이 확대 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기존의 사고전류의 크기에 의한 보호협조 운용방법으로는 방사형 MVDC 배전계통에서의 보호협조가 어렵기 때문에, 사고발생 즉시 신속하게 정확한 사고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는 방안과 MVDC 선로에서의 사고뿐만 아니라 LVDC 선로측 사고 시에도 메인 컨버터와 구간 컨버터 간의 보호협조 동작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보호협조 운용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방사형 MVDC 배전계통에 대하여 사고전류의 시간대비 변화율인 경사각 특성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사고구간을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보호협조 운용방안과 LVDC 선로측 사고 시 메인 컨버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CLR에 의한 보호협조 운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림. 1. 방사형 구조의 MVDC 배전계통 구성(8)

Fig. 1. Configuration of MVDC radial distribution system

../../Resources/kiee/KIEE.2020.69.6.869/fig1.png

3. 20kV급 MVDC 배전계통의 보호협조 운용알고리즘

3.1 사고전류의 경사각 특성을 이용한 보호협조 운용방안

3.1.1 사고전류 경사각의 정의

기존의 AC 배전계통에서는 반한시의 T-C 특성곡선을 이용하여 보호기기간의 협조시간차에 따라, 전위 보호기기가 후비 보호기기보다 먼저 동작하여, 해당 사고구간을 분리하는 보호협조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수십 ~ 수백 ms 단위(Cycle)의 협조시간차를 가지는 AC 배전계통의 보호협조방식과 달리, MVDC 배전계통에서는 메인 컨버터의 보호장치 또는 고속차단기가 수 ms 이내의 빠른 속도로 동작하여, 보호협조 시간차를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고발생 직후 급격히 상승하는 사고전류의 변화율인 경사각 특성을 활용하여, 보호협조 시간차를 확보하고자 한다. 여기서, 사고전류의 경사각은 식(1)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일정 시간동안 사고전류에 대한 변화율을 의미한다.

(1)
$I'=\dfrac{\triangle I}{\triangle t}=\dfrac{I_{1}-I_{0}}{t_{1}-t_{0}}$

여기서, $I'$: 사고전류의 경사각[kA/s], $\triangle I$: 사고전류의 크기 변화량[kA], $\triangle t$: 경사각을 산정하기 위한 미소 시간간격(time step)[s], $I_{1}$: $\triangle t$ 이후의 사고전류 크기, $I_{0}$: 초기 사고전류의 크기, $t_{1}$: $\triangle t$ 이후의 시간대, $t_{0}$: 초기 시간대

한편, MVDC 배전계통에서 사고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전류의 크기와 경사각은 사고지점에 따라 서로 다른 선로정수를 가지므로, 그림 2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그림 2(a)는 사고전류 특성이고, 그림 2(b)는 사고전류의 경사각 특성을 나타낸 것이며, 그림 2의 ①, ②, ③는 각각 MVDC 선로의 직하와 중간, 말단구간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한 것을 나타낸다. 그림 2의 ①과 같이, 선로 직하 사고 시 사고전류는 사고발생 시간대인 $t_{0}$를 기준으로 단위 시간($\triangle t$) 동안 큰 변동량($\triangle I$)을 가지는 경사각($I'$)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그림 2의 ②, ③과 같이, 선로 중간과 말단 사고 시의 사고전류는 선로정수에 의해 직하 사고 시에 비하여 경사각이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고지점에 따라 비례적으로 변하는 경사각의 특성을 이용하여 차단기의 보호협조를 설정하면, 빠른 시간 내에 사고구간의 선택적인 분리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메인 컨버터의 정격용량을 초과하기 전에 사고가 제거되어, 메인 컨버터는 계속해서 정상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림. 2. 사고지점에 따른 사고전류의 크기 및 경사각 특성

Fig. 2. Fault currents and slopes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fault location

../../Resources/kiee/KIEE.2020.69.6.869/fig2.png

3.1.2 사고전류의 경사각 특성을 이용한 보호협조 운용방안

본 논문에서는 전 절에서 제시한 사고전류의 경사각 특성을 고려하여, 사고구간을 신속하게 분리하는 MVDC 배전계통의 보호협조 운용방안을 제안한다. 먼저, MVDC 배전계통의 선종, 선로의 긍장, 공급전압 등을 고려하여, 구간별로 보호영역(zone)을 선정한다. 그리고, 사고의 발생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수용가부하 전류의 최대 경사각($S_{load}$)은 식(2)를 이용하여 산정한다.

(2)
$S_{load}=\dfrac{I_{peak}}{t_{ramp}}$

여기서, $S_{load}$: 수용가부하 전류의 최대 경사각[kA/s], $I_{peak}$: 최대 수용가부하 전류[kA], $t_{ramp}$: 최대 부하전류까지 도달하데 걸리는 시간[s]

또한, 보호영역별로 배전선로의 긍장과 선로정수를 바탕으로 사고전류의 경사각 특성을 고려하여, 그림 3과 같이 사고 시 해당 구간의 보호기기가 차단될 수 있도록 동작범위($S_{Z(N-1)}$~$S_{Z(N)}$)를 상정한다.

그림. 3. 보호협조를 위한 보호기기의 동작영역

Fig. 3. Operation ranges of protection devices for protection coordination

../../Resources/kiee/KIEE.2020.69.6.869/fig3.png

한편, 사고발생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보호기기의 (+)극, (–)극, 중성선 전류의 경사각($I_{p}'$, $I_{m}'$, $I_{n}'$)은 식(3) ~ 식(5)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사고의 종류(P-P, P-N, N-P)를 판단하기 위하여, 경사각의 편차($e_{pp}$, $e_{pn}$, $e_{np}$)는 식(6) ~ 식(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
$I_{p}'=\dfrac{\triangle I_{p}}{\triangle t}$

(4)
$I_{m}'=\dfrac{\triangle I_{m}}{\triangle t}$

(5)
$I_{n}'=\dfrac{\triangle I_{n}}{\triangle t}$

(6)
$e_{pp}=\left | I_{p}'\right | -\left | I_{m}'\right |$

(7)
$e_{pn}=\left | I_{p}'\right | -\left | I_{n}'\right |$

(8)
$e_{np}=\left | I_{n}'\right | -\left | I_{m}'\right |$

여기서, $I_{p}'$: 보호기기의 +극 전류의 경사각[kA/s], $\triangle I_{p}$: 보호기기의 (+)극 전류 변화량[kA], $I_{m}'$: (–)극 전류 경사각[kA/s], $\triangle I_{m}$: (–)극 전류 변화량[kA], $I_{n}'$: 중성선측 전류 경사각[kA/s], $\triangle I_{n}$: 중성선측 전류 변화량[kA], $\triangle t$: 전류의 경사각을 산정하기 위한 미소 시간간격(time step)[s], $e_{pp}$: (+)극과 (–)극 전류의 경사각 편차, $e_{pn}$: (+)극과 중성선측 전류의 경사각 편차, $e_{np}$: (–)극과 중성선측 전류의 경사각 편차

상기의 식(3) ~ 식(8)을 바탕으로, MVDC 배전계통에서의 사고발생 유‧무($\delta$) 및 사고종류($\lambda$)의 판별은 식(9)식(1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즉, 산정된 (+)극 또는 (–)극 전류의 경사각($I_{p}'$, $I_{m}'$)이 수용가부하의 최대 경사각($S_{load}$)을 초과하면,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발생된 사고의 종류는 각 극의 경사각을 비교한 편차($e_{pp}$, $e_{pn}$, $e_{np}$)로부터 사고의 종류를 판별하며, (+)극과 (–)극 전류의 경사각이 동일하면 P-P 사고, (+)극과 중성선의 경사각이 동일하면 P-N 사고, (–)극과 중성선의 경사각이 동일하면 N-P 사고로 판단한다.

(9)
$$\delta=\left\{\begin{array}{ll} 1 & \text { if }\left|I_{p}^{\prime}\right|>S_{\text {load }} \text { or }\left|I_{m}^{\prime}\right|>S_{\text {load }} \\ 0 & \text { otherwise } \end{array}\right.$$

(10)
$$\lambda=\left\{\begin{array}{cl} 1 & \text { if } \delta=1 \text { and } e_{p p} \leq \Delta \\ -1 & \text { if } \delta=1 \text { and }\left(e_{p n} \leq \Delta \text { or } e_{n p} \leq \Delta\right) \\ 0 & \text { otherwise } \end{array}\right.$$

여기서, $\delta$: 사고발생의 유‧무, $\lambda$: 사고의 종류, $\Delta$: 허용편차범위

한편, 상기의 식(9)식(10)을 바탕으로 사고구간을 분리하기 위한 보호기기의 동작신호($Z(n)$)는 식(1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즉, P-P 사고 시 n번째 구간의 보호기기에서 산정된 (+)극 전류의 경사각($I_{p}'$)이 동작범위($S_{Z(N-1)}$~$S_{Z(N)}$)에 들어오거나, 중성선 전류의 경사각($I_{n}'$)이 P-N 또는 N-P 사고의 동작범위($S_{Z(N-1)}/2$~$S_{Z(N)}/2$)에 들어오면, 보호기기의 동작신호($Z(n)$)를 송출하여 해당 구간을 분리한다.

(11)

(11) 여기서, $Z(n)$: $n$번째 구간의 보호기기 동작신호, $n$: 구간번호

따라서, 상기에서 제시한 MVDC 배전계통의 보호협조 운용방안은 그림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 그림에서와 같이, 각 보호구간에서 발생하는 경사각에 따라, 해당구간의 보호기기가

그림. 4. 사고전류의 경사각 특성을 이용한 보호협조 운용방안

Fig. 4. Operation method of protection coordination using slope characteristics of fault currents

../../Resources/kiee/KIEE.2020.69.6.869/fig4.png

동작하여 사고구간을 분리하게 된다. 즉, 그림 4의 3번 보호영역(zone 3)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전류의 경사각은 3번 보호기기(CB3)의 동작범위($S_{2}$~$S_{3}$)에 들어오지만 1번과 2번 보호기기(CB1, CB2)의 동작범위($S_{1}$ 초과, $S_{1}$~$S_{2}$)에는 도달하지 못하므로, 3번 보호기기만 동작하여 선로가 분리되고, 1번과 2번의 보호기기는 동작하지 않아, 사고구간을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협조 방안은 전위와 후비 보호기기간의 협조를 확실하게 하며, 최대한 빠른 속도로 사고구간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건전구간의 수용가들은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3.1.3 경사각 특성을 이용한 보호협조 운용알고리즘

상기의 사고전류의 경사각 특성을 고려하여 최대한 빠른 속도로 사고구간을 분리하는 MVDC 배전계통의 보호협조 운용알고리즘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Step 1] 공급전압, 선종, 긍장, 부하량 등의 MVDC 배전계통의 데이터를 입력하고, 식(2)를 이용하여 수용가부하 전류의 최대 경사각($S_{load}$)을 산정한다.

[Step 2] 보호영역별(zone 1~zone N) 사고전류의 경사각 특성을 고려하여, P-P 사고를 기준으로 보호기기의 동작범위($S_{1}$~$S_{Z(N)}$)를 설정하고, 사고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허용편차($\Delta$)를 상정한다. 또한, 각 구간별로 보호기기의 (+)극, (–)극, 중성선의 전류($I_{p}$, $I_{m}$, $I_{n}$)를 분석한다.

[Step 3] 식(9)에 의하여 사고발생 유‧무를 판별하고, 사고가 발생한 경우($\delta =1$)에는 사고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해, P-P 사고($\lambda =1$), P-N 또는 N-P 사고($\lambda =-1$)인가를 식(10)을 이용하여 판정한다.

[Step 4] P-P 사고인 경우, 각 구간의 보호영역(zone 1 ~ zone N)에 대하여 식(11)에 의하여 (+)극 전류의 경사각($I_{p}'$)이 해당 구간($n$)의 보호기기 동작범위($S_{Z(N-1)}$~$S_{Z(N)}$)에 들어오면, $n$번째 구간의 보호기기를 동작($Z(n)=1$)시켜 사고구간을 분리한다.

[Step 5] P-N 또는 N-P 사고인 경우, 각 구간의 보호영역(zone 1 ~ zone N)에 대하여 식(11)에 의하여 중성선 전류의 경사각($I_{n}'$)이 해당 구간($n$)의 보호기기 동작범위($S_{Z(N-1)}/2$~$S_{Z(N)}/2$)에 들어오면, $n$번째 구간의 보호기기를 동작($Z(n)=1$)시켜 사고구간을 분리한다.

[Step 6] [Step 3]에서 사고가 발생하지 않거나($\delta =0$), 식(10)에 의해 산정된 값이 P-P, P-N, N-P 사고의 어느 형태에도 해당하지 않는 경우($\lambda =0$)에는 상기의 절차를 종료한다.

따라서, 상기의 절차를 플로우차트로 나타내면 그림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림. 5. 사고전류의 경사각 특성을 이용한 보호협조 운용알고리즘

Fig. 5. Operation algorithm of protection coordination using slope characteristics of fault currents

../../Resources/kiee/KIEE.2020.69.6.869/fig5.png

3.2 CLR을 이용한 보호협조 운용방안

3.2.1 CLR에 의한 사고전류 제한 개념

MVDC 배전계통에서 구간 컨버터는 기존 AC 계통의 주상변압기와 유사하게 MVDC의 전력을 변환하여 LVDC 선로에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LVDC 구간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구간 컨버터 뿐만 아니라 메인 컨버터도 탈락되어 정전구간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구간 컨버터의 고장(반도체소자 단락상태) 또는 보호기기의 오‧부동작(사고검출 실패, 내구연한 초과)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사고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우, 메인 컨버터가 탈락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고전류를 메인 컨버터의 과부하내량 이내로 제한하는 CLR에 의한 보호협조 방안이 요구된다. 여기서, CLR은 저항성(R) 및 유도성(L) 임피던스 성분을 가지는 장치로서, 선로의 임피던스를 고의로 상승시켜 사고전류의 크기를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CLR을 배전선로에 설치하여 상시 운용할 경우, CLR의 임피던스 성분에 의한 큰 시스템 손실을 야기할 수 있어, 본 논문에서는 정상상태 시 반도체스위치를 통해 전류를 공급하고, 사고상태 시에는 신속하게 높은 임피던스 경로로 절체하여 사고전류를 제한하는 전력용 반도체형 한류기(solid state fault current limiter, SSFCL)를 적용하는 것으로 고려한다(15).

3.2.2 CLR에 의한 MVDC 보호협조 운용방안

상기에서 제시한 CLR을 이용하여, 메인 컨버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MVDC 배전계통의 보호협조 운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먼저, CLR의 용량을 산정하기 위한 메인 컨버터의 과부하내량($I_{ma\in ,\: oc}$)은 메인 컨버터의 용량을 공급전압으로 나눈 값에 여유율을 곱하여 산정하며, 식(1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구간 컨버터의 LVDC 선로측 사고를 판별하기 위한 컨버터의 과부하내량($I_{con,\: oc}$)은 메인 컨버터의 과부하내량과 동일하게 계산되며, 식(1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2)
$I_{ma\in ,\: oc}=\alpha\bullet\dfrac{P_{ma\in}}{V_{MV}}$

(13)
$I_{con,\: oc}=\beta\bullet\dfrac{P_{con}}{V_{LV}}$

여기서, $I_{ma\in ,\: oc}$: 메인 컨버터의 과부하내량[kA], $\alpha$: 메인 컨버터의 과부하내량 여유율(%), $P_{ma\in}$: 메인 컨버터의 용량[MW], $V_{MV}$: 메인 컨버터의 출력전압[kV], $I_{con,\: oc}$: 구간 컨버터의 과부하내량[kA], $\beta$: 구간 컨버터의 과부하내량 여유율(%), $P_{con}$: 구간 컨버터의 용량[MW], $V_{LV}$: 구간 컨버터의 출력전압[kV]

또한, 메인 컨버터의 과부하내량($I_{ma\in ,\: oc}$)을 고려한 각 구간 컨버터의 CLR 용량($R_{CLR}$)은 전원측에서부터 사고지점까지의 임피던스를 고려하여 메인 컨버터측의 사고전류가 과부하내량 보다 작아지도록 산정하며, 식(1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4)
\begin{align*} R_{CLR}\ge k^{2}\bullet\left(\dfrac{V_{MVDC}}{2\bullet I_{ma\in ,\:oc}}-R_{ma\in}-R_{MV,\:feeder}\right)\\ -(R_{con}+R_{LV,\:feeder}) \end{align*}

여기서, $R_{CLR}$: CLR의 설치 용량[Ω](단, $R_{CLR}\ge 0$), $k$: LVDC 전압과 MVDC 전압의 비, $V_{MVDC}$: MVDC 공급전압[kV], $R_{ma\in}$: 메인 컨버터의 내부 저항[Ω], $R_{MV,\: feeder}$: MVDC 배전선로의 임피던스[Ω], $R_{con}$: 구간 컨버터의 내부 저항[Ω], $R_{LV,\: feeder}$: LVDC 배전선로의 임피던스[Ω]

따라서, 메인 컨버터의 과부하내량 초과 여부($\gamma$)는 상기의 식(12)식(13)을 이용하여 식(1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즉, 이 식은 메인 컨버터의 출력전류($I_{ma\in ,\: p}$, $I_{ma\in ,\: m}$)가 과부하내량($I_{ma\in ,\: oc}$)을 초과하는 경우, 메인 컨버터의 보호기기가 동작하여 탈락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사고가 발생한 LVDC 선로를 분리하기 위한 구간 컨버터의 사고발생 유‧무($\Gamma(n)$)의 판단은 식(1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는데, 사고전류가 해당 구간 컨버터의 (+)극 또는 (–)극 전류($I_{con,\: p}$, $I_{con,\: m}$)가 컨버터의 과부하내량($I_{con,\: oc}$)을 초과하고, 메인 컨버터의 과부하내량 이내인 경우, $n$번째 구간의 LVDC 선로를 분리시킨다.

(15)
$$\gamma=\left\{\begin{array}{l} 1 \text { if }\left(\left|I_{\operatorname{main}, p}\right|<I_{\text {main }, o c}\right) \text { or }\left(\left|I_{\operatorname{main}, m}\right|<I_{\operatorname{main}, o c}\right) \\ 0 \text { otherwise } \end{array}\right.$$

(16)
$\Gamma(n)=\left\{\begin{array}{cc}1 & \text { if } \gamma=1 \text { and }\left(\left|I_{\text {con }, p}(n)\right|>I_{\text {con }, o c}\right. \\ & \text { or }\left.\left|I_{\text {con }, m}(n)\right|>I_{\text {con }, o c}\right)\end{array}\right.$

여기서, $\gamma$: 메인 컨버터의 과부하내량 초과 여부, $\Gamma(n)$: $n$번째 구간 컨버터의 사고발생 유‧무, $n$: 구간번호

따라서, 상기에서 제시한 CLR을 이용한 MVDC 배전계통의 보호협조 운용방안은 그림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 그림에서와 같이, LVDC 저압선로측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MVDC 선로측의 사고전류는 CLR에 의해 제한되어 메인 컨버터의 과부하내량($I_{ma\in ,\: oc}$)을 초과하지 않고, 해당 구간 컨버터의 과부하내량($I_{con,\: oc}$)만을 벗어나, 해당 보호기기가 동작하여 사고구간을 분리시킨다. 즉, MVDC 선로에 연계되어 있는 각 구간 컨버터마다 메인 컨버터의 과부하 내량을 고려하여 적정한 용량의 CLR을 2차측에 설치하면, LVDC 선로측 사고 시 메인 컨버터는 과부하내량 보다 작은 사고전류가 흘러 급격하게 탈락하지 않고, 구간 컨버터는 내량을 초과하는 큰 사고전류에 의해 탈락되므로, 안정적으로 사고구간이 분리된다. 또한, 저압선로의 보호협조 실패 또는 구간 컨버터의 반도체소자 고장(단락)으로 인해 사고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에도, 사고전류는 CLR에 의하여 제한되므로, 메인 컨버터의 탈락을 방지하고, 건전선로의 수용가에게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림. 6. CLR을 이용한 보호협조 운용방안

Fig. 6. Operation method of protection coordination with CLR

../../Resources/kiee/KIEE.2020.69.6.869/fig6.png

3.2.3 CLR에 의한 MVDC 보호협조 운용알고리즘

상기에서 제시한 CLR을 이용한 MVDC 배전계통의 보호협조운용방안에 따라, 상세한 운용알고리즘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Step 1] 공급전압, 선종, 긍장, 부하량, 구간 등의 MVDC 배전계통의 데이터를 입력하고, 식(12)식(13)을 이용하여 메인 컨버터와 구간 컨버터의 과부하내량($I_{ma\in ,\: oc}$, $I_{con,\: oc}$)을 산정한다.

[Step 2] 각 구간별로 설치할 CLR의 용량은 메인 컨버터의 과부하내량을 고려하여 식(14)에 의하여 산정하고, 메인 컨버터의 과부하내량 초과 여부($\gamma$)는 식(15)에 의하여 판정한다.

[Step 3] 메인 컨버터의 (+)극 또는 (-)극의 전류가 과부하내량($I_{ma\in ,\: oc}$)보다 작으면, 해당 선로구간($n$) 컨버터의 (+)극과 (-)극 전류($I_{con,\: p}$($n$), $I_{con,\: n}$($n$))를 산정하고, 이 전류가 컨버터의 과부하내량($I_{con,\: oc}$)을 초과하는 경우, 식(16)에 의하여 해당 구간의 LVDC 선로를 분리한다.

[Step 4] 구간 컨버터의 (+)극 또는 (-)극 전류($I_{con,\: p}$($n$), $I_{con,\: n}$($n$))가 과부하내량($I_{con,\: oc}$) 보다 작은 경우, 해당 선로구간($n$)에서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다음 구간으로 넘어가고, 마지막 선로구간($n_{\max}$)에 도달하면 해당 절차를 종료한다.

상기의 CLR을 이용한 보호협조 운용알고리즘을 플로우차트로 나타내면 그림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림. 7. CLR을 이용한 보호협조 운용알고리즘

Fig. 7. Operation algorithm of protection coordination with CLR

../../Resources/kiee/KIEE.2020.69.6.869/fig7.png

4. PSCAD/EMTDC에 의한 20kV급 방사형 MVDC 배전계통의 모델링

4.1 배전용 변전소 모델링

PSCAD/EMTDC를 이용하여 배전용 변전소의 모델링을 수행하면 그림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배전용 변전소의 주변압기는 3권선 Yg-Yg-D 결선방식이며, 3차 권선은 제3고조파를 제거를 위하여 델타 결선방식을 채용한다. 또한, 주변압기 2차측은 배전계통의 지락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0.6[Ω]의 NGR(neutral ground resistor)이 설치된 것으로 상정한다.

그림. 8. 배전용 변전소의 모델링

Fig. 8. Modeling of main transformer in substation

../../Resources/kiee/KIEE.2020.69.6.869/fig8.png

4.2 메인 컨버터 모델링

MVDC용 메인 컨버터는 그림 9와 같이 정류기용 변압기, SCR 정류기, L-C 필터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정류기용 변압기는 3권선 Yg-Y-$\triangle$ 결선방식을 채용하여, Y측과 $\triangle$측의 SCR 정류기의 입력은 30°의 위상차를 가지게 된다. 이것은 Y측과 $\triangle$측의 SCR 정류기의 입력위상을 다르게 하여, AC측에 발생하는 고조파의 함유율을 저감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그림. 9. 메인 컨버터의 모델링

Fig. 9. Modeling of main converter

../../Resources/kiee/KIEE.2020.69.6.869/fig9.png

또한, SCR 정류기는 3상 AC전력을 DC로 변환하기 위한 6-pulse bridge의 사이리스터 소자들로 구성되고, L-C 필터는 정류된 DC측 출력의 리플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4.3 구간 컨버터 모델링

MVDC 계통으로부터 LVDC 계통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구간 컨버터는 그림 1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 그림에서와 같이, 구간 컨버터는 2대의 DC-DC 컨버터가 서로 직렬로 연결된 형태이며, 이 컨버터는 전기적 절연과 강압을 위한 고주파 변압기와 full-bridge 형태의 IGBT 소자 및 L-C필터로 구성된다.

그림. 10. 구간 컨버터의 모델링

Fig. 10. Modeling of section converter

../../Resources/kiee/KIEE.2020.69.6.869/fig10.png

4.4 전체 MVDC 배전계통 모델링

상기에서 제시한 모델링을 바탕으로, 배전용 변전소, 메인 컨버터, 구간 컨버터 그리고 MVDC 및 LVDC 선로로 구성된 방사형 구조의 전체 MVDC 배전계통을 나타내면 그림 11과 같다. 여기서, 배전용 변전소는 기존의 AC 배전계통과 동일하게 22.9kV의 전원을 공급하고, 메인 컨버터는 AC를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bi-pole, 비접지 방식으로 20kV(±10kV)의 전압을

그림. 11. 전체 MVDC 배전계통의 모델링

Fig. 11. Modeling of entire MVDC distribution system

../../Resources/kiee/KIEE.2020.69.6.869/fig11.png

공급한다. 또한, 구간 컨버터는 MVDC 선로에 연계된 LVDC 수용가에게 bi-pole, 비접지 방식으로 1.5kV(±750V)의 전압을 공급하고, 컨버터 2차측에 설치된 CLR은 LVDC 선로측 사고발생 시 사고전류를 제한하여 메인 컨버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5. 시뮬레이션 결과 및 분석

5.1 시뮬레이션 조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사형 MVDC 배전계통에서의 보호협조 운용방안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조건은 표 1그림 1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MVDC용 메인 컨버터의 용량과 공급전압은 기존 AC 배전계통의 선로용량 및 공급전압과 유사하게, 각각 10[MW], 20[kV]로 상정한다. 또한, LVDC용 구간 컨버터의 용량과 전압은 각각 1[MW], 1,500[V]로 상정한다. 한편, 구간 컨버터의 2차측에 설치되는 CLR의 용량은 컨버터의 연계지점과 과부하용량을 고려하여, 보호영역별로 각각 5~25[mΩ]으로 상정한다. 여기서, 메인 및 구간 컨버터의 과부하내량은 기존의 경전철 급전시스템에서 사용되는 LVDC용 정류기의 내량과 동일하게 300[%]로 상정한다(16,17). 한편, MVDC 배전선로의 총 긍장은 30[km]이고, 선종은 기존 AC 배전선로와 동일한 ACSR 160mm2를 상정한다. 또한, 보호협조를 위한 MVDC 배전선로의 보호영역은 그림 12와 같이 거리에 따라 0~10[km], 10~20[km], 20~30[km]으로 상정하고, 각 보호영역별 보호기기의 동작범위는 표 1과 같이 각각 900[kA/s] 이상, 480~900[kA/s], 300~480[kA/s]로 설정하고, 300[kA/s] 이하는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부하전류의 경사각은 메인 컨버터의 정격전류가 500[A]인 것을 고려하여 50[kA/s]로 상정하고, 차단 동작시간은 2[ms]로 가정한다.

표 1. 시뮬레이션 조건

Table 1. Simultaion conditions

items

contents

main

converter

rated capacity($P_{ma\in}$)

10[MW]

rated voltage($V_{MV}$)

and current

20[kV], 500[A]

margin of capacity($\alpha$)

300% ($I_{ma\in ,\: oc}$: 1,500[A])

section

converter

rated capacity($P_{con}$)

1[MW]

rated voltage($V_{LV}$)

and current

1,500[V], 667[A]

margin of capacity($\beta$)

300% ($I_{con,\: oc}$: 2,000[A])

capacity of CLR

Zone 1: 25[mΩ], Zone 2: 15[mΩ], Zone 3: 5[mΩ]

distribution line

type

ACSR 160mm2

(R:0.182[Ω/km], L:1.04[mH/km])

length

30[km]

protection

devices

operation ranges

CB1($S_{Z1}$): over 900[kA/s],

CB2($S_{Z1}$~$S_{Z2}$): 480~900[kA/s],

CB3($S_{Z2}$~$S_{Z3}$): 300~480[kA/s]

slope of load current($S_{load}$)

50[kA/s]

($I_{peak}$: 500[A], $\triangle t$:10[ms])

operation time

2[ms]

그림. 12. MVDC 배전계통의 구성도

Fig. 12. Configuration of MVDC distribution system

../../Resources/kiee/KIEE.2020.69.6.869/fig12.png

5.2 사고전류의 경사각을 이용한 보호협조 특성

표 1의 시뮬레이션 조건에 따라, MVDC 배전선로의 15[km] 지점에서 P-P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대하여, 사고전류의 크기 및 경사각 특성을 나타내면 그림 13과 같다. 이 그림에서와 같이, 메인 컨버터에서 공급되는 사고전류의 크기는 3.4[kA]이며, 사고발생 직후 사고전류의 경사각은 633[kA/s]가 산정된다. 따라서, MVDC 선로사고 시, 메인 컨버터는 과부하내량(1.5[kA])을 초과하는 사고전류에 의하여 급격하게 탈락하여 전 구간이 정전될 가능성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고전류의 경사각 특성을 고려하면, 메인 컨버터가 동작하기 전에 사고가 난 영역의 보호기기를 동작시켜, 사고구간을 분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13. MVDC 선로사고 시 사고전류 및 경사각 특성(15[km])

Fig. 13. Fault current and slope characteristics at short-circuit of MVDC feeder (15[km])

../../Resources/kiee/KIEE.2020.69.6.869/fig13.png

한편, MVDC 배전선로에서의 사고지점별 P-P 및 P-N 사고에 대한 사고전류의 크기 및 경사각 특성을 나타내면 그림 14와 같다. 여기서, 그림 14(a)는 사고지점별 P-P 및 P-N 사고에

대한 사고전류의 크기를 나타낸 것이고, 그림 14(b)는 사고지점별 사고전류의 경사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14(a)에서와 같이, 사고전류의 크기는 사고지점까지의 임피던스 특성에 따라 1.83~21.5[kA]로 발생하며, 모든 지점에서 메인 컨버터의 과부하내량을 초과하는 사고전류가 흐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림 14(b)에서와 같이, 사고지점별 경사각 크기는 선로긍장에 따라 319~9,557[kA/s]로 산정되며, 각 구간별로 적정하게 보호영역을 설정하면 해당 사고구간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14. 사고지점에 따른 사고전류의 크기 및 경사각 특성

Fig. 14. Fault currents and slopes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fault location

../../Resources/kiee/KIEE.2020.69.6.869/fig14.png

MVDC 선로의 15[km] 지점에서 P-P 사고가 발생한 경우,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보호협조 및 보호기기 운용특성은 각각 그림 15그림 1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그림 15의 ⓛ과 ②는 각각 MVDC 선로에서의 사고전류와 경사각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③은 구간별 정전 특성을 나타낸다. 그림 15와 같이, P-P 사고가 발생하면 사고전류는 급격하게 상승하고, 경사각은 633[kA/s]가 산정된다. 그림 16과 같이, 앞에서 산정된 경사각은 CB2의 동작범위에만 들어가 CB2만 동작하고, CB1과 CB3는 동작하지 않으므로 사고구간인 2번 영역(zone 2)만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2번과 3번 영역은(zone 2, zone 3) 정전되며, 1번 영역(zone 1)은 계속해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경사각 특성을 이용하는 경우, 최대한 빠른 속도로 사고구간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제안한 보호협조 운용방안이 유용함을 알 수 있다.

그림. 15. 사고전류의 경사각을 이용한 보호협조 운용특성

Fig. 15.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protection coordination with slope of fault currents

../../Resources/kiee/KIEE.2020.69.6.869/fig15.png

그림. 16. 사고전류의 경사각을 이용한 보호기기 운용특성

Fig. 16.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protection devices with slope of fault currents

../../Resources/kiee/KIEE.2020.69.6.869/fig16.png

5.3 CLR을 이용한 보호협조 운용특성

표 1의 시뮬레이션 조건에서, CLR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의 보호협조 운용특성을 나타내면 그림 17과 같다. 여기서, 그림 17의 ⓛ는 MVDC 선로에서의 사고전류이며, ②는 LVDC 선로에서의

그림. 17. CLR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의 보호협조 운용특성

Fig. 17.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protection coordination without CLR

../../Resources/kiee/KIEE.2020.69.6.869/fig17.png

사고전류이고, ③은 구간별 정전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 그림에서와 같이, 1번 구간 컨버터의 LVDC 선로에서 P-P 사고가 발생한 경우, MVDC 선로의 사고전류가 메인 컨버터의 과부하내량을 초과하여 컨버터가 급격하게 탈락되고, 모든 영역에서 정전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보호협조에 의하면 LVDC 선로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구간 컨버터뿐만 아니라 메인 컨버터도 탈락되어, 정전구간이 확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안에 따라 CLR을 설치할 경우, 구간 컨버터의 연계지점별 CLR의 최적용량을 산정하면 그림 18과 같다. 이 그림에서와 같이, 메인 컨버터의 과부하내량(300%)을 고려하여, LVDC 선로측 사고 시 사고전류를 1.5[kA]로 제한하는 CLR의 용량은 선로의 임피던스 특성에 의해 25[mΩ]에서 0[mΩ]로 감소되며, 27[km] 이상의 지점에 연계되는 구간 컨버터는 CLR의 설치가 필요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구간 컨버터가 MVDC 배전선로의 직하지점에 가깝게 연계될수록 상대적으로 많은 용량의 CLR을 설치해야 함을 알 수 있다.

그림. 18. 구간 컨버터의 연계지점별 CLR 최적용량

Fig. 18. Optimal capacities of CLR depending on location of section converters

../../Resources/kiee/KIEE.2020.69.6.869/fig18.png

또한, 상기의 연계구간별 최적용량을 바탕으로 CLR을 설치한 경우의 보호협조 운용특성을 나타내면 그림 19와 같다. 이 그림에서와 같이, LVDC측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MVDC 선로의 사고전류가 CLR에 의해 메인 컨버터의 과부하내량 이내로 제한되어, 사고상태가 오래 지속되어도 메인 컨버터는 탈락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사고가 발생한 1번 영역은 정전되며, 건전 구간인 2번과 3번 영역은 약간의 전압강하 특성을 보이지만 안정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CLR을 구간 컨버터의 2차측에 설치하면, LVDC 선로에 사고가 발생하여도 메인 컨버터는 탈락하지 않고, 구간 컨버터만 동작시켜 안정적으로 사고구간을 분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19. CLR을 설치한 경우의 보호협조 운용특성

Fig. 19.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protection coordination with CLR

../../Resources/kiee/KIEE.2020.69.6.869/fig19.png

6. 결 론

본 논문에서는 방사형 MVDC 배전계통에 대하여 사고 시 정전구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고전류의 경사각 특성에 의한 보호협조 운용방안과 CLR을 이용하여 메인 컨버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보호협조 운용방안을 제안하였다. 이에 대한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MVDC 배전계통에서의 사고전류 및 경사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메인 컨버터는 과부하내량을 초과하는 사고전류에 의하여 급격하게 탈락하여 전 구간이 정전될 가능성이 있지만, 사고전류의 경사각 특성을 고려하면, 메인 컨버터가 동작하기 전에 사고구간을 분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 MVDC 배전계통에서의 사고지점별 사고전류 및 경사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사고전류는 사고지점까지의 임피던스 특성에 따라 1.83~21.5[kA]로 발생하여, 모든 지점에서 메인 컨버터의 과부하내량을 초과하는 사고전류가 흐르는 것을 알 수 있고, 경사각의 크기는 선로 긍장에 따라 319~9,557[kA/s]로 다양하게 산정되어, 각 구간별로 적정하게 보호영역을 설정하면 해당 사고구간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사고전류의 경사각 특성을 이용하여 MVDC 배전계통의 보호협조 운용특성을 분석한 결과, 각 보호구간에서 발생하는 경사각에 따라, 해당구간의 보호기기가 동작하여 사고구간을 분리하면, 최대한 빠른 속도로 사고구간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건전구간의 수용가들에게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4) CLR을 이용하여 보호협조 운용특성을 분석한 결과, LVDC측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MVDC 선로의 사고전류가 CLR에 의해 메인 컨버터의 과부하내량 이내로 제한되어, 사고상태가 오래 지속되어도 메인 컨버터는 탈락하지 않고, 건전 구간의 수용가는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향후에는 메인 컨버터 및 구간 컨버터, DC차단기 간의 보호협조에 대한 실 계통의 적용에 기반 한 실질적인 검증이 요구되며, MVDC 배전계통의 운용 목적에 따라 구성 가능한 환상형, 다중터미널, BTB 방식에 대해서도 적합한 보호협조 운용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Power Generation & Electricity Delivery Core Technology Program of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KETEP) granted financial resource from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 Republic of Korea (No. 20182410105070 & 201912103 01940).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KEPCO Research Institute under the project entitled by “Design of analysis model and optimal voltage for MVDC distribution system(R17DA10)”

References

1 
G. Bathurst, G. Hwang, L. Tejwani, 2015, MVDC - The New Technology for Distribution Networks, 11th IE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 and DC Power Transmission, Birmingham, pp. 1-5DOI
2 
R. Zuelli, 2018, The impact of MVDC links on distribution networks, 2018 AEIT International Annual Conference, Bari, pp. 1-5DOI
3 
Ma Zhao, Sheng Wanxing, Li Rui, Wu Ming, De Doncker Rik, Lürkens Peter, Han Minxiao, Pan Jiuping, 2018, Study on the Feasibility of MVDC, 2018 CIGRE Session C6-315Google Search
4 
M. Monadi, C. Koch-Ciobotaru, A. Luna, J. Ignacio Candela, P. Rodriguez, 2016, Multi-terminal medium voltage DC grids fault location and isolation, in IET Generation, Transmission & Distribution, Vol. 10, No. 14, pp. 3517-3528DOI
5 
J. Yang, J. E. Fletcher, J. O'Reilly, 2012, Short-Circuit and Ground Fault Analyses and Location in VSC-Based DC Network Cables, in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59, No. 10, pp. 3827-3837DOI
6 
M. Monadi, C. Koch-Ciobotaru, A. Luna, J. I. Candela, P. Rodriguez, 2015, Implementation of the differential protection for MVDC distribution systems using real-time simulation and hardware-in-the-loop, 2015 IEEE Energy Conversion Congress and Exposition (ECCE), Montreal, pp. 3380-3385DOI
7 
Changhee Han, Hansang Lee, Gilsoo Jang, 2019, MVDC (Medium-Voltage Direct Current) Technology Trends,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8, No. 1, pp. 17-21Google Search
8 
T. Nguyen, H. Yoo, H. Kim, 2016, A comparison study of MVDC and MVAC for deployment of distributed wind generations, in Proc. of 2016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ustainable Energy Technologies (ICSET), Hanoi, pp. 138-141DOI
9 
Min-Kwan Kang, Choi-Sung Sik, Hu-Dong Lee, Gi-Yung Kim, Dae-Seok Rho, 2019, A Study on Operation Method of Protection Device for LVDC Distribution Feeder in Light Rail System,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20, No. 4, pp. 25-34DOI
10 
Yu Zeng, Guibin Zou, Xiuyan Wei, Chenjun Sun, Lingtong Jiang, , A Novel Protection and Location Scheme for Pole-to-Pole Fault in MMC-MVDC Distribution Grid, Energies, Vol. 11, No. 8DOI
11 
S. Z. Jamali, S. B. A. Bukhari, M. O. Khan, M. Mehdi, C. H. Noh, G. H. Gwon, C. H. Kim, 2018, Protection Scheme of a Last Mile Active LVDC Distribution Network with Reclosing Option, Energies, Vol. 11, No. 5, pp. 1093DOI
12 
G. Li, L. Zhang, T. Joseph, J. Liang, G. Yan, 2019, Comparisons of MVAC and MVDC Systems in Dynamic Operation, Fault Protection and Post-Fault Restoration, IECON 2019-45th Annual Conference of the IEEE Industrial Electronics Society, Lisbon, Portugal,, pp. 5657-5662DOI
13 
A. Daibo, 2017, High-speed current interruption performance of hybrid DCCB for HVDC transmission system, 2017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 Power Equipment - Switching Technology (ICEPE-ST), Xi'an,, pp. 329-332DOI
14 
Soon-hwan Kwon, Hu-dong Lee, Yang-hyun Nam, Dae-seok Rho, 2018, Optimal Operation Algorithm of Protection Devices in Distribution Systems With PV System,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9, No. 5, pp. 17-26DOI
15 
X. Sujuan, Q. Yufeng, B. Tianshu, 2017, Resistive DC fault current limiter, The Journal of Engineering, Vol. 2017, No. 13, pp. 1682-1685DOI
16 
Korea Testing Laboratory,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2017, Final report for the development of technical standards and maintenance of test standards for type approval and appliances certification of urban magnetic levitation railways,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pp. 355-356Google Search
17 
Weixing Lin, D. Jovcic, S. Nguefeu, H. Saad, 2016, Coordination of MMC converter protection and DC line protection in DC grids, in Proc. of 2016 IEEE Power and Energy Society General Meeting (PESGM), Boston, pp. 1-5DOI

저자소개

이후동 (Hu-Dong Lee)
../../Resources/kiee/KIEE.2020.69.6.869/au1.png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in 2016 and 2018,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pursuing the Ph.D. degree at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He is interested in distribution system, power quality, coordination of protection devices, renewable energy resources and micro-grid.

태동현 (Dong-Hyun Tae)
../../Resources/kiee/KIEE.2020.69.6.869/au2.png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in 2014 and 2016,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pursuing the Ph.D. degree at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He is interested in distribution system, power quality, coordination of protection devices, renewable energy resources and micro-grid.

노대석 (Dae-Seok Rho)
../../Resources/kiee/KIEE.2020.69.6.869/au3.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and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in 1985 and 1987, respectively.

He earned a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okkaido University, Sapporo, Japan in 1997.

He has been working as a professor at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since 1999.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operation of power distribution systems, dispersed storage and generation systems and power quality.

김주용 (Ju-Yong Kim)
../../Resources/kiee/KIEE.2020.69.6.869/au4.png

He received the M.S. and Ph.D. degrees fro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South Korea, in 1994 and in 2007, respectively.

In 1994, he joined th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Research Institute, Daejeon, South Korea, as a Researcher, where he is currently a Principal Researcher at the Smart Power Distribution Laboratory.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dc distribution system and dc microgr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