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Energy Convergence center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Korea.)



DC Micro-Grid, BESS, Voltage Regulation, Voltage Sag, Voltage Swell, Charge/Discharge, Grid Fault

1. 서 론

최근 분산전원의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계통 전원과 신재생 발전원이 연계된 마이크로그리드의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1)(2). DC 마이크로그리드의 경우 AC 마이크로그리드에 비하여 전력변환 손실감소 및 무효전력에 의한 손실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최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DC 배전에 필수적인 전력변환기는 빠른 제어성능 기반으로 운용되므로 DC 배전계통의 조류제어에 효율적이며 사고 시 사고전류를 제한하고 상위 계통으로 사고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교류 변압기에 필적하는 에너지 효율을 갖는 전력변환 시스템이 개발됨에 따라 DC 배전의 가능성 및 효용성이 증대되고 있다(3).

한국전력공사는 고창에 위치한 실증단지 내 DC 인프라를 구축하여 전압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DC연계 및 조류제어 기술을 검증할 계획으로 추진 중이며 DC배전 실증사이트에는 총 4km의 모의선로와 100kW급 태양광 설비와 DC부하, ESS 등으로 구성하고 있다. Suur-Savon Sahko는 LUT 대학과 함께 20kV의 Medium Voltage급 교류 배전계통을 1500V의 Low Voltage DC 배전계통으로 바꾸는 연구를 통해 장거리 교류 수용가에 대하여 수용가 인입단까지 직류전력을 공급하는 배전시스템을 구축하였다(4).

이러한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은 AC 시스템과 양방향 AC/DC 컨버터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양방향 AC/DC 컨버터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통해 DC 시스템의 내의 전체 주 계통 전압을 제어 할 수 있다(5). 하지만 시스템 내부의 어떤 특정 두 모선의 전압 차이가 크게 벌어지는 경우 국부적으로 전압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한다. 계통의 규모가 커질수록 특정 두 모선의 전압 차이가 크게 벌어질 확률이 높아지며 이에 따른 계통의 전압 안정화를 위한 새로운 전압 조정 제어 방법이 필수적이다. 또한 DC 부하 및 분산전원의 증가와 함께 더 큰 규모의 DC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이에 따라 선로의 길이, 부하전력(+, -)의 용량이 증가할 경우 계통의 전압 조정 제어가 요구된다.

DC 배전 계통의 전압 조정에 대한 연구는 통신제어 방법과 비 통신제어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통신제어 방법은 DC 마이크로그리드 내에 상위 제어기가 존재하며 상위 제어기를 통하여 BESS의 전류 지령치를 전달하는 DC 계통망의 전압 조정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이다(6). 그러나 중앙 제어기의 고장에 의한 전체 시스템의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 측면에서 단점이 있다. 비통신 방법으로는 드룹제어 방법이 대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직류 배전에서 전압 제어를 수행하는 전력변환 장치들 간의 출력용량, 센서 오차, 계산 오차, 선로 임피던스에 의한 전류 불균형 현상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분산 전원들 사이에서 통신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가상 임피던스를 이용한 드룹 제어 방법이 제시되었다(7). 하지만 가상 임피던스와 출력 전류의 크기에 따라 지령치 전압이 크게 변동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부하 조건에 따라 능동적으로 출력 전류를 공유하거나 전압 편차를 줄이기 위한 드룹 계수 가변 기법도 제시되었다(8). 하지만 DC 마이크로그리드 라인에 사용되는 실제 배전 선로는 길이와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선로 저항을 갖는다. 그러나 드룹제어를 통한 전압 조정 제어는 유지보수를 위한 의도적 정전인 경우에 인체감전 등에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DC 마이크로그리드 내의 부하 말단에 배터리를 이용한 ESS를 연계하여 DC 계통 전압의 안정화 및 조정 제어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BESS용 컨버터에서는 DC 마이크로그리드 계통 전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별도의 상위 제어기 없이 자율적으로 충/방전함으로서 DC 계통 전압을 조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제시한 알고리즘은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해 그 타당성을 입증한다.

2. 시스템 구성

2.1 DC 마이크로그리드 구성

DC 마이크로그리드 내의 계통 전압을 생성하는 AC/DC 컨버터에서는 일정한 DC 전압 제어가 가능하나 부하측의 말단에서는 전송 선로의 길이에 따라 전압 강하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전압 강하가 부하 단의 구동 전압 이하까지 도달할 경우 부하는 동작할 수 없으며 수용가에서는 정전에 가까운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전송선로의 길이에 따른 전압강하 이외에도 다른 요인이 존재한다. DC 계통망을 형성하는 전력변환기는 수용할 수 있는 출력용량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순간적인 과부하 조건에서 전력변환기의 보호를 위한 전류 limit 설정에 따라 AC/DC 컨버터 내에서 전압의 상승과 강하가 일어날 수 있다. 전압 상승의 경우에는 DC 마이크로그리드의 use case 중 부하량이 급격하게 줄어들고 신재생 발전량이 많아 AC/DC 컨버터의 출력 용량을 초과할 경우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DC 마이크로그리드 내의 부하 측 말단 BESS를 설치하여 DC 계통 전압을 조정하도록 그림 1과 같이 구성하였다. 배전 전압에 대한 전압 강하는 DC 부하 가변 및 전송 선로 손실을 통해 나타날 수 있으며 전압의 상승은 신재생에너지원의 발전량에 나타날 수 있다.

그림. 1. 제시한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구성도

Fig. 1. Proposed DC Micro-grid System Diagram

../../Resources/kiee/KIEE.2020.69.8.1268/fig1.png

2.2 DC 마이크로그리드 전압 변동 요인 분석

DC 마이크로그리드 내 배전계통은 AC 배전과는 다르게 AC/DC 컨버터의 전력변환기로 구성된다. 전력변환기는 설계 용량에 따라 자기 보호를 위해 전류 리밋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그림 2(a)는 AC/DC 컨버터가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중 순간적인 과부하에 의해 전압 강하가 나타나고 있으며 그림 2(b)는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량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전압이 상승하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 2. 전력변환기의 전류 리밋에 따른 V-I 응답특성

Fig. 2. V-I Response Characteristics with Current Limit of Power Converter

../../Resources/kiee/KIEE.2020.69.8.1268/fig2.png

그림. 3. LVDC 배전망 내 전력전송에 대한 손실 모델링

Fig. 3. Loss Modeling for Power Transmission in LVDC Distribution

../../Resources/kiee/KIEE.2020.69.8.1268/fig3.png

또한 다음 그림 3을 통해 직류배전이 가능한 거리($D_{l}$)를 계산할 수 있다. LVDC 배전 시스템의 정격전압을 $V_{cmd}$라고 하고 배전계통 말단 버스의 전압유지율을 $K$($0\le K\le 1$)라고 하면 말단 전압은 최소한 $(1-K)V_{cmd}$ 이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전송선로의 km 당 저항($\Omega$)을 $R(\Omega /km)$, 선로에 흐르는 전류를 $I_{DC}$로, 그리고 배전계통이 시작하는 지점의 전압이 정격전압과 같다고 정의하면 다음 식 (1)과 같은 회로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1)
$$V_{R}=V_{cmd}-(R\times D_{l})\times I_{DC}\ge(1-K)V_{cmd}$$

여기서, 부하 소비전력을 $P_{load}$라고 정의하면 다음 식 (2)을 유도할 수 있다.

(2)
$$P_{load}=V_{R}\times I_{DC}=(1-K)V_{cmd}\times I_{DC}$$

위의 식 (1)식 (2)을 연립하여 정리하면 전압유지율을 유지하면서 전송 가능한 거리는 다음 식 (3)과 같이 구할 수 있다.

(3)
$$D_{l}\le\left[\dfrac{K(1-K)V_{cmd}^{2}}{P_{load}\times R}\right][km]$$

여기서 $P_{load}$의 단위는 [$V^{2}/\Omega$]이고 $R$은 [$\Omega /km$]로서 전력전송 거리에 대한 단위는 [$km$]이다. 전력전송 거리에 대한 계산 결과에 의하면 전선의 종류, 전송 선로의 두께에 관련된 선로 임피던스 $R$이 작을수록 LVDC 전력전송 가능거리가 늘어난다. 또한, 부하의 크기가 커질수록 최대전송 가능거리가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부하가 100kW에 DC 전압 유지율이 95%인 경우 DC 마이크로그리드 내 배전계통의 최대 전송가능거리가 1km 내외로 제한적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분석에서 기존 ±750V 직류배전 계통이 확장되어 총 긍장 또는 총 부하량이 증가하면 말단 전압이 한전에서 규정한 전압 유지율을 만족하기 힘들어, DC 마이크로 그리드 내의 배전 계통의 한계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고 전송 선로에 대한 손실뿐만 아니라 전력변환기의 자기 용량에 따라 배전 전압이 변화될 수 있다.

3. BESS용 양방향 컨버터 설계

3.1 양방향 컨버터 토폴로지 설계

양방향 컨버터의 수동소자 개수 및 능동소자의 정격사양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Half-bridge 양방향 컨버터 토폴로지를 선정하였으며 배터리의 전류 리플 및 수동소자의 사이즈 등을 감안하여 4 leg 인터리브 방식을 이용한 토폴로지를 구현하였다. 그림 4는 4 leg 인터리브드 양방향 DC/DC 컨버터 토폴로지를 나타내고 있다. 인터리브를 위한 위상 쉬프트는 병렬 연결된 4쌍의 스위치가 90° 위상차를 가지도록 제어하며 부품수가 증가하였으나 입력전류의 분배로 소자의 정격용량을 낮추고, 스위칭 주파수가 4배로 증가하여 전류 리플을 저감할 수 있다(9).

그림. 4. 4 leg 인터리브 양방향 컨버터 토폴로지

Fig. 4. 4 leg Interleaved Bidirectional Converter Topology

../../Resources/kiee/KIEE.2020.69.8.1268/fig4.png

3.2 양방향 컨버터 제어기 설계

BESS용 양방향 DC/DC제어기 설계에 있어 핵심적인 부분으로 전류제어기 출력과 동일 값이 출력되도록 PWM 시비율을 결정해야 하므로 양방향 DC/DC 컨버터 토폴로지에 있어 모드별로 방전모드 시 부스트 컨버터, 충전 모드 시 벅 컨버터로서 나누어 해석하였고 그에 따른 유도 방정식을 통해 PWM 시비율이 반영되도록 하였다.

그림 5는 4 leg 컨버터의 한 상에 대한 등가 회로를 나타낸다. 그림 5(a)는 방전 모드로서 낮은 입력 배터리 전압을 DC 배전망의 고전압과 연계되어 전류를 출력하기 위해 부스트 모드로 동작하며, 그림 5(b)는 충전모드로 높은 DC 배전망의 고전압을 낮은 입력 전압을 갖는 배터리에 충전하기 위해 벅 모드로 동작한다.

그림. 5. 양방향 DC/DC 컨버터의 등가 회로

Fig. 5. Equivalent circuit diagram for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Resources/kiee/KIEE.2020.69.8.1268/fig5.png

배터리의 방전으로 구현되는 부스트 컨버터는 출력전압 $V_{out}$를 승압시켜 입력전압 $V_{bat}$보다 높은 값의 출력전압을 얻는 승압형의 DC/DC 컨버터이다. 부스트 컨버터의 동작 원리는 주스위치 $S_{2}$가 ON이 되면 입력으로부터 전류가 리액터 $L$과 스위치 $S_{2}$을 흐르면서 리액터 $L$에는 에너지가 축적하게 된다. 한편 환류다이오드 $D_{F}$는 역 바이어스가 되어 OFF가 되고 출력 커패시터 $C$는 부하저항 R을 통해 방전하게 된다. 다음 스위치 $S_{2}$가 OFF가 되면 리액터 L에 축적되었던 에너지가 환류다이오드 $D_{F}$를 통하여 출력 측으로 방출하게 되며, 스위칭 주기 $T_{s}$를 한 주기로 하여 이 동작이 반복하게 된다.

부스트 컨버터가 연속 도통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 리액터 $L$양단에 걸리는 평균 전압($V_{L,avg}$)은 다음 식 (4)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4)
$$V_{L,avg}= V_{in}-V_{out}(1-\dfrac{t_{on}}{T_{s}})=V_{in}-V_{out}(1-D)$$

리액터에 인가되는 평균 전압 ($V_{L,avg}$)과 전압 지령($V_{L}^{*}$)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배터리 방전의 PWM 시비율 $D_{discharge}$는 식 (5)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부스트 컨버터의 전압 지령($V_{L}^{*}$)값은 리액터 $L$에 걸리는 리액터 전압($V_{L}$)값은 최소 $V_{in}-V_{out}$에서 최대 $V_{in}$의 범위를 넘지 않는다.

(5)
$$D_{discharge}=\dfrac{(V_{L}^{*}-V_{in}+V_{out})}{V_{out}}$$

충전으로 구현되는 벅 컨버터는 출력전압 $V_{out}$를 하강 시켜 입력전압 $V_{bat}$보다 낮은 출력전압을 얻는 강압형의 DC/DC 컨버터이다. 동작 원리로는 주스위치 $S_{1}$가 ON되면 입력으로부터 전류가 리액터 $L$을 통하여 출력으로 흐름과 동시에 리액터 $L$에는 에너지를 축적하게 된다.

벅 컨버터가 연속 도통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 리액터 $L$양단에 걸리는 평균 전압($V_{L,avg}$)은 다음 식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6)
$$V_{L,\:avg}=(V_{in}-V_{out})D$$

리액터에 인가되는 평균 전압 ($V_{L,avg}$)과 전압 지령($V_{L}^{*}$)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PWM 시비율 $D_{ch\arg e}$는 식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벅 컨버터의 전압 지령($V_{L}^{*}$) 값은 리액터 $L$에 걸리는 리액터 전압($V_{L}$) 값의 최소 $V_{in}-V_{out}$ ~ 최대 $V_{in}$의 범위를 넘지 않는다.

(7)
$$D_{ch\arg e}=\dfrac{(V_{in}-V_{L}^{*})}{V_{out}}$$

위의 수식을 정리하여 PI 제어기를 이용하여 전류 제어기를 구성하고, 전류 제어기의 출력을 평균 전압 ($V_{L,avg}$)가 되도록 PWM 시비율 D의 값으로 제어한다. PI 제어기를 이용하여 전류 제어기를 구성하고, 전류 제어기의 출력을 리액터 $L$에 대한 전압 지령 ($V_{L}^{*}$)이라고 가정할 때 전류 제어기에 대한 블록도는 그림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림. 6.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전류제어 블록도

Fig. 6. Current control block diagram of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Resources/kiee/KIEE.2020.69.8.1268/fig6.png

PI 제어기를 이용하여 구성된 전류 제어기 값은 전압 지령 ($V_{L}^{*}$)이 출력된다. 이때 실제 걸리는 리액터 전압($V_{L}$)은 다음 식(8)과 같다.

(8)
$$L\dfrac{d}{dt}I_{L}(t)+ RI_{L}(t)= V_{L}(t)$$

식 (8)을 라플라스 변환을 통해 구하여 정리하면 식 (9)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9)
$$Ls I_{L}(s)- I_{L}(0)+ RI_{L}(s)= V_{L}(s)$$

식 (9)을 다시 정리하면 다음 식 (1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0)
$$I_{L}(s)=\dfrac{1}{s+\dfrac{R}{L}}I_{L}(0)+\dfrac{1}{L(s+\dfrac{R}{L})}V_{L}(s)=\dfrac{1}{Ls+R}V_{L}(s)$$

충·방전에 대한 PWM 시비율을 결정하면 연속 도통 모드에서 리액터 $L$에 인가되는 평균 전압은 전류 제어기 출력 값인 전압 지령과 동일한 값을 가진다. 리액터의 전류 지령과 실제 전류 응답 사이의 전달함수는 다음 식 (11), 식 (1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1)
$$I_{L}=(k_{pc}+\dfrac{k_{ic}}{s})·(\dfrac{1}{Ls+R})· I_{L}^{*}-(k_{pc}+\dfrac{k_{ic}}{s})·(\dfrac{1}{Ls+R})I_{L}^{*}· I_{L}$$

(12)
$$\dfrac{I_{L}}{I_{L}^{*}}=\dfrac{k_{pc}s+k_{ic}}{Ls^{2}+(k_{pc}+R)s+k_{ic}}$$

리액터의 인덕턴스 및 직렬 저항의 값을 통해 전류 제어기의 이득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면 다음 식 (13)과 같다.

(13)
$$k_{pc}=L\times w_{cc,} \quad k_{ic}=R\times w_{cc}$$

$w_{cc}$는 전류 제어기의 대역폭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PWM 스위칭 주파수의 1/10까지의 값을 가진다. 인덕턴스 및 직렬 저항의 측정값이 실제 값 $L$, $R$과 동일하다면 식 (14)은 다음과 같이 1차 저역 통과 필터의 전달함수로 간략화 할 수 있다.

(14)
$$\dfrac{I_{L}}{I_{L}^{*}}=\dfrac{w_{cc}}{s+w_{cc}}$$

결과적으로 PWM 시비율을 식 (5)식 (7)을 통해 연속 도통 모드에서 구동되는 충·방전을 원하는 대역폭의 응답 특성을 가지는 전류 제어기를 단순하게 설계할 수 있다.

4. BESS를 이용한 DC 계통 전압 조정 알고리즘

DC 마이크로그리드 내의 BESS는 운영 방법에 따라 전력피크 저감 등을 위한 계통 연계모드와 비상 시 전압원을 형성할 수 있는 독립모드로 운전할 수 있다. BESS의 동작 모드 지령은 비상시 DC 계통 전압 생성을 위한 전압 지령 모드와 DC 계통 연계를 위한 VR(Voltage Regulation) 모드로 구성된다. 비상 시 동작되는 전압 지령 모드는 DC 마이크로그리드 내의 다른 컨버터 동작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계통 전압을 계측하여 일정 전압 이상 시 동작이 되지 않도록 되어야 한다. 계통 연계 모드는 AC 계통 출력을 DC 계통으로 변환시켜주는 양방향 A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실시간으로 관측하여 VR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BESS의 지령 전류의 방전 혹은 충전을 통해 마이크로그리드 내의 DC 계통의 전압을 유지시켜 주도록 한다.

다음 그림 7은 DC 계통 전압의 초기 세팅을 위한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양방향 DC/DC 컨버터는 배터리의 BMS와 통신을 통해 SOC와 DC 계통 전압의 ADC를 계측한다. 배터리의

그림. 7. VR 제어를 위한 초기 세팅 시퀀스

Fig. 7. Initial setting sequence for VR control

../../Resources/kiee/KIEE.2020.69.8.1268/fig7.png

SOC가 VR 제어를 위한 범위에서 벗어날 경우 SOC 충족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SOC 범위를 맞춰준다. 여기서 SOC 충족알고리즘은 일반적인 수요반응 형태로 DC 계통 망을 통해 충/방전함으로서 수행된다.

다음 그림 8은 DC 마이크로그리드 내의 BESS가 DC 계통에 연계되어 DC 계통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한 VR 제어 알고리즘을 나타낸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DC 계통 전압의 전압 변동에 대한 정상 범위는 ±5% 이내로 설정하고 알고리즘을 수행하게 되며 계통사고는 AC/DC 컨버터의 정지 조건의 저전압범위와 정상전압의 110% 이상을 과전압 사고 범위로 설정하였다.

그림. 8. BESS를 이용한 VR 제어를 위한 전체 시퀀스

Fig. 8. Full sequence for VR control using BESS

../../Resources/kiee/KIEE.2020.69.8.1268/fig8.png

다음 그림 9는 VR제어의 세부적인 시퀀스를 나타내고 있으며 DC 계통 전압의 저전압 및 과전압 검출시의 동작 알고리즘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9. 저전압 및 과전압 검출 시 VR 제어 시퀀스

Fig. 9. VR control sequence for UV and OV detection

../../Resources/kiee/KIEE.2020.69.8.1268/fig9_1.png

../../Resources/kiee/KIEE.2020.69.8.1268/fig9_2.png

VR 제어는 750V의 DC 계통의 전압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5% 이상 레벨의 전압 변동 시 DC 계통의 사고 혹은 부하변동, 정지 상태를 판별을 위해 10msec 시간 동안 전압 상태를 검출한다.

현재, LVDC 계통에 대한 전압 현상이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계통 전압의 정상 동작 범위(750V±5%)를 벗어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사고로 판단한다. 계통 상태 판별 시간의 경우 LVDC 계통 전압을 유지하는 컨버터의 동특성을 100Hz로 가정하여 이의 과도 응답을 사고로 판별하지 않기 위해 10msec 시간 동안 전압 상태를 검출한다. 또한 계통 유지를 위한 AC/DC 컨버터의 DC link 캐패시터 용량에 따라 동특성이 달라 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판별 시간은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도록 세팅이 가능하다.

그 외에 VR 제어 범위는 750V±5% 이상의 범위에서 이루어지며, BESS의 지령 전류를 통해 약 780V 이상 시 배터리 충전, 720V 이하 시 배터리 방전으로 DC 계통의 750V 전원이 유지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DC 750V의 전원 회복 판별을 위해 DC 계통전압이 강하되었을 경우 VR 제어 설정된 시간(10sec) 후 지속적으로 방전 지령 전류를 서서히 감소시켜 방전 지령 전류가 0이 되었을 때 DC 계통 전압이 750V를 유지하면 VR 모드는 종료가 된다. 또한 DC 계통전압이 상승되었을 경우 VR 제어 설정된 시간(10sec) 후 지속적으로 충전 지령 전류를 서서히 감소시켜 충전 지령 전류가 0이 되었을 때 DC 계통 전압이 750V를 유지하면 VR 모드는 종료가 된다. 방전 또는 충전 지령전류를 유지하는 10초의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할 수 있으며 계통 내의 과부하 및 과발전 profile 해석을 통해 변경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하의 기동전류 유지 및 발전량 변동 시간을 10초 이내로 설정하여 시험하였다. 만약 VR 제어 중 750V 범위에서 벗어날 시에는 추가적으로 충전 및 방전전류 공급을 통해 750V가 될 수 있도록 실시간 제어가 수행되어야 한다.

5. 시뮬레이션 및 실험결과

5.1 시뮬레이션 결과

그림 10은 DC 계통 전원 750V가 선로손실 및 피크 부하 발생 시 전압 강하가 발생된 상태의 VR 제어를 나타낸다. DC 계통 전압 750V에서 30V 이상의 전압 강하가 발생 시 계통의 사고 혹은 부하변동, 정지 상태를 판별을 위해 10msec 동안 4 leg 컨버터에서 전압 상태를 검출하고, 계통에 이상이 없을 시 750V 유지를 위해 컨버터에서는 DC 계통에 전력을 공급하는 VR 제어가 수행된다.

1단계에서는 DC 계통의 사고 혹은 부하변동, 정지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로 DC 계통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고, 4 leg 컨버터에서는 방전을 준비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2단계에서는 컨버터에서 전류를 계통으로 방전하며, DC 계통의 전압이 750V로 안정적으로 유지됨에 따라 VR 제어를 유지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3단계는 DC 계통이 정상 상태 확인을 위해 VR 방전 전류를 감소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4단계는 DC 계통 전압 강하를 확인하여 다시 VR 제어로 지속 운용 단계를 나타낸다. 피크 부하 발생 시 VR 제어를 통해 안정적인 DC 계통 운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0. DC 계통 전압 강하 시 VR 제어 응답

Fig. 10. VR control response with DC grid voltage sag

../../Resources/kiee/KIEE.2020.69.8.1268/fig10.png

그림 11은 DC 계통 전원이 기저부하 상태이고, 신재생원의 발전량이 많을 경우 전압 상승 상태의 VR 제어를 나타낸다. DC 계통 전압 750V에서 30V 이상의 전압 상승 시 계통의 사고 혹은 부하변동, 정지 상태를 판별을 위해 10msec 동안 4 leg 컨버터에서 전압 상태를 검출하고, 계통에 이상이 없을 시 750V 유지를 위해 컨버터에서는 DC 계통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VR 제어가 수행된다. 세부적인 시퀀스는 전압 강하시의 VR 제어와 동일하게 수행되며 신재생원의 발전량이 DC 계통 최대 수용 전력 보다 많을 경우에도 VR 제어를 통해 안정적인 DC 계통 운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1. DC 계통 전압 상승 시 VR 제어 응답

Fig. 11. VR control response with DC grid voltage swell

../../Resources/kiee/KIEE.2020.69.8.1268/fig11.png

그림 12는 DC 계통 전압 정상 상태 확인 후 VR 제어 종료 시뮬레이션을 나타낸다.

그림. 12. DC 계통 전압 VR 제어 종료 시 응답

Fig. 12. Ending Response of DC grid voltage VR control

../../Resources/kiee/KIEE.2020.69.8.1268/fig12_1.png

../../Resources/kiee/KIEE.2020.69.8.1268/fig12_2.png

1단계와 2단계는 초기 VR 제어를 나타내며, 3단계에서는 DC 계통 전압 정상 상태 확인을 위한 VR 충전 전류를 점차 감소시켜, 4단계에서는 DC 계통 전압이 정상 상태를 확인하여 VR 제어가 종료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2(a)는 피크 부하 발생 종료 시 정상 상태의 VR 제어를 나타내고, 그림 12(b)는 DC 계통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감소 시 정상 상태의 VR 제어 종료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5.2 실험 구성 및 결과

그림 13은 본 논문에서 제시한 DC 계통 전압의 VR 제어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세트 구성을 나타낸다. DC 계통 전압은 DC 계통 모의 장치를 이용하였으며 신재생에너지는 PV 시뮬레이터, 배터리와 양방향 컨버터 및 DC 부하로 구성하였다.

그림. 13. 제시한 알고리즘 검증을 위한 실험세트 구성

Fig. 13. Composition of experiment set for verification of proposed algorithm

../../Resources/kiee/KIEE.2020.69.8.1268/fig13.png

다음 표 1은 VR 제어 알고리즘 검증을 위한 실험세트의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있다.

표 1. 실험세트 파라미터

Table 1. Experiment set parameters

Item(Capacity)

Value

Battery

50[kWh]

PV Simulator

60[kW]

Bidirectional DC/DC

25[kW]

DC Grid Simulator

50[kW]

DC Load

60[kW]

그림 14는 DC 계통 모의 장치에 의해 형성된 DC 계통 전압인 750Vdc가 피크 부하가 발생하여 전압 강하가 발생된 상태에서 VR 제어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계통의 사고 혹은 부하변동, 정지 상태를 판별을 위해 10msec 동안 계통 상태를 검출하고, 계통에 이상이 없을 경우 VR 모드로 배터리 전류를 계통으로 방전하여 계통 전원 750V를 유지시켜준다. 10초 동안 방전 상태를 유지시켜주며, 피크 부하가 제거되는 시점을 확인하기 위해 전원 회복 판별 모드로 구동되며, 제거되지 않았을 경우 다시 VR 모드로 구동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4. DC 계통 전압 강하 시 VR 제어 모드 시험 결과

Fig. 14. VR control test results for DC system voltage sag

../../Resources/kiee/KIEE.2020.69.8.1268/fig14.png

그림 15는 VR 제어 모드 중 DC 계통에 추가 피크 부하 발생할 경우 방전 전류를 상승 시켜 계통 전원을 안정시켜주는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VR 제어 중 추가 부하 발생으로 강하가 발생되고, 계통 전원 안정화를 위해 4 leg 컨버터는 방전 전류를 증가시켜 안정적으로 DC 계통 전압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5. 추가 피크 부하 시 VR 제어 모드 시험 결과

Fig. 15. VR control test results for additional peak load

../../Resources/kiee/KIEE.2020.69.8.1268/fig15.png

그림 16은 DC 계통 전원이 기저부하 상태이고 신재생 에너지원의 발전량이 많을 경우 DC 계통 전원이 상승 시 VR 제어의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전압 강하와 마찬가지로 계통의 사고 혹은 부하변동, 정지 상태를 판별을 위해 10msec 동안 계통 상태를 검출하고, 계통에 이상이 없을 경우 VR 모드로 계통에서 배터리로 전류를 충전하여 계통 전원 750V를 유지시켜준다. 10초 동안 충전 상태를 유지시켜주며, DC 계통의 기저부하가 제거되거나 발전량이 감소되는 시점을 확인하기 위해 전원 회복 판별 모드로 구동되며, 제거되지 않았을 경우 다시 VR 모드로 구동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6. DC 계통 전압 상승 시 VR 제어 모드 시험 결과

Fig. 16. VR control test results for DC system voltage swell

../../Resources/kiee/KIEE.2020.69.8.1268/fig16.png

그림 17은 DC 계통 전압이 BESS의 VR 제어를 통해 정상 운영 범위 상태 확인 후 VR 제어 종료 시험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그림 17(a)은 피크 부하에 따른 전압 강하 시와 그림 17(b)은 신재생에너지의 과 발전에 따른 전압 상승 시 VR 제어 종료를 나타낸다. DC 계통 전원의 정상 상태를 확인 후 VR 충·방전 전류를 점차 감소 시켜 VR 제어가 종료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7. VR 제어 종료 시험 결과

Fig. 17. VR control termination test result

../../Resources/kiee/KIEE.2020.69.8.1268/fig17.png

다음 그림 18은 DC 계통 사고 시 전압 상태 판별 알고리즘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VR 제어 중 DC 계통 사고 시 VR 제어는 전압 상태를 판별하며, 10msec 동안 계통의 사고를 인식하여 VR 모드를 정상적으로 중단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8(a)은 피크 부하에 따른 전압 강하 시와 그림 18(b)은 신재생에너지의 과 발전에 따른 전압 상승 시 DC 계통 사고의 결과 파형을 나타낸다. VR 제어 수행 중에도 DC 계통 전압을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사고 시 양호하게 제어가 중단됨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림. 18. DC 계통 VR 제어 중 사고 판별 응답결과

Fig. 18. Fault discrimination response result during DC grid VR control

../../Resources/kiee/KIEE.2020.69.8.1268/fig18.png

6. 결 론

본 논문에서는 DC 마이크로그리드 내의 BESS를 이용한 DC 계통 전압의 변동에 대해 전압 유지를 위한 양방향 DC-DC 컨버터 설계 및 제어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DC 마이크로그리드 내의 DC 계통 전압 변화 시 BESS 충/방전을 통해 전압 유지를 위한 전압 조정(Voltage Regulation) 알고리즘은 배터리와 양방향 DC/DC 컨버터 및 750V DC 계통 모의 장치를 통해 실험하였다. 양방향 DC/DC 컨버터는 시스템의 고전력 밀도화와 배터리의 리플 전류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4 leg 양방향 DC/DC 컨버터 토폴로지를 선정하여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제시한 DC 마이크로그리드 내의 계통 전압 조정 제어는 전압 강하 및 상승이 가장 심하게 나타나는 부하 말단에 BESS를 설치하여 수행하였다. 설치된 양방향 DC/DC 컨버터가 계통 전압을 실시간 계측함으로서 외부 통신없이 자율적으로 충/방전 함으로서 계통 전압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계통의 사고 판별을 통해 제어에 대한 종료를 시킬 수 있다.

실험은 과부하로 인한 DC 750V의 전압강하(5%이상)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높을 경우에 대한 DC 750V의 전압 상승(5%이상)에 대한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DC 계통 사고에 대한 판별을 통해 VR 제어를 수행하였으며 VR 제어 중 추가적인 부하 증가 또는 발전량 증가에 대해서도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조건에서도 VR 제어를 통해 DC 750V 전압유지에 대한 양호한 응답특성을 확인하였다.

이로서 본 논문에서 제시한 BESS를 이용한 DC 마이크로그리드 내의 계통 전압 조정 제어 알고리즘에 대한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financially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MOTIE) and Korea Institute for Advancement of Technology(KIAT) through the National Innovation Cluster R&D program(P0006676)

References

1 
L. Xiangjun, H. Dong, L. Xiaokng, 2013, Battery Energy Storage Station(BESS) -Based Smoothing Control of Photovoltaic (PV) and Wind Power Generation Fluctuations,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Sustainable Energy, Vol. 4, No. 2, pp. 464-473DOI
2 
E. I. Vrettos, S.A. Papathanassiou, 2011, Operating Policy and Optimal Sizing of a High Penetration RES-BESS System for small Isolated Grids, IEEE Transactions on Energy Conversion, Vol. 26, No. 3, pp. 744-756DOI
3 
E. Rodriquez, M. Savaghebi, J. C. Vasquez, J. M. Guerrero, 2015, An overview of low voltage DC distribution systems for residential applications, in 2015 IEEE 5th Intl. Conf. Consumer Elec. Berlin(ICCE-Berlin), pp. 318-322DOI
4 
V. Naakka, 2012, Reliability and Economy Analysis of the LVDC Distribution System, Master of Science Thesis, February 2012, Tampere University Of TechnologyGoogle Search
5 
T.-F. Wu, C.-H. Chang, L.-C. Lin, Y.-C. Chang, 5-9 Feb 2012, DC-bus voltage control for three-phase bi-directional inverter in DC microgrid applications, Applied Power Electronics Conference and Exposition (APEC), 2012 Twenty-Seventh Annual IEEE, pp. 377-383DOI
6 
J. M. Guerrero, J. C. Vasquez, J. Mates, L. G. Vicuna, M. Castilla, Jan 2011, Hierarchical control of droop-controlled AC and DC microgrid-A general approach toward standardization, IEEE Trans. 1nd. Electron., Vol. 58, No. 1, pp. 158-172DOI
7 
Ito Youichi, Zhongqing Yang, Akagi Hirofumi, 2004, DC Micro-grid Based Distribution Power Generation System, in Proc. IEEE IPEMC, Vol. 3, pp. 1740-1745Google Search
8 
A. Khorsandi, M. Ashourloo, H. Mokhtari, 5-6 Feb 2014, An Adaptive Droop Control Method for Low Voltage DC Microgrids, Power Electronics, Drive System and Technologies Conference (PEDSTC), pp. 84-89DOI
9 
Dae-Seak Cha, Jung-Sik Choi, Seung-Yeol Oh, Hyun-Jin Ahn, Young-Cheol Lim, 2018, Hot-Swappable Modular Converter System Control for Heterogeneous Batteries and ESS, Energies, Vol. 11, No. 2DOI

저자소개

차대석 (Dae-Seok Cha)
../../Resources/kiee/KIEE.2020.69.8.1268/au1.png

He received the M.S. degrees from Jun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electrical engineering departure in February, 2011, And Ph.D degrees from same graduate school in August, 2018.

He has been working for Korea Electrical Technology Institute since 2011 and is currently Senior Researcher.

오승열 (Seung-Yeol Oh)
../../Resources/kiee/KIEE.2020.69.8.1268/au2.png

He received the M.S. degrees from Jun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electrical engineering departure in February, 2004, And Ph.D degrees from same graduate school in February, 2013.

He worked as a PM at Neo And B from 2005 to 2006.

He has been working for Korea Electrical Technology Institute since 2007 and is currently Senior Researcher.

고병선 (Byoung-Sun Ko)
../../Resources/kiee/KIEE.2020.69.8.1268/au3.png

He received the B.S. and the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anyang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2013 and 2019 respectively.

Since 2019, he has been with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where he is currently Senior Researcher at Energy Convergence Research Center.

조선재 (Sun-Jae Jo)
../../Resources/kiee/KIEE.2020.69.8.1268/au4.png

She is in the M.S. degree cours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he has been working for Korea Electrical Technology Institute since 2017 and is currently Assistant Researcher.

최정식 (Jung-Sik Choi)
../../Resources/kiee/KIEE.2020.69.8.1268/au5.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control engineering from Sunchon University, Jeollanam-do, Korea, in 2005, and the M.S. degrees from same graduate school electrical engineering departure in February, 2007, and Ph.D degrees from same graduate school in February, 2011.

He has been working for Korea Electrical Technology Institute since 2011 and is currently senior Researc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