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Incheon National University, Korea.)
  2. (SolarLight Ltd., Incheon National University, 119 Academy Rd. Yeonsu, Incheon 22012, Korea.)



Transparent heater, AgNWs, ZnO, Functional window applications

1. 서 론

투명히터 (Transparent heater)는 사람의 눈에 투명하게 보이면서도 전기적인 도전성이 높아서 Joule 효과에 의해서 열을 발생하는 장치로 스마트 윈도우 (Smart window)(1,2), 디스플레이(3), Deicer(4)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투명히터에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한 투명 전도성 전극(Trans- parent Conductive Electrode, TCE)이 연구되고 있다. TCE는 Smart Window, 박막 태양전지, 발광 다이오드, 투명히터, 거주지의 창호, 자동차의 Wind Shield 등의 분야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5-8). 그중 투명히터는 다양한 전기전자 소자와 기기에 적용할 수 있어 주목받고 있다. 투명히터에 사용되는 TCE로는 은 나노와이어(silver nanowire, AgNW)(9,10), 그래핀(Graphene)(11),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tube)(12)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중 금속 나노와이어는 가시광선 영역에 대한 투과율과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고, 유연한 물체에 적용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은 나노와이어는 고온에 취약하여 고온상태에 장시간 노출되면 나노와이어 구조가 변형되거나 녹는 등의 이유로 성능이 저하되며, 또한 대기 중에서 쉽게 산화된다는 단점이 있다(13,14).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Func- tional) 보호층을 사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그중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를 ALD( Atomic Layer Deposition ),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식등 다양한 증착방법을 이용하며 용이하게 사용되고 있다(15,16,21,22).

본 실험에서는 TCO을 이용하여, 은 나노와이어를 열손상에 보호하고 대기 노출에 대한 산화를 방지하는 기능성 투명히터를 연구하였다. 투명히터의 구조는 FTO (Fluorine-doped-tin oxide)가 코팅된 유리 기판 (Glass substrate)위에 AgNWs을 전도성층을 형성한 뒤, 보호용 Zinc oxide (ZnO)을 ALD 보다 증착 속도가 빠르며, 대면적 제작도 가능한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코팅하였다. FTO는 투명 기판전극 (Substrate electrode)으로 이용하였다. 이는 기존에 널리 쓰이는 ITO (Indium-tin-oxide) 투명 전극이 인듐 (Indium)의 가격상승에 따른 대체 방안이다.

FTO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좋은 투과율을 보이며, (7Ω/square) 고전도성 (high electric conductivity) 과 고온에서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투명히터의 기판전극으로써 기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ZnO는 높은 밴드갭 에너지(3.3 eV) 의 산화물 반도체 (Metal oxide semiconductor)로써, 가시광선 영역에서 우수한 투과율(17,18)을 가지고 있어서 본 연구에서 기능성 보호 코팅층으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투명히터는 ZnO/AgNW/ FTO 구조를 가지며, 고온 발열 특성, 안정성, 투명히터의 응용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그림. 1. (a) 투명히터 소자 제작 과정, (b) 투명히터 구조도 (보호층인 ZnO가 AgNW 에 코팅된 투명히터 소자), (c) 투명히터 소자 사진 (왼쪽: AgNWs/FTO-glass, 오른쪽: ZnO/AgNWs/FTO-glass)

Fig. 1. (a) Fabrication steps of the transparent heater. (b) Schematics of transparent heater (c) Photoimage of the transparent heaters (Left: AgNWs/FTO-glass, Righ: ZnO/AgNWs/FTO-glass)

../../Resources/kiee/KIEE.2021.70.4.641/fig1.png

2. 실험방법

본 연구에서는 유리기판 위에 FTO가 코팅된 FTO-coated glass (735159 Aldrich, sheet resistance 7Ω/□)를 기판으로 사용하였다. 투명히터를 제작하기 위해서 기판을 Ultrasonic cleaner를 사용하여 아세톤(Acetone), 메탄올(Methanol), DI water(Deionized water) 순서대로 세척 후 Nitrogen gas blowing을 이용하여 건조 후 제품 제작을 시작하였다. 샘플 공정과정은 그림 1(a)과 같이 도식화하여 표현하였다. 세척된 FTO 기판 위 스핀 코팅을 이용하여 AgNWs (Flexiowire 2020, 두께 21㎚ 길이 22㎛)를 micropipette을 사용하여 2000 RPM의 속도로 코팅하였다. 그 후 마그네트론 스퍼터링(Magnetron sputtering, SNTEK, Korea)를 이용하고 ZnO (ZnO target, iTASCO, purity 99.99%)를 10분 동안 증착하였다. 스퍼터 공정의 RF power는 300 W, 공정압력 5 mTorr 조건에 적용하여 진행하였으며, 박질의 균등 증착을 위해서, 증착 기판을 5 RPM으로 회전하였다. 전극 생성을 위하여 Silver paste를 ZnO 층위에 형성하였다. ZnO 보호층의 여부에 따른 투명히터의 온도변화와 AgNWs 구조체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AgNWs/FTO 샘플을 제작하여 ZnO/AgNWs/FTO 투명히터와 비교 분석하였다.

투명히터의 발열특성 측정을 위하여 아두이노(Arduino)와 K-type 열 전도대 (Thermo couple) 모듈, Realtime 모듈을 사용하여 시간대별로 온도측정을 하였고, 전압에 따른 발열 온도 특성을 관찰하였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전압의 크기를 20분 동안 투명히터 인가하였으며, 이때 발생하는 온도를 기록하였다. 발열 동작 전후를 포함한 투명히터의 투과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분광 광도계(UV-Vis spectro photometer) (UV-2600)를 사용하여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투명히터 동작에 따른 AgNWs의 변형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계 방출형 주사 현미경(FE-SEM, Field emission-scanning electron microscopy)를 사용하여 샘플의 표면을 관찰하였다.

3. 본 론

3.1 투명히터의 발열특성

본 실험에서는 AgNW/FTO와 ZnO/AgNW/FTO 두 가지의 구조를 가진 투명히터에 대한 발열온도를 측정하였다. 투명히터의 전압크기에 따른 발열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다양한 크기의 전압 (3V, 5V, 7V 및 9V)을 투명히터 양단에 인가하여, 20분 동안의 발열온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였다. 그림 2(a)는 AgNW/FTO 투명히터의 경우이며 그림 2(b)는 ZnO/AgNW/ FTO 투명히터에 해당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발열온도를 보여준다. ZnO가 보호층으로 증착되어 AgNW를 코팅한 투명히터 샘플의 온도가 더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ZnO 보호층이 없는 투명히터 (AgNW/FTO)의 경우, 3V가 인가하였을 때 최고온도는 약 100℃이고 9V를 인가하였을 때 최고온도는 약 270℃로 측정 되었다. 그와 비교하여, 보호층인 ZnO가 코팅된 투명히터의 경우 (ZnO/AgNW/FTO) 9V를 인가하였을 때의 최고온도는 약 320℃로 약 50℃가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투명히터의 발열에 대한 안정성 분석을 위해서, 해당 전압에 대한 발열시험을 반복적으로 진행하였다. 투명히터에 발열시험을 2회 실시한 후, 전압이 세 번째 인가하였을 때 투명히터 발열 온도를 도시하였다. ZnO가 없는 투명히터 (AgNW/FTO)의 경우 (그림 2(c)), 전압이 가해진 시간 동안의 발열 온도가 불안정함을 보이지만, 보호층인 ZnO로 코팅된 투명히터(ZnO/ AgNW/FTO) 의 경우 안정적인 발열 특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최고발열온도가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2(e)는 각 전압과 가해진 전압의 횟수에 따른 최고온도를 나타낸다. 보호층인 ZnO가 코팅된 경우는 최고온도의 변화가 크지 않지만, 보호층이 없는 투명히터의 경우 최고온도가 약 30℃씩 차이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ZnO보호층이 AgNW를 보호하며, 히터로써의 성능을 보존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2. 투명히터의 온도 발열특성, 해당 전압에 따른 온도 측정 (a) AgNW/FTO 투명히터: 전압인가 1회차, (b) ZnO/AgNW/FTO 투명히터: 전압인가 1회차, (c) AgNW/FTO 투명히터: 전압인가 3회차, (d) ZnO/AgNW/FTO 투명히터: 전압인가 3회차, (e) 해당 전압 인가에 따른 발열온도 분포도 (1회차 및 3회차 인가 전압의 경우이며, 투명히터의 최고 온도를 표시)

Fig. 2. Heating features of the transparent heaters vs applied voltage. (a) AgNW/FTO transparent heater (1st cycle), (b) ZnO/AgNW/FTO transparent heater (1st cycle). Stability of transparent heater. The heating profiles were obtained from 3rd operation. (c) AgNW/FTO transparent heater (3rd cycle), (d) ZnO/AgNW/FTO transparent heater (3rd cycle). (e) The charted distribution of heating temperature by corresponding applied voltage at 1st cycle and 3rd cycle

../../Resources/kiee/KIEE.2021.70.4.641/fig2_1.png../../Resources/kiee/KIEE.2021.70.4.641/fig2_2.png../../Resources/kiee/KIEE.2021.70.4.641/fig2_3.png

3.2 투명히터 안정성 비교 및 광학적 특성

투명히터의 가시광 투과도는 응용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써, 발열에 따라서 투명히터의 투과도가 저하되지 않아야 한다. 전자현미경 (FE-SEM)을 이용하여 발열동작 후의 AgNW의 구조 변화를 관측하였다. 그림 3(a)는 ZnO/AgNW/FTO 투명히터의 경우이며, 3V (좌) 경우 와 9V(우)에서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ZnO 보호층이 없는 경우, AgNW/FTO 투명히터에서는 AgNW의 변형을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다(그림 3b).

AgNW 변형이 투과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분광 광도계(UV-Vis spectro photometer) (UV-2600)를 사용하여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기능성 보호층이 있는 ZnO/AgNW/FTO 투명히터 (그림 3c)의 경우 인가 전압과 상관없이 550 nm에서의 투과도가 72%-75%의 범위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히팅의 반복에 따른 투과도 저하 현상없이 원상태의 정도를 유지하는 특징이 있다. 그에 반하여, ZnO 보호층이 없는 AgNW/FTO 투명히터의 경우 (그림 3d)발열 동작에 의해 550 nm에서의 투과도의 변화가 60%-70%로 크게 변화 되는 것이 관측되었다. 3V의 낮은 전압을 인가한 경우에는 투과도에 대한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9V를 인가한 경우에는 심각한 투과도의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또한 반복되는 발열반응에 의해 투과도가 크게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서, ZnO 보호층이 투과도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며, 투명히터의 발열안정성과 투과도에서 중대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림. 3. 표면 SEM 사진 (해당 전압이 3회 인가된 이후). (a) ZnO/AgNW, 3V (좌) 및 9V (우), (b) AgNW, 3V (좌) 및 9V (우). 투명 히터의 투과율 변화: 인가전압 및 반복횟수의 상관관계. (c) ZnO/AgNW, 3V (좌) 및 9V (우), (d) AgNW, 3V (좌) 및 9V (우)

Fig. 3. Top-viewed SEM images (after 3rd cycle). (a) ZnO/AgNW, 3V (Left) 및 9V (Right), (b) AgNW, 3V (Left) 및 9V (Right). Transmittance profiles of the heater according to the bias and cycles. (c) ZnO/AgNW, 3V (Left) 및 9V (Right), (d) AgNW, 3V (Left) 및 9V (Right)

../../Resources/kiee/KIEE.2021.70.4.641/fig3_1.png../../Resources/kiee/KIEE.2021.70.4.641/fig3_2.png

3.3 투명히터의 FOM(Figure of merit) 특성

표 1은 각 소자의 전압 인가에 따른 표면저항을 정리하여 나타내고 있다. ZnO가 없는 소자의 경우 5V 이상의 전압이 20분 이상 인가되면 표면저항이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ZnO가 있는 소자의 경우 9V의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만 표면저항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ZnO가 없는 소자의 경우 5V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AgNW가 손상됨을 보여준다.

표 1. surface resistance before applying a voltage of 3, 5, 7 and 9 volts after

Table 1. Surface resistance to 3, 5, 7, 9V after initial condition and two voltages, respectively

Samples

Initial value of Rsh

Rsh

After 1 cycle

Rsh

After 2 cycles

AgNW

Applied 3V

4.739Ω/sq

4.473Ω/sq

4.563Ω/sq

AgNW

Applied 5V

4.415Ω/sq

6.517Ω/sq

6.961Ω/sq

AgNW

Applied 7V

4.653Ω/sq

6.989Ω/sq

6.926Ω/sq

AgNW

Applied 9V

4.196Ω/sq

6.810Ω/sq

6.932Ω/sq

ZnO/AgNW Applied 3V

4.696Ω/sq

4.552Ω/sq

4.662Ω/sq

ZnO/AgNW Applied 5V

4.602Ω/sq

4.546Ω/sq

4.573Ω/sq

ZnO/AgNW Applied 7V

4.575Ω/sq

4.710Ω/sq

4.917Ω/sq

ZnO/AgNW Applied 9V

4.585Ω/sq

5.406Ω/sq

6.234Ω/sq

그림. 4. FOM (Figure of merit, 2회 히팅작동 후)

Fig. 4. Proflies of FOM (Figure of merit) after 2 times heating operation

../../Resources/kiee/KIEE.2021.70.4.641/fig4.png

FOM (Figure Of Merit)은 여러 분야의 특징들을 수식화하여 표현한 것이다. 그림 4는 각 소자에 대한 FOM을 나타낸다. 3, 5, 7, 9V가 주어진 후의 표면저항과 550 nm에서의 투과율을 식으로 도식화하여 보여주고 있다. ZnO로 코팅된 소자의 경우 FOM의 수치가 약 22 ~ 28% 정도로 적은 변화의 폭을 보여주지만, ZnO가 없는 소자의 경우 12-33% 정도로 큰 변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ZnO가없는 AgNW의 투과율이 더 좋은 것을 그림 2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FOM 수치를 확인하면 낮은 온도에서는 ZnO가 없는 소자의 표면저항과 투과율의 손해가 적지만, 인가전압이 증가하여 온도가 증가할수록 표면저항과 투과율의 손실이 증가하며 ZnO가 있는 소자는 손실이 적어 투명히터의 주요 성능인 투과율, 온도성능을 모두 보호 할 수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19,20).

$FOM=\dfrac{\sigma_{d.c}(\lambda)}{\sigma_{opt}(\lambda)}=\dfrac{273}{2R_{sh}}*\dfrac{1}{T(\lambda)^{2}-1}$

λ: 빛에너지의 파장, σopt :광학전도도, σd.c :물질전도도, Rsh : 표면저항, T: 투과율

3.4 투명히터 응용 예시

그림 5는 ZnO/AgNW/FTO구조를 가진 투명히터를 효과적으로 응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림 5(a)는 물방울이 있는 투명히터에 5V의 전압을 인가 4초 후 물방울이 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눈이나 성에가 유리창에 있는 경우를 가정하여, 투명히터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그림 5(b)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투명히터의 발열기능은 매우 탁월하여, 43초 (5V 인가)후에 성에가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투명히터의 특장점은 건물의 창문으로 사용되거나 자동차의 wind-shield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습기가 많은 실내의 유리창 및 거울에 적용하여, 유효한 기능성을 발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5. 투명히터의 응용예시 (a) 물방울 제거 (b) 눈 제거

Fig. 5. Demonstration of transparent heaters for (a) Water evaporation, (b) Deicing.

../../Resources/kiee/KIEE.2021.70.4.641/fig5.pn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투명 히터에 대한 연구를 하였으며, 발열성이 우수하고 안정적인 성능을 확인하였다. AgNWs를 스핀코팅하여 망형태 (Networks)로 형성하여 광학적인 투과도가 확보된 투명히터로 적용하였다. 그러나 AgNWs의 취약점인 열변형 (Thermal deformation)은 고온 발열 특성의 불안정성과 반복성에 의한 발열 온도 변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금속 산화물인 ZnO의 박막을 AgNWs에 코팅하여, 고온과 반복적인 발열작동에도 안정하면서도 높은 광학적인 투과도를 유지하는 기능성의 투명히터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투명히터는 물방울 제거 및 성에나 눈(Snow)을 제거하는데 탁월한 성능을 발현하였으며, 이러한 투명히터는 자동차, 빌딩, 습기가 많은 실내 등에 다양한 용도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The authors acknowledge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NRF-2020R1A2C1009480 and 2020R1l1A1A0106857)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Korea, Brain Pool Program fund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NRF-2020H1D3A2A02085884) and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KETEP- 20203030010310) of Korea.

References

1 
M. N. Gueye, A. Carella, R. Demadrille, J. Simonato, Aug 16 2017, All-Polymeric Flexible Transparent Heaters, ACS Applied Materials &Interfaces, Vol. 9, No. 32, pp. 27250-27256DOI
2 
G. K. Dalapati, A. K. Kushwaha, M. Sharma, V. Suresh, S. Shannigrahi, S. Zhuk, S. Masudy-Panah, Jun 2018, Transparent heat regulating (THR) materials and coatings for energy saving window applications: Impact of materials design, micro-structural and interface quality on the THR perfor- mance, Progress in Materials Science, Vol. 95, pp. 42-131DOI
3 
Cameron, 2007, Nigel M. de S, NanoscaleGoogle Search
4 
R. Gupta, K. D. M. Rao, S. Kiruthika, G. U. Kulkarni, May 25 2016, Visibly Transparent Heaters,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Vol. 8, No. 20, pp. 12559-12575DOI
5 
D. T. Papanastasiou, A. Schultheiss, D. Muñoz‐Rojas, C. Celle, A. Carella, J. Simonato, D. Bellet, May 20 2020, Transparent Heaters: A Review,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Vol. 30, No. 21, pp. 1910225-n/aDOI
6 
Y. Ding, Y. Cui, X. Liu, G. Liu, F. Shan, Sep 2020, Welded silver nanowire networks as high-performance transparent conductive electrodes: Welding techniques and device appli- cations, Applied Materials Today, Vol. 20, pp. 100634DOI
7 
S. Lin, H. Wang, X. Zhang, D. Wang, D. Zu, J. Song, Z. Liu, Y. Huang, K. Huang, N. Tao, Z. Li, X. Bai, B. Li, M. Lei, Z. Yu, H. Wu, Aug 2019, Direct spray-coating of highly robust and transparent Ag nanowires for energy saving windows, Nano Energy, Vol. 62, pp. 111-116DOI
8 
X. Liang, J. Lu, T. Zhao, X. Yu, Q. Jiang, Y. Hu, P. Zhu, R. Sun, C. Wong, Dec 10 2018, Facile and Efficient Welding of Silver Nanowires Based on UVA‐Induced Nanoscale Photo- thermal Process for Roll‐to‐Roll Manufacturing of High‐Performance Transparent Conducting Films, Advanced Materials Interfaces, Vol. 6, No. 3, pp. 1801635-n/aDOI
9 
Y. Bi, H. Hu, G. Lu, Jan 28 2010, Highly ordered rectangular silver nanowire monolayers: water-assisted synthesis and galvanic replacement reaction with HAuCl(4), Chemical Communications (Cambridge England), Vol. 46, No. 4, pp. 598-600DOI
10 
Y. Yang, S. Chen, W. Li, P. Li, J. Ma, B. Li, X. Zhao, Z. Ju, H. Chang, L. Xiao, H. Xu, Y. Liu, Jul 28 2020, Reduced Graphene Oxide Conformally Wrapped Silver Nanowire Networks for Flexible Transparent Heating and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ACS Nano, Vol. 14, No. 7, pp. 8754-8765DOI
11 
J. Kang, H. Kim, K. S. Kim, S. Lee, S. Bae, J. Ahn, Y. Kim, J. Choi, B. H. Hong, Dec 14 2011, High-Performance Graphene- Based Transparent Flexible Heaters, Nano Letters, Vol. 11, No. 12, pp. 5154-5158DOI
12 
Y. -. Yoon, J. -. Song, D. Kim, J. Kim, J. -. Park, S. -. Oh, C. -. Han, Dec 3 2007, Transparent Film Heater Using Single- Walled Carbon Nanotubes, Advanced Materials (Weinheim), Vol. 19, No. 23, pp. 4284-4287DOI
13 
H. Yu, A. J. Stapleton, D. A. Lewis, L. Wang, Mar 2017, High performance flexible metal oxide/silver nanowire based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by a scalable lamination- assisted solution method, Journal of Materiomics, Vol. 3, No. 1, pp. 77-82DOI
14 
Y. Zhu, Y. Deng, P. Yi, L. Peng, X. Lai, Z. Lin, Aug 20 2019, Flexible Transparent Electrodes Based on Silver Nanowires: Material Synthesis, Fabrication, Performance and Appli- cations, Advanced Materials Technologies, Vol. 4, No. 10, pp. 1900413-n/aDOI
15 
J. Lee, Y. Kim, H. Kim, H. Kim, C. Hong, Mar 12 2020, Effect of AlOx protection layer on AgNWs for flexible transparent heater, Scientific Reports, Vol. 10, No. 1, pp. 4592DOI
16 
M. Patel, K. R. Chauhan, J. Kim, J. Kim, D. Lim, Nov 2017, AgNWs networks for high-performing transparent heaters by using NiO window layer, Sensors and Actuators. A. Physical., Vol. 267, pp. 8-13DOI
17 
M. Lorenz, M. S. Ramachandra Rao, T. Venkatesan, E. Fortunato, P. Barquinha, R. Branquinho, D. Salgueiro, R. Martins, E. Carlos, A. Liu, F. K. Shan, M. Grundmann, H. Boschker, J. Mukherjee, M. Priyadarshini, N. DasGupta, D. J. Rogers, F. H. Teherani, E. V. Sandana, P. Bove, K. Rietwyk, A. Zaban, A. Veziridis, A. Weidenkaff, M. Mura- lidhar, M. Murakami, S. Abel, J. Fompeyrine, J. Zuniga- Perez, R. Ramesh, N. A. Spaldin, S. Ostanin, V. Borisov, I. Mertig, V. Lazenka, G. Srinivasan, W. Prellier, M. Uchida, M. Kawasaki, R. Pentcheva, P. Gegenwart, F. Miletto Granozio, J. Fontcuberta, N. Pryds, Nov 2 2016, The 2016 oxide electronic materials and oxide interfaces roadmap, Journal of Physics. D, Applied Physics, Vol. 49, No. 43, pp. 433001Google Search
18 
S. M. I. Shamsah, T. O. Owolabi, Dec 2020, Newtonian mechanics based hybrid machine learning method of characterizing energy band gap of doped zno semiconductor, Chinese Journal of Physics (Taipei), Vol. 68, pp. 493-506DOI
19 
K. Ellmer, Nov 30 2012, Past achievements and future challenges in the development of optically transparent electrodes, Nature Photonics, Vol. 6, No. 12, pp. 809-817DOI
20 
H. Kim, M. Patel, H. Park, A. Ray, C. Jeong, J. Kim, Apr 6 2016, Thermally Stable Silver Nanowires-Embedding Metal Oxide for Schottky Junction Solar Cells,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Vol. 8, No. 13, pp. 8662-8669DOI
21 
M. Patel, J. H. Seo, S. Kim, T. T. Nguyen, M. Kumar, J. Yun, J. Kim, Apr 15 2021, Photovoltaic-driven transparent heater of ZnO-coated silver nanowire networks for self-functional remote power system,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491, pp. 229578DOI
22 
D. Chen, J. Liang, C. Liu, G. Saldanha, F. Zhao, K. Tong, J. Liu, Q. Pei, Dec 22 2015, Thermally Stable Silver Nanowire–Polyimide Transparent Electrode Based on Atomic Layer Deposition of Zinc Oxide on Silver Nanowires,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Vol. 25, No. 48, pp. 7512-7520DOI

저자소개

서지흔 (Seo Ji Heun))
../../Resources/kiee/KIEE.2021.70.4.641/au1.png

1996년 4월 12일생.

2021년 인천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2021년-현재: 동대학원 전기공학과 석사과정.

E-mail: ji_hun6@naver.com

Malkeshkumar Patel
../../Resources/kiee/KIEE.2021.70.4.641/au2.png

1980년 09월 26일생.

2014년 Pandit Deendayal Petroleum University (PDPU) 박사

2019년-현재: 인천대학교 겸임교수

2015년-현재: 인천대학교 차세대에너지 연구소, 책임연구원

E-mail: mpethani@gmail.com

남상은 (SangEun Nam)
../../Resources/kiee/KIEE.2021.70.4.641/au3.png

2000년 03월 27일생.

2019년-현재: 인천대학교 전기공학과 재학.

E-mail: nse4775@naver.com

이기범 (Kibum Lee)
../../Resources/kiee/KIEE.2021.70.4.641/au4.png

1972년 03월 16일생.

2001년 인제대학교 공학석사

2020년 – 현재: 솔라라이트 ㈜ 연구소장

2015-2016년: ㈜엘에이티 생산관리부장

2009-2015년: ㈜에스엔텍 연구개발부장

E-mail: lkb91@naver.com

김준동 (Joondong Kim)
../../Resources/kiee/KIEE.2021.70.4.641/au5.png

2006년 University at Buffalo, The State Univer- sity of New Yock (박사)

2013년-현재: 인천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

2012-2013년: 군산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

2006-2012년: 한국기계연구원 선임연구원

E-mail: joonkim@i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