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Joongbu University, Korea.)
  2. (Technical Adviser at R&D Center of Dongwoo Electric. Corp. Korea.)



Space Charge, Silicone Rubber/Nano Silicon Carbide Composites, Nano Silion Carbide(Nano SiC), Surface Modification, ±HVDC Breakdown Strength, Dielectric Properties

1. 서 론

압출 HVDC 케이블은 주요 송전 장비 중 하나로 풍력, 태양열 및 기타 재생 가능 에너지원은 물론 기타 해상 풍력 및 기타 장거리 송전 분야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공간 전하 분포와 공간 전하 제어 방법은 종종 압출 HVDC 케이블과 관련이 있다(1). 전기 절연성, 탄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high temperature vulcanized (HTV: 고온 가황) silicone rubber(SiR), EPDM 또는 액상실리콘(Liquid Silicone Rubber)은 HVDC, MVDC 케이블용 케이블 액세서리에 사용 된다(2,3). SiR의 DC 스트레스 하에서 생성된 공간전하는 국부 전기장을 왜곡하여 부분방전의 특성에 더욱 영향을 미치고 절연열화를 가속화한다. 복잡한 구조의 고전압 직류 (HVDC) 케이블 액세서리에서 고분자절연체에 공간 전하가 축적되면 국부 전계를 왜곡할 수 있고, 더욱이 부분 방전 특성에 영향을 미치고 그리고 절연열화가 가속화되어 HVDC 케이블의 약점 중 하나인 케이블 접속재가 된다(4-6). 그 외에도 사이리스터(thyristor)의 스위치와 HVDC 컨버터 변압기 (converter transformers)의 극성 반전 (polarity reversal)으로 인해 HVDC 케이블에서 과도 과전압이 발생하여 접속재 부분 절연에서 공간 전하 축적을 더욱더 악화시킨다. SiR 또는 EPDM의 공간전하 억제와 소산(dissipation) 등이 HVDC 케이블 접속소재 (케이블 액세서리) 개발의 핵심이다(7,8). Wang 등은 SiR / LDPE 계면에서 공간전하 분포를 조사했을 때, SiR 벌크에 많은 불순물이 존재하고 깊게 트랩된 전하의 역할을 하여 이전 스트레스 하에서 계면전하의 양이 이전 스트레스가 없는 경우보다 훨씬 많다는 결론을 내렸다(9). 지금까지 SiR 복합재의 공간 전하억제에 대한 효과적인 해법은 거의 없다. 지난 수십 년 동안 많은 연구자들은 전계에 따라 AC 및 DC의 전도도 또는 비유전율이 변하는 비선형 유전체에 초점을 맞췄다. 이는 HVDC 시스템의 절연에서 불균일한 전계를 균일한 전계로 변환하는 것이다(10,11). 고분자매트릭스 (SiR, EPDM)와 비선형 무기물입자 (예 : zinc oxide, silicon carbide, 또 carbon black)로 구성된 이러한 비선형 콤포지트는 전기절연의 field grading material로 사용되어왔다(10,11). Nelson 등은 SiR기반에 산화 그래핀을 도입하여 비선형 전도도와 유전 반응(dielectric response)이 SiR/graphene oxide 나노 복합체가 field grading material로서 탁월한 성능을 입증했습니다(12). 이와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비선형 전도도 거동은 높은 전계 응력 하에서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공간전하를 누적시키지 않고 평등전계 화 할 수 있는 효과적인 해법 등이 제공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같이 비선형 field grading material로서 반도전성 무기물인 나노 SiC(silicone carbide)를 표면개질 하였다. 표면개질은 이종 물질의 계면을 강화하기 때문에 전기적, 기계적 특성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그런 이유로 LR 2003실리콘수지에 표면개질된 나노 SiC를 충진함량 0, 1, 3, 5, 7, 9wt% 도입하여 전기적 특성인 ±HVDC 절연파괴 특성과 유전특성을 평가하였다.

2. 실 험

2.1 재료 및 나노 SiC 표면개질

본 논문에 사용한 실리콘수지는 ELASTOSIL® LR 3002/35 A /B로서, 애자 및 케이블 접속재에 적합한 고전압등급 액상실리콘 고무를 사용하였다. Planetary mixer에 의해 2 액형 타입의 A와 B를 1:1의 혼합비율로 혼합하였다. SiC는 US Research Nanomaterials, Inc. co의 Beta type 제품을 사용하였다.

평균 입도는 40 nm이고, 큐빅(cubic) 형태의 모양을 나타내었다. 순도는 99% 이상이다. 나노 SiC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계면특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비닐계 실라잔 화합물을 사용하여 나노 SiC 표면을 개질하였다. 나노 SiC 표면에는 실란올 그룹과 반응할 수 있는 OH 기가 없기 때문에 SiC 표면을 개질하기 위해서는 먼저 SiC 표면을 과산화수소 (HO) 중에서 처리하여 OH기를 형성시켜 단계별로 표면을 개질하였다. 개질과정은 이전 연구에서 상세히 서술하였다(13,14).

표 1. ELASTOSIL® LR 3002/35 A/B의 물성표

Table 1. Properties of ELASTOSIL® LR 3002/35 A/B

../../Resources/kiee/KIEE.2021.70.4.648/tbl1.png

2.2 비닐 실라잔 처리 나노 SiC와 실리콘고무와의 화학반응에 의한 계면특성 향상

비닐 실라잔 처리 나노 SiC와 실리콘 경화제의 SiH가 화학 반응하여 공유결합이 이루어지면서 계면 특성이 향상된다. 이에 대해서 다음 그림 1에 자세히 나타내었다. 즉, 비닐기와 SiH가 백금 촉매가 존재하는 조건에서 가열되면 이중결합이 깨지면서 비닐 실라잔과 경화제 사이에 공유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비닐기와 경화제 사이의 반응은 실리콘고무 메트릭스 수지와 경화제 사이에서 일어나는 공유결합 반응과 동일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나노 SiC가 실리콘 매트릭스 사이에 공유결합 하에서 분산되게 되므로 계면특성이 크게 향상되어진다.

그림. 1. 나노 SiC 표면의 비닐 실라잔과 실리콘 경화제의 SiH 사이의 공유결합

Fig. 1. Covalent bond between vinyl silazane on nano SiC surface and SiH of silicone curing agent

../../Resources/kiee/KIEE.2021.70.4.648/fig1.png

즉, 아래 그림 2에서와 같이 각각의 나노 SiC가 실리콘 매트릭스 중에 분산되어 존재하도록 표면개질된 나노 SiC를 그림 3의 나노콤포지트 제조과정을 통하여 제조하였다.

그림. 2. 실리콘 매트릭스 중 실라잔 처리 나노 SiC의 균일한 분산

Fig. 2. Uniform dispersion of silazane-treated nano SiC in silicon matrix

../../Resources/kiee/KIEE.2021.70.4.648/fig2.png

그림. 3. LR 3002/나노 SiC 콤포지트의 제조과정

Fig. 3. Manufacturing process of LR 3002/nano SiC composite

../../Resources/kiee/KIEE.2021.70.4.648/fig3.png

나노 SiC를 표면개질 하였고(13,14), 개질된 나노 SiC를 함량별 (0, 1, 3, 5, 7, 9wt%)로 첨가 후, planetary mixer에서 분산시켰다. 사용한 실리콘수지는 표 1에서 나타낸 LR 3002 (Liquid Silicone Rubber) 3002 제품을 사용하였고, 경화조건은 165℃×5min+200℃×4hr동안 경화하였다.

2.3 ±HVDC 절연파괴 강도와 유전특성 실험

2.3.1 HVDC 절연파괴 측정

±HVDC 250kV/100mA (성민전기(주))을 갖는 직류고전압(HVDC)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기적 절연파괴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샘플은 각각의 10개를 사용하였고, 샘플두께는 일정하게 1mm 두께로 균일하게 제조하였으며, 측정 후 파괴된 지점의 두께를 측정하여 전계강도(kV/mm)를 구하였다. ±HVDC절연파괴 측정을 위해 승압속도는 2.5kV/s로 일정하게 승압하여 파괴에 이르게 하였고, 측정전극은 구 대 구 전극을 사용 하였으며, 전극에 절연유인 광유를 사용하여 관통파괴를 유도하였다. 측정결과는 와이블플롯를 이용하여 분석과 해석을 실시하였다. 그림 2에서는 측정장치의 사진을 나타내었다.

그림. 4. ±250kV급 HVDC 절연파괴 측정시스템

Fig. 4. ±250kV class HVDC insulation breakdown measurement system

../../Resources/kiee/KIEE.2021.70.4.648/fig4.png

2.3.2 유전 특성 측정

비유전율 측정은 주파수 범위 3 μHz ~ 3 MHz인 Universal Dielectric Spectrometer로서 제조사는 Novocontrol GmbH이며, BDS 1200 모델을 사용하였다. 측정을 위해 사용된 샘플은 두께 1 mm, 실제 지름 30 mmφ (평판형 크기로서 50 mm × 50 mm)을 사용하였다. 실버페이스트를 도포하여 80℃ × 8 h 건조 후 측정에 사용하였다. 우리의 BDS시스템은 온도제어 장치가 없는 impedance spectroscopy와 conductivity 그리고 유전에 대한 일괄 공급된 시스템을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3. 실험 결과 및 검토고찰

3.1 구조적인 특성(TEM)

그림 5의 TEM 영상(나노 SiC_1wt%, 3wt%)들은, ELASTOSIL® LR 3002 Liquid Silicone Rubber/nano SiC 복합체 중의 나노 입자 분산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표면이 개질된 나노 SiC의 함량을 1~7 wt% 범위에서 함량을 변화시켰다. TEM영상에서 보듯이 나노 SiC 충진 함량( nano_1wt%, 3wt%)에 관계없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나노 SiC가 소량 도입된 경우에도 다량의 나노 입자가 분산된 것처럼 보이는 것은 표면처리된 실리콘메트릭스에 충분히 분산된 나노입자가 분산상태에 있기에 소량의 나노 SiC가 도입되어도 다량의 나노입자가 혼입된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그림. 5. 실리콘고무 /나노 SiC 분산된 콤포지트의 TEM 영상

Fig. 5. TEM image of silicone rubber/nano SiC dispersed composite

../../Resources/kiee/KIEE.2021.70.4.648/fig5.png

TEM에 부착된 EDS를 사용하여 원소 분석을 하여 나노 실리카와 나노 SiC를 구분하기 어려운데, 그 이유는 실리카의 구성원소는 Si와 O이고, SiC의 구성원소는 Si와 C며, 매트릭스로 사용된 실리콘도 Si, O, C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노 SiC의 분산은 HVDC 절연파괴, 내트래킹 특성 등의 평가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확인하여야 한다. 고배율로 분산상태를 관찰하면 나노 실리카 및 나노 SiC 입자들이 개별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10 내지 30 개의 나노 입자로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입자 일부가 응집되어진 것으로 보이지만, 외관상 입자크기는 클러스터 크기는 50 ~ 200nm인 상태로 분산되었다. 입자의 분산상태는 로딩레벨(충진함량)의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실리콘고무와 나노 SiC 입자들 사이 계면의 상호작용이 양호함을 보여주고 있다.

3.2 ±HVDC 전기적 절연파괴 특성

3.2.1 Nano SiC 표면개질 유무의 절연파괴 특성

그림 6에서는 LR 3002 실리콘고무 메트릭스에 표면 개질된 나노 SiC와 미개질된 나노 SiC_3wt% 충진 분산시킨 샘플을 제조하였고, HVDC절연파괴 특성을 연구하였다. 나노 SiC의 표면개질과 미개질의 차이는 LR 3002 실리콘수지와 나노입자 간 계면결합의 강화로 HVDC 절연파괴강도에 영향을 주었다.

실험결과는 와이블플롯의 2-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와이블플롯의 2-파라미터에 대한 누적 밀도 함수는 식(1)에서 나타내었다.

(1)
$F(E)=1-e^{-(\dfrac{U}{\eta})^{\beta}}$

파리미터는 스케일파리미터($\eta$)와 형상파라미터($\beta$)가 사용 됩니다. 스케일파라미터는 고장 확률이 63.2%인 절연파괴 강도에 대한 확를 분포를 나타내며, 형상파라미터는 와이블플롯의 회귀선의 기울기와 같고 고장 값의 통계적 분포를 나타낸다(21).

그림 6의 와이블플롯의 특성파라미터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면 개질된(Surface Modification: SM이라 한다) 나노 SiC와 표면 미개질된(Surface Unmodification:SUM이라 한다)나노 SiC의 절연파괴강도 와이블플롯의 스케일파라미터 (누적확률분포 63.2%)는 92.3와 81.94kV/mm의 결과를 얻었다. SM이 SUM보다 절연내력의 성능이 12.64% 향상되었다. 또한 형상파라미터는 측정결과 와이블플롯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로 실험결과의 분포도를 기울기로 표현된 것이다. 기울기가 높으면 분포도가 좁고, 반면 분포도가 넓으면 기울기가 낮은 결과를 나타낸다. 결과로서, SM은 22.73 반면에 SUM은 15를 나타내었다. 이는 표면개질된 나노 SiC (비닐실라잔처리)와 LR 3002 실리콘 메트릭스 (실리콘경화제 SiH) 간 화학 반응에 의한 공유결합이 이루어져 계면특성이 향상된것이다. 이종물질 간 계면의 강화는 HVDC 내압기로부터 전압의 상승은 공간전하가 누적되지만 계면이 전하의 통로로 작용되지 않기 때문에 절연내력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림. 6. LR 3002/Nano SiC의 표면개질 유무에따른 HVDC 절연 특성의 영향

Fig. 6. HVDC with or without surface modification of LR 3002/Nano SiC Influence of insulation properties

../../Resources/kiee/KIEE.2021.70.4.648/fig6.png

표 2. 그림 6의 와이블플롯 특성파라미터 및 특성 값

Table 2. Weibull Plot characteristic parameters and characteristic values ​​in Figure 6

../../Resources/kiee/KIEE.2021.70.4.648/tbl2.png

그림. 7. LR 3002/Nano SiC 충진함량에따른 (+)HVDC 절연파괴와이블 특성

Fig. 7. (+)HVDC dielectric breakdown Weibull Plo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R 3002/Nano SiC filling content

../../Resources/kiee/KIEE.2021.70.4.648/fig7.png

3.2.2 나노 SiC 충진함량 변화에 따른 HVDC 절연파괴 강도의 영향

그림 7은 LR 3002실리콘수지에 SM_나노 SiC의 충진함량 0, 1, 3, 5, 7, 9wt%를 충진 분산시켜 제조된 샘플의 (+)HVDC 절연파괴강도의 와이블 플롯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표 3에서는 그림 7의 와이블플롯 특성파라미터인 형상파라미터와 스케일파라미터를 나타내었다. 그림 8에서는 표 3의 스케일파라미터 (누적확률분포 63.2%)의 결과를 그래프로 표현하였다. LR 3002실리콘 메트릭스에 나노 SiC 충진함량 0, 1, 3, 5, 7, 9wt% 증가에 따라 나노콤포지트의 (+)HVDC 절연파괴강도의 와이블플롯 누적분포확률 63.2%의 결과 값이 감소되었다. 충진함량 증가에 따른 와이블 폴롯의 형상파라미터는 기울기가 높은 값인 20.55 ~ 27.52를 기록하였다. 측정결과의 신뢰성이 높은 물리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나노 SiC 충진함량별 절연파괴 결과, 나노 SiC 1 ~ 3wt% 범위에서 절연내력이 거의 같은 결과 누적확률분포 63.2%에서 약 92kV/mm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1 ~ 3wt% 범위의 결과에 비하여, 5wt%에서는 73.57kV/mm로서 약 26% 감소, 7wt%에서는 69.68kV/mm로서 33.3% 감소 그리고 9wt%에서는 68.73kV/mm로서 35% 절연내력이 감소되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이처럼 함량별 절연내력의 차이는 크게 두 부류로 나뉘어 1 ~ 3wt%와 5 ~ 9wt%의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VDC용 케이블 접속재에 적용하기 위하여, 반도전성 무기물인 나노 SiC의 충진함량별 절연내력을 평가하였다. 그러나 HVDC의 경우 공간전하 누적에 따라 왜곡된 전계의 형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나노 SiC의 표면을 개질하였고, 절연성과 전도성의 변화추이를 연구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전기전도성에관한 내용은 수록되지 못하였다. 그림 8에서 절연성이 크게 감소하게 되는 이유는 반대로 나노 SiC가 갖고 있는 반도전성의 물리적인 특성이 반영되어 전기전도성이 크게 증가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처럼 변곡이 이루어지는 이유는 나노 SiC입자들 상호거리가 전기전도에 안정된 범위 내 (포화성의 상태)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즉, 충진함량 5, 7, 9wt% 범위에서 절연내력은 73.57 ~ 68.73kV/mm로서 절연내력의 차이는 4.84kV/mm 정도이다. 그러나 1 ~ 3wt%에 비하여 5wt% 절연내력의 차이는 26% 감소되는 결과에서 전기전도성의 증가를 고려할 때 HVDC 케이블 접속재 개발에 중요한 절연성과 전기전도성의 갖는 최적상태의 함량으로 사료된다.

표 3. 그림 7의 와이블플롯 특성파라미터 및 특성 값

Table 3. Weibullplot characteristic parameters and characteristic values ​​in Figure 7

Types of Sample

Shape

Parameter

Scale

Parameter

(kV/mm)

B10 Life

(kV/mm)

LR_3002/Nano SiC_0wt%

20.55

82.53

73.99

LR_3002/Nano SiC_1wt%

26.51

92.77

85.28

LR_3002/Nano SiC_3wt%

22.73

92.32

83.60

LR_3002/Nano SiC_5wt%

21.47

73.57

66.26

LR_3002/Nano SiC_7wt%

27.52

69.68

64.19

LR_3002/Nano SiC_9wt%

26.15

68.73

63.07

그림. 8. LR 3002/Nano SiC 충진함량에따른 (+)HVDC절연파괴와이블플롯의 스케일파라미터와 B10 특성값

Fig. 8. Scale parameter and B10 characteristic value of (+)HVDC insulation breakdown Weibull plot according to LR 3002/Nano SiC filling content

../../Resources/kiee/KIEE.2021.70.4.648/fig8.png

3.3 전기적 유전특성

3.3.1 Nano SiC 표면개질 유무의 유전특성

나노 및 마이크로 콤포지트 유전 특성 변화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 많은 관심이 주파수 및 온도함수로서 복소유전율 $\epsilon_{r}^{*}$에 초점이 되어졌다. 복소유전율은 실수부 ($\epsilon_{r}^{'}$)과 허수부($\epsilon_{r}^{''}$) 로서 관계된다.

(2)
$\epsilon_{r}^{*}=\dfrac{G}{j\omega C_{0}}+\dfrac{C}{C_{0}}=\dfrac{C}{C_{0}}-j\dfrac{G}{\omega C_{0}}=\epsilon_{r}^{'}-j\epsilon_{r}^{''}$

(3)
$I=j\omega C_{0}\epsilon_{r}^{*}E=C_{0}\epsilon_{r}^{*}\dfrac{d E}{dt}=j\omega C_{0}(\epsilon_{r}^{'}-j\epsilon_{r}^{''})E=(G+j\omega C)E$

유전체 내에서 소비된 단위체적당 전력손실 W 와 tanδ는 다음 같다.

(4)
$W=I^{2}R=\dfrac{V^{2}}{R}=GV^{2}=\omega C_{0}\epsilon_{r}^{''}E^{2}$

(5)
$\tan\delta =\dfrac{\epsilon_{r}^{''}}{\epsilon_{r}^{'}}=\left |\dfrac{I_{R}}{I_{C}}\right | =\dfrac{1}{\omega CR},\:\epsilon_{r}^{''}=\tan\delta$

유전율의 크기($\epsilon_{r}^{'}$)는 전기전도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또한 전하의 이동통로 로서의 의미를 부여할 수가 있다. 그리고 계면의 결합과도 깊은 관계를 갖고 있는 전기물성의 특성이다.

$\epsilon_{r}^{''}$를 허수부분(영상부분)을 유전재료 내의 유전손실(dielectric loss factor) 나타낸다. $\tan\delta$를 유전정접이라 하며, δ가 적으면 tan ≒ $\cos\theta$로 되어 유전체역률(dielectric power factor)이라 하며, 일반적으로 유전체 손실이란 유전체에 교류전압을 인가하면 절연체 내부에서 매 초당 열로 발생되는 손실에너지를 의미한 것이다. 이를 교류손실이라고 한다. 재료 내의 유전손실이 낮은 값을 갖는 재료가 전기적 유전시스템 응용에 오히려 선호되는 재료이기 때문에, +유전율 값은 구체적인 응용에 따라 사용 재료가 선정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SiC 나노입자의 표면개질(SM)과 미개질(SUM)에 따라 LR 3002 실리콘수지 경화제사이 화학적인 계면결합정도에 따라 전기적 유전특성, 절연파괴, 전기전도 특성 그리고 열전도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유전특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그림 9(a) ~ (c)에서는 표면개질된 나노 SiC입자_3wt% 충진하여 비닐실라잔 표면처리와 메트릭스수지인 LR 3002의 경화제 SiH와 화학적인 공유결합을 하게 된다. 계면결합으로 계면특성의 향상은 유전특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그림 9(a)에서는 나노 SiC 표면의 표면개질과 미개질된 반도전성 무기물을 일정함량_3wt% 충진시켜 제조된 샘플의 주파수변화에 따른 유전율 특성을 나타내었다. 주파수 감소에 따라 유전율은 점진적으로 증가되었고, 1Hz이하 극저주파에서는 급격한 유전율의 증가를 가져왔다. 그러나 SiC의 표면 개질된 입자의 충진으로 계면의 강화를 가져와서 저 유전율을 기록하였고, 입자의 표면이 미개질된 경우 계면의 약화를 가져와서 고 유전율의 결과를 가져왔다.

이는 인가전계의 낮은 주파수에서 실리콘 또는 에폭시 체인 내의 모든 자유 쌍극자 관능기가 이들 주파수에서 높은 유전율 값에 관여하게 된다. 전계주파수가 증가할수록 크고, 작은 쌍극자들이 존재하게 되는데 주파수가 낮은 경우 큰 쌍극자가 그 역할을 하게 되고, 고주파수가 인가될 때면 작은 쌍극자가 역할을 하게 된다. 즉, 큰 쌍극자는 배향이 어렵게 된다는 의미이다. 그리하여 고주파가 인가될 때 에폭시시스템의 유전율이 연속적으로 감소하게 되는 이유이다.

그림. 9. Nano SiC의 표면개질 유무에따른 LR 3002/Nano SiC_3wt% Composites의 유전특성 (a)유전율 (b)유전손실 (c )전기전도도

Fig. 9. Dielectric properties of LR 3002/Nano SiC_3wt% (a) permittivity (b) Tan(Delta) (c) Conductivity

../../Resources/kiee/KIEE.2021.70.4.648/fig9.png

표 4. SM과 SUM의 유전율 특성

Table 4. Dielectric constant characteristics of SM and SUM

Frequency

Type

1MHz

60Hz

1Hz

SM-SiC_3wt%

3.16

3.20

3.21

SUM-SiC_3wt%

3.57

3.62

3.64

그림 9(b)는 유전손실을 나타내고 있다. 주파수 감소에 따라 감소하였고, 100 Hz에서 주파수 감소에 따라 유전손실이 증가되어 극 저파로 감소할수록 유전손실은 더욱더 증가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SM의 경우가 SUM보다 100Hz이상의 주파수에서는 유전손실이 낮았고, 반면에 100Hz 이하에서는 SUM이 SM보다 유전손실이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계면에서 전기이중층에 의한 전자의 이동이 쉽게 이루어진 통로로 작용하기에 유전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나노 입자의 균질분산에도 영향을 주게 되어, 균질상태에서는 유전손실이 작고 불 균질한 상태에서는 유전손실이 크게 발생 된다.

그림 9(c)에서는 전기전도도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계면의 경우 전자의 통로로서 주파수에 반비례하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고주파에서는 전기전도도가 높고 반면에 주파수가 낮은 저주파에서는 전기전도도가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SM과 SUM의 경우 전기전도도는 SM이 SUM보다 주파수 감소에 따라 낮은 전기전도도를 나타내었고 반면에 저주파인 10Hz을 경계로 SM이 오히려 전기전도도가 증가되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3.3.2 LR3002/Nano SiC 충진함량에 따른 유전특성

그림 10(b)에서는 주파수 감소에따른 LR0032/Nano SiC 충진함량에 대한 콤포지트의 유전손실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1MHz에서 10kHz 까지 주파수 감소에따라 유전손실은 약간의 감소를 나타내었고 그리고 이후 1Hz까지 유전손실이 다시 증가하였다. 1Hz에서 유전손실에 대한 피크를 나타내었다. 충진함량에따른 유전손실은 나노 SiC 충진함량이 많을수록 유전손실은 증가하였다.

그림 10(c)에서는 주파수 변화에 따른 LR0032/Nano SiC Contents Composites 전기전도도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주파수 감소에따라 전기전도도는 감소하였다. 1 MHz에서 100Hz까지 주파수 감소에따라 정비례성으로 전기전도도는 감소하였고 그리고 100Hz에서 극저파수의 주파수 영역에서 주파수 감소에 따라 전기전도도의 감소를 가져왔다. 나노 SiC 충진함량증가에따른 전기전도도는 증가하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그림 9에서는 LR 3002 실리콘 수지에 표면개질된 나노 SiC의 충진함량 0, 1, 3, 5, 7wt% 증가하며, 실리콘 나노콤포지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나노콤포지트의 주파수변화에 따른 유전특성으로 그림 10(a)유전율 (b)유전손실 (c)전기전도도를 평가하였다.

그림. 10. Nano SiC의 충진함량에따른 LR 3002/Nano SiC Contents (wt%) Composites의 유전특성 (a)유전율 (b)유전손실(c) 전기전도도

Fig. 10. Dielectric properties of LR 3002/Nano SiC Contents (wt%) Composites according to the filling content of Nano SiC (a) permittivity (b) Tan(Delta) (c) Conductivity

../../Resources/kiee/KIEE.2021.70.4.648/fig10.png

나노 SiC 표면개질을 통하여 실리콘 메트릭스에 충진 분산시켜 계면특성의 향상을 가져왔다. 그림 10(a)에서는, 상온상태에서 주파수 감소에 따라 나노 SiC 콤포지트의 충진 함량증가에 따라 유전율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1Hz 이하의 극저주파의 주파수 감소에서 유전율은 매우 큰 증가를 가져왔다. 표 5에서는 나노 SiC충진함량과 주파수 변화에따른 유전율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5. LR 3002/Nano SiC Contents Composites의 유전율

Table 5. Permittivity of LR 3002/Nano SiC Contents Composites

Frequency

Types

1MHz

60Hz

1Hz

Nano SiC_0wt%

3.24

3.21

8.94

Nano SiC_1wt%

3.37

3.35

7.47

Nano SiC_3wt%

3.60

3.59

4.42

Nano SiC_5wt%

3.517

3.516

6.40

Nano SiC_7wt%

4.029

4.026

8.39

이상의 결과에서 나노 SiC의 표면개질된 입자가 실리콘메트릭스에 균질 분산되어 화학적인 반응으로 계면이 강화되어 계면으로 전하의 이동이 억제되면 유전율은 닞아지고 또한 유전손실도 감소하게된다. 더욱이 전기전도도의 경우 계면이 percolation의 역할로 전하의 이동통로로서의 역할을 어렵게 하기 때문에 전기전도도는 낮아지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사료된다.

Toshikatsu Tanaka(15)는 계면이 전기적, 화학적으로 형성되는 단계의 과정을 계면의 다층코어 구조로 고분자메트릭스에 구형의 나노입자가 혼합되어 매립된 다층구조를 제안했다.

본 연구에서는 제 1층은 나노 SiC 표면에 어떤 라디칼이 존재하지 않아 비닐 실라잔 처리를 하기 위해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표면의 침식을 실시하였다. 이후 비닐실라잔 처리를 하여 제 1층의 표면을 개질하였다. 이 층은 유기와 무기물질에 단단히 결합된 전이 층에 해당된다. 제 2층은 제 1층의 SiC 무기 입자의 표면에 강하게 결합된 또는 상호 작용 된 고분자 사슬 층으로 이루어진 계면 영역이다. 이들의 값은 실리콘-SiC 나노입자 상호작용이 강도가 강하면 강할수록 고분자가 차지하는 부분의 범위가 더욱더 넓어지게 된다. 이것은 화학양론적으로 가교된 층에 해당된다. 즉, 나노 SiC 표면에 비닐실라잔 처리된 기와 실리콘 경화제 SiH가 백금 촉매가 존재하는 조건에서 가열되면 이중결합이 깨지면서 비닐 실라잔과 경화제 사이에 공유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부분에서 유전율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제 3층은 제 2층과 느슨하게 결합되고 상호 작용하는 영역이다. 느슨한 층은 비슷한 매트릭스 형태, 체인 이동성 또는 고분자 매트릭스로 부터의 자유체적 또는 결정도를 갖는 층으로 고려한다. 이 부분을 덜 화학 양론적으로 가교 된 층이라 한다. 특히 유전 및 전기 절연 특성이 조사 될 때 쿨롱 상호 작용이 중첩된다. 고분자가 이동 전하 운반체를 가질 때 나노 입자는 양 또는 음으로 대전되고, 반대 극성을 갖는 반대 전하 운반체가 접촉 표면으로부터 Debye 차폐 길이로 확산되는 방식으로 계면에 분포된다.

이처럼 실리콘/나노 SiC콤포지트의 경우 실리콘수지와 나노 SiC무기물간 계면의 결합에의해 유전율과 유전손실 그리고 전기전도에 좌우된다. 전기전도도는 유전율과 비례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고주파에서는 유전율이 작고 극 저주파영역으로 갈수록 유전율이 크게 되는 이유는 전원주파수의 인가 시 유극성 쌍극자에 의해 결과이며, 충진함량 증가에따라 중첩된 계면영역의 증가로 전기이중층에 기인한 결과로서 전자의 이동 통로가 많았음을 알려주는 것과 같다. 역으로 계면결합력이 약하여 무기물과의 계면을 강하게 고정시키지 못한 이유로 유전율도 증가하게 되고 더불어 유전손실도 증가하게 된다. 즉, 전기전도도 역할을 하는 전자의 이동통로인 전기이중층의 계면으로 쉽게 이동될 때 전기전도도가 증가되어지게 된다. 반면에 충진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전손실이 작아지는 이유는 전기이중층에서 균질한 상태로 나노 입자가 분산되어져 전하의 이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나노입자가 하게 되는 이유이다(18).

B. X. Du(20) 연구자들은 SiC입자의 혼입은 실리콘 콤포지트의 유전율의 증가를 가져오고 그것은 콤포지트의 벌크내 유전분극메커니즘에의해 결정된다. 분극영향은 SiC가 더욱더 높은 비유전율(9.66 ~ 10.03) 을 갖고있기 때문에 SiC 함량이 증가할수록 더욱더 분명하여진다(20)(19). 또한 비유전율의 증가는 자유체적의 감소(11)라고 보고하고 있다.

4. 결 론

HVDC용 케이블 접속재(Cable Accessory)을 개발하기 위하여, 두 개 이상의 각기 다른 절연물사이 계면에 공간전하가 존재하게 된다. 두 개의 절연물의 유전상수와 전기전도도사이 비율차이가 크면 클수록 계면에서 더욱더 많은 양의 공간전하가 나타나게 된다. 더욱더 많은 양의 공간전하가 계면에서 저장되면 될수록, 더욱더 높은 전계의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공간전하의 누적을 억제하고, 소산시켜 불평등전계와 같은 왜곡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반도성 무기물 나노 SiC의 표면을 개질하였다. LR3002실리콘고무/나노 SiC 충진함량별(0, 1, 3, 5, 7, 9wt%)콤포지트를 제조하였고, 절연성과 도전성을 평가를 위하여 (+)HVDC절연파괴 강도와 유전특성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4.1 (+)HVDC 절연피괴 특성

LR 3002/Nano SiC Contents (0,1,3,5,7,9wt%)Composites의 HVDC절연파괴 결과 함량별 두 개의 그룹의 결과를 얻었다.

나노 SiC 충진함량 1, 3wt% 그룹에서는 (+)HVDC 절연파괴강도의 평균값이 92.5kV/mm와 나노 SiC 충진함량 5,7,9wt%의 그룹에서의 평균값이 70.66kV/mm으로 첫 번 그룹의 절연내력 값과 두 번째 그룹의 절연내력 값의 비가 30.9% 감소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는 접속재 부속품들의 경우 공간전하의 누적 억제를 위해서 절연성과 전도성을 양립할 수 있는 신절연소재에 필요한 최적 함량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나노 SiC의 충진함량 증가는 공간전하의 누적의 억제에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4.2 유전특성

LR 3002/Nano SiC Contents (0,1,3,5,7,9wt%)Composites를 상온상태에서 주파수 변화에 따라 유전특성을 평가하였다. 주파수 감소에따라 유전율은 증가하였고 그리고 충진함량 증가에 따라 유전율은 증가하였다. 그 원인은 나노 SiC 자체적인 유전율(9.6 ~ 10.03)이 크기 때문에 충진함량 증가는 유전율의 증가를 가져 온 것이다. 더윽이 전기전도도는 유전율과 비례하기 때문에 충진함량이 증가할수록 전기전도도의 증가를 가져왔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18년 5월01일~2021년 4월30일, R18XA06-58 “고열전도/절연성을 갖는 공간전하 억제를 위한 HVDC케이블 접속재용 신절연소재개발” 한국전력 전력연구원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연구로서, 관계부처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T. Takada, Y. Hayase, Y. Tanaka, 2008, Space charge trapping in electrical potential well caused by permanent and induced dipoles for LDPE/MgO nanocomposite, IEEE Transactions on Dielectrics and Electrical Insulation, Vol. 15, No. 1, pp. 152-160DOI
2 
T. T. N. Vu, G. Teyssedre, B. Vissouvanadin, S. Le Roy, C. Laurent, 2015, Correlating Conductivity and Space Charge Measurements in Multidielectrics Under Various Electrical and Thermal Stresses, IEEE Trans. Dielectr. Electr. Insul., Vol. 22, No. 1, pp. 117-127DOI
3 
T. P. Collins, L. W. Hoffman, J. L. Goudie, 200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new Product Line of Silicone Elastomers for High Voltage Applications, IEEE Conf. Electr. Insul. Dielectr. Phenomena (CEIDP), pp. 255-259DOI
4 
G. C. Montanari, 2011, Bringing an Insulation to Failure: the Role of Space Charge, IEEE Trans. Dielectr. Electr. Insul., Vol. 18, No. 2, pp. 339-364DOI
5 
D. Fabiani, G. C. Montanari, A. Cavallini, G. Mazzanti, 2004, Relation Between Space Charge Accumulation and Partial Discharge Activity in Enameled Wires Under PWM-like Voltage Waveforms, IEEE Trans. Dielectr. Electr. Insul., Vol. 11, No. 3, pp. 393-405DOI
6 
G. Mazzanti, G. C. Montanari, 2006, Elemental Strain and Trapped Space Charge in Thermoelectrical Aging of Insu- lating Materials Life Modeling, IEEE Trans. Dielectr. Electr. Insul., Vol. 8, No. 6, pp. 966-971DOI
7 
L. Lu, L. Fang, X. Wang, D. M. Tu, 2003, Space Charge Formation in Silicone Rubber, IEEE Int’l. Conf. Properties Applications Dielectr. Materials (ICPADM), pp. 669-672DOI
8 
M. X. Luo, Y. P. Tu, C. Wang, G. F. Ying, 2011, Space Charge Characteristics of HTV Silicone Rubber after Corona Aging, IEEE Conf. Electr. Insul. Dielectr. Phenomena (CEIDP), pp. 56-59DOI
9 
X. Wang, M. B. Zheng, X. Chen, Z. R. Peng, K. Wu, S. Liu, J. K. Peng, S. Z. Chen, 2011, The Effect of Temperature Gradient on Space Charge Accumulation at SR/XLPE Interface under DC Stress, IEEE Inter. Conf. Solid Dielectr. (ICSD), pp. 1-4DOI
10 
N. Y. Li, Z. R. Peng, 2014, Modeling of Electric Stress Control in HV Bushing Using Field Grading Material, IEEE Conf. Electr. Insul. Dielectr. Phenomena (CEIDP), pp. 550-553DOI
11 
N. Matsuoka, D. Komesu, M. Mori, M. Kozako, M. Hikita, S. Ishibe, 2015, Electric Field Grading of Gas Insulated Switchgears with Microvaristor Composites, IEEE Int’l. Conf. Properties Applications Dielectr. Materials (ICPADM), pp. 332-335DOI
12 
Z. Wang, J. K. Nelson, H. Hillborg, S. Zhao, L. S. Schadler, 2012, Nonlinear Conductivity and Dielectric Response of Graphene Oxide Filled Silicone Rubber Nanocomposites, IEEE Conf. Electr. Insul. Dielectr. Phenomena (CEIDP), pp. 40-43DOI
13 
Jae-Jun Park, Jae-Young Lee, 2021, A study on (+)HVDC IPT Tracking and Erosion Resistance of SiR/Surface Modified Nano SiC Contents Composite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70, No. 3, pp. 490-500Google Search
14 
Jae-Jun Park, 2021 Scheduled to be published, Partial Discharge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LSR/Nano SiC Composite,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70Google Search
15 
Tanaka Toshikatsu, Kozako Masahiro, Fuse Norikazu, Ohki Yoshimichi, August 2005, Proposal of a Multi-core Model for Polymer Nanocomposite Dielectrics, IEEE Transactions on Dielectrics and Electrical Insulation, Vol. 12, No. 4, pp. 669-681DOI
16 
B. Wetzel, P. Rosso, F. Haupert, K. Friedrich, Nov 2006, Epoxy nanocomposites Fracture and toughening mechanisms, Eng. Frac. Mech., Vol. 73, No. 16, pp. 2375-2398DOI
17 
G. C. Samuel Jorice, Lafon-Placette Stephanie, Fu Mingli, J. Howard Paul, Perrot Fabrice, Oct 2012, Epoxy-Alumina Nanocomposites: Advanced Materials for High-Voltage Insu- lation?, 2012 Annual Report Conference on Electrical Insulation and Dielectric Phenomena(Montreal, QC, Canada), pp. 14-17DOI
18 
Wang Zengbin, Iizuka Tomonori, Kozako Masahiro, Ohki Yoshi-michi, Tanaka Toshikatsu, 2011, Development of Epoxy/BN Composites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Sufficient Dielectric Breakdown Strength Part II-Breakdown Strength, IEEE Transactions on Dielectrics and Electrical Insulation, Vol. 18, No. 6DOI
19 
L. Patrick, W. J. Choyke, 1970, Static Dielectric Constant of SiC, Phys. Rev. B, Vol. 2, No. 6, pp. 2255-2256DOI
20 
B. X. Du, Z. L. Li, Z. R. Yang, October 2016, Field-dependent Conductivity and Space Charge Behavior of Silicone Rubber/ SiC Composites, IEEE Transactions on Dielectrics and Electrical Insulation, Vol. 23, No. 5DOI
21 
I. A. Tsekmes, R. Kochetov, P. H. F. Morshuis, J. J. Smit, 2015, Breakdown Strengt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Epoxy-cubic Boron Nitride Composites, Annual Report Conference on Electrical Insulation and Dielectric PhenomenaDOI

저자소개

허인회(Heo In HoI)

Dep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Joongbu University, Korea.

홍영기(Young Gi-Hong)
../../Resources/kiee/KIEE.2021.70.4.648/au2.png

Young_Gi Hong is a Technical Adviser at R&D Center of Dongwoo Electric. Corp.

He was born in Seoul, Korea on 25 January 1961.

He received the B.Eng., M.Eng., and Ph.D. degrees in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from Sogang University, Korea in 1983, 1985 and 2017, respectively.

His major research fields are polymeric insulation materials, polymer process and rheology.

박재준(Jae-Jun Park)
../../Resources/kiee/KIEE.2021.70.4.648/au3.png

He is a Professor of Department of Electrical Electronics Engineering at Joongbu University, Korea.

He was born in Jeonnam Gangjin, Korea on 23 May 1962.

He Received the B. Eng., M. Eng., and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wangwoon University, Korea in 1985, 1987 and 1993, respectively.

His research interest are high voltage insulation materials, polymer nanocomposites, HVDC Cable jointer and high voltage electric facilities diagnosis.

And Graphene production and dis- persion using electric field dispersion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