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Biomedical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Arterial stiffness, Photoplethysmogram(PPG), Regression model, Sequential forward search, Vascular aging

1. 서 론

동맥 경직도(arterial stiffness)는 심혈관 질환 위험도를 판단하기 위해 임상적으로 자주 활용되고 있는 주요 위험 인자 중의 하나이다(1). 동맥 경직도 평가를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지표로는 파형 증가지수(augmentation index)가 있다(2). 하지만 파형 증가지수를 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연속혈압은 침습적인 방법으로 측정되므로 환자에게 부담이 되며 일상생활 중 측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비침습적으로 혈관 경직도를 평가하기 위해 피부 내 미세혈관의 혈량 변화를 측정하는 광용적맥파(photoplethysmogram, PPG)를 사용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3). 이와 같은 연구들 대부분은 PPG 형태분석을 통해 혈관 경직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한다(4-7). 예를 들어, Dawber 등은 PPG를 이용하여 노화에 의해 혈관 경직도가 증가함에 따라 PPG 형태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PPG 파형 함몰부 극점(dicrotic notch)이 노화가 진행될수록 점차 사라지는 형태로 나타남을 발견하였다(4). Millasseau 등의 연구에서 PPG의 수축기 극점(systolic peak)과 이완기 극점(diastolic peak)의 진폭 비율이나 시간 차이를 기반으로 혈관 반사지수(reflection index, RI)와 경직지수(stiffness index, SI)를 각각 유도하였고, 이와 같은 지표들이 나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5,6). 또한, Yousef 등의 연구에서는 PPG의 수축기 진폭 대비 수축기와 이완기 진폭의 차이로 RI를 계산하였으며, RI가 나이에 따라 유의미하게 증가함을 보였다(7).

PPG는 심실 수축에 의해 발생된 입사파(incident wave)와 혈관 분기점에서의 임피던스 차이로 발생하는 반사파(reflected wave)의 합으로 구성된다(8). RI와 SI는 PPG의 입사파와 반사파 특징으로부터 유도된 개념이다. 하지만 Millasseau의 연구 및 Yousef의 연구에서 사용한 RI와 SI 계산 방법은 PPG의 입사파와 반사파의 분리가 아닌 합산된 상태에서 구해진 것이기 때문에 입사파와 반사파 특징을 정확히 반영한다고 볼 수 없으며 다른 외부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PPG의 입사파와 반사파를 분리하여 혈관 노화를 판단할 수 있는 상관성 높은 새로운 지표를 발굴하고, 발굴된 지표를 기반으로 혈관 노화를 추정할 수 있는 회귀 분석 모델을 개발한다.

2. 본 론

2.1 데이터

데이터는 총 1,000명의 피시험자로부터 획득 되었다. 두 명의 연구자가 육안으로 중복 확인하여 신호가 소실된 17명과 박동 구분 또는 형태 확인이 어려운 PPG 파형이 전체 구간의 50\% 이상 존재하는 226명을 분석에서 제외하였고, 총 757명의 피시험자(남 347명, 여 410명, 나이 56.2 ± 12.6세, 키 161.7 ± 8.5 cm, 몸무게 62.3 ± 11.6 kg) 데이터를 최종적으로 사용하였다. 데이터는 E-KIT(KTMED, Co. Ltd, Seoul, Korea)의 맥박산소포화도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수집되었으며, 측정 센서는 투과형으로 코의 주축(columella)과 비중격(nasal septum) 사이에 위치시켰다. 신호는 5분 동안 125 Hz 또는 250 Hz 표본화 주파수로 기록되었다. 데이터 획득은 서울아산병원 연구윤리 위원회 승인을 득한 후에 수행되었다(IRB No. 2015-0104).

2.2 신호처리

측정된 신호는 0.5-10 Hz 통과 대역을 가지는 FIR(finite impulse response) 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해 필터링한 후 박동별 파형의 시작점을 의미하는 하단 극점(pulse onset)을 검출하였다. 검출된 하단 극점을 기준으로 각 피시험자 PPG를 박동별로 분할하여 분절을 생성하였다. 이때 박동이 불규칙한 부정맥 파형, 입사파보다 반사파의 진폭이 큰 비정상 파형은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일정하지 않은 심박 간격으로 인해 각 박동별 샘플 수가 다르므로 각 분절이 1,000개의 동일한 샘플 수를 갖도록 선형보간 하였으며, 0에서 1까지의 진폭을 가지도록 정규화하였다.

2.3 기존 연구의 반사지수 및 경직지수 계산

혈관 노화에 따른 혈관 탄성 감소 및 혈관 경직도 증가는 PPG의 반사파 진폭을 증가시키고 반사파 도달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8). Millasseau 등과 Yousef 등의 기존 연구에서는 혈관 경직도 증가에 따른 PPG 반사파의 이와 같은 특징 변화에 기반하여 혈관 노화를 평가하는 지표로서 RI와 SI를 제안하였다(5-7). RI와 SI는 각각 PPG 입사파에 대한 반사파 진폭 비율, 반사파 도달시간을 통해 혈관 경직도를 수치화한다. 그림 1과 같이 Millasseau 등의 기존 연구에서 RI(Millasseau)는 PPG의 수축기 극점에 대한 이완기 극점의 진폭 비율로 계산되며, SI(Millasseau)는 피시험자 키를 PPG의 수축기 극점과 이완기 극점의 시간 차이로 나누어 구해진다(5,6). 또한, Yousef 등의 연구에서 제안한 RI(Yousef)는 PPG의 수축기 극점과 이완기 극점의 진폭 차이와 수축기 진폭의 비율로 계산된다(7). 여기서, sys, dia, s-d, 는 각각 PPG의 수축기 극점의 진폭, 이완기 극점의 진폭, 수축기와 이완기 극점의 시간 간격, 피시험자의 키를 나타낸다.

그림. 1. Millasseau 등의 연구(5,6)와 Yousef 등의 연구(7)에서 제안한 RI(RIMillasseau, RIYousef), SI(SIMillasseau)의 계산 (Ampsys: 수축기 극점의 진폭, Ampdia: 이완기 극점의 진폭, h: 피시험자의 키, △Ts-d: 수축기와 이완기 극점의 시간 간격)

Fig. 1. Reflection and stiffness index calculated with PPG features in the study by Millasseau et al. and Yousef et al. (5-7) (Ampdia: amplitude of systolic peak, Ampdia: amplitude of diastolic peak, h: height of subject, △Ts-d: time difference between systolic and diastolic peak)

../../Resources/kiee/KIEE.2021.70.4.700/fig1.png

그림. 2. PPG의 입사파와 반사파 후보 지표 생성을 위한 특징점

Fig. 2. Characteristics of PPG’s incident and reflected wave for deriving candidate features

../../Resources/kiee/KIEE.2021.70.4.700/fig2.png

2.4 혈관 노화 추정을 위한 PPG 입사파, 반사파 지표

PPG의 입사파와 반사파 분리를 위한 이전 연구에서 사용한 가우시안 혼합 모델(Gaussian mixture model)을 이용하여 각 PPG 분절을 그림 2와 같이 입사파 1개와 반사파 1개의 총 2개 파형으로 분리하였다(9,10). 파형 분리의 정확도 확인을 위해 분리된 입사파와 반사파로부터 PPG 파형을 재구성하였다. 원래의 PPG와 재구성된 PPG의 상관계수가 0.9 미만일 경우나 반사파 극점의 진폭(peak-amp)이 입사파 극점의 진폭(peak-amp) 보다 큰 경우 그 분절은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PPG에서 분리한 입사파와 반사파로부터 혈관 노화 추정 모델 개발에 사용할 후보 지표를 생성하였다. 표 1과 같이 입사파와 반사파의 각 파형에 대해 최대 극점의 진폭과 시간, 파형의 전체 면적과 시간, 왜도(skewness)와 첨도(kurtosis)를 나타내는 지표 12개와 입사파와 반사파를 합쳐 재구성한 PPG 파형으로부터 전체 면적과 시간, 왜도와 첨도를 나타내는 지표 4개의 총 16개 지표를 생성하여 이와 같은 지표들을 기본 지표로 정의하였다.

또한, 표 2와 같이 16개의 기본 지표에서 시간 관련 지표와 진폭 관련 지표로 분리한 후 각각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 20개를 추가하여 이것들을 조합 지표로 정의하였다. 회귀 분석 모델 개발을 위해 사용할 기본 지표 16개와 조합 지표 20개의 총 36개 후보 지표를 생성하였다.

표 1. PPG의 입사파, 반사파, 입사파와 반사파를 합쳐 재구성한 PPG로부터 생성한 기본 지표

Table 1. Primary features extracted from incident wave, reflected wave and reconstructed PPG

Pulse

wave

Feature

Definition

Incident

Incpeak-amp

Amplitude of incident wave’s peak

Incpeak-time

Time of incident wave’s peak

Incarea

Area of incident wave

Inctime

Time period of incident wave

Incskew

Skewness of incident wave

Inckurt

Kurtosis of incident wave

Reflected

Refpeak-amp

Amplitude of reflected wave’s peak

Refpeak-time

Time of reflected wave’s peak

Refarea

Area of reflected wave

Reftime

Time period of reflected wave

Refskew

Skewness of reflected wave

Refkurt

Kurtosis of reflected wave

Incident

+

Reflected

PPGarea

Area of reconstructed PPG

PPGtime

Time period of reconstructed PPG

PPGskew

Skewness of reconstructed PPG

PPGkurt

Kurtosis of reconstructed PPG

표 2. PPG 입사파와 반사파의 기본 지표를 이용해 생성한 시간과 진폭 도메인의 조합 지표

Table 2. Combined features derived from the primary features of PPG’s incident and reflected wave in temporal and spatial domain

Domain

Feature

Domain

Feature

Temporal

Incpeak-time/PPGtime

Spatial

Incpeak-amp/PPGarea

Inctime/PPGtime

Incarea/PPGarea

Refpeak-time/PPGtime

Refpeak-amp/PPGarea

Reftime/PPGtime

Refarea/PPGarea

Incpeak-time/Inctime

Incpeak-amp/Incarea

Refpeak-time/Inctime

Refpeak-amp/Incarea

Reftime/Inctime

Refarea/Incarea

Incpeak-time/Reftime

Incpeak-amp/Refarea

Refpeak-time/Reftime

Refpeak-amp/Refarea

Incpeak-time/Refpeak-time

Incpeak-amp/Refpeak-amp

2.5 혈관 노화 추정 모델 개발

PPG 입사파와 반사파 지표의 최적 조합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순차 전방 탐색(sequential forward search, SFS)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혈관 노화 추정을 위한 지표 탐색 및 모델을 개발하였다. 탐색된 지표 간의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이 존재할 경우 회귀 분석의 정확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분산 팽창 계수(variance inflation factor, VIF)를 계산하여 다중공선성을 제거하였다. 혈관 노화 추정을 위한 모델은 선형(linear) 또는 2차 다항식 (2 order polynomial) 회귀 분석을 통해 개발되었다. 그림 3은 PPG 입사파, 반사파 후보 지표를 입력으로 넣어 SFS와 VIF 방법을 사용하여 혈관 노화 추정 모델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SFS는 후보 지표를 하나씩 추가하면서 생성된 모델을 통해 추정된 나이와 실제 나이의 평균 제곱근 오차(root mean square error, RMSE)를 줄여가며 향상된 성능의 모델을 만든다. VIF는 SFS의 지표 추가 단계에서 지표 간의 VIF를 계산하여 그 값이 10을 초과하는 지표가 존재할 경우 해당 모델은 다음 단계의 모델 생성에서 제외되었다. 또한, 현재 생성된 모델이 이전 단계의 모델보다 RMSE가 0.1 이상 감소하는 성능 향상을 보이지 않으면 지표 추가를 중단하였으며 이전 단계의 모델을 최종 모델로 결정하였다.

그림. 3. 순차 전방 탐색(sequential forward search, SFS)과 분산 팽창 계수(variance inflation factor, VIF) 방법을 이용한 혈관 노화 추정 모델 개발 순서도

Fig. 3. Workflow for the development of vascular aging assessment model using sequential forward search (SFS) and variance inflation factor (VIF)

../../Resources/kiee/KIEE.2021.70.4.700/fig3.png

2.6 통계검정

선형 또는 2차 다항식 회귀 분석 기반의 혈관 노화 추정 모델 개발을 위해 선정된 PPG의 입사파, 반사파 지표와 실제 나이의 상관관계(correlation coefficient)를 확인하였다. 실제 나이와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지표를 이용한 회귀 분석을 통해 개발된 모델이 추정한 나이의 실제 나이와의 RMSE,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를 각각 계산하였다. 또한, 나이 추정 성능이 가장 뛰어난 선형과 2차 다항식 비선형 회귀 모델의 실제 나이와의 상관관계를 계산하여 Millasseau 등과 Yousef 등의 기존 연구에서 소개한 RI, SI와 서로 비교하였다.

표 3. PPG의 입사파, 반사파, 입사파와 반사파를 합쳐 재구성한 PPG로부터 생성한 기본 후보 지표의 나이와 상관관계(R)와 p-value

Table 3.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value of primary candidate features extracted from incident wave, reflected wave and reconstructed PPG

Source wave

Feature

R

p-value

Incident

Incpeak-amp

0.06

0.11

Incpeak-time

0.22

***

Incarea

0.15

***

Inctime

0.17

***

Incskew

-0.16

***

Inckurt

-0.18

***

Reflected

Refpeak-amp

-0.42

***

Refpeak-time

0.09

*

Refarea

-0.45

***

Reftime

0.02

0.59

Refskew

0.19

***

Refkurt

0.18

***

Incident

+

Reflected

PPGarea

-0.39

***

PPGtime

0.08

*

PPGskew

0.40

***

PPGkurt

0.04

0.23

3. 결과 및 토의

3.1 PPG 지표와 실제 나이 간의 상관관계

PPG의 입사파, 반사파, 입사파와 반사파를 합쳐 재구성한 PPG로부터 생성한 16개의 기본 지표와 20개의 조합 지표의 나이와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표 3과 같이 기본 지표의 나이와 상관관계를 확인했을 때, 반사파 또는 재구성 PPG로부터 생성한 지표의 상관계수가 입사파로부터 생성한 지표보다 대체로 높았다. 또한, 시간 도메인 지표보다는 진폭 도메인 지표나 PPG 파형의 왜도를 나타내는 지표의 상관계수가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개별 지표끼리 비교했을 때는 area, peak-amp, skew 순으로 상관계수의 절대값 크기가 가장 컸으며, 그 값은 각각 –0.45, -0.42, 0.40 이였다. 또한, 기본 지표 중에서 peak-amp, time, kurt의 3개 지표는 나이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아 혈관 노화 추정을 위한 회귀 분석 모델 개발의 지표 입력에서 제외되었다(-value > 0.05).

표 4는 기본 지표의 조합으로 생성된 조합 지표의 나이와 상관관계를 보여 주고 있다. 조합 지표에서도 기본 지표와 동일하게 시간 도메인보다는 진폭 도메인의 지표가 나이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합 지표의 기본 지표와의 비교 결과, 나이와 상관관계가 낮았던 기본 지표가 다른 지표와의 조합을 통해 그 상관계수가 대체로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상관관계가 높았던 기본 지표들의 경우에는 다른 지표들과 조합을 통해 상관계수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주고 있다.

표 4. PPG 입사파와 반사파의 기본 지표의 조합으로 생성된 시간과 진폭의 조합 후보 지표의 나이와 상관관계(R)와 p-value

Table 4.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value of combined candidate features created from primary candidate features of PPG incident wave, reflected wave and reconstructed PPG

Domain

Feature

R

p-value

Temporal

Incpeak-time/PPGtime

0.22

***

Inctime/PPGtime

0.19

***

Refpeak-time/PPGtime

0.12

**

Reftime/PPGtime

-0.19

***

Incpeak-time/Inctime

0.20

***

Refpeak-time/Inctime

-0.12

***

Reftime/Inctime

-0.23

***

Incpeak-time/Reftime

0.23

***

Refpeak-time/Reftime

0.16

***

Incpeak-time/Refpeak-time

0.15

***

Spatial

Incpeak-amp/PPGarea

0.28

***

Incarea/PPGarea

0.34

***

Refpeak-amp/PPGarea

-0.33

***

Refarea/PPGarea

-0.34

***

Incpeak-amp/Incarea

-0.17

***

Refpeak-amp/Incarea

-0.38

***

Refarea/Incarea

-0.36

***

Incpeak-amp/Refarea

0.31

***

Refpeak-amp/Refarea

0.19

***

Incpeak-amp/Refpeak-amp

0.32

***

3.2 혈관 노화 추정을 위한 회귀 모델 개발

표 5와 같이 혈관 노화 추정을 위해 개발된 선형 회귀 모델과 2차 다항식 비선형 회귀 모델을 비교하였다. 선형과 2차 다항식 비선형 모델 모두 지표가 하나씩 추가됨에 따라 RMSE는 감소하고, 결정계수와 상관계수는 증가함을 보였다. 선형 회귀 분석에서는 최대 4개 지표까지 포함되는 최종 모델이 개발되었으며, 2차 다항식 비선형 회귀 분석에서는 최대 5개 지표까지 포함되는 최종 모델이 개발되었다. 선형 회귀 분석의 경우 area, peak-amp/area, peak-time, peak-amp/peak-amp의 4개 지표를 사용한 모델이 10.1세의 가장 낮은 RMSE를 나타냈으며, 2차 다항식 비선형 회귀 분석에서는 skew, kurt, peak-time, area, peak-amp의 5개 지표를 사용한 모델이 9.6세의 가장 낮은 RMSE를 보여 주었다. 4개 지표를 사용한 선형과 2차 다항식 비선형 모델을 비교했을 때 2차 다항식 비선형 모델이 10.0세의 RMSE를 나타내어 10.1세의 RMSE를 나타내는 선형 모델보다 혈관 노화 추정 성능이 뛰어났다.

표 5. 혈관 노화 추정을 위해 제안한 선형 회귀 모델과 2차 다항식 비선형 회귀 모델의 비교를 위해 계산한 평균 제곱근 오차(RMSE), 결정계수(R2), 상관계수(R)

Table 5. Root mean square error (RMS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and correlation coefficient (R) to compare the linear regression model and the 2nd order polynomial non-linear regression model proposed for vascular aging assessment

Type of

regression model

Feature

Number of

feature

RMSE

(yrs.)

R2

R

Linear

Refarea

1

11.3

0.20

0.45

+ Incpeak-amp/Refarea

2

10.8

0.27

0.52

+ Incpeak-time

3

10.5

0.32

0.57

+ Incpeak-amp/Refpeak-amp

4

10.1

0.36

0.60

Non-linear

(2nd order polynomial)

PPGskew

1

11.3

0.21

0.45

+ Inckurt

2

10.7

0.29

0.54

+ Incpeak-time

3

10.5

0.32

0.56

+ Incarea

4

10.0

0.39

0.62

+ Refpeak-amp

5

9.6

0.43

0.65

RMSE 10.1세의 결과를 보여준 4개 지표 이용한 선형 회귀 모델은 각 지표의 회귀 계수를 계산하여 식(1)과 같이 회귀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종속변수 Y는 피시험자에 대한 추정 나이를, 독립변수 1, 2, 3, 4는 각각 area, peak-amp/ area, peak-time, peak-amp/peak-amp를 의미한다.

(1)
$Y =$$804.47-1.68X_{1}+83932.39X_{2}-776.80X_{4}-426.59X_{1}X_{2}$ $+1.73X_{1}X_{4}-235290.32X_{2}X_{3}+38624.59X_{2}X_{4}$ $+716.99X_{3}X_{4}$

4개 지표 기반 선형 회귀 모델의 회귀식을 통해 추정한 피시험자의 나이를 실제 나이와 대응하여 그림 4와 같이 산포도로 작성하여 모델의 결정계수와 함께 나타냈다. 실제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추정 나이 또한 증가하는 양상으로 추정됨을 알 수 있었으며, 개발된 선형 모델의 결정계수는 0.36으로 나타났다.

RMSE 9.6세의 가장 좋은 혈관 노화 추정 성능을 보인 5개 지표 기반 2차 다항식 비선형 모델은 각 지표에 대한 회귀 계수를 계산하여 식(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종속변수 Y는 피시험자에 대한 추정 나이를, 독립변수 1, 2, 3, 4, 5는 각각 skew, kurt, peak-time, area, peak-amp 지표를 의미한다.

(2)
$Y = -921.73+226.06X_{2}+544.65X_{3}+2.46X_{4}+1435.95X_{5}$ $ -96.88X_{1}X_{2}-1654.57X_{1}X_{3}+1.77X_{1}X_{4}+417.21X_{1}X_{5}$ $ +721.24X_{2}X_{3}-1.30X_{2}X_{4}-262.18X_{2}X_{5}-3095.74X_{3}X_{5}$ $ +121.03X_{1}^{2}$

그림. 4. PPG의 입사파와 반사파 지표 4개를 통해 개발된 선형 회귀 모델의 실제 나이에 대한 추정 나이의 산포도와 해당 모델의 결정계수

Fig. 4. Scatter plot an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for the linear model developed with 4 features from PPG incident and reflected wave

../../Resources/kiee/KIEE.2021.70.4.700/fig4.png

그림. 5. PPG의 입사파와 반사파 지표 5개를 통해 개발한 2차 다항식 회귀 모델의 실제 나이에 대한 추정 나이의 산포도와 해당 모델의 결정계수

Fig. 5. Scatter plot an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for the 2nd order polynomial model developed with 5 features from PPG incident and reflected wave

../../Resources/kiee/KIEE.2021.70.4.700/fig5.png

그림 5는 PPG의 입사파와 반사파 지표 5개를 이용해 개발한 2차 다항식 비선형 회귀 모델이 추정한 나이를 실제 나이에 대한 산포도로 작성한 그래프와 그 모델의 결정계수를 나타낸다. 산포도를 통해 확인한 결과 실제 나이와 2차 다항식 모델에 의해 추정된 나이가 선형 관계를 보였으며 해당 모델의 결정계수가 0.43으로 나타났다.

3.3 혈관 노화 추정에 대한 제안 모델과 기존 모델 비교

표 6은 기존 연구에서 소개된 모델과 이 연구에서 제안한 4개 지표 기반 선형과 5개 지표 기반 2차 다항식 모델의 상관계수와 -value 비교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Millasseau 등의 연구에서의 RI와 SI는 실제 나이와의 상관계수가 각각 –0.33, –0.29로, Yousef 등의 연구에서의 RI는 나이와의 상관계수가 0.33으로 모두 약한 상관관계를 보여 주고 있다(-value < 0.001)(11). 이 연구에서 제안한 선형 모델과 2차 다항식 모델의 상관계수는 각각 0.60, 0.65으로 계산되어(-value < 0.001), 기존 연구에서 소개된 RI와 SI보다 상관계수가 컸으며 나이와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PPG의 입사파와 반사파로부터 생성한 지표를 기반으로 개발된 선형 또는 2차 다항식 회귀 분석 모델이 혈관 노화 추정에 있어 기존 연구의 RI와 SI보다 더 뛰어난 성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연구에서 개발된 선형과 2차 다항식 비선형 회귀 모델은 Chiarelli 등의 기존 연구(12)에서 PPG와 ECG (electrocardiogram)의 시간, 진폭, 2차 미분 지표를 기반으로 개발된 선형 모델과 비선형 모델의 추정 성능(선형: RMSE 11세, 비선형: RMSE 12세)과 비교하여 우수한 혈관 노화 추정 성능을 보였다.

표 6. 기존 연구에서 소개된 모델과 이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 비교를 위해 계산한 평균 제곱근 오차(RMSE), 상관계수(R), p-value

Table 6. Root mean square error (RMS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value to compare the proposed model to the previously introduced model

Study

Type of regression model

Feature

RMSE

(yrs.)

R

p-value

Proposed

Linear

Refarea

+ Incpeak-amp/Refarea

+ Incpeak-time

+Incpeak-amp/Refpeak-amp

10.1

0.60

***

Non-linear

(2nd order polynomial)

PPGskew

+ Inckurt

+ Incpeak-time

+ Incarea

+ Refpeak-amp

9.6

0.65

***

Millasseau et al.

(5,6)

Linear

$$\frac{A m p_{\text {dia }}}{A m p_{\text {sys }}}$$

N/A

-0.33

***

Linear

$$ \frac{h}{\Delta T_{s-d}} $$

N/A

-0.29

***

Yousef

et al. (7)

Linear

$$ \frac{A m p_{\text {sys }}-A m p_{\text {dia }}}{A m p_{\text {sys }}} $$

N/A

0.33

***

Chiarelli et al. (12)

Linear

PPG & ECG feature

12

0.64

***

Non-linear

(ANN)

PPG & ECG feature

11

0.74

***

ECG: electrocardiogram, ANN: artifical neural network, R: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 p-value<0.001

4. 결 론

PPG의 입사파와 반사파로부터 정의된 지표 중 반사파 진폭 관련 지표 또는 PPG 왜도를 나타내는 지표가 나이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탐색된 지표를 이용하여 개발된 회귀 모델 또한 기존 연구에서 제안된 RI와 SI보다 나이와 높은 상관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 제안한 회귀 분석 모델은 약 10세의 실제 나이 추정 오차를 보였으며 보다 정교한 모델을 사용한 혈관 노화 추정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추정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더욱 관련성 높은 지표와 정교한 모델의 사용을 고려할 수 있으며 머신러닝은 이러한 관점에서 좋은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머신러닝을 적용한 지표 탐색 및 모델 개발이 수행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더욱 정교한 혈관 노화 추정이 가능해질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이 연구는 2018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NRF-2018R1D1A3B07046442),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No. NRF-2016M3A9F1941328)의 지원으로 이루어진 연구로서, 관계부처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S. P. Laurent, P. Boutouyrie, 2007, Recent advances in arterial stiffness and wave reflection in human hypertension, Hypertension, Vol. 49, No. 6, pp. 1202-1206DOI
2 
J. P. Murgo, N. Westerhof, J. P. Giolma, S. A. Altobelli, 1980, Aortic input impedance in normal man: relationship to pressure wave forms, Circulation, Vol. 62, No. 1, pp. 105-116Google Search
3 
A. Challoner, 1979, Photoelectric plethysmography for estimating cutaneous blood flow, Non-invasive physiological measurements, Vol. 1, pp. 125-151Google Search
4 
T. R. Dawber, H. E. THomas Jr, P. M. McNamara, 1973, Characteristics of the dicrotic notch of the arterial pulse wave in coronary heart disease, Angiology, Vol. 24, No. 4, pp. 244-255DOI
5 
S. C. Millasseau, R. Kelly, J. Ritter, P. Chowienczyk, 2002, Determination of age-related increases in large artery stiffness by digital pulse contour analysis, Clinical science, Vol. 103, No. 4, pp. 371-377DOI
6 
S. C. Millasseau, R. P. Kelly, J. M. Ritter, P. J. Chowienczyk, 2003, The vascular impact of aging and vasoactive drugs: comparison of two digital volume pulse measurements, American journal of hypertension, Vol. 16, No. 6, pp. 467-472DOI
7 
Q. Yousef, M. Reaz, M. A. M. Ali, 2012, The analysis of PPG morpholog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aging on arterial compliance, Measurement Science Review, Vol. 12, No. 6, pp. 266-271Google Search
8 
S. C. Millasseau, J. M. Ritter, K. Takazawa, P. J. Chowienczyk, 2006, Contour analysis of the photoplethysmographic pulse measured at the finger, Journal of hypertension, Vol. 24, No. 8, pp. 1449-1456DOI
9 
J. W. Kim, H. S. Seok, H. Shin, 2018, Photoplethysmographic waveform modeling based on Gaussian Mixture Model with Expectation-maximization algorithm, presented at the 2018 Conference on Information and Control SystemsGoogle Search
10 
D. A. Reynolds, 1995, Speaker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using Gaussian mixture speaker models, Speech communication, Vol. 17, No. 1-2, pp. 91-108DOI
11 
J. Park, D. Roh, H. Shin, 2020, Correlation analysis of aging with the reflective and stiffness index of the photoplethysmogram, presented at the 2020 Conference on Information and Control SystemsGoogle Search
12 
A. M. Chiarelli, 2019, Data-driven assessment of cardiovascular ageing through multisite photoplethysmography and electrocardiography, Medical engineering & physics, Vol. 73, pp. 39-50Google Search

저자소개

박준영(Junyung Park)
../../Resources/kiee/KIEE.2021.70.4.700/au1.png

J. Park received the B.S. degree in biomedical engineering from Konkuk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2008.

He is currently pursuing the Ph.D. degree in biomedical engineering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Yeosu, South Korea.

신항식(Hangsik Shin)
../../Resources/kiee/KIEE.2021.70.4.700/au2.png

H. Shin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from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in 2003, in 2005 and 2010, respectively.

In 2010, he joined the Digital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of Samsung Electronics, Co. Ltd., Korea.

Since August 2013, he has been with the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Yeosu, Korea, where he is an Associate Professor.

His research area includes biomedical signal processing, physiological modeling and computer simulation, u-Healthcare and mobile healthcare Technolo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