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Korea.)



EMTP-RV, FRDWT, Frequency Estimation, GCDFT, Hybrid Power Grid, PAD

1. 서 론

전력망 주파수는 전력계통의 매우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주파수 측정 및 주파수 편이 추정은 V/F 계전기에 사용되는 것 뿐만 아니라, 전력망의 외란과 같은 비정상적인 상태 감지, 재생에너지원의 감시 및 안정도 판별의 지표로 사용된다. 근래, 제9차 전력수급계획,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RE100 등으로 재생에너지원의 확대보급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변동성이 심한 재생에너지원 (RES : Renewable Energy Sources)의 계통연계를 대비한 안정적인 운영 기술이 요구된다. Hybrid 전력망은 두 전력망의 이점을 활용하기 위해 AC-DC 컨버터를 통해 AC 및 DC 전력망을 함께 연결함으로써 효율적인 전력계통 설계, 운영, 재생에너지 수용 능력의 확보 및 도심지역에서의 부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그 가치가 높아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1-5).

현재 전력망 주파수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측정, 추정할 수 있도록 DSP (Digital Signal Processing) 기법을 도입한 디지털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전력망의 과도 및 동적신호를 분석하는 FT (Fourier Transform)를 사용하는 기법으로, 코사인 필터 및 사인 필터의 이득을 보정한 정확한 주파수 측정 기법(6), 고속 FIR (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 DFT 필터에 의한 두 페이저의 위상을 이용하는 알고리즘(7) 등이 제안되었다. 또한, Interpolated DFT 기반 Goertzel 알고리즘을 제시하여 주파수 요소의 계산과 광범위한 전력품질 주파수 모니터링에 응용되었다(8).

그런데, WT (Wavelet Transform)는 FT에 비교하여 MRA (Multi-Resolution Analysis)를 통하여 신호의 특이성 처리에 매우 좋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력계통 해석, 계측 및 고장검출 분야에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또한, 반복 이산 웨이브릿 변환 (RDWT : Recursive Discrete Wavelet Transform)을 적용한 주파수 측정 기법(9), PMU에 사용되는 페이저 및 주파수 추정 알고리즘(10), IRDWT (Improved Recursive Discrete Wavelet Transform)와 FRDWT (Fast Recursive Discrete Wavelet Transform)에 대한 기법(11), 적응형 RDWT 기반 비공칭 주파수 조건에서 전력계통 변동 실시간 측정에 관한 연구(12) 등이 발표되었다. 이외에 WT 기반 전압 Sag 검출기법(13), WT를 이용한 LVDC (Low Voltage Direct Current) 마이크로그리드의 고장 검출(14), 배전망의 HIF (High Impedance Fault) 검출하기 위하여 WT의 분석이 응용되고 있다(15).

본 논문에서는 FRDWT, GCDFT (Gain Compensator Discrete Fourier Transform), PAD (Phase Angle Difference)를 사용하여 Hybrid 전력망에서의 최적의 주파수 추정기법을 선정하고자 한다. EMTP-RV S/W에서 외란 및 고장을 발생시킨 국내 345kV 전력망 모델 데이터를 수집하여 3가지 기법의 주파수의 최대값, 최소값 및 추정오차율을 비교함으로써 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2. FRDWT를 이용한 전력망 주파수 추정

WT는 FT를 기반으로 구성되는데, STFT (Short-Time FT)와 비교하여 WT의 주요 차이점은 창 함수 (Window Function)의 특성을 갖는다(16). 시간 의존 신호 s(t)의 WT는 계수 $W_{s}(b,\:a)$의 집합을 찾아서 구성된다. FRDWT의 모 웨이브릿 (Mother Wavelet) $\Psi(t)$는 식(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10,13).

(1)
$\Psi(t)=\left(1+\sigma | t | +\dfrac{\sigma^{2}}{2}t^{2}\right)e^{-\sigma | t |}e^{i\overline{\omega_{0}}t}$

여기서, $\omega_{0}=2\pi$, $\sigma =2\pi /\sqrt{3}$이다. WT의 계수들은 신호 $v_{a}(t)$와 함수 $\Psi_{b,\:a}(t)$ 사이의 유사성으로 도출된다. 선택된 모 웨이브릿 $\Psi(t)$로부터 파생된 모든 함수 $\Psi_{b,\:a}(t)$는 식(2)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2)
$\Psi_{b,\:a}(t)= | a |^{-\dfrac{1}{2}}\Psi\left(\dfrac{t-b}{2}\right)$

여기서, $a$, $b$, $1/\sqrt{a}$는 각각 시간 팽창(dilating), 시간 이동(shifting), 에너지 정규화이다. 모 웨이브릿의 허용 여부를 조사하기 위한 FT $\hat\Psi(w)$는 식(3)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3)
$\hat\Psi(w)=\dfrac{6\sigma^{5}-2\sigma^{3}(w-w_{0})^{2}}{\left[\sigma^{2}+(w-w_{0})^{2}\right]^{3}}$

모 웨이브릿은 변조된 damping 함수이다. 주파수 $f$의 경우, 이산 복소수 WT는 식(4)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4)
$W_{v}(k T,\: f)=\sum_{n}v_{a}(n T)\sqrt{f}\overline{\Psi}[f(n T-k T)]\bullet T$

여기서, $n$과 $k$는 정수, $T$는 주기이다. 신호 $v_{a}(t)$의 DWT는 Riemann sum으로 직접 계산할 수 있다. $T$를 샘플링 주기, $b=k T$, $k$,$n$을 정수로 가정할 때, 복소 WT는 주파수 $f$와 범위 $k T$에서 신호 $v_{a}(t)$의 특성을 나타낸다. 실시간으로 구현할 때, 이 WT의 재귀 알고리즘은 식(5), (6)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5)
\begin{align*} W_{v}^{+}(k T,\:f)=v_{a}(k T)+\delta_{1}v_{a}[(k-1)T]+\delta_{2}v_{a}[(k-2)T]\\ -\lambda_{1}W_{s}^{+}[(k-1)T,\:f]-\lambda_{2}W_{s}^{+}[(k-2)T,\:f]\\ -\lambda_{3}W_{s}^{+}[(k-3)T,\:f] \end{align*}

(6)
\begin{align*} W_{v}^{-}(k T,\:f)=(\overline{\delta_{1}}-\overline{\lambda_{1}})v_{a}[(k+1)T]+(\overline{\delta_{2}}-\overline{\lambda_{2}})v_{a}[(k+2)T]\\ +(\overline{\delta_{3}}-\overline{\lambda_{3}})v_{a}[(k+3)T]-\overline{\lambda_{1}}W^{-}[(k+1)T,\:f]\\ -\overline{\lambda_{2}}W^{-}[(k+2)T,\:f]-\overline{\lambda_{3}}W^{-}[(k+3)T,\:f] \end{align*}

그리고, 주파수 $f$와 범위 $k T$에 연계된 FRDWT 웨이브릿 계수는 식(7)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7)
$W_{v}(k T,\:f)=T\sqrt{f}\left[W_{v}^{+}(k T,\:f)+W_{v}^{-}(k T,\:f)\right]$

식(7)을 활용하여 계수 $E(k)$, 상차각 $\theta(k)$, 추정 주파수 $\hat f_{FRDWT}(k)$는 식(8), (9), (10)과 같이 각각 표현할 수 있다.

(8)
$E(k)=W_{v}(k T)/v_{a}(k)$

(9)
$\theta(k)=\tan^{-1}\left(\dfrac{E(k+1)-E(k)}{\triangle T}\right)$

(10)
$\hat f_{FRDWT}(k)=\left(\dfrac{w_{0}}{a}-\dfrac{\theta(k+1)-\theta(k)}{\triangle T}\right)/2\pi$

3. PAD를 이용한 전력망 주파수 추정

이 기법은 DFT 필터를 이용하여 추출된 기본 주파수 성분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사용하여 계산된다. 그림 1은 기본 주파수를 갖는 전압 페이저의 회전을 나타내는데, $n$번째와 $n+1$번째 데이터 창에 따라서 기본 주파수 페이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주기당 동일한 간격으로 48샘플링한 경우 위상차는 7.5˚가 된다(7,17).

그림. 1. 데이터 창에 따른 전압페이저의 회전

Fig. 1. Rotation of voltage phasor according to data window

../../Resources/kiee/KIEE.2021.70.8.1110/fig1.png

그림 1에서 $v_{a}(t)$의 $n+1$번째 데이터 창에 대응되는 샘플의 위상은 $\theta_{n+1}$, $v_{a}(t)$의 $n$번째 데이터 창에 대응되는 샘플의 위상은 $\theta_{n}$, 신호 $a$상의 $n+1$번째 데이터 창에 대응되는 샘플의 전압은 $\overline{v}_{a(n+1)}$, 신호 $a$상의 $n$번째 데이터 창에 대응되는 샘플의 전압 $\overline{v}_{a(n)}$을 나타낸다. 기본 주파수 페이저를 $n$번째와 $n+1$번째 데이터 창에 따라 PAD는 식(11), (12)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11)
$\theta_{n+1}-\theta_{n}=\tan^{-1}\left[\dfrac{v_{ai(n+1)}}{v_{ar(n+1)}}\right]-\tan^{-1}\left[\dfrac{v_{ai(n)}}{v_{ar(n)}}\right]$

(12)
$\theta_{n+1}-\theta_{n}=\tan^{-1}\left[\dfrac{v_{arn}v_{ai(n+1)}-v_{ai n}v_{ar(n+1)}}{v_{arn}v_{ar(n+1)}+v_{ai n}v_{ai(n+1)}}\right]$

주파수가 $f$인 페이저에 대한 추정 주파수 $\hat f_{PAD}$는 식(13)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13)
$\hat f_{PAD}=\dfrac{\theta_{n+1}-\theta_{n}}{\dfrac{2\pi}{F_{s}}}$

여기서, $F_{s}$는 샘플링 주파수이다. 식(13)은 위상각이 $f_{0}$과 같다고 가정한 필터를 사용하여 계산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4. GCDFT를 이용한 전력망 주파수 추정

이 기법은 먼저, 신호 $v_{a}(t)$를 코사인 필터 및 사인 필터로 구성된 DFT 필터에 의하여 주파수에 관계없이 위상이 직교하는 주파수 성분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사용하여 계산된다. 주파수 $f$는 식(14)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6,18).

(14)
$f\approx\dfrac{1}{\pi T}\bullet\dfrac{(v_{ar}(n)+v_{ar}(n-1))v_{ai}'(n)+(v_{ai}(n)+v_{ai}(n-1))v_{ar}'(n)}{(v_{ai}(n)+v_{ai}(n-1))^{2}+(v_{ar}(n)+v_{ar}(n-1))^{2}}$

여기서, $v_{ar}$은 $a$상 전압의 실수부이고, $v_{ai}$는 $a$상 전압의 허수부, $v_{ar}'$, $v_{ai}'$는 미분값이다. 각 샘플링 간격 구간에서 선형성을 가정했기 때문에 주파수 추정에서 식(15)과 같이 표현할 수 있는 이득 오차를 보정해야한다.

(15)
$f_{err}=\dfrac{2\pi^{2}f^{3}\Delta T^{2}}{3}$

따라서, 추정 주파수 $\hat f_{\gcd FT}$는 $f_{err}$를 고려하여 식(16)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16)
$\hat f_{\gcd FT}=f+f_{err}$

최종적으로, 상기에서 제시한 3가지 기법의 추정오차율 $E_{rr}$는 식(17)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f_{e}$는 추정된 주파수이다.

(17)
$E_{rr}=\dfrac{\left | f_{e}-f\right |}{f}\times 100\%$

5. 사례연구

5.1 345kV 전력망 모델

제시한 3가지 주파수 추정 기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345kV 전력망을 EMTP-RV S/W를 이용하여 모델링한 데이터를 활용하였다(19). 총 154개의 발전기로 구성된 345kV 전력망 모델의 총 발전량은 57,654.76MVA 이다. 사례연구를 위하여 울진 N/P의 발전기 탈락, 신안산의 부하 탈락, 청양-신옥천 T/L의 1선지락, 청원-신진천 T/L의 2선지락, 신시흥-신성남 T/L의 2선단락 등의 다양한 외란 및 고장을 시뮬레이션하였다. Hybrid 전력망의 영향분석을 위하여 시뮬레이션 발생 장소에서 가까운 신태백, 신시흥, 신김제, 신옥천, 동서울 등의 5지역을 선정하여, 성능검증의 데이터로 활용하였다. 본 시뮬레이션에서의 정규 주파수는 60Hz, 한 주기당 샘플은 48S/C로서 샘플링 주파수는 2,880Hz이다.

5.2 성능 평가

5.2.1 발전기 탈락

울진 N/P 5, 6호기가 0.51s (Data No. : 145)에서 탈락한 경우 3가지 기법에 의한 $a$상 전압의 추정 주파수는 그림 2에 나타내었다. 그림 2로부터 FRDWT는 발전기 탈락이 발생하여도 정규 주파수인 60Hz를 정확하게 추정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측정지점이 외란 지점과 가장 가까운 신태백에서 GCDFT는 58.31Hz, PAD는 57.99Hz로 가장 크게 변동하였다. 이후 거리가 멀수록 주파수 변동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림. 2. 발전기 탈락의 경우 추정된 주파수

Fig. 2. Estimated frequency under generator rejection

../../Resources/kiee/KIEE.2021.70.8.1110/fig2-1.png

../../Resources/kiee/KIEE.2021.70.8.1110/fig2-2.png

5.2.2 부하 탈락

신안산 117.1MVAR의 부하가 0.5s (Data No. : 145)에서 탈락한 경우 3가지 기법에 의한 $a$상 전압의 추정 주파수는 그림 3에 나타내었다. 그림 3으로부터 FRDWT는 부하 탈락이 발생하여도 정규 주파수인 60Hz를 정확하게 추정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측정지점이 외란 지점과 가장 가까운 신시흥에서 GCDFT는 60.11Hz, PAD는 60.13Hz로 가장 크게 변동하였다. 이후 거리가 멀수록 주파수 변동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림. 3. 부하 탈락의 경우 추정된 주파수

Fig. 3. Estimated frequency under load rejection

../../Resources/kiee/KIEE.2021.70.8.1110/fig3-1.png

../../Resources/kiee/KIEE.2021.70.8.1110/fig3-2.png

5.2.3 A상 지락고장

청양-신옥천 T/L의 $a$상 선로에서 0.53s (Data No. : 146)에서 지락고장이 발생한 경우 3가지 기법에 의한 $a$상 전압의 추정 주파수는 그림 4에서 나타내었다. 그림 4로부터 FRDWT는 $a$상 지락고장이 발생하여도 정규 주파수인 60Hz를 정확하게 추정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측정지점이 고장지점과 가장 가까운 신옥천에서 GCDFT는 54.62Hz, PAD는 55.24Hz로 가장 크게 변동하였다. 이후 거리가 멀수록 주파수 변동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림. 4. a상 지락고장의 경우 추정된 주파수

Fig. 4. Estimated frequency under a phase ground fault

../../Resources/kiee/KIEE.2021.70.8.1110/fig4-1.png

../../Resources/kiee/KIEE.2021.70.8.1110/fig4-2.png

5.2.4 결과 및 고찰

이 절에서는 발전기 탈락, 부하 탈락, 1선지락 ($a$상) 이외의 2선지락 ($ab$상), 2선단락 ($ac$상)고장의 시뮬레이션을 포함한 추정 주파수의 최대값과 최소값은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로부터 발전기 탈락이 발생하였을 때, 다른 기법에 비하여 PAD의 추정 주파수가 가장 크게 변화가 나타났으며, 신태백에서 최대 60.29Hz, 최소 57.99Hz, 신김제에서 최대 60.07Hz, 최소 59.86Hz로 주파수 변화가 나타났다. 부하 탈락이 발생하였을 때, PAD의 추정 주파수가 가장 크게 변화가 나타났으며, 신시흥에서 최대 60.13Hz, 최소 60.01Hz, 신김제에서 최대 60.05Hz, 최소 60.01Hz로 주파수 변화가 나타났다. $a$상 지락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GCDFT의 추정 주파수가 가장 크게 변화가 나타났으며, 신옥천에서 최대 65.07Hz, 최소 54.62Hz, 신시흥에서 최대 60.13Hz, 최소 59.96Hz로 주파수 변화가 나타났다. $ab$상 지락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PAD의 추정 주파수가 가장 크게 변화가 나타났으며, 신옥천에서 최대 61.61Hz, 최소 57.12Hz, 신태백에서 최대 60.19Hz, 최소 59.71Hz로 주파수 변화가 나타났다. $ac$상 단락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PAD의 추정 주파수가 가장 크게 변화가 나타났으며, 동서울에서 최대 62.95Hz, 최소 57.84Hz, 신김제에서 최대 60.72Hz, 최소 59.60Hz로 주파수 변화가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측정지점이 고장지점으로부터 멀수록 주파수가 진동하는 경향이 점차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a$상 지락고장에서 주파수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부하 탈락이 주파수 변화가 가장 작게 나타났다.

표 1. 추정 주파수의 최대값과 최소값

Table 1. Maximum and minimum value of estimated frequency

조건

지역명

FRDWT

GCDFT

PAD

max

min

max

min

max

min

발전기 탈락

동서울

60

60

60.04

59.38

60.07

59.29

신김제

60

60

60.05

59.84

60.07

59.86

신시흥

60

60

60.06

59.80

60.08

59.80

신태백

60

60

60.28

58.31

60.29

57.99

신옥천

60

60

60.05

59.70

60.07

59.67

부하

탈락

동서울

60

60

60.07

59.98

60.10

60.01

신김제

60

60

60.02

59.98

60.05

60.01

신시흥

60

60

60.11

59.98

60.13

60.01

신태백

60

60

60.03

59.98

60.05

60.01

신옥천

60

60

60.03

59.98

60.06

60.01

$a$상

지락고장

동서울

60

60

60.32

59.86

60.36

59.91

신김제

60

60

60.24

59.91

60.27

59.95

신시흥

60

60

60.13

59.96

60.17

59.99

신태백

60

60

60.19

59.94

60.23

59.98

신옥천

60

60

65.07

54.62

64.89

55.24

$ab$상

지락고장

동서울

60

60

60.16

59.55

60.22

59.50

신김제

60

60

60.46

59.33

60.43

59.42

신시흥

60

60

60.19

59.73

60.25

59.71

신태백

60

60

60.17

59.71

60.19

59.75

신옥천

60

60

61.36

57.50

61.61

57.12

$ac$상

단락고장

동서울

60

60

62.56

58.05

62.95

57.84

신김제

60

60

60.66

59.60

60.72

59.60

신시흥

60

60

61.94

58.65

62.43

58.69

신태백

60

60

61.77

58.29

61.93

58.34

신옥천

60

60

61.28

59.10

61.57

59.00

발전기 탈락, 부하 탈락, 1선지락 ($a$상) 이외의 2선지락 ($ab$상), 2선단락 ($ac$상) 고장의 시뮬레이션을 포함한 추정오차율은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로부터 발전기 탈락이 발생하였을 때, 다른 기법에 비하여 PAD에서 추정오차율이 3.3519%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부하 탈락이 발생하였을 때, PAD에서 추정오차율이 0.2152%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a$상 지락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GCDFT에서 추정오차율이 8.9643%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ab$상 지락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PAD에서 추정오차율이 4.7948%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ac$상 단락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PAD에서 추정오차율이 4.9086%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FRDWT를 이용한 전력망 주파수 추정기법은 고려된 외란 및 고장의 경우, 추정오차율이 0.0064%로 가장 작게 나타났다.

표 2. 추정 주파수의 추정오차율

Table 2. Estimation error ratio of estimated frequency

조건

지역명

FRDWT

GCDFT

PAD

추정오차율 (%)

추정오차율 (%)

추정오차율 (%)

발전기 탈락

동서울

0.0064

1.0263

1.1817

신김제

0.0064

0.2602

0.2362

신시흥

0.0064

0.3291

0.3348

신태백

0.0064

2.8152

3.3519

신옥천

0.0064

0.5058

0.5474

부하

탈락

동서울

0.0064

0.1182

0.1713

신김제

0.0064

0.0359

0.0835

신시흥

0.0064

0.1871

0.2152

신태백

0.0064

0.0421

0.0885

신옥천

0.0064

0.0528

0.1009

$a$상

지락고장

동서울

0.0064

0.5327

0.5935

신김제

0.0064

0.3964

0.4569

신시흥

0.0064

0.2227

0.2798

신태백

0.0064

0.3125

0.3764

신옥천

0.0064

8.9643

8.1441

$ab$상

지락고장

동서울

0.0064

0.7577

0.8406

신김제

0.0064

1.1115

0.9630

신시흥

0.0064

0.4508

0.4771

신태백

0.0064

0.4802

0.4192

신옥천

0.0064

4.1703

4.7948

$ac$상

단락고장

동서울

0.0064

4.2714

4.9086

신김제

0.0064

1.1040

1.2029

신시흥

0.0064

3.2272

4.0431

신태백

0.0064

2.9530

3.2114

신옥천

0.0064

2.1305

2.6111

6. 결 론

본 논문에서는 Hybrid 전력망 주파수 추정을 위해 EMTP-RV에 의한 국내 345kV 전력망 모델 데이터를 활용하여 FRDWT, GCDFT, PAD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발전기 탈락, 부하 탈락, 1선지락, 2선지락, 2선단락 등의 외란 및 고장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a$상 지락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GCDFT가 가장 크게 변화가 나타났으며, 신옥천에서 최대 65.07Hz, 최소 54.62Hz의 주파수 변화가 나타났다. 가장 적은 주파수 변화가 나타난 외란은 부하 탈락이며, PAD가 가장 크게 변화가 나타났으며, 신시흥에서 최대 60.13Hz, 최소 60.01Hz의 주파수 변화가 나타났다. 추정오차율이 가장 크게 나타난 경우는 $a$상 지락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GCDFT에서 8.9643%로 나타났으며, 가장 작게 나타난 경우는 FRDWT에서 0.0064%로 나타났다. 측정지점이 고장지점으로부터 멀수록 주파수가 진동하는 경향이 점차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고장을 포함한 외란에 대한 주파수 추정 성능은 FRDWT가 다른 GCDFT, PAD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X-mind Corps program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ICT (NRF-2017H1D8A1029391)

References

1 
Chul Won Park, 2011, Development of Network Based Frequency Monitoring and Fault Prediction System for Wide Area Intelligent Relaying, 2008 Energy R&D projects, Vol. final report, pp. 1-311Google Search
2 
Chul-Won Park, 2019, Development of a renewable Distributed Energy Resource real-time monitoring, analysis, and control system, Final Report, pp. 1-451Google Search
3 
Power System Research Society, 2021, The 1st Energy Conversion Power Grid Technology and Policy Forum, Energy Conversion Power Grid Research Group, pp. 1-68Google Search
4 
Power System Research Society, 2021, Energy Conversion Power System Operation, Special Workshop 1, pp. 1-40Google Search
5 
Power System Research Society, 2021, System Planning Technology to Improve The Acceptability of Renewable Energy, Special Workshop 2, pp. 1-52Google Search
6 
Chul-Won Park, 2010, Advanced Frequency Estimation Technique using Gain Compensation,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59p, No. 2, pp. 173-178Google Search
7 
Chul-Won Park, 2009, A Comparative Study of Frequency Estimation Techniques using High Speed FIR Filter and Phasor Angle between Two Phasor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58p, No. 2, pp. 122-129DOI
8 
Nuno M. Rodrigues, Fernando M. Janeiro, Pedro M. Ramos, 2020, Low-Cost Embedded Measurement System for Power Quality Frequency Monitoring, 2020 IEEE 1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atibility, Vol. power electronics and power engineering (cpe-powereng), No. , pp. 236-239DOI
9 
Yu-Hyeon Ban, Chul-Won Park, 2011, Frequency Estimation Method using Recursive Discrete Wavelet Transform for Fault Disturbance Recorder,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0, No. 8, pp. 1492-1501DOI
10 
Jae-Woo Kim, Dongmin Kim, Jung-Wook Park, 2014, Development of Phasor and Frequency Estimation Algorithm Using PMU, Domestic Conference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ic Engineers, pp. 217-218Google Search
11 
Yoon Sang Kim, Chul-Hwan Kim, Woo-Hyeon Ban, Chul- Won Park, 2013, A Comparative Study on Frequency Estimation Methods,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Vol. 8, No. 1, pp. 70-79DOI
12 
Ashrafian Abdolaziz, Mirsalim Mojtaba, A. S. Masoum Mohammad, 2018, An Adaptive Recursive Wavelet Based Algorithm for Real-Time Measurement of Power System Variables During Off-Nominal Frequency Conditions,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Informatics, Vol. 14, No. 3, pp. 818-828DOI
13 
Chul-Hwan Kim, Young-Hun Ko, 2000, The Detection of Voltage Sag using Wavelet Transform,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49a, No. 9, pp. 425-432Google Search
14 
Som Shreyasi, Ranjan Samantaray Subhransu, 2017, Wavelet based Fast Fault Detection in LVDC Micro-grid, 2017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wer Systems (ICPS), pp. 87-92DOI
15 
N. Lopes Gabriela, A. Lacerda Vin´ıcius, Carlos M. Vieira Jose, V. Coury Denis, 2020, Analysis of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for High Impedance Fault Detection in Distribution Systems, IEEE Transactions on Power Delivery, Vol. early access, pp. 1-10DOI
16 
Lin Xiang-ning, Liu Hai-feng, 2005, A Fast Recursive Wavelet Based Boundary Protection Scheme, in Proc. 2005 IEEE Power Engineering Society General Meeting, Vol. 1, pp. 722-727DOI
17 
T.S. Sidhu, 1999, Accurate measurement of power system frequency using a digital signal processing technique, IEEE Trans. on I&M, Vol. 48, No. 1, pp. 75-81DOI
18 
P.T. Moore, A.T. Johns, 1994, A new numeric technique for high-speed evaluation of power system frequency, IEEE Proceedings, Vol. 141, No. 5, pp. 529-536DOI
19 
Kyung-Min Lee, Chul-Won Park, 2021, A Study on Frequency Estimation of Hybrid Power Grid based on Renewable Energy, Power Economics Research Group Spring Conference, pp. 131-132Google Search

저자소개

이경민(Kyung-Min Lee)
../../Resources/kiee/KIEE.2021.70.8.1110/au1.png

He was born in Korea.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Wonju, Korea, in 2014 and 2017.

At present, he is working on his Ph.D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IT, LVDC, Microgrid, RES, PMU, AI application of power system, power system modeling & control, and power system protection.

He is a member of the KIEE, KIIEE, and IEEE.

Tel : 033-760-8796, Fax : 033-760-8781

E-mail : point2529@naver.com

박철원(Chul-Won Park)
../../Resources/kiee/KIEE.2021.70.8.1110/au2.png

He was born in Korea.

He received his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in 1988, 1990, and 1996, respectively.

From 1989 to 1993 he was an associate researcher at Lucky GoldStar Industrial Systems.

From 1993 to 1996, he was a senior researcher at PROCOM system and lecturer at S.K.K. University.

At present, he is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since 1997.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IT, IED, LVDC, HVDC, Microgrid, RES, PMU, AI application to power grid, power system modeling & control, and computer application in power system.

He is a member of the KIEE, KIIEE, and IEEE.

Dr. Park was awarded the Paper Prize of KIEE in 2010, 2020 and the Paper Prize of the KOFST in 2017.

Tel : 033-760-8786, 033-640-2972, 2749

Fax : 033-760-8781, 033-640-2747

E-mail : cwpark1@gw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