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Smart Power Distribution Laboratory, KEPRI, KOREA)



AMS, Lifetime, Health Index, Distribution system

1. 서 론

전력설비의 고장은 전력 수용가와 전력회사에 막대한 손실과 불편함을 초래하기 때문에, 전력회사에서는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한 설비관리와 투자를 하고 있다. 이러한 행위를 전력설비 자산관리라고 통칭하며, 이는 자산의 데이터(운전, 유지보수, 고장 등)을 이용하여 전력설비의 상태를 예측하고 최적의 투자계획을 수립하여 경영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을 의미한다(1)(2)(3). 전력설비의 상태를 예측하기 위해 자산건전도(Health Index, HI)지표를 이용하고 있다. 자산건전도 지수란, 전력설비의 교체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전력설비의 전반적인 상태를 하나의 지표로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4) 우리나라의 배전설비의 경우에도, 설비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전력회사와 수용가의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배전설비 진단 및 자산건전도 평가를 통해 노후설비와 위험설비를 교체하고 있다. 자산건전도 평가는 진단 및 유지보수 데이터를 입력데이터로 사용하는데, 이 때 설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데이터가 필요하며, 이에 대한 영향도 분석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배전설비 자산건전도 평가요소와 설비의 영향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자산건전도 평가표를 구성하는 연구에 대해서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자산건전도 평가 방법은. 개별 평가항목에 대한 점수와 항목별 구간 가중치에 대한 가중평균 합산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소수의 평가항목에 문제가 발생하여 위험설비임에도 불구하고, 자산건전도의 점수가 좋아 정상기기로 평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5).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산건전도 평가 방안을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였다. 빅데이터 분석 및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설비의 수명과 연관성이 높은 평가항목으로 자동으로 추출하고 점수를 할당하는 기능을 개발하였다. 또한 기존의 가중평균 합산 방식과는 다르게, 하나의 자산건전도 평가식을 도출하여 개별 설비의 자산성능에 대하여 구간별 가중치가 아닌, 성능상태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설비의 상태점수를 보다 세분화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자산건전도 평가항목을 추출하는 방법, 추출된 자산건전도 평가항목별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에 대한 방법을 기술하고, 기계학습 검증기법으로 본 알고리즘의 예측정확도를 계산하였다.

2. 본 론

2.1 자산건전도 평가방안 구성 방법

본 논문에서는 자산건전도 평가 방안을 효율적으로 구성하기 위해 ‘자산건전도 평가식’을 구성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자산건전도 평가표와는 다르게, 자산건전도 평가식은 배전설비의 상태를 정확한 수치값으로 표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설비 교체 우선순위 평가시 교체대상 설비를 보다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 자산건전도 평가방안 구성은 크게 평가항목 선정과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로 나뉜다. 세부 단계는 그림 1과 같다.

그림. 1. 자산건전도 평가방안 구성단계

Fig. 1. H.I Evaluation Formula Configuration Process

../../Resources/kiee/KIEE.2021.70.8.1215/fig1.png

2.2 자산건전도 평가항목 대상 선정

자산건전도 평가항목은 설비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설비 상태와 관련된 항목을 대상으로 하여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전 충북, 강원본부 가스절연 가공개폐기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이 중 가스절연 가공개폐기 상태와 관련된 항목은 표 1과 같다. 활용된 데이터셋의 개수는 약 850만건이다.

표 1. 가스절연 가공개폐기 상태 관련 데이터 항목

Table 1. G/S State realted Data List

No.

Validation Evaluation List

1

Months of use

2

Pollution level

3

Annual Temperature Difference

4

Average Monthly Temperature

5

Maximum Monthly Load

6

Average Maximum Load

7

Average Load

8

Initial Defect rate

9

Number of Operation(DAS)

10

Defect rate by specification

11

Diagnosis Result(Ultrasonic)

12

Diagnosis Result(Thermal)

13

Diagnosis Result(TEV+)

14

Diagnosis Result(Image)

2.3 평가항목 대상 유효성 검증

평가항목 대상 유효성 검증이란 표 1과 같이 배전설비 상태관련 데이터 중 평가항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효성 높은 대상만 추출하는 과정이다. 평가항목의 유효성을 검증할 때에는, 평가항목과 설비 수명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추출하였다. 이 때, 본 연구에서는 Random Forest 기술을 활용하여 1차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설비 수명 데이터는 생존분석 기반의 수명추정 기법을 사용하였다.

2.3.1 Random Forest 기법

Random Forest란 무작위로 선택된 데이터의 하위에서 생성되고 성장하는 이련의 의사결정트리로, 예측 변수 앙상븡을 구축하기 위해 2000년대 Leo Breiman이 제안한 알고리즘이다(6). Random Forest는 bagging과 비슷하나 모든 설명변수를 모두 사용하는 bagging과는 달리 a개의 설명변수만 고려하여 분할한다. 변수의 사용은 심증이 강한 설명변수라고 특혜를 주지 않고 랜덤하게 변수를 사용한다(7). 데이터의 설명변수가 많을 경우 변수 간 상관성이 높은 변수가 섞일 확률이 높은데 Random Forest는 그 가능성을 없애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2.3.2 유효성 검증 결과

표 1의 항목을 대상으로 Random Forest 기법 기반 유효성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2. 유효성 검증 결과

Table 2. Validation Result

No.

Validation Evaluation List

%

1

Months of use

76.4

2

Pollution level

0.41

3

Annual Temperature Difference

2.70

4

Average Monthly Temperature

4.28

5

Maximum Monthly Load

2.62

6

Average Maximum Load

2.62

7

Average Load

3.03

8

Initial Defect rate

0.60

9

Number of Operation(DAS)

4.91

10

Defect rate by specification

2.36

11

Diagnosis Result(Ultrasonic)

0.013

12

Diagnosis Result(Thermal)

0.014

13

Diagnosis Result(TEV+)

0.013

14

Diagnosis Result(Image)

0.015

Total

100

Randon Forest 기반의 평가항목 유효성 검증 결과, 설비 수명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평가항목은 사용 개월수(약 76.4%) 이며, 사용 개월수 이 외의 항목들 중에서는 개폐기 조작횟수와 외부온도 및 부하가 설비 수명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효성 검증 결과를 통해 개폐기 수명은 절대적으로 경년년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 외의 항목들에서는 개폐기의 운전데이터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설비의 외적 데이터(온도, 염해등급, 진단검사 등)가 설비수명과의 영향도가 낮은 이유는 입력데이터의 부족현상으로 사료된다.

2.4 유효 평가항목 선정

유효 평가항목 선정은 이전단계에서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산건전도 평가식을 구성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본 논문에서는 표 2의 14개 항목 모두를 사용하였다.

2.5 가중치 부여 및 자산건전도 평가식 구성방법

유효 평가항목을 선정 한 후 자산건전도 평가를 위한 평가식을 구성하는 단계로는 크게 단조화 단계, 평가항목별 가중치 계산, 자산건전도 평가식 구성으로 나뉜다.

2.5.1 단조화 단계

자산건전도의 평가식을 구성하기 위해 첫 번째로 평가항목의 단조화를 수행한다. 이 단계는 자산건전도 평가식 구성을 위한 알고리즘의 데이터 전처리 단계이기도 하다. 자산건전도 평가는 자산의 수명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평가항목과 수명은 기본적으로 단조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기반으로 한다. 즉, 평가항목의 값이 증가/감소함에 따라 자산건전도 점수도 같은 편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가정으로 한다. 이를 기반으로, 단조화 단계에서는 평가항목의 값을 Quadratic Programming Optimization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설비 평균수명값과의 상관성이 단조적으로 변화하도록 변경한다. 이 때, 데이터 처리의 고속도를 위해 버킷을 구성하여 수행하였다. Quadratic Programming Optimization 식은 식 (1)과 같다.

(1)
\begin{align*} Variab\le : u_{1},\: u_{2},\: u_{3},\:\cdots\cdots\cdots ,\:u_{n}\\ Objective :\min(\sum_{i=1}^{n}(u_{i}-x_{i})^{2})\\ Constra\int :\begin{cases} u_{1}\ge u_{2}\ge\cdots\cdots\cdots\ge u_{n}- monotonic decrease&\\ u_{1}\le u_{2}\le\cdots\cdots\cdots\le u_{n}- monotonic\in crease& \end{cases}\\ \\\end{align*}

여기서 u_{n}=평가항목의 n번째 버킷 인자값 평균

x=설비의 n번째 평균수명값

2.5.2 평가항목별 가중치 계산

평가항목별 영향도 계산 단계에서는 ‘2.4 유효 평가항목 선정’에서 선정된 평가항목을 대상으로 영향도를 계산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영향도가 항상 0보다 큰 값으로 최적화시켜 오차율을 줄인다. 영향도의 오차율을 줄이기 위해 RMS(Root Mean Square) threshold 범위를 정하고 그 범위에서의 최적값을 찾도록 구성하였다. 적용 수식은 식 (2)~(3)과 같다.

(2)
\begin{align*} Equations : z=c_{0}+c_{1}f_{1}+c_{2}f_{2}+...+c_{n}f_{n}\\ Objective :\min(||Ax-b||_{2}^{2})\\ \\ 여기서 n=개별 평가인자 갯수\\ z=설비 수명\\ f=평가인자 값 \end{align*}

(3)
\begin{align*} Equations :(\sqrt{\dfrac{(a^{1}-u^{1})^{2}+(a^{2}-u^{2})^{2}+...+(a^{n}-u^{n})^{2}}{n}}\\ \\ 여기서 n=버킷 순서\\ a=버킷별 설비 평균수명\\ u=버킷별 평균 z값 \end{align*}

2.5.3 자산건전도 평가식 구성

자산건전도 평가식 구성은 2.5.2 평가항목별 가중치 계산 단계에서 평가항목별 영향도 계산 결과가 결정되는 것에 따라 점수산정 공식을 구성하여 자산건전도의 평가식을 구성한다. 자산건전도의 평가식은 평가 인자의 가중치, 평가인자 값, 평가인자의 영향도를 고려하여 계산될 수 있도록 식을 구현하였다. 자산건전도 평가식은 식(4)와 같다.

(4)
\begin{align*} Asset H.I Evluation Eqaution\\ =(f_{i}-(\min(f^{i}))\times w^{i}\times c_{i}\\ \\ 여기서 f_{i}=평가항목 값\\ c_{i}=평가항목 가중치\\ w^{i}=평가항목 배점점수,\: w^{i}=\dfrac{100}{\max(f^{i})-\min(f_{i})} \end{align*}

가공개폐기의 자산건전도 평가식에 따른 평가항목별 배점은 표 3과 같다. 편의성을 위해 평가항목 배점은 모두 정수로 처리하였다.

표 3. 자산건전도 평가식 배점 결과

Table 3. Rusult of HI Score

No.

Validation Evaluation List

H.I Score

1

Months of use

64

2

Pollution level

5

3

Annual Temperature Difference

4

4

Average Monthly Temperature

2

5

Maximum Monthly Load

1

6

Average Maximum Load

4

7

Average Load

3

8

Initial Defect rate

2

9

Number of Operation(DAS)

1

10

Defect rate by specification

4

11

Diagnosis Result(Ultrasonic)

3

12

Diagnosis Result(Thermal)

2

13

Diagnosis Result(TEV+)

1

14

Diagnosis Result(Image)

4

2.6 자산건전도 평가 결과

본 논문에서 구성한 배전설비 자산건전도 평가식을 검증하기 위해 기계학습 예측정확도인 Precision-Recall Curve와 precision과 recall의 조화평균인 F1 Score 산정을 하였다. Precision- Recall Curve는 기계학습 모델의 성능평가 방법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이론으로, 정밀도와 재현율을 그래프로 표현한것이고 F1 Score는 이를 조화평균값을 구하여 나타낸 것이다(8).

본 논문에서 Precision-Recall Curve를 그리기 위해 강원/충북본부 가스절연 가공개폐기 고장이력 데이터셋을 활용하였다. Precision-Recall Curve는 그림 2와 같다.

그림. 2. Precision & Recall 곡선

Fig. 2. Precision & Recall Curve

../../Resources/kiee/KIEE.2021.70.8.1215/fig2.png

이 결과를 기반으로 계산한 F1 score는 0.66으로, Precision과 Recall값이 모두 고르게 높은 값을 나타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 개발한 자산건전도 평가는 예측률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활용하여 전력설비의 자산건전도 평가시 설비 상태 예측 신뢰성이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배전설비의 효율적인 자산관리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배전설비의 특성을 고려하여, 배전설비의 자산을 평가하기 위한 자산건전도 평가식을 제안하였으며, 평가식을 구성하기 위해 기계학습과 최적화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평가항목 추출 및 점수할당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를 검증하기 위해 기계학습 예측정확도 계산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예측률이 높은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자산건전도 구성 및 평가방식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정확도 높은 자산건전도 평가가 가능하다.

기존에는 구간별 가중치 합산을 통해 설비의 건전도를 평가하였지만, 본 논문에서 개발한 알고리즘은 자산건전도 평가식으로, 설비의 사용개월수가 1개월이라도 차이가 난다면, 건전도 점수가 다르게 계산된다. 또한 설비 수명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평가항목을 추출하고 이에 대한 가중치를 배분하기 때문에, 같은 사용개월수의 설비더라도 진단결과 등에 의해 자산건전도 점수가 달라진다.

(2) 자산건전도 평가를 위한 평가식 개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기존에는 자산건전도 평가를 위한 평가방법을 제정하거나 개정하기 위하여 많은 전문가들이 모여 데이터 분석과 결과 논의를 위해 1~2년간의 시간을 소요하였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 개발한 알고리즘은 기계학습 기반이기 때문에, 수 시간 내 자산건전도 평가표 구성이 가능하다.

본 논문을 통해 배전설비의 자산관리 및 상태판정을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배전설비 자산관리를 위해 무엇보다도, 배전설비의 개별 수명을 정확히 추론하는 기법일 것이다. 향후에는 배전설비의 개별수명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배전설비 자산건전도 평가식을 구현할 때 설비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는 평가항목을 정확히 추출하는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또한, 이를 활용하여 운영 설비 이외의 철거된 설비의 상태를 판정하는 기법을 연구할 계획이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21년도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연구입니다.

References

1 
Honhseok Lee, 2021, Trends of Development system for Power Facility Asset Management,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5, No. 2, pp. 23-28Google Search
2 
Kyung-Rok Hwang, Jae-Ryong Jung, Hwang-Dong Seo, 2020, A Study on the Health Index Evaluation Model for the Asset Management System using Gradient Boosting, KIEE Summer conference, pp. 1710-1711Google Search
3 
L. Van der Zel, December 2007, Transformer Aging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Moisture, and Oxygen, Technical UpdateGoogle Search
4 
TB445, 2010, Guide for Transformer MaintenanceGoogle Search
5 
Gi-Hun Park, Jeong-Sik Oh, Soo-Han Pyo, Young-Hyun Kim, Dongjin-Kweon, Tae-Sik Park, 2019,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Weighted-summation Transformer Health Index through Case Studies, KIEE Summer conference, pp. 1527-1528Google Search
6 
Leo Breiman, 2001, Random Forests, Machine Learning, Vol. 45, pp. 5-32DOI
7 
Gerard Biau, 2012, Analysis of a Random Forests Model,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Vol. 13, pp. 1063-1095Google Search
8 
Peter A. Flach, Meelis Kull, 2015, Precision-Recall-Gain Curves: PR Analysis Done Right,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Vol. 1, No. 28, pp. 838-846Google Search

저자소개

이혜선(Hye-Seon Lee)
../../Resources/kiee/KIEE.2021.70.8.1215/au1.png

She received B.S.,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orm Incheon Natiaonal University, Incheon, Korea, in 2015 and 2017.

From 2018 to present, she has a Docto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Incheon graduate school. From 2018 to present day, she has been working as a researcher at KEPCO Research Institute.

이병성(Byung-Sung Lee)
../../Resources/kiee/KIEE.2021.70.8.1215/au2.png

He received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orm Chungnam Natia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in 1993, 1995, and 2004.

He has been working as a chief researcher at KEPCO Research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