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2. (School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Polyethylene, Polypropylene, Thermogravimetric Analyzer, Activation energy, Kissinger method, Friedman method, Chatterjee-Conrad method, Coats-Redfern method, Ozawa method

1. 서 론

최근 계통의 안정성이 높고 장거리 및 대용량 송전이 가능한 HVDC 시스템의 발전으로 DC 환경에서 적용되는 전력기기의 절연재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전력기기에 적용되는 절연재료는 도체의 절연과 외부와의 분리 및 지지하는데 사용되며, 유리, 도자기, 고분자 복합재료 등이 사용된다. 그 중 고분자 물질인 폴리올레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은 비교적 가벼우며, 성형이 쉽고 기계적, 열적으로 물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1). 다양한 환경에서 적용되는 전력기기의 절연재료의 경우 대부분 장기간으로 사용되므로, 전력기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내부요인과 외부환경에 노출됨에 따라 발생하는 외부 요인들로 인해 기계적, 화학적, 전기적인 특성들이 변화한다. 이로 인해 절연재료의 절연성능 저하 및 표면 손상과 같은 열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열화 현상이 축적되면 절연체 표면에 누설전류가 발생하여 이로 인해 절연성능이 떨어져 내부의 부분방전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결국 절연파괴가 발생하여 사고로 이어지게 된다(2). 따라서 절연재료의 장기신뢰성을 파악하기 위해 열적, 전기적 등의 요인에 따른 수명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주로 가속 열화 시험을 통해 수명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폴리올레핀 소재의 열화 메커니즘을 기술하여 수명 분석을 수행한 연구 결과는 다수 존재하나, 아레니우스(Arrhenius) 모델을 이용한 가속수명 예측 방법에서 반응차수(n)와 전환정도(α) 및 승온속도(β)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연구 결과는 미흡한 실정이다(3,4). 보통 물질의 화학반응은 온도에 기반하여 이루어지므로 화학반응의 속도식을 추출하여 이를 수명예측에 활용하기 위해 열중량분석기(TGA: Thermogravimetric Analyzer)나 시차주사열량계(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등의 장치를 사용한다. 특히, 열중량분석법은 수 mg의 극소량의 시료로 수행하므로 실험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측정이 가능하여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시험이 온도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여 수명예측을 위한 활성화에너지 측정의 변동이 심해지고, 정확한 수명을 추정하기에 어려움을 초래한다. 따라서 정확한 활성화에너지를 측정하는 것은 절연재료 가속 수명의 신뢰도 높은 예측을 위한 필수 조건이 되므로, 다양한 측정모델을 선정하고 이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2종의 폴리올레핀 절연재료의 수명예측에 필요한 활성화에너지를 열중량 분석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측정모델을 적용하고, 각 절연재료의 반응차수와 전환정도 및 승온속도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였다. 아울러 측정된 활성화에너지의 신뢰도 향상을 위한 각 조건별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2. 실험장치 및 방법

2.1 실험재료 및 장치

본 연구에 사용된 실험시료는 전력기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머 재질의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과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을 사용하였으며, 시료 크기는 분석을 위해 20±0.5 mg의 중량을 가지는 시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폴리머 시료의 경우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만 포함되어 있다. 정확한 활성화에너지 측정을 위해 실험에 사용된 조건과 실험방법은 ASTM E 1131-08의 국제표준 규격에서 참고하였으며, 표 1에 자세한 실험 조건을 나타내었다(5). 절연재료의 열화 특성 및 수명 평가를 위해 아레니우스 관계식을 이용하는 열중량 분석법을 채택하였으며, 열분해 분석을 위한 실험장치는 TA Instruments사의 Q-500을 사용하였다. 장치 내부의 기체는 O2나 Air를 사용하지 않고 질소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재료의 산화 반응을 방지하여 활성화에너지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함이다.

표 1. TGA 분석을 위한 실험 조건

Table 1. Experimental condition for TGA analysis

Classification

Condition

Temperature range

Room temp∼900℃

Sample weight

20±0.5 mg

Heating rate

5, 10, 20, 30, 40, 50 ℃/min

Purge gas

N2

Purge rate

40 mL/min

2.2 실험재료 및 장치

열중량 분석기를 통해 절연재료의 열분해 과정으로 얻어지는 반응 속도식은 아레니우스 형태의 n차 식으로 가정하여 얻을 수 있으며, 식(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6,7).

(1)
$d\alpha /dt=A(1-\alpha)^{n}\exp(-E/RT)$

여기서, A는 pre-exponential 상수[min-1], E는 겉보기 활성화에너지[kJ/mol], R은 기체상수[8.3136 J/mol·K], α는 전환정도(0<α<1), T는 절대온도[K], t는 시간, n은 겉보기 반응차수를 나타낸다.

정확한 절연재료의 활성화에너지 측정을 위해 식(1)을 바탕으로 하는 다양한 측정모델을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하고, 각 조건(반응차수, 전환정도, 승온속도)을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측정모델은 다음과 같으며, 크게 미분법(Kissinger, Friedman, Chatterjee-Conrad)과 적분법(Coats-Redfern, Ozawa)으로 나뉜다.

2.2.1 Kissinger 방법

가장 보편적인 열분석인 Kissinger 방법은 승온 반응에서 반응속도 dα/dt가 최대값까지 상승한 다음 반응물이 소진되어 0으로 감소하고, 중량감소 곡선에서 최대의 미분값을 갖는 온도를 Tm으로 놓고 활성화에너지를 구하는 기법이다. 일반적으로 Kissinger 방법은 반응차수를 1차로 가정하고 식(2)와 같이 $\ln(\beta /T_{m}^{2})$과 $1/T_{m}$를 plotting하면 활성화에너지를 구할 수 있다(8).

(2)
$d[\ln(\beta /T_{m}^{2})]/d[1/T_{m}]= -(E/R)$

2.2.2 Friedman 방법

Friedman 방법은 비등온 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미분 분석방법으로서, 전환정도를 고정한 상태에서 승온속도를 매개변수로 하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활성화에너지 측정방법이다. 식(1)에 승온속도를 포함시켜 대수형태로 변환하면 식(3)을 얻을 수 있으며, 각 전환정도에서 절편값의 기울기를 통해 절연재료의 반응차수를 구할 수 있다(9,10).

(3)
$d[d\alpha /dt]=\ln[\beta(d\alpha /d T)]=\ln A-\dfrac{E}{RT}+n\ln(1-\alpha)$

2.2.3 Chatterjee-Conrad 방법

임의의 n차 반응을 가정한 후, 분해단계에 대한 활성화에너지를 구간별 기울기로 계산하는 Chatterjee-Conrad 방법은 다양한 반응차수에 대해 측정하고 가장 직선성을 이루는 반응차수를 선택하여야 한다. 이 방법은 식 (1)에서 대수를 취하면 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11).

(4)
$\ln(d\alpha /dt)-\ln(1-\alpha)=\ln A-(E/RT)$

2.2.4 Coats-Redfern 방법

열중량 분석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임의의 반응차수에 대해 적분 근사법을 이용하여 활성화에너지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Chatterjee-Conrad 방법과 유사하게 측정된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직선성이 좋은 반응차수를 선택하여 활성화에너지를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반응차수를 가정한 후 관계식을 도시하여 나타내면 다음 식(5),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12,13).

(5)
$Y = -\ln[\dfrac{1-(1-\alpha)^{1-n}}{T^{2}(1-n)}],\: n\ne 1$

(6)
$Y = -\ln[\dfrac{1-(1-\alpha)}{T^{2}}],\: n =1$

2.2.5 Ozawa 방법

Ozawa 방법은 다양한 승온속도에서 얻은 열중량 곡선을 통하여 시료의 중량감소와 온도의 데이터로부터 활성화에너지를 구하는 방법이다. 반응 속도식에서 승온속도를 대입하여 적분한 다음 Doyle 근사방정식을 통해 식(7)를 얻을 수 있다. 식(7)에서 일정한 전환정도에 대해 log β와 1/T의 관계를 도시화하면 측정된 기울기로부터 활성화에너지를 구할 수 있다(14).

(7)
$\log\beta\cong -0.4567\dfrac{E}{R}․\dfrac{1}{T_{m}}$

3. 실험결과 및 고찰

본 연구에서 다양한 측정기법을 통해 시료의 반응차수와 전환정도 및 승온속도에 따른 활성화에너지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절연재료를 동일한 purge rate의 질소상에서 5~50 ℃/min의 승온속도에 따른 비등온 분해과정에서 시료의 무게 변화에 따른 곡선 즉, TGA와 DTG curve를 그림 1그림 2와 같이 얻을 수 있었다. 그림 1에서 승온속도에 따라 각 절연재료의 열분해가 시작되는 온도가 다르지만 대략적으로 250℃ 이상에서 시작되어 PE는 320℃, PP는 310℃ 부근에서 주쇄 및 사슬의 분해가 시작된다. 이때부터 시료의 무게가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하며, 500℃의 부근에서 열분해가 종료되지만 승온속도가 증가할수록 열분해가 종료되는 온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는 승온속도가 증가할수록 시료의 열전달이 지연되어 시료의 열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아져 표면에서만 분해가 일어나고 내부에서는 분해온도에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PE와 PP의 열분해 온도를 비교하면 승온속도에 따라 약 30~60℃ 정도 차이가 나는데, PP가 PE와 달리 4개의 수소 중 하나의 수소가 메틸기로 치환된 구조를 지니고 있어 열에 의해 주쇄의 열분해가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이다(15,16).

그림. 1. 승온속도(β)에 따른 PE, PP의 TGA curves

Fig. 1. TGA curves of PE and PP according to the heating rate(β)

../../Resources/kiee/KIEE.2021.70.10.1481/fig1.png

그림 2는 승온속도에 따른 PE와 PP의 전환정도를 온도의 증가에 따라 DTG curve로 나타낸 것으로, 승온속도가 증가할수록 전환정도가 최대값을 지니는 온도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앞서 그림 1에서 설명한 열적 지연효과에 의해 온도가 점차 고온으로 올라가는 것으로 보이며, DTG curve를 통해 PE와 PP의 단일 peak가 형성되는 것으로 보아 한 종류의 겉보기 반응이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2. 승온속도(β)에 따른 PE, PP의 DTG curves

Fig. 2. DTG curves of PE and PP according to the heating rate(β)

../../Resources/kiee/KIEE.2021.70.10.1481/fig2.png

3.1 Kissinger 방법에 의한 활성화에너지

그림 2에서 측정된 DTG curve의 peak점이 나타나는 온도를 $T_{m}$으로 선정하고, 식(2)의 $\ln(\beta /T_{m}^{2})$과 $1/T_{m}$을 도시화하면 그림 3과 같은 기울기를 얻을 수 있으며, 이 기울기를 통해 각 절연재료의 활성화에너지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결과 PE에 비해 PP가 측정된 값의 분포가 기울기에 수렴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열분해가 PE보다 좀 더 활발히 일어나기 때문에 약간의 오차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승온속도가 느릴수록 화학반응이 좀 더 활발하게 일어나 오차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활성화에너지는 PE가 222.68 kJ/mol로 나타났으며, PP는 185.76 kJ/mol로 비교적 작게 측정되었다. Kissinger 측정방법은 반응차수를 1차로 가정하기 때문에 만약 시료의 반응차수가 1차를 벗어난다면 큰 오차를 발생시킨다는 단점이 있으나, 그림 2의 DTG curve에서 단일 peak가 형성되는 것으로 보아 반응차수를 1차로 가정하고 적용하기에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그림. 3. Kissinger 방법을 통한 $\ln(\beta /T_{m}^{2})$과 $1/T_{m}$의 그래프

Fig. 3. Plot of $\ln(\beta /T_{m}^{2})$ versus $1/T_{m}$ through the Kissinger method

../../Resources/kiee/KIEE.2021.70.10.1481/fig3.png

3.2 Friedman 방법에 의한 활성화에너지

Friedman 방법을 통한 활성화에너지 측정방법의 경우, Kissinger 방법과 동일하게 반응차수를 1차로 가정하고 측정하며, 승온속도에 따른 전환정도를 온도와 도시하여 그림 4에 나타내었다. 전환정도가 0.1~0.2, 0.8~0.9의 범위에서는 $\ln(d\alpha /dt)$와 1/T의 기울기 직선성이 비교적 떨어져 활성화에너지 측정에 큰 오차를 가져온다. 이는 열분해가 시작될 때 시료 내에 첨가된 저분자 물질이나 미반응 수지, 불순물 등에 의해 비교적 작은 활성화에너지가 측정되고, 열분해가 끝나는 부분에서는 연소반응으로 인해 비교적 낮게 측정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비교적 직선성이 좋고, 기울기의 유사한 값을 가지는 0.3~0.7에서의 전환정도에서 안정한 주쇄의 분해반응을 통해 얻어지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활성화에너지를 측정하였다.

그림 5는 Friedman 방법을 통해 측정된 활성화에너지를 전환정도에 따라 나타낸 것으로, 0.3~0.7의 전환정도에서 측정된 평균 활성화에너지 값은 PE가 209.79 kJ/mol, PP는 175.63 kJ/mol의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전체 전환정도를 고려한 활성화에너지 값과 비교하면 약 3% 이내의 값을 가지고 있다.

그림. 4. 전환정도(α)에 따른 PE, PP의 Friedman 분석

Fig. 4. Friedman analysis of PE and PP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version(α)

../../Resources/kiee/KIEE.2021.70.10.1481/fig4.png

그림. 5. 0.3~0.7의 전환정도(α)를 고려한 절연재료들의 활성화에너지 분포

Fig. 5. Activation energy distribution of insulating materials considering the conversion degree(α) of 0.3 to 0.7

../../Resources/kiee/KIEE.2021.70.10.1481/fig5.png

3.3 FChatterjee-Conrad 방법에 의한 활성화에너지

Chatterjee-Conrad 방법은 임의의 반응차수를 가정한 후에 각 절연재료의 $\ln(d\alpha /dt)-n\ln(1-\alpha)$와 1/T에 대해 도시하고, 기울기를 측정하여 가장 직선성이 우수한 것을 활성화에너지로 사용하게 된다. 그림 6그림 7은 승온속도에 따른 반응차수별 절연재료의 Chatterjee-Conrad 분석을 수행한 결과이다. 반응차수가 증가할수록 PE와 PP 둘 다 직선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고, 이는 앞서 수행한 DTG curve에서 단일 peak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아 0.5~1.0의 반응차수를 가진다고 판단된다. PE의 경우 반응차수가 1.0까지는 직선성을 유지하지만 1.5부터는 직선성이 나쁘므로 1.0까지만 고려하였다. 그리고 승온속도에 따라 기울기가 다르게 형성되었는데 특히 0.5에서 기울기가 크게 나타나는 현상을 보였으며, 이는 그림 2에서 0.5의 승온속도에서 전환정도가 크게 나타난 것을 통해 알 수 있고, 승온속도가 느릴수록 열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반응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기울기가 크게 측정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PE의 활성화에너지 측정은 0.5와 1.0의 반응차수에서 5℃의 승온속도를 제외한 값을 통해 측정하였다. 그리고 PP의 경우에는 반응차수가 1.0에서부터 직선성이 떨어지기 시작하는데 이는 PE보다 PP의 화학반응이 좀 더 활발하게 이루어져 이러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PE와 동일한 조건을 유지하기 위해 5℃의 승온속도는 제외하였고, 반응차수는 직선성이 우수한 0.5와 비교적 직선성이 떨어지지만 다른 측정방법에서 1.0으로 가정하고 진행하였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그림. 6. 승온속도(β)와 반응차수(n)에 따른 PE의 Chatterjee-Conrad 분석

Fig. 6. Chatterjee-Conrad analysis of PE according to the heating rate(β) and reaction order(n)

../../Resources/kiee/KIEE.2021.70.10.1481/fig6.png

그림. 7. 승온속도(β)와 반응차수(n)에 따른 PP의 Chatterjee-Conrad 분석

Fig. 7. Chatterjee-Conrad analysis of PP according to the heating rate(β) and reaction order(n)

../../Resources/kiee/KIEE.2021.70.10.1481/fig7.png

표 2. 승온속도(β)와 반응차수(n)에 따른 PE, PP의 Chatterjee-Conrad 활성화에너지 측정

Table 2. Measurement of Chatterjee-Conrad activation energy of PE and PP according to heating rate(β) and reaction order(n)

Material

Reaction

order

n

Activation energy, E (kJ/mol)

Total average

Ea

Total average

Ea

without

heating rate 5℃/min

Heating rate β

5℃/min

10℃/min

20℃/min

30℃/min

40℃/min

50℃/min

PE

0.5

259.13

180.32

193.25

193.31

195.87

198.50

203.40

192.25

1.0

343.52

235.04

250.05

251.23

253.53

258.43

265.30

249.65

1.5

427.92

289.76

306.85

309.14

311.18

318.35

327.20

307.06

2.0

512.31

344.49

363.66

367.06

368.83

378.27

389.10

364.46

PP

0.5

119.07

105.13

114.12

120.71

120.75

126.57

117.72

117.45

1.0

155.34

143.06

153.06

159.73

159.70

167.22

156.35

156.55

1.5

191.60

180.99

191.99

198.76

198.64

207.88

194.98

195.65

2.0

227.86

218.92

230.92

237.78

237.59

248.53

233.60

234.75

표 3. 승온속도(β)와 반응차수(n)에 따른 PE, PP의 Coats-Redfern 활성화에너지 측정

Table 3. Measurement of Coats-Redfern activation energy of PE and PP according to heating rate(β) and reaction order(n)

Material

Reaction

order

n

Activation energy, E (kJ/mol)

Total average

Ea

Total average

Ea

without

heating rate 5℃/min

Heating rate β

5℃/min

10℃/min

20℃/min

30℃/min

40℃/min

50℃/min

PE

0.5

256.42

162.97

170.73

174.98

174.93

180.87

186.82

172.90

1.0

295.50

188.33

197.16

202.01

201.85

208.85

215.62

199.64

1.5

340.96

217.78

227.87

233.42

233.12

241.37

249.09

230.71

2.0

392.54

251.17

262.68

269.02

268.55

278.24

287.03

265.93

PP

0.5

102.68

103.22

107.57

110.06

109.78

115.42

108.12

109.21

1.0

119.50

120.80

125.63

128.25

127.96

134.40

126.09

127.41

1.5

139.00

141.27

146.63

149.39

149.08

156.45

146.97

148.56

2.0

161.07

164.49

170.45

173.35

173.02

181.45

170.64

172.55

측정결과 PE는 0.5차에서 192.25 kJ/mol, 1.0차에서 249.65 kJ/mol로 측정되었고, PP의 경우에는 0.5차에서 117.45 kJ/mol, 1.0차에서 156.55 kJ/mol로 측정되어 두 재료 모두 약 23%의 편차를 보였다. 따라서, Chatterjee–Conrad 방법의 최종 활성화에너지 측정값은 두 반응차수를 평균하여 PE는 220.95 kJ/mol, PP는 137.01 kJ/mol로 결정하였다.

3.4 Coats-Redfern 방법에 의한 활성화에너지

Coats-Redfern 방법은 Chatterjee-Conrad 방법과 유사하게 반응차수에서 가장 직선성이 우수한 것을 활성화에너지로 사용하게 되는데, 큰 차이점은 수학적인 해석방법(미분, 적분)이다. 그림 8그림 9는 절연재료에 따른 Coats-Redfern 방법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Chatterjee-Conrad 방법과 동일하게 반응차수가 증가할수록 직선성이 나빠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한 DTG curve에서 단일 peak를 통해 반응차수가 1차 반응이라는 것을 알 수 있고, 따라서 0.5~1.0의 반응차수에서 직선성이 우수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승온속도가 5℃인 경우 PE의 기울기가 다른 승온속도에 비해 크게 발생하여 신뢰성이 떨어지는 데이터로 판단하여 제외한 값을 통해 활성화에너지를 측정하였다.

Coats-Redfern 방법을 통한 활성화에너지 측정결과는 표 3과 같이 나타났으며, PE는 0.5차에서 172.89 kJ/mol, 1.0차에서 199.64 kJ/mol로 측정되었으며, PP는 0.5차에서 109.21 kJ/mol, 1.0차에서 127.40 kJ/mol로 측정되었다. 절연재료에 따른 최종 활성화에너지 값은 PE가 186.27 kJ/mol, PP는 118.31 kJ/mol로 Chatterjee-Conrad 방법에 비해 비교적 낮은 값이 나타났는데 이는 미분 및 적분법과 같은 수학적인 처리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그림. 8. 승온속도(β)와 반응차수(n)에 따른 PE의 Coats-Redfern 분석

Fig. 8. Coats-Redfern analysis of PE according to the heating rate(β) and reaction order(n)

../../Resources/kiee/KIEE.2021.70.10.1481/fig8.png

그림. 9. 승온속도(β)와 반응차수(n)에 따른 PP의 Coats-Redfern 분석

Fig. 9. Coats-Redfern analysis of PP according to the heating rate(β) and reaction order(n)

../../Resources/kiee/KIEE.2021.70.10.1481/fig9.png

3.5 Ozawa 방법에 의한 활성화에너지

Ozawa 방법은 반응차수에 관계없이 적분법을 통해 활성화에너지를 측정하며, 그림 10에 절연재료에 따른 Ozawa 분석 그래프를 나타내었다. 승온속도가 5℃인 경우에 추세선에서 크게 벗어나 큰 오차값을 지니기 때문에 제외하였고, 전환정도의 경우에도 0.3~0.7 사이의 범위 내에서 활성화에너지를 측정하여 평균한 결과, PE는 220.93 kJ/mol, PP는 169.88 kJ/mol로 나타났다.

그림. 10. 승온속도(β)에 따른 PE, PP의 Ozawa 분석

Fig. 10. Ozawa analysis of PE and PP according to the heating rate(β)

../../Resources/kiee/KIEE.2021.70.10.1481/fig10.png

표 4. 절연재료별 활성화에너지 측정방법에 따른 측정값

Table 4. Measured value according to activation energy measurement method for each insulating materials

Activation energy, E (kJ/mol)

PE

PP

with

without

with

without

Kissinger

222.68

193.34

185.76

146.92

Friedman

204.88

209.79

172.12

175.63

Chatterjee-Conrad

234.35

220.95

137.04

137.01

Coats-Redfern

201.22

186.27

117.11

118.31

Ozawa

218.32

220.93

169.23

169.88

Average

216.29

212.12

156.25

153.19

표 4는 절연재료에 따른 다양한 활성화에너지 측정방법을 통해 얻어진 결과값을 정리하였다. 승온속도 및 전환정도를 모두 포함한 결과값과 오차를 발생시키는 조건을 제외한 결과값을 비교하면 약 2% 정도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결 론

본 논문은 PE, PP와 같은 DC 환경에서 사용되는 절연재료의 장기신뢰성을 파악하기 위해 열적 분석인 TGA를 이용한 활성화에너지 측정을 수행하였다. 다양한 분석에 따라 활성화에너지의 값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수명예측에는 큰 오차를 수반한다. 따라서, 활성화에너지 측정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분석에서 사용되는 반응차수(n=0.5~2.0차), 승온속도(β=5~50 ℃/min), 전환정도(α=0.1~0.9)를 고려하여 오차 발생을 줄이고, 신뢰성 향상을 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전환정도(α)는 열분해가 진행되는 0.1~0.2의 범위에서 재료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로 인해 작은 활성화에너지가 측정되며, 열분해가 끝나는 0.8~0.9의 범위에서는 연소반응이 발생하여 오차를 발생시킨다.

2) 승온속도(β)의 경우에는 5 ℃/min와 같이 낮은 경우에 시료의 화학반응이 좀 더 활발하게 일어나 다른 승온속도에 비해 추세 범위를 벗어나 오차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반응차수(n)은 TGA를 통해 얻어지는 DTG curve를 통해 전환정도가 최대가 되는 peak 형성을 고려하기 때문에 정확한 반응차수를 고려하여 활성화에너지를 측정해야 한다.

4) 다양한 활성화에너지 측정방법을 통해 얻어진 값은 PE가 212.12 kJ/mol, PP는 153.19 kJ/mol로 측정되었으며, 각 조건에서 오차를 발생시키는 것을 제외한 결과 기존의 방법 대비 약 2% 정도 작게 측정되었다.

5) 결론적으로 전체적인 것을 고려하기보다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는 조건을 제외함으로써 신뢰성 높은 활성화에너지 측정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측정결과, 전환정도는 0.3~0.7 부근의 값을 고려하고, 승온속도는 10 ℃/min 이상의 조건을 고려하여 측정하는 것이 시료의 활성화에너지 측정에 최적의 조건이라고 생각된다.

상기의 연구 결과를 통해 HVDC 환경에서 사용되는 절연재료의 수명예측을 위한 활성화에너지 측정의 신뢰성 분야에서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E.M. Shin, 2011, Technology of electrical barrier material, Elastomers and composites, Vol. 46, pp. 22-28DOI
2 
Q. Xiong, L. Zhu, Y. Ji, Y. Cui, W. Lu, 2017, Flashover and partial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fiber of valve tower in converter station, IEEE trans. Dielectr. Electr. Insul, Vol. 24, pp. 1985-1991DOI
3 
J.I. Weon, Y.K. Chung, S.M. Shin, K.Y. Choi, 2008, Failure Mechanism ans Long-Term Hydrostatic Behavior of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Tubing, polymer, Vol. 32, No. 5, pp. 440-445Google Search
4 
J.I. Weon, K.Y. Choi, 2009, Mechanical Property Behaviors of Polyethylene Pipe due to Thermal-Degradation, polymer, Vol. 33, No. 5, pp. 446-451Google Search
5 
ASTM E1131-08, 2014, Standard test method for compositional analysis by thermogravimetryGoogle Search
6 
J. Farjas, P. Roura, 2014, Exact analytical solution for the Kissinger equation: Determination of the peak temperature and general properties of thermally activated transformations, Thermochimica acta, Vol. 598, pp. 51-58DOI
7 
R.L. Blaine, H.E. Kissinger, 2012, Homer Kissinger and the Kissinger equation, Thermochimica acta, Vol. 540, pp. 1-6DOI
8 
H. Schulz, 2018, From the Kissinger equation to model -free kinetics: reaction kinetics of thermally initiated solid-state reactions, ChemTexts, Vol. 4, pp. 9-18DOI
9 
M. Venkatesh, P. Ravi, S.P. Tewari, 2013, Isoconversional kinetic analysis of decomposition of nitroimidazoles: Friedman vs Flynn-Wall-Ozawa method, J. Phys. Chem. A, Vol. 117, pp. 10162-10169DOI
10 
X. Zhang, W. De, F. Preto, 2009, Estimating kinetic parameters in TGA using B-spline smoothing and the Friedman method, Biomass and Bioenergy, Vol. 33, pp. 1435-1441DOI
11 
P.K. Chatterjee, C.M. Conrad, 1968, Thermogravimetric analysis of cellulose, J. Poly. Sci, Vol. 6DOI
12 
A.K. Nikolaidis, D.S. Achilias, 2018, Thermal Degradation Kinetics and Viscoelastic Behavior of Poly(Methyl Methacrylate)/ Organomodified Montmorillonite Nano-composites Prepared via In Situ Bulk Radical Polymerization, Polymers, Vol. 10, pp. 491-506DOI
13 
V. Sekkar, K.N. Ninan, V.N. Krishnamurthy, S.R. Jain, 2000, Thermal decomposition studies on copolyurethanes based on hydroxyl terminated polybutadiene and poly(12-hydroxy stearic acid-co-TMP)ester polyol, Euro. Polymer, Vol. 36, pp. 2437-2448DOI
14 
M. Musanic, H. Friamengo, M. Suceska, 2010, Applicability of non-isothermal DSC and Ozawa method for studying kinetics of double base propellant decomposition, Cent. Euro Ener. Materials, Vol. 7, pp. 233-251Google Search
15 
H.S. Lee, J.H. Do, W. Ahn, C. Kim, 2012, A study on physical properties and life time prediction of ACM rubber for automotive engine gasket, Elastomers and Composites, Vol. 47, No. 3, pp. 254-258DOI
16 
S.J. Kim, C.G. Lee, P.S. Song, J.S. Yun, Y. Kang, J.S. Kim, M.J. Choi, 2003, Characteristics of pyrolysis and combustion reaction of waste polystyrene, J. Korean Ind. Eng. Chem., Vol. 14, No. 15, pp. 634-640Google Search

저자소개

이헌경(Heon-Gyeong Lee)
../../Resources/kiee/KIEE.2021.70.10.1481/au1.png

He was born in the Republic of Korea in 1990.

He received the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in 2017.

Currently, he is a Doctor’s course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윤웅희(Ung-Hui Yun)
../../Resources/kiee/KIEE.2021.70.10.1481/au2.png

He received the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in 2018.

Currently, he is a Doctor’s course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김진규(Jin-Gyu Kim)
../../Resources/kiee/KIEE.2021.70.10.1481/au3.png

He received the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in 1998.

Currently, he is a Professor in the School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