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Author : ESS Sales/Engineering, LG Electronics, Seoul, Korea.)



Demand Response Incentives, Energy Storage System, Line Congestion, Optimal Operation Scheduling, PV Curtailment

1. 서 론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2034년까지 원자력 발전은 3.9[GW] 줄어든 19.4[GW]에 머물고 석탄발전은 29.0[GW]로 6.8[GW] 감소하게 된다. 반면, LNG는 폐지되는 석탄발전 30기 중 24기의 연료전환을 추진하면서, 2034년 17.8[GW] 늘어난 59[GW]에 이르게 된다.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3차 에너지기본계획 및 그린뉴딜 목표달성을 위해, 2020년 20.1[GW]에서 2034년 57.7[GW] 늘어난 77.8[GW]에 달할 전망이다(1). 특히, 전원별 설비 구성을 기준으로, 2034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20.8[%]까지 증가할 전망이다(2).

이러한 국가정책 기조에 의해서,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enewable Portfolio Standard, RPS) 및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에 따른 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newable Energy Certificate, REC) 제도는 신재생에너지와 신재생에너지의 불규칙한 출력특성으로 인한 계통 불안정성 해소를 위한 전력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의 도입을 촉진시키고 있다(3).

특히, 송전선로의 접속용량 부족 완화를 위해서, 태양광(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V) 연계형 ESS는 PV 발전시간(10:00~16:00)에 충전하고 이외의 시간에 방전하여, 높은 REC 가중치(PV:1, ESS:4)를 적용받고 있다. 그러나, 최근 ESS 충전 종료후에 생산된 PV 출력이 송전선로 혼잡을 야기하므로 PV 출력제한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예를 들어, 지난 2021년 3월 16일 및 22일 14:00~15:00경, ESS가 설치된 안좌스마트팜 태양광발전소가 회당 30분가량 강제로 발전을 멈춘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4).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선로 용량을 증설하거나 신규 발전소들의 출력제한 동의를 전제로 발전단지별로 출력제한량을 배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5). 한전은 신재생에너지의 수용력 증대를 위해 다양한 유연 자원 활용과 송배전선로의 동적호스팅용량(Dynamic Hosting Capacity)을 준비하고 있다. 하지만 신재생에너지의 높은 출력 예측 오차로 인해 실제 신재생에너지의 출력제한이 미발생 되거나, 출력제한 시간대 예측이 부정확할 우려가 있다(6). 즉, 신규 발전소들의 출력제한과 동적호스팅용량의 감소로 인한 신재생에너지의 출력제한에 따른 미정산금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1시간 이내에 신속히 출력제한 대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발전소 운영자에게 특정 시간 동안 자발적으로 출력제한을 유도할 수 있는 수요자원 인센티브의 활용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2가지의 전제조건이 제시되는데, 첫째로 현재 ESS를 운영하는 PV 운영자를 대상으로 한다. 즉, 고정된 PCS[kW] 및 배터리[kWh] 용량을 기준으로 ESS 최적운영스케줄링이 제안된다. 추후, ESS를 설치하는 PV 운영자가 수요자원 인센티브를 통한 PV 출력제한에 참여한 경우 PCS[kW] 및 배터리[kWh] 용량을 결정변수로 선정하여 PV 운영자의 편익이 최대화되도록 최적운영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최적 ESS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둘째, 신재생에너지의 출력[kW] 허용 기준에 의해서 PV 출력이 제한되는데, 동적호스팅용량 감소에 따른 신재생에너지의 출력제한이 발생될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수요자원거래 메커니즘을 인센티브로 활용하여, PV 운영자 측면에서 출력제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ESS의 일간 최적운영스케줄링을 제안한다(7-8). 즉, 한전으로부터 하루전 출력제한 시간을 통보받는 경우, 불확실한 PV 출력과 출력제한 시간대를 고려한 운전일 15분 단위의 ESS 충⋅방전 운영계획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송전선로 과부하 및 계통혼잡이 억제되고, PV 발전소 운영자는 ESS의 집중충전을 통해, PV 출력제한 없이 수요자원거래 메커니즘을 통한 추가 편익 확보가 가능해진다.

2. 계통혼잡과 PV 출력제한

PV 발전소 운영자는 계통혼잡을 회피하기 위해서 2가지 조치를 취할 수 있는데, 첫째 ESS의 충전 시작 시각을 기존 10:00에서 11:00로 늦추거나, 둘째 태양광 전력변환장치(Power Conditioning System, PCS)의 kW 출력을 강제로 낮춰 ESS의 완충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로 인하여, PV 연계형 ESS 운영계획에 다음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 ESS의 충전시작 시각을 늦춰 계통혼잡을 회피하는 경우, 충전 시작 시각 선정의 어려움이 있다. 높은 REC를 적용받기 위해서 ESS 잔존용량(State of Charge, SOC)은 반드시 90%까지 사용되어야 하지만, 충전 시작 시각을 늦춤으로써 SOC가 하향 운전될 가능성이 있다.

- PCS의 kW 출력제어를 통해 계통혼잡을 회피하는 경우, PCS를 저출력으로 충전할 시 SOC가 하향 운전될 수 있고, 반대로 PCS를 고출력으로 충전할 시 PCS의 kW 출력이 PV 출력보다 커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역전력계전기가 동작되어 PV 발전소가 정지되고 계통한계가격(System Marginal Price, SMP) 및 REC 편익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PV 발전소 운영자는 ESS 운영에 따른 SMP 및 REC 편익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ESS 충전을 10:00에 시작하고, 태양광 출력을 기준으로 역전력(한전전력 충전방지)을 방지하기 위한 충전 오프셋[kW]을 차감한 모든 PV 출력이 ESS에 저장되도록 PCS의 출력을 변동한다. ESS가 SOC 90%로 운전하게 되면 ESS는 충전을 멈추고 방전 시작 시각인 16:00까지 휴지시간을 가지게 되는데, 이때 상당량의 PV 출력이 송전선로에 유입되어 계통혼잡이 발생하게 된다.

3. ESS의 운영상 제약조건

PV 발전소에 설치된 ESS의 운영스케줄링은 수요공급조건, 잔존용량 운전조건, 운용용량 제한조건 등에 제약을 받아 결정된다.

3.1 ESS의 수요공급조건

식(1)은 ESS 수요공급조건으로, ESS의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은 PV 발전소의 일간 PV 출력과 발전계획량 차이로 결정된다. 본 논문에서, ESS가 방전 중일 때, PV 발전소의 PCS 제어전원용으로 공급되는 방전전력은 그 값이 미비하므로 0[kW]로 상정된다.

(1)
\begin{align*} P_{sup}(h)=P_{pv}(h)-P_{cha}(h)+P_{disch}(h)\\ P_{sup}(h)+P_{cha}(h)=P_{pv}(h)+P_{disch}(h) \end{align*}

여기서, $P_{sup}(h)$는 ESS가 연계된 PV 발전소의 $h$당 발전계획량[kW], $P_{pv}(h)$는 $h$당 PV 출력[kW], $P_{cha}(h)$는 $h$당 ESS의 충전전력[kW], $P_{disch}(h)$는 $h$당 ESS의 방전전력[kW], $h$는 일일 15분 시간 간격

3.2 ESS의 잔존용량 운전조건

ESS의 SOC는 식(2)와 같이 충·방전 효율이 적용된 충전전력과 방전전력의 차로 나타내는데, 전일 첫번째 15분 간격(h=1)의 SOC(1)과 마지막 번째 15분 간격의 SOC($n_{h}$)는 동일하게 상정된다.

(2)
$SOC(h)+\dfrac{15}{60}\bullet\left\{\eta\bullet P_{disch}(h)-\dfrac{1}{\eta}\bullet P_{cha}(h)\right\}\\ =\begin{cases} SOC(h+1) & (1\le h<n_{h})\\ SOC(1) & (h=n_{h}) \end{cases}$

여기서, $SOC(h)$는 $h$당 ESS의 잔존용량[kWh], $SOC(1)$은 전일 첫번째 시간 간격의 $SOC$, $\eta$는 ESS 충․방전 효율(one-way), $n_{h}$는 일일 15분 간격의 총 개수(96=24시간*4)

3.3 ESS의 운용용량 제한조건

ESS가 연계된 PV 발전소의 발전계획량은 식(3)에 의해서 제한되는데, 특히, ESS 방전시간 동안의 발전계획량은 PV 설치용량의 70[%]를 초과할 수 없다. 또한, 식(4)의 ESS 충전전력은 ESS 충전시간 동안 전일 예측 PV 출력과 역전력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되는 충전 오프셋과의 차이보다 작아야 한다. 식(5)의 ESS의 방전전력은 PCS의 최대출력 범위 안에서 결정되고, ESS의 SOC는 식(6)과 같이 저장용량 범위 내에서 결정된다.

(3)
$P_{sup}(h)\le\begin{cases} 0.7P_{cap} & (h_{DS}\le h\le h_{DE})\\ P_{cap} & (otherwise) \end{cases}$

(4)
$P_{cha}(h)\le(P_{pv}(h)-P_{offset})\bullet\mu(h)(h_{CS}\le h\le h_{CE})$

(5)
$P_{disch}(h)\le P_{pcs}\bullet(1-\mu(h))$

(6)
$SOC_{\min}\le SOC(h)\le SOC_{\max}$

여기서, $P_{cap}$은 PV 설치용량[kW], $h_{DS}$와 $h_{DE}$는 ESS 방전시작 및 방전종료 15분 시간 간격, $P_{offset}$는 ESS 충전 오프셋[kW], $\mu(h)$는 ESS 동작모드를 나타내는 2진 변수(충전=1, 또는 방전=0), $h_{CS}$와 $h_{CE}$는 ESS 충전시작 및 충전종료 15분 시간 간격, $P_{pcs}$는 PCS의 최대출력[kW], $SOC_{\min}$와 $SOC_{\max}$는 ESS 최저저장용량[kWh] 및 최대저장용량[kWh]

4. PV 출력제한과 수요자원거래를 고려한 ESS의 일간 최적운영스케줄링

PV 발전소 운영자 관점에서, 출력제한과 수요자원거래 메커니즘을 고려한 ESS의 일간 최적운영스케줄링은 충전시간 ESS에 저장되는 PV 전력과 방전시간 계통으로 공급되는 ESS의 방전전력으로 발생하는 총 기대편익의 최대화로 결정된다.

4.1 ESS 최적운영스케줄링의 개념

ESS가 설치된 PV 발전소의 운영자 측면에서, 혼합정수 선형프로그래밍을 통해 출력제한과 수요자원거래 메커니즘이 반영된 일일 15분 단위의 충⋅방전 용량이 결정되는데, 불규칙한 PV 출력에도 수요자원거래 매커니즘으로 계약된 PV 출력제한 계약용량[kW]만큼 안정하게 집중적으로 충전하기 위해 시나리오 기법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PV 발전소 운영자는 소규모 전력중개사업자로부터 15분 단위의 전일 예측 PV 발전계획량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그림 1과 같이 전일 예측 PV 출력을 기준으로, 다음의 3가지 PV 출력 시나리오를 상정하며, 각각 상정된 모든 시나리오의 총 기대편익이 최대화되도록 ESS 최적운영스케쥴링은 결정된다.

그림. 1. PV 출력에 따른 ESS 운영스케줄링의 개념도

Fig. 1. Conceptual diagram of ESS operation scheduling acccording to PV output

../../Resources/kiee/KIEE.2021.70.12.1846/fig1.png

① 전일 예측 PV 출력 시나리오+$\alpha$% MAPE(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② 전일 예측 PV 출력 시나리오

③ 전일 예측 PV 출력 시나리오-$\alpha$% MAPE

운전일 ESS 운영스케쥴링은 실시간 PV 출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데, 실제 PV 출력이 그림 1의 a(Blue) 안에 존재하면 ESS는 A section 동안 ③ 시나리오에 기반한 충·방전계획으로 운영되고, 반대로 실제 PV 출력이 그림 1의 b(Red) 안에 존재하면 ESS는 B section 동안 ② 시나리오에 기반한 충·방전 계획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규모 전력중개사업자로부터 전달받은 전일 PV 발전계획량과 당일 PV 출력간의오차는 ±$\alpha$% MAPE 범위 안에 존재한다. 또한, 운전일 PCS 출력은 전력관리시스템(Power Management System, PMS)에 의해 초당 제어되는데, 본 논문에서의 운전일 ESS는 PCS의 출력을 초당 제어하여 매 15분간 충·방전량의 합이 전일 최적화된 매 15분간의 충·방전량과 같아지도록 운영된다.

4.2 목적함수

PV 발전소 운영자 관점에서, 출력제한과 수요자원거래 메커니즘을 고려한 ESS의 일간 최적운영스케줄링 결정 목적함수는 식(7)과 같다. 즉, 모든 전일 예측 PV 출력 시나리오에 대해서, 충전시간에 ESS에 저장되는 PV 전력과 방전시간에 계통으로 공급되는 ESS의 방전전력으로 기대되는 편익의 최대화를 의미한다.

(7)
$\max\sum_{ {s}=1}^{ {n}_{ {s}}}\sum_{ {h}=1}^{ {n}_{ {h}}}\alpha(s)\bullet B(s,\:h)+B_{A}$

여기서, $s$는 전일 예측 PV 출력 시나리오($s=1$(전일 예측 PV 출력 시나리오+α% MAPE), $s=2$(전일 예측 PV 출력 시나리오), $s=3$(전일 예측 PV 출력 시나리오-α% MAPE)), $n_{s}$는 전일 예측 PV 출력 시나리오 총 개수, $\alpha(s)$는 전일 예측 PV 시나리오의 발생 확률, $B(s,\: h)$는 충전시간에 저장되는 PV 전력과 방전시간에 계통으로 공급되는 방전전력으로 기대되는 편익[원], $B_{A}$는 PV 출력제한 계약용량[kW]에 따른 편익[원]

4.3 편익요소

4.3.1 전일 예측 PV 출력 시나리오에 따른 편익

전일 예측 PV 출력 시나리오에 따른 편익은 식(8)과 같이 2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 한전으로부터 출력제한 미발생시 기대편익은 PV 발전 및 ESS 충·방전 전력과 정산단가(SMP+REC)의 곱으로 계산되고, 둘째 한전으로부터 출력제한 발생시에는 PV 출력제한 기간동안의 출력제한량에 따른 편익이 추가로 반영된다.

(8)
$$ \begin{aligned} & B(s, h) \\ & = \begin{cases}U_{B} \cdot P_{o u p}(s, h) \cdot \frac{15}{60}+B_{c u r}(s, h) & \left(h_{P O S} \leq h \leq h_{P C E}\right) \\ U_{B} \cdot P_{o u p}(s, h) \cdot \frac{15}{60} & \text { (otherwise) }\end{cases} \end{aligned} $$

여기서, $\left . U_{B}\right .$는 PV 발전의 정산단가[원/KWh], $P_{s up}(s,\:h)$는 PV 발전소의 시나리오별 $h$당 발전계획량[kW], $B_{cur}(s,\: h)$는 시나리오별 $h$당 PV 출력제한량(kWh)에 따른 실적금[원], $h_{PCS}$와 $h_{PCE}$는 PV 출력제한 시작(Power Curtailment Start, PCS) 및 PV 출력제한 종료(Power Curtailment End, PCE) 15분 시간 간격

식(9)는 수요자원거래 메커니즘이 적용된 PV 출력제한량(kWh)에 따른 실적금에 관한 식으로, PV 기준출력과 실제 출력의 차이와 실적금 단가의 곱으로 나타낸다(7).

(9)
$B_{cur}(s,\:h)=U_{C}\bullet\left(P_{PBO}(h)-P_{pv}(s,\:h)\right)\bullet\dfrac{15}{60}$

여기서, $U_{C}$는 PV 출력제한에 따른 실적금 단가[원/kWh], $P_{PBO}(h)$는 $h$당 PV 기준출력(PV Baseline Output, PBO)[kW], $P_{pv}(s,\:h)$는 시나리오별 $h$당 PV 출력[kW]

4.3.2 출력제한 계약용량[kW]에 따른 편익

PV 출력제한 계약용량(kW)에 따른 편익은 식(10)과 같이 산정되는데, 연간 결정되는 PV 출력제한 계약용량 단가와 계약용량의 곱으로 산정된다(8).

(10)
$B_{A}=U_{A}\times P_{A}$

여기서, $U_{A}$는 PV 출력제한 계약용량 단가[원/kW], $P_{A}$는 PV 출력제한 계약용량[kW]

표 1. 시뮬레이션 조건

Table 1. Simulation conditions

Items

Parameters

PV capacity[kW]

6,000

PCS capacity[kW]

4,000

Battery capacity[kWh]

12,000

$ SOC_{\min},\:  SOC_{\max} $[kWh]

1,200, 12,000

$\eta$[%]

90

$P_{offset} $[kW]

400kW

$P_{pcs}$

4,000

$P_{A}$ [kW]

1,000

$U_{A}$ [KRW/kW]

27,124

$U_{C} $[KRW/kWh]

80

PV capacity*0.7[kW]

4,200

Bidding price

SMP[KRW/MWh]

97,560

REC[KRW]

52,440

REC weight

PV

1

ESS

4

$h_{PCS},\: h_{PCE} $[hh:mm]

14:00, 16:00

$h_{CS},\: h_{CE} $[hh:mm]

10:00, 16:00

$h_{DS},\: h_{DE} $[hh:mm]

17:00, 24:00

4.4 PV 출력제한 산정

특정 시간의 PV 출력제한량[kWh]에 따른 실적금의 정산 기준이 되는 PV 기준출력은 식(11)과 같이 일기예보의 맑은 날 중 최근 5일간의 PV 출력에 대한 평균치로 계산된다. 또한, PV 출력제한 이행률(fulfillment rate)은 식(12)와 같이 PV 출력제한 계약용량에 대한 실제 PV 출력제한량의 비율로 산정된다. 따라서, PV 출력제한량은 식(13)과 같이 PV 출력제한 이행률을 기준으로 97%에서 100%까지 제한되도록 상정된다.

(11)
$P_{PBO}(h)=\dfrac{\sum_{d=1}^{n_{d}}P_{pv}(h,\:d)}{n_{d}}$

(12)
$FR(h)=\dfrac{(P_{PBO}(h)-P_{pv}(s,\:h))}{P_{A}}\bullet 100$

(13)
$0.97\bullet P_{A}\le P_{PBO}(h)-P_{pv}(s,\:h)\le 1.0\bullet P_{A}$

여기서, $d$는 일일(맑은 날) 간격, $n_{d}$는 5, $P_{pv}(h,\:d)$는 $h$당 $d$당 PV 출력, $FR(h)$는 PV 출력제한 이행률[%]

5. 시뮬레이션 결과 및 분석

PV 발전소 운영자 관점에서, PV 출력제한과 수요자원거래 메커니즘을 고려한 ESS의 일간 최적운영스케줄링을 결정하기 위하여, 일간 총 기대편익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5.1 시뮬레이션 조건

본 논문에서 제안된 ESS의 일간 최적운영스케줄링을 결정하기 위하여, PV 시스템 조건, 정산 관련 조건, ESS 운영 시간 간격, 전일 예측 PV 출력 시나리오, ESS 운영조건 등이 상정된다.

그림. 2. 전일 예측 PV 출력 시나리오

Fig. 2. Day-ahead forecasting PV output scenarios

../../Resources/kiee/KIEE.2021.70.12.1846/fig2.png

5.1.1 PV 시스템 조건

PV 시스템 조건은 표 1과 같이, PV 6,000[kW], PCS 4,000[kW], ESS 12,000[kWh]를 고려하였고, ESS 방전깊이(depth of discharge, DOD)는 90%, ESS 종합효율은 90[%]를 상정하였다. 또한, PCS 관련 충전 오프셋 및 최대출력은 각각 400[kW], 4,000[kW]를 고려하였고 PV 출력제한 계약용량은 1,000[kW]로 가정하였다.

5.1.2 정산 관련 조건

PV 출력제한 기여에 따른 정산에 적용되는 계약용량 정산금 및 실적금 단가는 표 1과 같이 각각 27,124[원/kW], 80[원/kWh]로 상정하였다(9). 또한, ESS 방전시 출력제한량(PV 출력 및 ESS 방전전력의 합)이 PV 설치용량의 70%인 4,200[kW]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하였다.

입찰가격은 표 1과 같이 2020년 하반기 고정가격계약(SMP[원/MWh]+1REC 가격[원]) 경쟁입찰 공고문중 2020년 상반기 평균가격인 151,439원을 바탕으로 150,000[원]을 선정하였고, SMP는 150,000[원]의 65[%]인 97,560[원], 1REC는 150,000[원]의 35[%]인 52,440[원]으로 산정하였다(3).

PV 및 ESS의 REC 가중치는 각각 1, 4로 선정하였고, PV 출력제한 시작 및 종료 시간은 각각 14:00 및 16:00, ESS 충전시작 및 종료 시간은 각각 10:00 및 16:00, ESS 방전시작 및 종료시간은 각각 17:00 및 24:00로 가정하였다.

5.1.3 PV 출력 오차율

전력거래소에서 운영 중인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제도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하루 전에 미리 예측하여 제출하고, 당일 날 오차율 6% 이내로 이를 이행할 경우 발전량에 최대 4[원/KWh]의 정산금을 받는다(10). 이를 근거로 시뮬레이션을 위한 운전일 실제 PV 출력 오차율은 6[%]로 상정하였다.

표 2. 전일 예측 PV 출력 시나리오 발생확률

Table 2. Probability by day-ahead forecasting PV output scenario

Day-ahead forecasting PV output scenario+6% MAPE

Day-ahead forecasting PV output scenario

Day-ahead forecasting PV output scenario–6% MAPE

0.25

0.5

0.25

표 3. PV 출력제한에 대한 ESS 운영조건

Table 3. PV 출력제한에 대한 ESS 운영조건

Simulation Categories

PV curtailment

PV PCS stop

Demand response incentives

Case 1

×

×

×

Case 2

×

Case 3

×

운전일 실제 PV 출력 오차율은 6[%]로 상정하였다. 즉, 그림 2와 같이 전일 예측 PV 출력 시나리오+6% MAPE, 전일 예측 PV 출력 시나리오, 전일 예측 PV 출력 시나리오–6% MAPE가 고려된다. 그리고 각 시나리오의 발생확률은 표 2와 같이 각각 0.25, 0.5, 0.25로 가정하였다(10).

5.1.4 PV 출력제한에 따른 ESS 운영조건

제안된 ESS 최적운영스케줄링의 유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표 3의 3가지 운영조건에 대한 ESS 운영스케줄링일 비교 분석하였다.

- Case 1 : 기존 운영방법으로 출력제한 미고려

- Case 2 : 기존 운영방법으로 출력제한시 PCS 정지

- Case 3 : 제안된 운영방법으로 출력제한시 수요자원거래 메커니즘 고려

5.2 Case 1에 대한 ESS 운영스케줄링

PV 운영자가 한전으로부터 PV 출력제한을 요청받지 않은 경우, ESS의 일간 운영스케줄링은 그림 3과 같다. 그림 3(a)는 계통으로 공급되는 ESS 연계형 PV 발전량(핑크라인)과 ESS 미연계형 PV 발전량(블랙라인)을 나타낸다. 또한, 그림 3(b)그림 3(c)는 ESS 충전계획과 ESS 방전계획을 나타내고, 그림 3(d)는 일간 ESS SOC를 나타낸다.

PV 출력은 10:00까지 ESS 충전 없이 전력계통으로 전력을 모두 공급하고 그림 3(b)와 같이 ESS의 충전은 10:00시부터 시작하는데, 이때 PCS의 출력은 식(4)와 같이 충전 오프셋(400kW)을 차감한 모든 PV 출력을 ESS에 저장되게 된다. ESS의 충전은 14:30에 완료되었고, 이때의 SOC는 그림 3(d)와 같이 최대 설정치인 12,000[kWh]에 도달하였다. 또한, 그림 3(c)와 같이 ESS의 방전은 17:00에서 24:00까지 진행되며, 특히 17:00~18:30까지 PV 설치용량의 70%인 4,200[kW]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방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18:30~ 19:30까지 ESS는 PCS의 최대 출력범위인 4,000[kW]로, SOC 최소 설정치인 1,200[kWh]까지 방전하였다.

그림. 3. PV 출력제한을 고려하지 않는 ESS 운영스케줄링

Fig. 3. PV 출력제한을 고려하지 않는 ESS 운영스케줄링

../../Resources/kiee/KIEE.2021.70.12.1846/fig3.png

그림. 4. PCS 정지를 통한 PV 출력제한을 고려한 ESS 운영 스케줄링

Fig. 4. ESS operation scheduling W/ PV curtailment(PCS stop)

../../Resources/kiee/KIEE.2021.70.12.1846/fig4.png

5.3 Case 2에 대한 ESS 운영스케줄링

그림 4는 PV 운영자가 한전으로부터 14:00~16:00까지 PV 출력제한을 요청받은 경우, ESS의 일간 운영스케줄링을 나타낸다. 그림 4(a)와 같이 10:00~14:00까지 전력계통으로 공급되는 전력은 400[kW]이지만 14:00 이후 전력계통으로 공급되는 전력은 3,500[kW]를 초과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이 송전선로의 과부하 및 계통혼잡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PV 운영자는 그림 4(a)와 같이 PV PCS를 정지하여 출력제한 요청에 대응하는데, 이로 인하여, PV 발전 정지에 따른 SMP 수익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그림. 5. 제안된 ESS 운영스케줄링(전일 예측 PV 출력 시나리오+6% MAPE)

Fig. 5. Proposed ESS operation scheduling(Day-ahead forecasting PV output scenario+6% MAPE)

../../Resources/kiee/KIEE.2021.70.12.1846/fig5.png

5.4 Case 3에 대한 ESS 운영스케줄링

PV 운영자가 한전으로부터 14:00~16:00까지 출력제한을 요청받은 경우, PV 출력 시나리오별 제안된 일간 최적운영스케줄링은 그림 5~그림 7과 같다. 즉, PV의 불규칙성과 수요자원 메커니즘을 통한 PV 출력제한의 안정적인 기여를 위해 적용된 그림 2의 전일 예측 PV 출력 시나리오+6% MAPE, 전일 예측 PV 출력 시나리오 및 전일 예측 PV 출력 시나리오–6% MAPE에 대한 각각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그림 5의 전일 예측 PV 출력 시나리오+6% MAPE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살펴보면, PV 출력제한 시간동안(14:00~16:00) 식(9), 식(12)식(13)에 의해서 ESS는 그림 5(b)와 같이 집중 충전된다. 그림 5(a)의 계통으로 공급되는 ESS 연계형 PV 발전량(핑크라인)은 PV 기준출력(블루라인)을 기준으로, 시간당 PV 출력제한 계약용량인 1,000[kW]를 이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PV 출력 감발 이행율은 100%이고, SOC는 그림 5(d)와 같이 충전 종료시간인 16:00경 최고 설정치인 12,000[kWh]까지 충전되었다. 즉, 수요자원시장 메커니즘이 적용되더라도 ESS의 REC 수익은 기존 태양광 연계형 ESS의 운영계획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

그림. 6. 제안된 ESS 운영스케줄링(전일 예측 PV 출력 시나리오)

Fig. 6. Proposed ESS operation scheduling(Day-ahead forecasting PV output scenario)

../../Resources/kiee/KIEE.2021.70.12.1846/fig6.png

그림. 7. 제안된 ESS 운영스케줄링(전일 예측 PV 출력 시나리오-6% MAPE)

Fig. 7. Proposed ESS operation scheduling(Day-ahead forecasting PV output scenario–6% MAPE)

../../Resources/kiee/KIEE.2021.70.12.1846/fig7.png

그림 6은 실제 PV 출력이 그림 1의 “b”면적(Red) 안에 존재할 경우, “B” 구간 동안의 전일 예측 PV 출력 시나리오에 기반한 ESS 충·방전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ESS는 그림 6(a)그림 6(b)와 같이 PV 기준출력(PBO)를 기준으로 PV PCS 정지 없이 PV 출력제한 이행율 100[%]인 1,000[kW]만큼 집중 충전하여 PV 출력제한 효과를 발생시켰다. ESS 충전은 그림 6(d)와 같이 종료시간인 16:00경 완료되었고 이때 SOC는 최고 설정치인 12,000[kWh]가 되었다.

한편, 실제 PV 출력이 그림 1의 “a” 면적(Blue) 안에 존재할 경우, ESS는 그림 7(a)그림 7(b)와 같이 전일 예측 PV 출력 시나리오–6% MAPE와 PV 기준출력을 기준으로 한 집중 충전을 통하여, PV PCS 정지 없이 계약용량인 1,000[kW]만큼 PV 출력제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표 4. PV 출력제한에 대한 ESS 운영조건별 경제성 분석 결과

Table 4. Economic analysis results by ESS operating conditions for PV curtailment

Simulation Categories

Simulation Cases

1

2

3

SMP power generation revenue [KRW]

2,273,148

1,707,300

2,270,709

REC power generation revenue

[KRW]

PV REC weighted revenue

786,600

482,448

785,289

ESS REC weighted revenue

1,741,008

1,741,008

1,741,008

Transaction revenue of demand response

[KRW]

Reward for the contracted PV output capacity

-

-

678,100

Reward based on PV output reduced actually

-

-

160,000

Total [KRW]

4,800,756

3,930,756

5,635,106

5.5 PV 출력제한 이행에 따른 경제성 평가 결과

제안된 ESS 운영스케줄링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ESS가 설치된 PV 운영자 관점에서 일간 총 기대편익을 분석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Case 2의 경우 PV 출력제한 동안(14:00~16:00), PCS 정지로 SMP 편익이 Case 1보다 565,848원 감소되었고, PV REC 가중치 편익 역시 Case 1보다 304,152원 감소되었다. 즉, Case 2의 경우 한전은 송전선로 과부하 및 계통혼잡을 억제할 수 있지만, PV 운영자는 PV 출력제한으로 인해 SMP 및 REC 가중치에 대한 금전적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반면, Case 3의 경우 불규칙한 PV에 대한 ±6%MAPE의 출력 오차를 고려함으로써, PV 출력 정산량이 Case 1에 비해 25[kW]만큼 감소되었고 이로 인해 SMP 및 REC는 Case 1보다 각각 2,439원 1,311원 감소되었다. 하지만 PV 출력제한 계약용량에 대한 정산금 678,100원과 1,000[kW] 집중충전을 통해 발생된 실적금 160,000원의 추가 편익을 확보하여 총 기대편익은 Case 1보다 834,350원 증가되었다. ESS의 REC 가중치 편익은 Case 1, Case 2 및 Case 3이 동일하므로, 제안된 수요자원 인세티브를 고려한 ESS 일간 최적운영스케쥴링에 따른 ESS REC 가중치 손실금은 없음을 알 수 있다.

6. 결 론

본 논문에서는 ESS가 설치된 PV 발전소에서 ESS 충전 완료 이후에 발생되는 급격한 PV 출력이 송전선로의 과부하 및 계통혼잡을 야기시키므로, PV 운영자 측면에서 수요자원 인센티브를 통한 PV 출력제한 대응 ESS 최적운영스케줄링을 제시하였고,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송전선로 계통혼잡이 발생되는 기간 동안 제안된 수요자원거래 메커니즘에 의한 ESS 집중충전이 PV PCS 정지 또는 PV 출력제한에 대한 대체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2) 운전일 불규칙적인 PV 출력이 전일 예측 PV 출력 시나리오의 오차범위인 ±6% MAPE안 존재한다면, PV 운영자는 PV 출력제한 계약용량에 대해서 출력제한 기간 동안에 ESS의 집중방전으로 PV 출력제한 이행율 100%를 달성할 수 있다.

(3) 수요자원거래 메커니즘은 PV 운영자에게 PV PCS 정지 또는 PV 출력제한으로 인한 SMP 및 REC 가중치에 따른 정산금 손실을 발생시키지 않고, PV 출력제한 계약용량에 따른 정산금 및 ESS 집중충전을 통한 실적금 등의 추가 편익을 발생시킬 수 있다.

(4) 한전은 송전선로의 계통혼잡을 방지하기 위해, 송전선로의 추가 증설 또는 새로운 인센티브 제도의 도입이 요구되나, 기존 운용중인 수요자원거래 매커니즘을 활용한다면 PV 운영자로 하여금 계통 혼잡시간대에 ESS를 충전시킬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Acknowledgem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support of the Howon University Academic Research Grant in 2021, and I would like to thank Howon University.

References

1 
last modified Jan 1, 2021, accessed Nov 5,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Basic Plan, Korea power exchange website. https://kpxorkr/www/contentsdo?key=92Google Search
2 
last modified Dec 31, 2020, accessed Nov 5, Confirmed 9th Basic Plan for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from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Kharn Online Newspaper. http://www.kharn.kr/news/article.html?no=14804Google Search
3 
last modified Jan 1, 2021, accessed Nov 5, Korea Energy Management Corporation website, Korea power exchange website. https://www.knrec.or.kr/business/rps_guide.aspxGoogle Search
4 
last modified Mar 23, 2021, accessed Nov 5, Starting to limit solar power output on land, Korea electimes website. http://www.electimes.com/article.asp?aid=16164764 29214432002Google Search
5 
H.-S. Myung, S.-H. Kim, 2019, The Study on the Method of Distribution of output according to Power Limit of Renewable Energy, Journal of IKEEE, Vol. 23, No. 1, pp. 173-180DOI
6 
Kwang-Hoon Yoon, Hyeong-Jin Lee, Tea-Yang Nam, Joong- Woo Shin, Jae-Chul Kim, 2018, Analysis on the Increased Hosting Capacity of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by Evaluating Dynamic Rating for Distribution system,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ower Engineering Society Autumn Annual Conf, pp. 53-54Google Search
7 
Joon-ho Son, Mi-Young Kim, 2019, A Study on Operation Scheduling of Energy Storage System Considering Demand Response and Peak Reduction,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ower Engineering Society Autumn Annual Conf, pp. 75-76Google Search
8 
Joon-ho Son, Mi-Young Kim, Dae-Seok Rho, 2018, Day-ahead ESS Operation Scheduling considering Peak Reduction and Korea’s Demand Response Program,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ower Engineering Society Autumn Annual Conf, pp. 53-54Google Search
9 
last modified Jan 1, 2020, accessed Nov 5, Gridwiz DR Brochure, Gridwiz website. https://www.gridwiz.com/solutions /demand_responseGoogle Search
10 
last modified Jan 1, 2020, accessed Nov 5, Distributed Energy Resource Market, Korea power exchange website. http://der.kmos.kr/sga/mainPage.doGoogle Search

저자소개

손준호(Joon-Ho Son)
../../Resources/kiee/KIEE.2021.70.12.1846/au1.png

He received the Ph.D. degree from Hokkaido University, Sapporo, Japan, in 2016.

From December 2016, he has been working as a manager of LG Electronics' ESS Sales/Engineering Team.

His research interests are analysis and operation of power system, optimal operation of distributed generation with ESS and demand response.

김미영(Mi-Young Kim)
../../Resources/kiee/KIEE.2021.70.12.1846/au2.png

She received the Ph.D. degree from Hokkaido University, Sapporo, Japan, in 2008.

In 2017, she was appointed to her current position as an Associate Professor at Howon University.

Her research interests are analysis and operation of distribution system, wind power generation, grid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