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Korea.)



Big data, PMU, Power quality, R Programming, RESs, Stable operation, Statistical techniques, S/S

1. 서 론

최근, 에너지전환 정책에 따라 재생에너지원 (RESs) 보급이 활성화되며 계통에 연계되어 운전되고 있다. 그런데, 재생에너지원의 변동성, 예측 불확실성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수용성을 높이고 전력품질 관리를 통해 수용가에 양질의 공급해야 관리해야 한다. 또한, 재생에너지원이 연계된 변전소는 전압 및 주파수 유지가 중요하므로 변전소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감시하여 이상 상태를 검출할 수 있어야 하며, 필요시 재생에너지원을 제어, 보호할 수 있는 기술로 시각동기 페이저 기반 PMU의 설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최근, 2022년까지 영광에 친환경 복합 신재생에너지 클러스터를 개발하여 1GW 신재생 발전단지 조성할 예정에 있다[1 ~ 4]. 또한, GPS 기반 시각동기 페이저를 이용하여 신재생에너지 연계 광역계통을 감시할 수 있는 WAMS, 감시와 제어를 위한 WAMAC을 거쳐 감시, 보호 및 제어까지 가능한 WAMPAC 으로 진화하고 있다.

PMU는 GPS와 동기화되어 주파수, 3상 전압 및 전류의 크기, 위상각 등을 기록한다. 특히, 고장이나 외란이 발생한 경우, 정확한 시간 표식을 제공하여 데이터를 일치시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백만분의 1초 단위 또는 120 S/C 이상으로 측정할 수 있어서 정밀한 측정 및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다. 이PMU로부터 얻어지는 방대한 양의 빅 데이터를 전력계통 분야에 활용하는 여러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5,6).

관련된 연구로는 실제 PMU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규모 전력계통에 상태추정기 (PSE)(7)를 적용하였으며, PMU 빅 데이터를 통해 강화된 계통 응용(8), 스마트 그리드의 PMU 데이터 분석(9)이 발표되었다. 또한, 노이즈 데이터를 사용한 PMU 데이터 이벤트 감지를 위한 정량적 방법(10), 스마트 그리드에서 PMU 데이터 분석을 사용하여 분산 에너지원 출력 전력의 불규칙성 감지 기법(11), 고정밀 PMU 데이터를 사용한 새로운 이벤트 감지 방법(12) 등이 제안되었다. 최근의 연구동향으로는 빅 데이터 분석 기반 변전소 지능검사 효율성 향상 연구(13), 빅 데이터 분석 기반 저압 변전소 지역 식별 방법(14), 전력 시스템 디지털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동기화 페이저 측정 연구가 수행되고(15), 전력망 안정성 및 유연성 증대 기술이 제기되었다(16). 근래, 강원도에서도 재생에너지가 급속도로 증가하여, 2025년까지 3GW 이상 연계될 예정이다(17,18).

본 논문에서는 강원도 재생에너지원의 변동성에 대응하고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재생에너지원이 연계된 변전소의 PMU 생성 빅 데이터를 통해 전력계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안정적 운용을 모색하고자 한다. 먼저, 변전소에 설치된 GPS 기반 PMU를 이용하여 빅 데이터를 수집한다. 전력계통의 품질을 검토하기 위해 순간 전압 변동률을 계산하고, 대용량 데이터 통계 및 분석에 특화되어있는 R 프로그래밍을 사용하여 Boxplot, 커널 밀도, 상관관계 지수, 고조파 평균 등의 통계기법을 작성한다. 끝으로, 구현된 기법을 통해 전력계통의 전력품질을 효과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2. 변전소의 PMU 생성 빅 데이터 수집

WP가 연계되어있는 횡계변전소에는 PMU 3대와 F/R 5대, PV가 연계되어있는 영월변전소에는 PMU 5대, PV가 연계되어있는 양구 배전선로에 PMU 2대로 총 15대의 PMU가 강원도에 설치, 운용되고있다(1,17). 이 GPS 기반 PMU는 PDC 를 통해 대용량 데이터를 기록한다. 수집된 PMU 빅 데이터는 3상 전압, 전류의 크기 및 위상각, 주파수, 주파수 변화량 등이 저장되어있다. 1개의 PMU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는 주기당 1개의 표본을 기록하고 있으며, 하루에 5,184,000개의 데이터가 저장된다(1,18).

PMU 생성 빅 데이터의 데이터 프레임은 TimeTag, IDCode, State, Frequency, Dfrequency, Magnitude, Angle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TimeTag는 페이저 측정시간, IDcode는 PMU 장치 ID이고, State는 동작상태를 나타내고, 주파수, 주파수 변화량, 페이저의 크기와 위상각 등이 표시된다[1,2,22,23].

3. 통계기반 빅 데이터 분석

대용량의 PMU 생성 빅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하여, 통계 및 분석에 특화되어있는 R 프로그래밍으로 분석기법을 구현하였다. 순간 전압 변동률을 계산하고, Boxplot, 커널 밀도, 상관관계 지수, THD 평균 등의 분석기법을 통하여 RESs가 연계된 강원도의 변전소 계통의 전력품질을 분석하였다.

3.1 순간 전압 변동률

순간 전압 변동률은 급격한 전압변동을 수 주기에 걸친 기본파 전압 실효값의 변동으로 정의된다. 순간 전압 변동률($V_{d}$)은 이동창 (moving window) 기법을 이용하여 12 주기 이내 전압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계통의 공칭전압($V_{n}$)에 대한 백분율인 식 (1)과 같이 계산된다.

(1)
$V_{d}=\dfrac{V_{\max}(k_{n-11},\:\cdots ,\: k_{n})-V_{\min}(k_{n-11},\:\cdots ,\: k_{n})}{V_{n}}\times 100[\%]$

재생에너지원이 연계된 영월변전소에 설치된 PV의 PMU를 통해 생성된 24시간의 PMU 빅 데이터 기반 순간 전압 변동률을 확인하였다. 그림 1은 PV 발전의 순간 전압 변동률을 나타낸다. 그림 1에서 왼쪽부터 시간, A상, B상, C상 전압, A상, B상, C상 순간 전압 변동률을 나타낸다.

그림 1 태양광발전의 순간 전압 변동률

Fig. 1 Instantaneous voltage change rate of PV generation

../../Resources/kiee/KIEE.2021.70.12.2070/fig1.png

3.2 Boxplot

Boxplot은 선택된 데이터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범위, 중간 값, 1사 분위값, 3사 분위값을 나타낸다. 또한, 1사 분위값과 3사 분위값보다 1.5IQR (Interquartile Range) 초과된 값을 이상점 (Outlier) 로 분류하여 검출할 수 있다. 이 기법을 통해 정상범위에서 벗어나는 Outlier 값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계통 전압이 어느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그림 2는 횡계변전소에 설치된 WP의 24시간 PMU 빅 데이터의 각 상 순간 전압 변동률에 대한 Boxplot을 나타낸다. 그림 2와 같이 WP발전의 24시간 순간 전압 변동률 이상치를 확인할 수 있다. 각 상의 최대치는 2.332%, 2.441%, 2.635%이며, 중앙값은 1.277%, 1.206%, 1.322%로 나타났다.

그림 2 풍력발전의 순간 전압 변동률에 대한 boxplot

Fig. 2 Boxplot of instantaneous voltage change rate of WP

../../Resources/kiee/KIEE.2021.70.12.2070/fig2.png

그림 3은 PV의 24시간 PMU 빅 데이터의 각 상 순간 전압 변동률에 대한 Boxplot을 나타낸다. 그림 3과 같이 PV의 24시간 순간 전압 변동률 이상치를 확인할 수 있다. 각 상의 최대치는 1.304%, 1.291%, 1.366%이며, 중앙값은 0.129%, 0.127%, 0.126%로 나타났다.

그림 3 PV의 순간 전압 변동률에 대한 boxplot

Fig. 3 Boxplot of instantaneous voltage change rate of PV

../../Resources/kiee/KIEE.2021.70.12.2070/fig3.png

3.2 커널 밀도

커널 밀도는 커널함수를 이용한 밀도추정 방법으로, 관측된 데이터들의 분포로부터 원래 변수의 확률 분포 특성을 추정한다. 관측된 데이터가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 및 확률분포, 특성을 알 수 있다. 그림 4는 WP의 24시간 PMU 빅 데이터의 각 상 순간 전압 변동률에 대한 커널 밀도를 나타낸다. 그림 4에서 빨간색은 A상, 초록색은 B상, 파란색은 C상을 나타낸다. 각 상 모두 약 1.2%에서 밀도가 0.9 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림 4 풍력발전의 순간 전압 변동률에 대한 커널 밀도

Fig. 4 Kernel density of instantaneous voltage change rate of WP

../../Resources/kiee/KIEE.2021.70.12.2070/fig4.png

그림 5 PV의 순간 전압 변동률에 대한 커널 밀도

Fig. 5 Kernel density of instantaneous voltage change rate of PV

../../Resources/kiee/KIEE.2021.70.12.2070/fig5.png

그림 5는 PV의 24시간 PMU 빅 데이터의 각 상 순간 전압 변동률에 대한 커널밀도를 나타낸다. 그림 5와 같이 각 상 모두 약 0.127%에서 밀도가 9 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3 상관관계 지수

상관관계 지수는 연속형 두 변수 간 일대일로 대응하여 선형적인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두 변수에 대하여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1 ~ 1로 값이 구성된다. -1로 갈수록 서로 음의 관계를 의미하고, 1로 갈수록 서로 양의 관계를 의미한다. 피어슨 (Pearson) 상관계수는 식 (2)와 같이 계산된다.

(2)
$r=\dfrac{\sum_{i}(x_{i}-\overline{x})(y_{i}-\overline{y})}{\sqrt{\sum_{i}(x_{i}-\overline{x})^{2}}\sqrt{\sum_{i}(y_{i}-\overline{y})^{2}}}=\dfrac{1}{n}\sum_{i}z_{x_{i}}z_{y_{i}}$

여기서, $z_{x_{i}}$와 $z_{y_{i}}$는 각각 $(x_{i}-\overline{x})/\sqrt{\sum_{i}(x_{i}-\overline{x})^{2}/n}$과 $(y_{i}-\overline{y})/\sqrt{\sum_{i}(y_{i}-\overline{y})^{2}/n}$으로 정의된다. 그림 6은 정상상태시 PV의 5분 PMU 빅 데이터의 각 상 전압 및 전류에 대한 상관관계 지수를 나타낸다. 그림 6과 같이 A상 전압 및 전류의 상관관계 지수는 –0.39, C상 전압 및 전류의 상관관계 지수는 –0.023으로 약한 음의 상관관계, 상관관계 없음을 각각 나타내며 계통에 영향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6 정상상태시 PV의 각 상 전압 및 전류에 대한 상관관계 지수

Fig. 6 Correlation index for each phase voltage and current of PV during steady state

../../Resources/kiee/KIEE.2021.70.12.2070/fig6.png

그림 7 전압변동시 PV의 각 상 전압 및 전류에 대한 상관관계 지수

Fig. 7 Correlation index for each phase voltage and current of PV during voltage change

../../Resources/kiee/KIEE.2021.70.12.2070/fig7.png

그림 7은 전압 변동시 PV의 5분 PMU 빅 데이터의 각 상 전압 및 전류에 대한 상관관계 지수를 나타낸다. 그림 7과 같이 A상 전압 및 전류의 상관관계 지수는 –0.84로 증가하였고, C상 전압 및 전류의 상관관계 지수는 –0.86으로 매우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계통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순간 전압 변화율에 따른 상관관계 지수는 WP와 PV의 24시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표 1은 이동창 기법을 이용해 60주기마다 각 순간 전압 변화율에 따른 상관관계 지수를 확인하였을 때의 WP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표 1과 같이 순간 전압 변동률이 0~0.5% 사이에서 가장 발생빈도가 많았으며, 전압과 전류의 상관관계 지수는 0.1705로 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순간 전압 변동률이 3%가 넘는 구간이 존재하였으며, 상관관계 지수는 0.5373으로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순간 전압 변화율이 높아질수록 상관관계 지수도 강한 상관관계가 나타나는 경향을 알 수 있다.

표 1 풍력발전의 순간 전압 변화율에 따른 상관관계 지수 결과

Table 1 Correlation index results according to instantaneous voltage change rate of WP

풍력발전

60 Cycle

순간 전압 변화율 [%]

발생빈도

상관관계 지수

0.0

0.5

3,282,474

0.1705

0.5

1.0

1,272,382

0.2376

1.0

1.5

179,662

0.2977

1.5

2.0

16,356

0.3340

2.0

2.5

409

0.4521

2.5

3.0

26

0.3832

3.0

10.0

42

0.5373

표 2 PV의 순간 전압 변화율에 따른 상관관계 지수 결과

Table 2 Correlation index results according to instantaneous voltage change rate of PV

PV

60 Cycle

순간 전압 변화율 [%]

발생빈도

상관관계 지수

0.0

0.5

2,369,611

0.2112

0.5

1.0

347

0.7458

1.0

1.5

294

0.7803

1.5

2.0

0

0

2.0

2.5

0

0

2.5

3.0

0

0

3.0

10.0

0

0

표 2는 이동창 기법을 이용해 60주기마다 각 순간 전압 변화율에 따른 상관관계 지수를 확인하였을 때의 PV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표 2와 같이 순간 전압 변동률이 0~0.5% 사이에서 가장 발생빈도가 많았으며, 전압과 전류의 상관관계 지수는 0.2112로 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순간 전압 변동률이 1.0%~1.5% 구간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상관관계 지수는 0.7803으로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1.5%이내의 순간 전압 변화율에서는 순간 전압 변화율이 높아질수록 상관관계 지수도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3.4 THD 분석

재생에너지원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4시간의 출력과 시간에 따른 전압과 전류의 THD 평균을 확인하였다. 그림 8은 WP의 출력에 따른 전압 THD 분포를 나타낸다. 그림 8과 같이 전력품질 운영기준의 전압 THD 규정인 3% 이하로 출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8 풍력발전의 출력에 따른 전압 THD 분포

Fig. 8 Voltage THD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active power of WP

../../Resources/kiee/KIEE.2021.70.12.2070/fig8.png

그림 9 풍력발전의 출력에 따른 전류 THD 분포

Fig. 9 Current THD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active power of WP

../../Resources/kiee/KIEE.2021.70.12.2070/fig9.png

그림 10 태양광발전의 시간에 따른 출력 분포

Fig. 10 Active power distribution according to time of PV

../../Resources/kiee/KIEE.2021.70.12.2070/fig10.png

그림 9는 풍력발전의 출력에 따른 전류 THD 분포를 나타낸다. 그림 9와 같이 모든 출력 구간에서 4% 이하로서 전력품질 운영기준의 전류 THD 규정인 5% 이하로 출력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출력이 낮은 구간에서 전류 THD가 조금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10은 PV의 시간에 따른 평균 출력 분포를 나타낸다. 6시에 병입 되고, 20시에 병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10 ~ 16시 사이에 가장 출력이 크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11은 PV의 시간에 따른 전압 THD 분포를 나타낸다. 그림 11과 같이 전력품질 운영기준의 전압 THD 규정인 3%이하로 출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11 태양광발전의 시간에 따른 전압 THD 분포

Fig. 11 Voltage THD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active power of PV

../../Resources/kiee/KIEE.2021.70.12.2070/fig11.png

그림 12 태양광발전의 시간에 따른 전류 THD 분포

Fig. 12 Current THD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active power of PV

../../Resources/kiee/KIEE.2021.70.12.2070/fig12.png

그림 12는 PV의 시간에 따른 전류 THD 분포를 나타낸다. 그림 12에서 PV가 병입 되는 시간인 6 ~ 8시 사이에서의 전류 THD가 약 6%로 높게 나타났으며 병해 되는 시간인 18 ~ 20시 사이에서의 전류 THD가 약 8%로 더 높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발전하지 않을 때와 최대출력으로 발전 중인 경우에는 2%이하이며, 전력품질 운영기준의 전류 THD 규정인 5% 이하로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3.5 결과 및 고찰

수집된 PMU 빅 데이터를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강원도 재생에너지 연계 계통의 전력품질을 분석하였다.

Boxplot을 분석한 결과, PV보다 WP의 순간 전압 변동률이 약 1% 높게 나타났고, 이상치는 PV가 더 많이 나타났으나 순간 전압 변동률은 높지 않았다. 커널 밀도의 경우, WP가 PV보다 넓은 영역에서 순간 전압 변동률이 나타났으며, WP의 커널 밀도는 PV보다 낮게 나타났다. Boxplot과 커널 밀도를 확인한 결과, PV보다 WP가 출력 전압의 불안정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압과 전류의 상관관계의 경우, 전압 및 출력 변동시 상관관계 지수가 강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PV가 WP보다 순간 전압 변동률에 따른 상관관계 지수가 아주 강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추후, 실시간으로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계통에 영향을 미치는 변동성에 대하여 대비할 수 있는 지수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각 출력에 따른 THD의 평균의 경우, WP는 최대 13MW까지 출력이 나타났으며, 전압은 2% 이하 구간, 전류는 4% 이하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전력품질 운영기준의 전압 및 전류 THD 규정인 3%, 5%이하로 WP가 출력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간에 따른 THD 평균의 경우, PV가 병입 되는 6~8시 사이에 전류 THD가 약 6%로 높게 나타났으며, PV가 병해 되는 18~20시 사이에 전류 THD가 약 8%로 더 높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재생에너지원이 병입, 병해될 때의, 전류 THD가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횡계변전소 및 영월변전소를 포함한 강원도 전력계통의 변동성, 신뢰성을 개선하고 효과적인 분석을 위하여 통계학 기법을 R 언어로 구현하여 강원도 15개 관측 구역의 PMU와 F/R 기반 빅 데이터를 24시간 데이터와 5분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압의 변동성을 보기 위해, 순간 전압 변동률을 계산하였으며, Boxplot, 커널 밀도, 상관관계 지수 및 THD를 계산,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WP가 PV보다 순간 전압 변동률이 높고 출력전압의 불안정성을 보였다. 또한, 순간 전압 변동률이 크거나 출력 변동이 심할 때, 상관관계 지수가 강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PV의 경우 0.7 이상으로 아주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난 경우가 있었지만 발생빈도가 적어 큰 문제는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추후 재생에너지원 연계가 증가할 경우, 계통에 영향이 크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THD의 출력 및 시간별 평균을 살펴본 결과, 재생에너지원이 발전할 때 고조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THD의 출력 및 시간별 평균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으며, 이후 대규모의 재생에너지원이 연계될 경우, 계통의 고조파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본 R 언어를 이용하여 구현된 제반 통계학적 분석기법은 엑셀 기반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통계 모델을 개발하거나 외란 유형 판별 및 영향 정보 제공, 변전소의 PMU 생성 빅 데이터의 통계적 분석을 통한 재생에너지 연계 계통의 안정 운영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Gangwon Regional Headquarters of KEPCO in 2017. (C715170111-2)

References

1 
C. W. Park, 2019.8, Development of real-time monitoring, analysis, and control system for new and renewable power plants, KEPCO Field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Final Report, pp. 1-451Google Search
2 
C. W. Park, m B. H. Yun, 2019.7, PMU Big Data Analysis using R Language, KIEE Summer Conference, pp. 805-806Google Search
3 
J. H. Kang, K. C. Jung, D. S. Cha, S. Y. Oh, J. H. Kim, Jul 2017, A Development of PMU for Stand-alone Microgrid Power Quality Monitoring, KIEE EMECS Spring Conference, pp. 176-178Google Search
4 
S. J. Park, C. H. Park, M. H. Yoon, C. S. Song, M. J. Jang, G. S. Jang, Jul 2013, Analysis of the area of vulnerability for the wind farm interconnection considering FRT requirements, KIEE Summer Conference, pp. 115-116Google Search
5 
IEEE Power and Energy Society, 2019.3, IEEE Standard for Phasor Data Concentrators for Power Systems, IEEE Std C37.247-2019, pp. 1-44Google Search
6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2018.12, Measuring relays and protection equipment – Part 118-1: Synchrophasor for power systems – Measurements, IEC/IEEE 60255-118-1:2018, pp. 1-78Google Search
7 
Emily R. Fernandes, Scott G. Ghiocel, Joe H. Chow, Daniel E. Ilse, De D. Tran, Qiang Zhang, David B. Bertagnolli, Xiaochuan Luo, George Stefopoulos, Bruce Fardanesh, Jan 2017, Application of a Phasor-Only State Estimator to a Large Power System Using Real PMU Data, IEEE Trans. on Power Systems, Vol. 32, No. 1, pp. 411-420DOI
8 
B. Yang, J. Yamazaki, N. Saito, Y. Kokai, D. Xie, 2015, Big data analytic empowered grid applications is pmu a big data issue?, Proceedings of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European Energy Market (EEM), IEEE, pp. 1-4DOI
9 
Sharif M. A. Bhuiyan, Jesmin F. Khan, Gregory V. Murphy, 2017, Big Data Analysis of the Electric Power PMU Data from Smart Grid, SoutheastCon 2017, pp. 1-5DOI
10 
L. Souto, S. Herraiz, J. Mel´endez, 2020.10, Performance Comparison of Quantitative Methods for PMU Data Event Detection with Noisy Data, 2020 IEEE PES Innovative Smart Grid Technologies Europe (ISGT-Europe), pp. 232-236DOI
11 
Y. Seyedi, H. Karimi, S. Grijalva, Apr 2019, Irregularity Detec- tion in Output Power of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Using PMU Data Analytics in Smart Grids, IEEE Trans. on Industrial Informatics, Vol. 15, No. 4, pp. 2222-2232DOI
12 
M. Cui, J. Wang, J. Tan, A. R. Florita, Jan 2019, A Novel Event Detection Method Using PMU Data With High Precision, IEEE Trans. on Power Systems, Vol. 34, No. 1, pp. 454-466DOI
13 
Zhenzhen Zhou, Yunhai Song, Pengfei Xiang, Su Fang, 2020.7, Research on Improving Intelligent Inspection Efficiency of Substation Based on Big Data Analysis, 2020 5th Asia- Pacific Conference on Intelligent Robot Systems, pp. 99-102DOI
14 
Jing Chen, Zhibin Yin, Xianming Cheng, Yue Liu, 2021.4, Big data analysis based identification method of low- voltage substation area, 2021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g Data and Informatization Education (ICBDIE), pp. 169-172DOI
15 
Dmitry Zolin, Elena Ryzhkova, 20215, Synchronized Phasor Measurements for Power System Digital Control Applications, 202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dustrial Engineering, Applications and Manufacturing (ICIEAM), pp. 42-47DOI
16 
J. H. Lee, 2021.7, Response Strategies for Energy Con- version/Carbon Neutral Era, Panel Session, Section C, KIEE Summer Conference, pp. 1-54Google Search
17 
K. M. Lee, D. Y. Kwon, C. W. Park, 2019.10, Establishment of Synchro-phasor System for Renewable Energy Monitoring of Subst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3, No. 10, pp. 34-42Google Search
18 
C. W. Park, K. M. Lee, 2020.5, FRT Influence Evaluation using PMU based Data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Gangwon Area,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9, No. 5, pp. 650-656Google Search

저자소개

이경민 (Kyung-Min Lee)
../../Resources/kiee/KIEE.2021.70.12.2070/au1.png

He was born in Korea.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Wonju, Korea, in 2014 and 2017.

At present, he is working toward Ph.D.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IT, LVDC, Microgrid, RES, PMU, AI application of power system, power system modeling & control, and power system pro- tection.

He is a member of the KIEE, KIIEE, and IEEE.

Mr. Lee was awarded the Paper Prize of KIIEE in 2020. Tel: 033-760-8796, Fax : 033-760-8781

E-mail : point2529@naver.com

박철원(Chul-Won Park)
../../Resources/kiee/KIEE.2021.70.12.2070/au2.png

He was born in Korea.

He received his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in 1988, 1990, and 1996, respectively.

From 1989 to 1993 he was an associate researcher at Lucky GoldStar Industrial Systems.

From 1993 to 1996, he was a senior researcher at PROCOM system and lecturer at S.K.K. Univer- sity.

At present, he is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Gang- 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since 1997.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IT, IED, LVDC, MVDC, Microgrid, Hybrid, RES, PMU, AI application to power grid, power system modeling & control, and computer application in power system.

He is a member of the KIEE, KIIEE, and IEEE.

Dr. Park was awarded the Paper Prize of KIEE in 2010, 2020 and the Paper Prize of the KOFST in 2017. Tel: 033-760-8786, 8796

Fax: 033-760-8781

E-mail : cwpark1@gw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