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Electrical engineering group at KHNP CRI, Korea.)



Algorithm, Fault, Protective relay, Ratio differential relay, Transformer

1. 서 론

계전기는 규정된 방식으로 입력조건에 응답하고, 특정 조건이 충족되면 접점동작 또는 이와 유사한 전기적 제어의 변화가 발생되도록 설계된 전기장치이며(1), 보호계전기는 고장이 발생한 송전선로 또는 발전기 및 변압기 등 전력설비의 비정상적인 상태를 감지하고 적절한 보호를 위해 제어회로를 동작시키는 계전기이다(2)-(3).

전기적 고장으로부터 변압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계전기를 설치하며, 부하의 중요도, 용량, 안전성을 고려하여 정격 5[MVA] 이상의 변압기에는 비율차동계전기를 적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4). 비율차동계전기는 변압기 양측의 전류를 입력받아 차전류를 계산하며, 차전류 크기가 일정값 이상일 경우 고장이라고 판단한다(5). 변압기는 결선방식에 따라 양측의 전류 크기 및 위상이 다를 수 있는데, 변압기 비율차동계전기에는 변압기 한쪽의 전류를 기준하여 반대쪽 전류를 기준전류 측으로 환산함으로써 전류 크기 및 위상을 보상하고 차전류를 계산하는 고유의 전류보상 알고리즘이 구현되어 있다. 변압기 비율차동계전기 제작사 별로 전류보상 알고리즘을 위해 채택하는 기준권선에 차이가 있으며, 이는 비율차동계전기의 차전류 및 동작결과에 차이를 발생시킨다(6). 이처럼 동일 유형의 고장에서도 보호계전기에 따라 동작결과의 차이가 발생한다면 신속한 고장원인 분석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전력계통 운영자는 설비 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보호구간 내의 사고 검출 능력 확보를 위해 변압기 특성에 따른 다양한 검출 방법이 제안되어 왔으나(7)-(12), 고장원인 분석을 위한 해석방법 및 운영방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변압기 결선방식으로 인해 양측 전류의 크기와 위상이 다른 Wye-Delta 변압기를 모델링하여 변압기 단락, 지락 등의 고장현상을 시뮬레이션하고, 동일 고장에서 보호계전기 별로 알고리즘 차이에 따라 동작결과에 차이가 발생하는지 확인하였으며 이를 패턴화 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변압기 고장 발생 시 정확한 고장 식별이 가능한 로직회로를 제안함으로써 변압기 비율차동계전기의 고장유형 식별기능을 강화하고, 변압기 운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2. 비율차동계전기와 전류보상 알고리즘

2.1 비율차동계전기의 전류 크기 및 위상 보상

비율차동계전기의 전류 크기 및 위상 보상의 원리는 Wye-Delta 변압기의 아날로그 보호방식의 예로 설명된다. Wye-Delta 변압기는 양측 권선 간의 전류에 $\sqrt{3}$배 크기 차이, 30도 위상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전류를 계측하는 계기용 변류기(CT)의 결선을 변압기 결선과 반대인 Delta- Wye로 결선하는 것이 전류 크기 및 위상 보상의 기본원리이다. 또한 Wye 결선의 한 상을 12시 기준하여 Delta 결선의 동상을 1시로 위치시키는 그림 1의 YNd1 변압기 결선과 Wye 결선의 한 상을 12시 기준하여 Delta 결선의 동상을 11시로 위치시키는 그림 2의 YNd11 변압기 결선이 있다(13).

그림. 1. 변압기(YNd1) 보호용 비율차동계전기의 전류흐름

Fig. 1. Current flow of transformer (YNd1) protection ratio differential relay

../../Resources/kiee/KIEE.2022.71.6.826/fig1.png

그림. 2. 변압기(YNd11) 보호용 비율차동계전기의 전류흐름

Fig. 2. Current flow of transformer (YNd11) protection ratio differential relay

../../Resources/kiee/KIEE.2022.71.6.826/fig2.png

2.2 영상분 전류 제거 보상

아날로그 보호방식에서는 변압기 Wye 권선 측 지락고장 시 변압기 Wye 권선 측 CT의 Delta 결선 내부에서 영상전류가 순환하고, 변압기 Delta 권선 자체에서 영상전류가 순환하기 때문에 양쪽 모두에서 영상전류가 계전기로 입력되지 않는다. 그러나 디지털보호계전기에서는 양쪽 CT 모두 Wye 결선하므로 변압기 Wye 권선 측 지락사고 발생 시 영상전류가 Wye 권선 측 CT에서 계전기로 입력되고 이로 인해 차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디지털보호계전기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내부알고리즘을 통해 영상분 전류를 제거한다(14).

2.3 디지털 비율차동계전기의 전류보상 알고리즘

아날로그 보호계전기에서는 CT 결선을 상황에 맞게 Delta 또는 Wye로 설계하여 전류를 보상하지만, 디지털 보호계전기에서는 모든 CT를 Wye 결선으로 설계한다. 따라서 전류 크기 및 위상을 보상하고 영상전류를 제거하기 위해 계전기 고유의 전류보상 알고리즘을 이용하며,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15). 영상분 전류(I$_{0}$), 정상분 전류(I$_{1}$), 역상분 전류(I$_{2}$), 그리고 3상 전류(I$_{a}$, I$_{b}$, I$_{c}$)의 관계를 3상 대칭좌표법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이 Matrix로 표현할 수 있다.

(1)
$\begin{bmatrix}I_{a}\\I_{b}\\I_{c}\end{bmatrix}=\begin{bmatrix}1 & 1 & 1\\1 & a^{2} & a\\1 & a & a^{2}\end{bmatrix}\times\begin{bmatrix}I_{0}\\I_{1}\\I_{2}\end{bmatrix},\:(a=e^{j120^{\circ}},\: a^{2}=e^{-j120^{\circ}})$

상기 식에서 각각의 전류를 차전류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2)
$\begin{bmatrix}I_{a}^{d}\\I_{b}^{d}\\I_{c}^{d}\end{bmatrix}=\begin{bmatrix}1 & 1 & 1\\1 & a^{2} & a\\1 & a & a^{2}\end{bmatrix}\times\begin{bmatrix}I_{0}^{d}\\I_{1}^{d}\\I_{2}^{d}\end{bmatrix}$

($I_{a}^{d}$ : a상 차전류, $I_{b}^{d}$ : b상 차전류, $I_{c}^{d}$ : c상 차전류,

$I_{0}^{d}$ : 영상분 차전류, $I_{1}^{d}$ : 정상분 차전류, $I_{2}^{d}$ : 역상분 차전류)

차전류 계산 시 권선1을 기준권선으로 하는 비율차동계전기라 가정할 경우, 권선2 전류를 θ만큼 보상한다. 예를 들어 권선2의 위상이 권선1의 위상보다 30도 뒤진 변압기의 경우 권선1이 0도가 되고, 권선2가 –30도가 되며, 보상위상 θ는 30도가 된다. 권선2 전류를 변압비와 권선1과의 위상차만큼 보상한 후 권선1 전류와의 차전류를 계산한다. 이 때, 변압기 양측의 계기용 변류기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결선되어 있으므로 양측 전류를 환산한 후에 벡터합을 하여 차전류를 계산할 수 있다.

(3)
$\begin{bmatrix}I_{a}^{d}\\I_{b}^{d}\\I_{c}^{d}\end{bmatrix}=\begin{bmatrix}1 & 1 & 1\\1 & a^{2} & a\\1 & a & a^{2}\end{bmatrix}\times\begin{bmatrix}1 & 0 & 0\\0 & e^{j0} & 0\\0 & 0 & e^{-j0}\end{bmatrix}\times\begin{bmatrix}I_{0}^{W_{1}}\\I_{1}^{W_{1}}\\I_{2}^{W_{1}}\end{bmatrix}$ $$+\dfrac{V_{W_{2}}}{V_{W_{1}}}\times\begin{bmatrix}1 & 1 & 1\\1 & a^{2} & a\\1 & a & a^{2}\end{bmatrix}\times\begin{bmatrix}1 & 0 & 0\\0 & e^{j\theta} & 0\\0 & 0 & e^{-j\theta}\end{bmatrix}\times\begin{bmatrix}I_{0}^{W_{2}}\\I_{1}^{W_{2}}\\I_{2}^{W_{2}}\end{bmatrix}$$

($I_{0}^{W_{1}}$ : 1차측 권선의 영상분 전류, $I_{1}^{W_{1}}$ : 1차측 권선의 정상분 전류, $I_{2}^{W_{1}}$ : 1차측 권선의 역상분 전류, $I_{0}^{W_{2}}$ : 2차측 권선의 영상분 전류, $I_{1}^{W_{2}}$ : 2차측 권선의 정상분 전류, $I_{2}^{W_{2}}$ : 2차측 권선의 역상분 전류, $V^{W_{1}}$ : 권선1측 전압, $V^{W_{2}}$ : 권선1측 전압)

(3)을 관계식(1)을 활용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4)
$\begin{bmatrix}I_{a}^{d}\\I_{b}^{d}\\I_{c}^{d}\end{bmatrix}=$$\begin{bmatrix}1 & 1 & 1\\1 & a^{2} & a\\1 & a & a^{2}\end{bmatrix}\times\begin{bmatrix}1 & 0 & 0\\0 & e^{j0} & 0\\0 & 0 & e^{-j0}\end{bmatrix}\times\begin{bmatrix}1 & 1 & 1\\1 & a^{2} & a\\1 & a & a^{2}\end{bmatrix}^{-1}\times\begin{bmatrix}I_{a}^{W_{1}}\\I_{b}^{W_{1}}\\I_{c}^{W_{1}}\end{bmatrix}$ $$+\dfrac{V^{W_{2}}}{V^{W_{1}}}\times\begin{bmatrix}1 & 1 & 1\\1 & a^{2} & a\\1 & a & a^{2}\end{bmatrix}\times\begin{bmatrix}1 & 0 & 0\\0 & e^{j\theta} & 0\\0 & 0 & e^{-j\theta}\end{bmatrix}\times\begin{bmatrix}1 & 1 & 1\\1 & a^{2} & a\\1 & a & a^{2}\end{bmatrix}^{-1}\times\begin{bmatrix}I_{a}^{W_{2}}\\I_{b}^{W_{2}}\\I_{c}^{W_{2}}\end{bmatrix}$$

또한, 표기상의 편의를 위해 전류보상행렬 A(θ)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5)
$A(\theta)=\begin{bmatrix}1 & 1 & 1\\1 & a^{2} & a\\1 & a & a^{2}\end{bmatrix}\times\begin{bmatrix}1 & 0 & 0\\0 & e^{j\theta} & 0\\0 & 0 & e^{-j\theta}\end{bmatrix}\times\begin{bmatrix}1 & 1 & 1\\1 & a^{2} & a\\1 & a & a^{2}\end{bmatrix}^{-1}$ $$=\begin{bmatrix}1 & 1 & 1\\1 & a^{2} & a\\1 & a & a^{2}\end{bmatrix}\times\begin{bmatrix}1 & 0 & 0\\0 & e^{j\theta} & 0\\0 & 0 & e^{-j\theta}\end{bmatrix}\times\dfrac{1}{3}\times\begin{bmatrix}1 & 1 & 1\\1 & a & a^{2}\\1 & a^{2} & a\end{bmatrix}$$

위에서 정의한 식(5)를 활용하여 차전류 계산을 위한 식(4)를 다음과 같이 간략화 할 수 있다.

(6)
$\begin{bmatrix}I_{a}^{d}\\I_{b}^{d}\\I_{c}^{d}\end{bmatrix}=$$A(0^{\circ})\times\begin{bmatrix}I_{a}^{W_{1}}\\I_{b}^{W_{1}}\\I_{c}^{W_{1}}\end{bmatrix}+\dfrac{V^{W_{2}}}{V^{W_{1}}}\times A(\theta)\times\begin{bmatrix}I_{a}^{W_{2}}\\I_{b}^{W_{2}}\\I_{c}^{W_{2}}\end{bmatrix}$

한편, 차전류 계산에 사용되는 A(θ)를 추가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7)
$A(\theta)=\dfrac{1}{3}\begin{bmatrix}1+2\cos(\theta) & 1+2\cos(\theta +120) & 1+2\cos(\theta -120)\\1+2\cos(\theta -120) & 1+2\cos(\theta) & 1+2\cos(\theta +120)\\1+2\cos(\theta +120) & 1+2\cos(\theta -120) & 1+2\cos(\theta)\end{bmatrix}$

영상분 전류를 제거해야 하는 변압기 권선에 적용할 경우, A(θ)에서 영상분을 제거하여 식(8)과 같이 A’(θ)를 정리할 수 있다.

(8)
$A'(\theta)= A(\theta)-\dfrac{1}{3}\begin{bmatrix}1 & 1 & 1\\1 & 1 & 1\\1 & 1 & 1\end{bmatrix}$ $$=\dfrac{2}{3}\begin{bmatrix}\cos(\theta) & \cos(\theta +120) & \cos(\theta -120)\\\cos(\theta -120) & \cos(\theta) & \cos(\theta +120)\\\cos(\theta +120) & \cos(\theta -120) & \cos(\theta)\end{bmatrix}$$

여기서 가장 중요한 점은 전류보상 알고리즘의 기준권선이 어떤 권선이냐에 따라 차전류 및 동작결과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6). 보호계전기 제작사별로 Wye 권선, Delta 권선 등 채택하는 기준권선에 차이가 있으므로 고장 시뮬레이션 시 Wye권선 기준 보호계전기, Delta권선 기준 보호계전기로 구분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3. 변압기 고장 시뮬레이션

3.1 전력계통 모델링

ATPdra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압비 345/22kV, 용량 290[MVA]이며 각변위는 각각 YNd1, YNd11인 변압기를 그림 3과 같이 모델링하였다. 계통 발전원은 접지계통으로써 정격전압 345[kV], 주파수 60[Hz]이며 위상은 각각 –10°, 0°로 설정하고 영상분 임피던스는 R$_{0}$=0.8128[Ω], L$_{0}$=8.1292[mH], 정상분 임피던스는 R+=0.3556[Ω], L+=3.5564[mH]으로 설정하였다. 송전선로의 영상분 임피던스는 R$_{0}$=0.2308[Ω/m], L$_{0}$=1.146[mH/m], 정상분 임피던스는 R+=0.08205[Ω/m], L+=0.42415[mH/m]이며, 송전선로의 길이는 100[m]로 설정하였다. 부하측은 고저항 접지인 발전소가 발전 중이지 않은, 수전 중인 상태를 모델링하였으며 정상분 임피던스는 R+=0.3556[Ω], L+=3.5564[mH/m]로 설정하였다. Delta결선 측 부하의 정상분 임피던스는 R+=0.3556[Ω], L+=3.5564[mH/m]로 설정하였다. 본 모델링은 특정 전력계통의 과도현상을 동일하게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것이 아니므로 계통전원 임피던스, 선로 임피던스 부하 등은 발전소 전력계통 설계의 근사값을 적용하였다.

그림. 3. Wye-Delta 변압기 전력계통 ATPdraw 모델링

Fig. 3. ATP Draw Modeling of the Power System of the Wy-Delta Transformer

../../Resources/kiee/KIEE.2022.71.6.826/fig3.png

3.2 변압기 고장 시뮬레이션 Case 선정

변압기 고장 시뮬레이션 Case는 YNd1변압기, YNd11 변압기 각각에서 발생할 수 있는 Wye 권선 측 A상/B상/C상 지락사고, A-B상/B-C상/C-A상/A-B-C상 지락 및 단락사고, Delta 권선 측 A-B상/B-C상/C-A상/A-B-C상 단락사고 등 15가지 고장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거리계전기와 같은 고장위치 판별능력, 기존 비율차동계전기의 고장검출능력 등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 아니며, 보호계전기 동작이 이미 발생한 상태에서의 고장 상, 고장 유형(지락/단락) 식별능력을 강화하는 것이 주목적이므로 변압기 권선단락, 층간단락, 권선지락 등 변압기 비율차동계전기 보호범위 안에서의 물리적인 고장위치를 변경하는 등 고장의 정도를 조정하는 시뮬레이션은 수행하지 않았다.

3.3 시뮬레이션 결과 데이터

시뮬레이션 결과데이터 중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변수는 고장유형 식별을 위한 주요변수로 선정하고 굵은 글씨로 표시하였다.

① 변압기 Wye 권선 측 1선 지락사고 시 최소고장전류인 12000[A]의 70%인 8400[A]을 초과하는 상전류

② 변압기 정격전류 485[A]($\dfrac{290[MVA]}{\sqrt{3}\times 345[k V]}=485[A]$)의 30%인 145.5[A]를 초과하는 영상전류(3I$_{0}$)

③ 변압기 정격전류 485[A]의 30%인 145.5[A]를 초과하는 차전류

①번은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을 통해 얻어진 1선 지락전류 12000[A]에서 고장유형 식별을 위한 적정비율(70%)을 적용한 것이며, ②번은 변압기 중성점 지락과전류계전기 설정기준을 Wye 권선 측 영상분 전류에 적용한 것이며, ③번은 일반적인 비율차동계전기의 설정기준이다.

3.3.1 YNd1 결선 변압기

변압기 Wye 권선 측 A상 지락사고 시 그림 4에서와 같이 Wye 권선 측의 A상 전류와 영상전류가 증가하였으며, 차전류는 Wye 권선 기준 보호계전기의 경우 A, B, C상이 증가하였고, Delta 권선 기준 보호계전기의 경우 A, B상이 증가하였다.

그림. 4. YNd1 Wye 권선 측 A상 지락사고 시 전류파형 및 차전류

Fig. 4. YNd1 Wye 권선 측 A상 지락사고 시 전류파형 및 차전류

../../Resources/kiee/KIEE.2022.71.6.826/fig4.png

그림 4의 YNd1 결선 변압기의 Wye 권선 측 A상 지락사고를 포함한 15가지 전기적 고장 유형별 상전류 크기 및 위상, 그리고 비율차동계전기의 전류보상 알고리즘을 통해 계산된 차전류를 표 1과 같이 정리하였다.

표 1. YNd1 결선 변압기의 고장유형별 전류 및 차전류

Table 1. YNd1 Current and Differential Current by Type of Fault in a Connected Transformer

구분

상전류 측정값([kA]∠°)

차전류 계산값([kA]∠°)

Wye권선 측 전류

Delta권선 측 전류

Wye기준보호계전기

Delta기준보호계전기

Wye

A상

지락

A상

12.0∠0.0

4.8∠116.5

8.7∠-2.3

7.5∠-2.3

B상

1.4∠173.5

4.7∠43.6

4.4∠177.7

7.5∠177.7

C상

1.6∠142.4

7.6∠-99.5

4.4∠177.7

0.0∠78.0

영상

9.3∠7.1

0.0∠154.4

-

-

Wye

B상

지락

A상

1.5∠0.0

7.1∠100.4

4.9∠31.3

0.0∠-29.3

B상

13.6∠-147.2

4.2∠-33.2

9.8∠-148.7

8.5∠-148.7

C상

1.6∠29.9

5.2∠-115.6

4.9∠31.3

8.5∠31.3

영상

10.8∠-142.5

0.0∠-56.4

-

-

Wye

C상

지락

A상

1.7∠0.0

4.3∠-135.9

4.9∠1.7

8.5∠1.7

B상

1.8∠-24.1

6.7∠90.4

4.9∠1.7

0.0∠-149.0

C상

13.4∠-176.7

4.9∠-50.2

9.8∠-178.3

8.5∠-178.3

영상

10.2∠-171.4

0.0∠-47.5

-

-

Wye

A-B상

지락

A상

15.5∠0.0

5.3∠90.5

15.2∠11.5

8.9∠-4.1

B상

17.1∠-143.6

0.2∠-24.4

16.1∠-153.6

17.9∠-160.9

C상

1.7∠84.7

5.2∠-91.0

4.1∠96.6

10.3∠39.0

영상

8.7∠-77.4

0.0∠96.1

-

-

Wye

B-C상

지락

A상

1.4∠0.0

4.4∠-170.5

3.5∠18.8

11.1∠-48.9

B상

18.3∠-78.6

4.6∠10.8

17.8∠-70.3

10.4∠-81.5

C상

18.5∠129.0

0.2∠-139.1

18.1∠120.8

20.6∠115.3

영상

7.5∠-151.6

0.0∠7.4

-

-

Wye

C-A상

지락

A상

15.7∠0.0

0.1∠71.6

15.3∠-11.6

17.6∠-19.3

B상

1.6∠-120.7

5.1∠64.9

4.1∠-107.7

9.4∠-177.1

C상

16.5∠142.4

5.2∠-114.9

15.4∠153.1

9.6∠139.0

영상

8.9∠-151.6

0.0∠-77.2

-

-

Wye

A-

B-

C상

지락

A상

17.5∠0.0

0.0∠55.5

17.5∠0.1

17.6∠-35.4

B상

20.4∠-119.8

0.2∠-22.6

20.4∠-119.8

18.9∠-147.3

C상

19.1∠112.5

0.2∠-175.0

19.1∠112.6

20.5∠85.5

영상

0.0∠-47.0

0.0∠46.6

-

-

Wye

A-B

단락

A상

16.2∠0.0

6.4∠69.1

16.3∠0.8

9.4∠0.8

B상

16.4∠-178.5

0.1∠-43.1

163∠-179.2

18.8∠-179.2

C상

0.5∠68.6

6.4∠-111.9

0.0∠-17.6

9.4∠0.8

영상

0.0∠150.7

0.0∠-9.1

-

-

Wye

B-C

단락

A상

0.4∠0.0

5.6∠179.5

0.0∠75.3

10.4∠-73.4

B상

17.9∠-74.1

5.7∠0.5

17.9∠-73.4

10.4∠-73.4

C상

18.0∠107.2

0.2∠-147.3

17.9∠106.6

20.7∠106.6

영상

0.0∠-100.9

0.0∠115.5

-

-

Wye

C-A

단락

A상

15.9∠0.0

0.1∠86.8

15.9∠-0.8

18.4∠-0.8

B상

0.4∠-93.8

6.1∠86.2

0.0∠0.3

9.2∠179.2

C상

15.9∠178.4

6.1∠-93.8

15.9∠179.2

9.2∠179.2

영상

0.0∠-170.2

0.0∠176.5

-

-

Wye

A-

B-

C상

단락

A상

17.2∠0.0

0.1∠63.5

17.2∠0.0

18.4∠-34.0

B상

19.6∠-114.2

0.2∠-7.4

19.6∠-114.1

17.8∠-144.7

C상

20.1∠117.3

0.2∠-160.5

20.1∠117.3

20.6∠91.9

영상

0.1∠-163.0

0.0∠11.7

-

-

Delta

A-B

단락

A상

2.4∠0.0

5.1∠92.5

2.3∠2.3

2.0∠2.3

B상

1.3∠-160.3

26∠81.5

1.2∠-177.7

2.0∠-177.7

C상

1.2∠160.0

7.7∠-91.2

1.2∠-177.7

0.0∠-176.4

영상

0.0∠19.0

0.0∠-159.9

-

-

Delta

B-C

단락

A상

1.3∠0.0

6.8∠95.8

1.3∠17.7

0.0∠-101.2

B상

2.7∠-163.9

4.4∠-79.7

2.7∠-162.2

2.3∠-162.2

C상

1.5∠30.7

2.4∠-92.4

1.3∠17.8

2.3∠17.8

영상

0.0∠-33.3

0.0∠-11.8

-

-

Delta

C-A

단락

A상

1.4∠0.0

2.3∠-109.1

1.3∠-14.2

2.3∠-14.2

B상

1.5∠-30.7

6.7∠81.4

1.3∠-14.2

0.0∠-27.5

C상

2.7∠164.1

4.5∠-93.3

2.7∠165.8

2.3∠165.8

영상

0.0∠-82.0

0.0∠37.4

-

-

Delta

A-B-

C상

단락

A상

2.2∠0.0

2.9∠77.5

2.2∠4.6

2.2∠-30.9

B상

2.6∠-118.4

2.5∠-48.6

2.5∠-115.1

2.4∠-142.7

C상

2.5∠113.5

2.5∠-158.4

2.4∠117.1

2.6∠90.1

영상

0.0∠-114.9

0.0∠91.0

-

-

3.3.2 YNd11 결선 변압기

표 2는 YNd11 결선 변압기의 15가지 전기적 고장 유형별 상전류 크기 및 위상, 그리고 비율차동계전기의 전류보상 알고리즘을 통해 계산된 차전류를 나타낸다.

표 2. YNd11 결선 변압기의 고장유형별 전류 및 차전류

Table 2. YNd11 Current and Differential Current by Type of Fault in a Connecting Transformer

구분

상전류 측정값([kA]∠°)

차전류 계산값([kA]∠°)

Wye권선 측 전류

Delta권선 측 전류

Wye기준보호계전기

Delta기준보호계전기

Wye

A상

지락

A상

14.0∠0.0

5.1∠-141.6

10.2∠-1.9

8.8∠-1.9

B상

1.7∠174.8

7.6∠78.0

5.1∠178.1

0.0∠-53.6

C상

0.0∠147.1

4.9∠-60.3

5.1∠178.1

8.8∠178.1

영상

0.0∠5.93

0.0∠-24.1

-

-

Wye

B상

지락

A상

1.5∠0.0

4.2∠146.9

4.9∠30.3

8.5∠30.3

B상

13.7∠-148.2

5.2∠63.1

9.9∠-149.7

8.5∠-149.7

C상

1.6∠29.0

7.0∠-80.1

4.9∠30.4

0.0∠179.8

영상

10.9∠-143.6

0.0∠-5.1

-

-

Wye

C상

지락

A상

1.7∠0.0

6.5∠-93.4

5.1∠1.2

0.0∠-0.4

B상

1.8∠-23.0

4.7∠130.1

5.1∠1.2

8.8∠1.2

C상

14.0∠-177.4

4.4∠39.3

10.2∠-178.8

8.9∠-178.8

영상

10.7∠-172.8

0.0∠-75.9

-

-

Wye

A-B상

지락

A상

16.2∠0.0

0.2∠142.2

16.0∠10.5

18.9∠17.4

B상

18.0∠-147.1

5.0∠84.5

17.0∠-156.7

10.9∠-144.7

C상

1.7∠79.6

5.1∠-94.1

4.0∠92.8

9.2∠176.2

영상

8.3∠-80.5

0.0∠133.7

-

-

Wye

B-C상

지락

A상

1.4∠0.0

4.5∠-169.2

3.5∠18.9

10.6∠93.8

B상

18.5∠-83.4

0.2∠30.0

17.7∠-75.2

20.4∠-69.5

C상

18.0∠124.7

4.4∠10.0

17.8∠116.1

10.7∠126.9

영상

7.6∠-152.0

0.0∠132.5

-

-

Wye

C-A상

지락

A상

15.8∠0.0

4.9∠-111.8

15.6∠-11.2

9.4∠2.8

B상

1.5∠-118.3

5.0∠68.3

4.0∠-104.0

9.9∠-38.6

C상

17.1∠144.5

0.1∠-103.1

15.9∠154.4

18.1∠161.5

영상

8.7∠82.2

0.0∠-56.6

-

-

Wye

A-

B-

C상

지락

A상

17.5∠0.0

0.2∠157.4

17.5∠0.1

18.9∠32.7

B상

20.4∠-119.8

0.2∠5.0

20.4∠-119.8

20.5∠-94.5

C상

19.1∠112.5

0.1∠-124.5

19.1∠112.6

17.6∠144.6

영상

0.1∠-47.0

0.0∠-133.4

-

-

Wye

A-B

단락

A상

15.5∠0.0

0.1∠149.0

15.6∠0.9

17.9∠0.9

B상

15.6∠-178.3

6.6∠70.4

15.5∠-179.1

9.0∠-179.1

C상

0.5∠71.0

6.6∠-108.5

0.0∠175.2

9.0∠-179.1

영상

0.1∠-1.2

0.0∠73.3

-

-

Wye

B-C

단락

A상

0.4∠0.0

5.7∠-179.5

0.0∠147.2

10.4∠107.4

B상

17.9∠-73.3

0.2∠34.7

18.0∠-72.7

20.7∠-72.7

C상

18.0∠107.9

5.6∠-0.5

17.9∠107.3

10.4∠107.3

영상

0.0∠-30.8

0.0∠-97.9

-

-

Wye

C-A

단락

A상

15.9∠0.0

6.1∠-93.7

15.9∠-0.8

9.2∠-0.8

B상

0.4∠-93.7

6.1∠86.3

0.0∠5.5

9.2∠-0.8

C상

15.9∠178.4

0.1∠-93.1

15.9∠179.2

18.4∠179.2

영상

0.0∠-172.2

0.0∠-3.4

-

-

Wye

A-

B-

C상

단락

A상

17.5∠0.0

0.1∠157.4

17.5∠0.1

18.9∠32.7

B상

20.4∠-119.8

0.2∠5.0

20.4∠-119.8

20.5∠-94.5

C상

19.1∠112.5

0.1∠-124.5

19.1∠112.6

17.6∠144.6

영상

0.1∠-47.0

0.0∠-133.4

-

-

Delta

A-B

단락

A상

1.3∠0.0

4.7∠99.6

1.3∠19.7

2.2∠19.7

B상

2.6∠-162.1

2.5∠88.8

2.6∠-160.3

2.2∠-160.2

C상

1.4∠33.7

7.1∠-84.2

1.3∠19.8

0.0∠-179.7

영상

0.0∠-123.9

0.0∠-112.4

-

-

Delta

B-C

단락

A상

1.4∠0.0

6.5∠-101.9

1.4∠-12.9

0.0∠55.3

B상

1.5∠-28.6

4.3∠83.6

1.4∠-13.0

2.4∠-12.9

C상

2.8∠165.5

2.2∠67.4

2.8∠167.1

2.4∠167.1

영상

0.0∠-1.8

0.0∠46.8

-

-

Delta

C-A

단락

A상

2.4∠0.0

2.5∠-92.7

2.3∠2.3

2.0∠2.3

B상

1.2∠-160.0

7.6∠94.9

1.2∠-177.7

0.0∠-21.1

C상

1.3∠161.1

5.1∠-81.3

1.2∠-177.7

2.0∠-177.7

영상

0.0∠10.7

0.0∠26.6

-

-

Delta

A-B-

C상

단락

A상

2.2∠0.0

2.5∠131.4

2.2∠4.6

2.4∠37.3

B상

2.6∠-118.4

2.5∠21.6

2.5∠-115.1

2.6∠-89.9

C상

2.5∠113.5

2.9∠-102.5

2.4∠117.1

2.2∠149.1

영상

0.0∠-114.9

0.0∠-89.0

-

-

4. 7개 요소를 활용한 고장유형 패턴화

4.1 고장유형 패턴화 방법

변압기 보호설계 시 일반적으로 비율차동계전기, 과전류 계전기, 영상과전류계전기를 적용하는데, 고장유형 식별로직 개발을 위해 사용될 주요 요소들은 기존의 보호계전기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변수들을 사용하였다. 주요 요소는 Wye 권선 측 A상/B상/C상 전류 및 영상분 전류, A상/B상/C상 차전류 등 7개 요소이다. Wye 권선 측 상전류는 1선 지락전류 12000[A]의 70%인 8400[A]를 초과할 경우 ‘1’이 되고 8400[A] 이하일 경우 ‘0’이 된다. 지락전류의 70%에 동작하는 상별 과전류계전기를 추가하여 입력요소로 사용한다. Wye 권선 측 3상 전류의 벡터합인 영상분 전류가 Wye 권선 측 정격전류 485[A]의 30%인 145.5[A]를 초과할 경우 ‘1’이 되고 145.5[A] 이하일 경우 ‘0’이 된다. 영상분 전류를 감시하는 과전류 계전기를 활용할 수 있다. 차전류 또한 Wye 권선 측 정격전류 485[A]의 30%인 145.5[A]를 초과할 경우 ‘1’이 되고, 145.5[A] 이하일 경우 ‘0이 된다. 정격전류의 30%는 변압기 비율차동계전기의 차전류 설정기준이므로 기적용되어 있는 비율차동계전기를 활용할 수 있다.

4.2 변압기 고장유형 별 7개 요소의 패턴

표 3은 변압기 고장유형을 식별하기 위한 7개 전류 요소를 이진수 패턴화한 것이다.

표 3. 변압기 고장유형 별 7개 요소의 이진수 패턴

Table 3. Binary pattern of 7 elements by transformer failure type

구분

계전기

변압기

결선

Wye 권선 측 전류

차전류

A상

B상

C상

영상

A상

B상

C상

Wye

A상

지락

Wye

기준

YNd1

1

0

0

1

1

1

1

YNd11

1

0

0

1

1

1

1

Delta

기준

YNd1

1

0

0

1

1

1

0

YNd11

1

0

0

1

1

0

1

Wye

B상

지락

Wye

기준

YNd1

0

1

0

1

1

1

1

YNd11

0

1

0

1

1

1

1

Delta

기준

YNd1

0

1

0

1

0

1

1

YNd11

0

1

0

1

1

1

0

Wye

C상

지락

Wye

기준

YNd1

0

0

1

1

1

1

1

YNd11

0

0

1

1

1

1

1

Delta

기준

YNd1

0

0

1

1

1

0

1

YNd11

0

0

1

1

0

1

1

Wye

A-B상

지락

Wye

기준

YNd1

1

1

0

1

1

1

1

YNd11

1

1

0

1

1

1

1

Delta

기준

YNd1

1

1

0

1

1

1

1

YNd11

1

1

0

1

1

1

1

Wye

B-C상

지락

Wye

기준

YNd1

0

1

1

1

1

1

1

YNd11

0

1

1

1

1

1

1

Delta

기준

YNd1

0

1

1

1

1

1

1

YNd11

0

1

1

1

1

1

1

Wye

C-A상

지락

Wye

기준

YNd1

1

0

1

1

1

1

1

YNd11

1

0

1

1

1

1

1

Delta

기준

YNd1

1

0

1

1

1

1

1

YNd11

1

0

1

1

1

1

1

Wye

A-B-C상

지락

Wye

기준

YNd1

1

1

1

0

1

1

1

YNd11

1

1

1

0

1

1

1

Delta

기준

YNd1

1

1

1

0

1

1

1

YNd11

1

1

1

0

1

1

1

Wye

A-B상

단락

Wye

기준

YNd1

1

1

0

0

1

1

0

YNd11

1

1

0

0

1

1

0

Delta

기준

YNd1

1

1

0

0

1

1

1

YNd11

1

1

0

0

1

1

1

Wye

B-C상

단락

Wye

기준

YNd1

0

1

1

0

0

1

1

YNd11

0

1

1

0

0

1

1

Delta

기준

YNd1

0

1

1

0

1

1

1

YNd11

0

1

1

0

1

1

1

Wye

C-A상

단락

Wye

기준

YNd1

1

0

1

0

1

0

1

YNd11

1

0

1

0

1

0

1

Delta

기준

YNd1

1

0

1

0

1

1

1

YNd11

1

0

1

0

1

1

1

Wye

A-B-C상

딘락

Wye

기준

YNd1

1

1

1

0

1

1

1

YNd11

1

1

1

0

1

1

1

Delta

기준

YNd1

1

1

1

0

1

1

1

YNd11

1

1

1

0

1

1

1

Delta A-B상

단락

Wye

기준

YNd1

0

0

0

0

1

1

1

YNd11

0

0

0

0

1

1

1

Delta

기준

YNd1

0

0

0

0

1

1

0

YNd11

0

0

0

0

1

1

0

Delta B-C상

단락

Wye

기준

YNd1

0

0

0

0

1

1

1

YNd11

0

0

0

0

1

1

1

Delta

기준

YNd1

0

0

0

0

0

1

1

YNd11

0

0

0

0

0

1

1

Delta C-A상

단락

Wye

기준

YNd1

0

0

0

0

1

1

1

YNd11

0

0

0

0

1

1

1

Delta

기준

YNd1

0

0

0

0

1

0

1

YNd11

0

0

0

0

1

0

1

Delta A-B-C상 단락

Wye

기준

YNd1

0

0

0

0

1

1

1

YNd11

0

0

0

0

1

1

1

Delta

기준

YNd1

0

0

0

0

1

1

1

YNd11

0

0

0

0

1

1

1

4.3 패턴을 통한 고장유형 식별 가능성 검토

변압기의 15가지 고장유형에 대해 보호계전기 Type 별, 변압기 결선방식 별로 각각 구분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나,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보호계전기 Type이나 변압기 결선방식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한 식별로직을 개발하는데 있었다. 대부분의 고장유형에서 보호계전기 Type과 변압기 결선방식에 상관없이 고장유형을 구분할 수 있는 7개 요소의 고유패턴이 확인되었으나, 다음의 일부 고장유형은 식별이 불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Wye 권선의 A-B-C상 지락사고’와 ‘Wye 권선의 A-B-C상 단락사고’는 식별할 수 없었다. 또한 Wye 권선 기준 보호계전기는 Delta 권선의 4가지 단락사고(A-B단락, B-C단락, C-A단락, A-B-C단락)를 식별할 수 없었다. 반면 Delta 권선기준 보호계전기는 Delta권선의 4가지 단락사고 식별이 가능하였다.

5. 변압기 고장유형 식별로직 개발

고장유형에 대한 패턴화 결과를 바탕으로 7개 요소들 중 고장유형 식별에 필수적인 요소들을 활용하여 그림 5와 같이 로직을 설계하였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별로직의 입력으로 사용될 7개 요소들은 기존의 보호계전기 설계에 기적용 중인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하드웨어 변경작업 없이 소프트웨어 변경만으로 식별로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고장유형 식별이 불가할 경우 식별 불가한 여러 종류의 고장을 1개의 로직으로 통합하여 구현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그림. 5. 변압기 고장유형 식별로직

Fig. 5. Transformer failure type identification logic

../../Resources/kiee/KIEE.2022.71.6.826/fig5.png

Wye권선의 3상 단락고장과 3상 지락고장은 7개 요소로 식별이 불가능한 고장이므로 하나의 로직으로 통합하였다. 또한 3상 지락고장에서는 고장상황에 따라 영상분 전류의 발생량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영상분 전류가 고장식별의 기준이 되지 않도록 로직 입력에서 제외하였다. Delta 권선 기준 보호계전기에서는 Delta 권선 단락고장에 대한 식별이 불가능하므로, Delta 권선기준 보호계전기는 (3상)단락고장, A-B상 단락고장, B-C상 단락고장, C-A상 단락고장으로 출력을 구분하였고, Wye 권선기준 보호계전기는 단락고장으로 출력을 단일화 하였다. 또한 Delta 권선기준 보호계전기와 Wye권선기준 보호계전기가 식별로직을 공유할 수 있도록 통합 및 최적화하였다.

6. 결 론

변압기 고장 발생 시 고장유형에 대한 정확한 원인분석은 전력설비의 신속한 정상화를 위해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양측 권선 간 위상차가 있는 Wye-Delta 변압기에 설치된 보호계전기에서는 차전류 계산을 위한 기준권선이 어떤 권선이냐에 따라서 동작결과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보호계전기 동작결과 확인만으로 정확한 고장 유형 분석이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본 논문에서는 변압기 보호용 비율차동계전기 전류보상 알고리즘의 원리를 분석하고, ATPdra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Wye-Delta 변압기를 모델링하여 변압기에서 상정 가능한 15종류의 고장을 시뮬레이션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보호계전기 종류 별 동작결과를 패턴화한 뒤 이 패턴을 활용하여 변압기 고장유형에 대한 새로운 식별로직회로를 제시하였다. 이 패턴은 보호계전기 A, B, C상 별 동작결과(차전류), 변압기 Wye 권선 측의 A, B, C상 별 전류값, 변압기 Wye 권선측 영상 전류값 등의 7개 입력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의 변압기 보호계전기에서 사용 중인 요소들을 그대로 활용하므로 하드웨어적인 변경작업 없이 소프트웨어 변경만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보호계전기에서는 변압기 결선방식, 전류보상 알고리즘 구현방식에 따라 보호계전기의 동작결과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었으나, 제시한 식별로직회로 적용 시 이러한 제한사항 없이 항상 일정하고 정확하게 고장유형을 분석할 수 있다. 이처럼 보호계전기로의 적용성이 극대화된 고장유형 식별로직은 보호계전기에 따라 발생하는 동작결과 차이를 제거하고 정확한 고장유형 식별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전력설비 운영의 신속한 정상화, 운영 안정성 증대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충남대 학술연구비로 지원되었습니다.

References

1 
IEEE C37.90, 2005, Relay and relay systems associated with electric power apparatus, IEEE, pp. 1-2Google Search
2 
IEEE 100, 2000, The authoritative dictionary of IEEE standard terms, IEEE, pp. 882Google Search
3 
Chul-won Park, Yu-hyeon Ban, 2012, Digital ratio differential relaying for main protection of large generator, KIEE 61P No.1, pp. 35-40DOI
4 
S.H. Horowitz, 2014, Power System Relaying, fourth ed., John Wiley & Sons Ltd, pp. 207-236Google Search
5 
IEEE 242, 2001, Recommended practice for protection and coordination of industrial and commercial power system, IEEE, pp. 109-114Google Search
6 
Ji-hyun Cha, Kwan-ho Chun, Jin-yeub Park, 2021, Comparative analysis of current compensation algorithm of digital protective relay for transformer protection, KIEE summer conference 2021, pp. 891-892Google Search
7 
Su-hwan Kim, Sang-hee Kang, 2011, Setting method of a percentage current differential relay for transformer protection, Trans. KIEE, Vol. 60, No. 1, pp. 1-13DOI
8 
P. Liu, D. Chen, Y. Guo, O.P. Malik, G.S. Hope, 1992, Improved operation of differential protection of power transformers for internal faults, IEEE Trans. Power Deliv. 7, pp. 1912-1919DOI
9 
M. Sanaye-Pasand, M. Zangiabadi, A. Fereidunian, 2003, An extended magnetizing inrush restraint method applied to digital differential relays for transformer protection, IEEE Power Eng. Soc. Gen. Meet. 4, pp. 2077-2082DOI
10 
M.E.H. Golshan, M. Saghaian-Nejad, A. Saha, H. Samet, 2004, A new method for recognizing internal faults from inrush current conditions in digital differential protection of power transformers, Electr. Power Syst. Rev. 71, pp. 61-71DOI
11 
A. Aktaibi, M.A. Rahman, 2011, A software design technique for differential protection of power transformers, Proceedings of IEEE Int. Electr. Mach.Drives Conf., pp. 1456-1461DOI
12 
S.R. Wagh, S. Kumar, V. Sreeram, 2013, Extraction of DC component and harmonicanalysis for protection of power transformer, Proceedings of IEEE 8th Conf.Ind. Electron. Appl. (ICIEA), pp. 32-37DOI
13 
J.Lewis Blackburn, 2006, Protective Relaying-Principles and Applications, 3rd, Vol. crc press., pp. 501-541Google Search
14 
R. Cimdevilla, 2014, Application of zero-sequence filter on transformer differential protection, 2014 67th conference for protective relay engineers(CPRE), pp. 785-814DOI
15 
Kockott Mike, 2021, Analysis of fundamental differences in transformer 87T differential protection, 2021 74th conference for protective relay engineer(CPRE), pp. 1-20DOI

저자소개

차지현(Ji-hyun Cha)
../../Resources/kiee/KIEE.2022.71.6.826/au1.png

He received his master’s degree from the electrical engineering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in 2022.

Currently, He works as an engineer in electrical engineering group at KHNP Central Research Institute, Daejeon, Korea.

천관호(Kwan-ho Chun)
../../Resources/kiee/KIEE.2022.71.6.826/au2.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the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1993, 1995 and 2002, respectively.

From 2002 to 2004, he worked for SAMSUNG Electronics Co., KOREA as a senior Engineer.

From 2004 to 2013, he was a senior engineer of TOSHIBA SAMSUNG Storage Technology Co., KOREA.

Since 2013, he has been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where he is currently a Professor.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nonlinear systems theory, switched system control theory and applications in robotics, renewable energy and electrical power systems.

박진엽(Jin-Yeub Park)
../../Resources/kiee/KIEE.2022.71.6.826/au3.png

He received his M.S degree from the mechatronics (electrical) at Ulsan university of industry, Ulsan, Korea, in 2001.

He works as a group leader and chief engineer in electrical engineering group at KHNP CRI, Daejeo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