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Convergence Technology Laboratory,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de(KEPRI), Korea.)



Drone, Transmission Line Inspection, Beyond Visual Line of Sight, Automated Flight, LTE

1. 서 론

최근 드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항공촬영, 농약 살포, 물류배송, 시설 점검 등 다양한 분야에서 드론이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전력공사에서는 효율적으로 송전선로를 점검할 수 있는 드론 운용시스템을 개발하였다(1). 이를 통해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산악지형, 강/바다 횡단 구간 등에 위치한 송전선로를 효율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였다.

하지만, 기존 개발된 송전선로 점검드론 시스템은 RF 통신기반으로 가시권 내 송전철탑 점검을 목표로 개발되어, 국내 송전철탑이 주로 산악지형에 위치한 특성으로 인하여, 통신장애가 자주 발생하고, 또한 드론이 비가시권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비가시권 비행은 항공안전법(2)에 의해 특별비행승인이 없이는 수행이 불가하다. 이에 따라 기존 송전선로 점검드론 시스템으로 송전선로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비가시권 영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드론의 이착륙 장소를 선정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또한 여러 경간의 송전선로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잦은 드론 이륙 장소 이동이 필요하여, 이동시간, 준비시간 등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 번의 드론 이륙으로 비가시권 영역의 다수 경간의 송전선로를 점검하기 위해, 비가시권 송전선로 점검드론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비가시권 드론 비행을 위해서는 항공안전법 시행규칙(3) 제312조의2 제1항 및 제3항에 따라 “무인비행장치 특별비행을 위한 안전기준 및 승인절차에 관한 기준”(4)에 따라야 하며, 특히 별표 1의 특별비행 안전기준 충족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법률에 규제하는 안전기준에 충족하면서, 동시에 송전선로 점검에 적합한 비가시권 드론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비가시권 송전선로 점검드론 시스템의 이해를 돕기위해, 기존의 가시권 송전선로 점검드론 시스템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한다. 3장에서는 법률에 제시된 안전기준에 따른 필수기능을 도출한다. 4장에서는 상기 필수기능의 상세 설계를 제시하고, 5장에서 현장시험 및 특별비행승인 결과를 제시하며, 마지막으로 6장에서는 결론을 내린다.

2. 가시권 송전선로 점검드론 시스템

기존 가시권 송전선로 점검드론 시스템은 인력에 의한 육안점검 및 열화상 점검을 대체하기 위해, 광학카메라, 열화상카메라 그리고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짐벌을 탑재하고 있다. 송전선로 점검은 수동 비행 및 수동 탑재 장비 제어를 통해 점검할 수도 있으나, 착시 현상에 의해 드론 조종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송전선로는 고전압에 의해 자기장 교란이 발생하여 송전선로에 근접 시 드론 지자기 센서가 오작동하여 추락위험이 상존한다.

이에 따라 (1)에서는 송전선로를 따라 안정적으로 자동비행경로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송전선로 점검을 위한 자동비행경로 생성 알고리즘은 철탑의 GPS 좌표기반으로 드론이 송전선로의 자기장영역에 진입하지 않도록 일정 거리를 이격하여 비행하는 경로를 생성하며, 고도의 경우 송전선로의 가공지선, 상/중/하단 고도를 따라 비행하도록 경로를 생성하며, 생성경로를 도식화하면 그림 1과 같다.

그림. 1. 송전선로 점검 자동비행경로. (a)조감도, (b)측면도

Fig. 1. Automatic flight path for inspection of transmission lines. (a) bird’s eyes view, (b) side view

../../Resources/kiee/KIEE.2022.71.7.993/fig1.png

3. 비가시권 비행 법률 기준 및 필수기능 도출

국내에서 비가시권 드론 비행을 하기 위해서는 “무인비행장치 특별비행을 위한 안전기준 및 승인절차에 관한 기준”에 제시된 특별비행 안전기준을 충족하여야 한다. 특별비행 안전기준에는 충돌방지기능과 같은 기능 측면 기준과 관찰자 배치와 같은 운용 측면 기준이 제시되어 있다. 이 중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개발과 관련된 기능 측면에 대해서만 다루며, 특별비행 안전기준의 기능적 측면 및 이에 따른 필수기능은 표 1과 같다. 이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장거리 통신을 위한 LTE 통신 기능 추가이며, 부가적으로 안전을 위한 충돌방지, 자동안전장치 등이 있다.

법률에 의한 특별비행 안전기준에 추가하여, 여러 경간 송전선로를 한번의 비행으로 점검하기 위해서는 장시간 비행을 위한 배터리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리퓸-폴리머 배터리의 경우 장시간 비행에 부적합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장시간 비행이 가능한 수소연료전지를 채택하였다.

표 1. 특별비행 안전기준 및 필수기능

Table 1. Special flight safety standards and essential functions

Safety standard

Essential functions

Communication redundancy

RF and LTE communication redundancy

Automatic and manual flight

Automatic and manual flight under RF and LTE communication

Collision avoidance

Collision avoidance and detour path generation

Fail-Safe

Safety functions when LTE communication is not available

GPS transponder

GPS transmission in RF and LTE communication unavailable environment

Visual assistance

Video transmission through RF and LTE communication

그림. 2. 하드웨어 구성

Fig. 2. Hardware configuration

../../Resources/kiee/KIEE.2022.71.7.993/fig2.png

4. 비가시권 송전선로 점검드론 시스템

4.1 하드웨어 구성

기존 가시권을 위한 드론시스템은 그림2에서 지상관제시스템, RF 지상/에어 유닛, 비행 제어기, 광학/열화상 카메라, 짐벌로 구성된다. 기존 가시권 송전선로 점검드론 시스템 대비, 표1의 필수기능을 위해 하드웨어가 새롭게 추가되어야 한다.

우선 LTE 통신을 위해서는 지상관제시스템과 드론에 LTE 모뎀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시중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DJI 계열의 제어기 및 Pixhawk 계열의 제어기의 경우 별도 LTE 통신을 위한 모듈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LTE 통신을 위해 일반적으로 PC에 사용할 수 있는 LTE 모뎀을 선정하였다. 일반적으로 LTE에서 할당되는 IP는 내부 IP로 외부에서 접속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정 IP, Virtual Private Network(VPN) 구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VPN의 경우 속도가 느린 단점 때문에 지상관제시스템 측의 LTE 모뎀을 고정 IP로 할당하고, 여기에 드론이 접속할 수 있도록 서버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드론측에서도 LTE 모뎀을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소프트웨어를 구축하기 위해 온보드 컴퓨터를 추가하였다.

LTE를 통한 수동비행은 지상관제시스템에 연결된 조종기의 신호를 드론측 온보드 컴퓨터에 전송 후, 온보드 컴퓨터에서 드론제어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통신을 구축하였으며, 지상관제시스템에 조종기를 추가하였다.

충돌방지기능을 위해서는 물체의 거리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라이다를 장착하였으며, 온보드 컴퓨터에서 라이다 데이터를 획득하여 충돌방지 알고리즘을 동작하도록 구성하였다.

광학 및 열화상 영상을 RF/LTE로 모두 전송하기 위해 광학/열화상을 분배기를 통해 RF 에어유닛과 온보드 컴퓨터로 분배하였다. 온보드 컴퓨터에서는 받은 영상을 UDP 통신을 통해 지상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RF/LTE 통신이 되지 않더라도, 현재 드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GPS 발신기는 일반 항공기에서 많이 사용하는 ADS-B를 사용하였다.

4.2 소프트웨어 구성

소프트웨어는 그림 3과 같이 크게 비가시권 송전선로 드론점검 기능을 위한 알고리즘 파트와 알고리즘으로부터 산출된 정보로 실질적인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제어 파트로 구성된다. 알고리즘 파트는 특별비행 안전기준에 충족하기 위한 지상관제시스템과 드론과의 LTE 통신 기능, 충돌방지기능, 자동안전장치 등의 기능과, 비가시권 송전선로 드론점검을 위한 회피비행경로 생성 기능 등의 알고리즘으로 구성되며, 상세 설계는 4.3에서 설명한다.

하드웨어 제어 파트는 점검드론에 장착되는 드론제어기, 광학카메라, 열화상카메라, 짐벌, 라이다를 제어하는 모듈로 구성된다. 하드웨어의 경우 제조사가 다양하고, 각 제조사마다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oftware Development Kit)가 다르기 때문에, 하드웨어 관련 소프트웨어가 알고리즘 파트에 포함되면, 하드웨어마다 소프트웨어를 변경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각 하드웨어별로 공통 인터페이스 계층을 통해서 세부 하드웨어를 접근하도록 설계를 하였다. 예를 들어 짐벌의 경우에는 공통적으로 속도제어, 각도제어, 자세값 제공, 모드 변경 등의 기능이 있으며, 이러한 공통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공통 인터페이스 하부에 세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새로운 하드웨어가 추가되더라도 알고리즘 파트는 변경없이, 새로운 하드웨어에 대한 세부 소프트웨어만 추가하면 동작하도록 설계하였다.

그림. 3. 소프트웨어 구성

Fig. 3. Software configuration

../../Resources/kiee/KIEE.2022.71.7.993/fig3.png

4.3 세부 기능 상세 설계

4.3.1 통신 이중화

일반적인 드론의 RF 통신은 RF 지상유닛, RF 공중유닛과 RF 통신을 수행하고 RF 공중유닛은 제어기에 연결되어 드론 제어 또는 드론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러한 RF 통신 하드웨어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LTE 통신 이중화를 수행하기 위해, 그림 2와 같이 지상관제시스템과 온보드 컴퓨터간 LTE 통신을 수행하고, 온보드 컴퓨터와 드론 제어기간 드론 제어 또는 드론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가시권 내에서는 RF와 LTE를 통해 동시에 지상관제시스템과 드론간 통신이 가능하며, 비가시권 영역에서는 LTE를 통해 지속적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앞서 4.2 소프트웨어 구성에서 설명하였듯이, 다양한 드론제어기와 호환이 가능하도록, 지상관제시스템과 온보드 컴퓨터간 통신 시, 특정 드론제어기에서 제공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공통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로 구축하였다. 따라서 온보드 컴퓨터와 드론 제어기간 통신을 위해서는 공통 통신 프로토콜을 각 드론제어기의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구축하였다.

공통 통신 프로토콜은 크게 드론제어기, 탑재장비 관련 프로토콜로 구성되어 있다. 드론제어기 관련 프로토콜은 임무비행, 드론 제어, 드론 텔레메트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탑재장비는 카메라, 열화상, 짐벌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부 내용은 표 2와 같다.

표 2. 지상관제시스템과 온보드컴퓨터간 통신 프로토콜

Table 2.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ground control system and onboard computer

classification

Protocol

Drone mission flight

Mission upload

Mission action(start, stop, pause, resume)

Mission speed adjustment

Drone control

Takeoff

Landing

Return to home

Position control

Speed control

Attitude control

Manual control

Drone telemetry

Position

Speed

Attitude

Battery

Communication

etc

Gimbal control

Speed control

Angle control

Mode control

Reset

Optical camera control

Zoom control

Focus control

Record

Photo shoot

Thermal camera control

Zoom control

Record

Photo shoot

4.3.2 자동/수동 비행

앞서 통신 이중화에서 언급하였듯이, LTE를 통해 지상관제시스템에서 온보드 컴퓨터를 통해 제어기를 제어할 때, 공통 통신 프로토콜을 각 드론제어기의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을 실시한다. 따라서 LTE 조종기에서 발생한 조종신호를 표 2의 공통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수동 조종 명령을 생성하고, 이를 온보드 컴퓨터에서 각 드론제어기에 해당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수동 조종이 가능하도록 구축하였다. 자동비행도 마찬가지로 자동비행경로에 대한 정보를 공통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하고, 이를 각 드론제어기의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자동비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4.3.3 충돌 방지 기능

기존 송전선로점검을 위한 드론 비행경로를 살펴보면 최초 고도를 상승한 이후 전진 및 하방비행 위주로 실시한다. 따라서 전방 및 하방까지 광범위하게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시야각이 90도 8채널 라이다를 채택하였다. 충돌 경고 범위 설정 방법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본 시스템에서는 그림 4와 같이 단순하게 하방 y미터, 전방 x 미터까지 사각형 범위내에 장애물이 있을 시 충돌 경보를 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충돌 경보를 생성하기 위한 라이다 채널별 기준 값은 수식 (1)과 같다.

(1)
$d_{i}=\begin{cases} x/\cos\theta_{i}&,\:\theta_{i}\le\tan^{-1}(y/x)\\ y/\sin\theta_{i}&,\:\theta_{i}>\tan^{-1}(y/x) \end{cases}$

여기서 $d_{i}$는 채널 i의 충돌 경보 기준 값, $\theta_{i}$는 각 채널별 x축과 이루는 각도, x는 충돌 경고 범위 사각형의 전방거리, y는 충돌 경고 범위 사각형의 하방 거리이다.

만약 드론이 장애물을 탐지하면, 지상관제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고, 복귀 또는 회피비행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림. 4. 라이다 탐지 범위 및 충돌 경고 범위

Fig. 4. Lidar detection range and collission warning range

../../Resources/kiee/KIEE.2022.71.7.993/fig4.png

알고리즘. 1. 회피경로 생성

Alg. 1. Detour path generation

../../Resources/kiee/KIEE.2022.71.7.993/alg1.png

그림. 5. 회피경로 생성 개념도

Fig. 5. Concept of detour path generation

../../Resources/kiee/KIEE.2022.71.7.993/fig5.png

4.3.3.1 회피비행경로 생성

기존 생성된 비행경로에서 최적의 회피비행경로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비행경로 구간에서 모든 장애물 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사전에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알고리즘(5-7)을 적용하여 지도를 형성한 후 경로 계획(Path planning) 알고리즘(8-9)으로 최적의 경로를 계산하여야 한다. 하지만 송전선로는 광범위하게 분포하기 때문에 모든 송전선로에 대해 지도를 형성하는 것은 매우 많은 시간이 소모되며, 또한 주변 환경 변화에 따른 지속적인 지도를 갱신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시스템에서는 실시간으로 파악된 장애물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회피비행경로는 아니지만 안전한 회피비행경로를 생성하도록 하였다.

드론의 비행환경은 3차원으로, 모든 방향으로 회피를 할 수 있지만, 드론이 철탑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자기장의 영향에 의해 드론 비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철탑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선로와의 거리가 멀어져 점검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회피 방향은 고도 및 전방이동 평면으로 제한하였다.

회피비행경로를 생성하는 절차 알고리즘1과 같으며, 개념도는 그림5와 같다. 라이다를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한 장애물 정보는 전방에서 하방까지 제한된 장애물 정보만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이미 장애물이 탐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충돌범위 내에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높이까지 고도를 상승하며, 이를 통해 추가적으로 더 많은 장애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전진하면서 지속적으로 충돌 경보 범위내 장애물이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장애물이 발견된다면, 위의 과정을 반복하며, 장애물이 일정 시간 동안 발견되지 않는다면 고도를 낮춘다. 이때 장애물이 발견된다면 다시 위의 과정을 반복하며, 발견되지 않는다면 원래 비행경로의 고도까지 이동한 후 기존 비행경로로 비행을 실시한다.

4.3.4 자동안전장치(Fail-Safe)

일반적인 드론에서는 RF 통신 부재에 대해 자동안전장치 기능이 구현되어 있으며, 자동안전장치가 수행되면 리턴투홈, 호버링 등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기능은 LTE 통신과 상관없이, RF 통신 부재만 확인 후 동작하기 때문에, 기본기능은 사용하지 않고, 별도로 자동안전장치 기능을 추가하여야 한다.

RF 또는 LTE 중 하나의 통신만 부재 시에는 지속적으로 드론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로 자동안전장치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RF 또는 LTE 모두 부재시에는 더 이상 제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자동안전장치 기능을 수행한다. 자동안전장치 기능은 리턴투홈, 호버링, 착륙 등 다양하게 존재하며, 본 시스템은 비가시권 비행으로 드론이 존재하는 지역까지 이동하는 시간이 장시간 소요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리턴투홈을 자동안전장치 기능으로 선택하였다.

일반적으로 리턴투홈은 사전 설정한 고도만큼 드론을 상승한 후, 홈 포인트까지 최단거리로 비행하게 된다. 가시권 비행상황에서는 주변 지형정보를 파악하여 안전하게 리턴투홈을 하도록 설정하기 용이하나, 비가시권 영역에서는 모든 지형정보를 파악하기 힘들어, 리턴투홈간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기존 드론제어기에서 제공되는 리턴투홈을 활용하면 충돌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4.3.3.1 회피비행경로 생성에서 설명한 장애물 회피 방법을 동일하게 적용하여, 리턴투홈 경로로 복귀간 장애물을 인지하면, 회피를 수행하고 다시 리턴투홈 경로로 복귀하여 비행하도록 하였다.

4.3.5 GPS 발신기

GPS 발신기는 특별비행 안전기준에서 드론이 추락했을 시, 드론을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요구하고 있다. GPS 발신기의 경우 드론의 동작 여부와 관계없이 동작하여야 하므로, 별도의 전원을 구성하였으며, 일반적으로 항공기에서 많이 사용하는 ADS-B를 채택하였다.

4.3.6 시각보조장치

비가시권 영역에서 드론이 정상적으로 비행하는지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특별비행 안전기준에서는 시각보조장치를 요구하고 있다. LTE 환경에서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으로는 UDP(User Datagram Protocol),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 RTMP (Real Time Messaging Protocol) 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본 시스템에서는 UDP를 활용하여 구현하였다. 만약 여러곳에서 영상을 안정적으로 보여주고자 한다면 별도의 영상 서버를 구축하고, 드론의 영상을 영상 서버로 전송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영상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림. 6. 기능통합 알고리즘 순서도

Fig. 6. Functional integration algorithm flowchart

../../Resources/kiee/KIEE.2022.71.7.993/fig6.png

4.4 기능 통합

앞서 설명한 세부 기능 중 통신 이중화, GPS 발신기, 시각보조장치는 독립적으로 동작하지만, 충돌 방지 및 회피, 자동안전장치는 송전선로 점검을 위한 자동비행과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 운용개념과 함께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한다.

그림 6과 같이 우선 송전선로 점검을 위한 비행경로를 지상관제시스템으로부터 업로드를 하고 시작을 하면 드론이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하기 시작한다. 이와 동시에 지속적으로 통신상태와 장애물 경고 상태를 점검을 실시한다. 만약 RF와 LTE 통신이 모두 끊어지게 된다면, 홈으로 복귀를 하고 비행이 종료되게 된다. 만약 장애물 경고가 발생한다면, 현재 진행중인 임무을 일시정지 시킨 후에 장애물 회피비행을 실시하고 회피 비행이 끝나면 다시 임무를 일시정시 시킨 이후부터 이어서 진행한다. 만약 지상관제시스템으로부터 수동조종 요청이 온다면 즉시 임무를 정지시키고 수동조종모드로 전환을 실시한다.

5. 현장시험 및 특별비행 승인

5.1 시험용 드론시스템

시험에 사용된 드론의 형상은 그림 7과 같으며, 장거리 비행을 위해 수소연료전지를 탑재하고 있으며, 앞서 설명한 하드웨어 구성에 따라 광학/열화상 카메라, 짐벌, 라이다, 온보드 등을 탑재하고 있다. 시험용 드론의 제원은 표 3와 같다.

그림. 7. 비가시권 송전선로 점검드론

Fig. 7. A beyond visual line of sight drone for inspection of transmission lines

../../Resources/kiee/KIEE.2022.71.7.993/fig7.png

표 3. 비가시권 송전선로 점검드론 제원

Table 3. Specification of a beyond visual line of sight drone for inspection of transmission lines

Category

Specification

Type

Hexacopter

Weight

21.7kg

Takeoff weight

23.2kg

Dimensions

1640mmx1640mmx620mm

Battery

Hydrogen fuel cell

Max hovering time

120 min

Max wind speed resistance

10m/s

Max ascent speed

6m/s

Max descent speed

3m/s

Max speed

6m/s

표 4. 단위 기능 시험

Table 4. Unit test

Safety standard

Test procedure

Communication redundancy

1. Drone control and drone data acquisition under RF communication

2. Drone control and drone data acquisition under LTE communication

Automatic and manual flight

1. Manual drone control under LTE communication

2. Mission flight under LTE communication

Collision avoidance

1. Create and fly flight path through trees

2. Check if a collision warning occurs

3. check avoidance flight

Fail-Safe

1. RF만 부재 시 정상동작 확인

2. LTE만 부재 시 정상동작 확인

3. RF 및 LTE 모두 부재시 리턴투홈 확인

GPS transponder

1. Check GPS reception when RF and LTE communication is not available

Visual assistance

1. Check Video transmission through RF and LTE communication

5.2 단위 기능 시험

앞서 4장에서 설명한 기능에 대해 단위 기능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항목은 표 4과 같다.

통신 이중화는 RF 통신과 LTE 통신이 모두 연결된 상태에서 위도, 경도, 고도, 속도, 배터리 등 기본 드론 데이터정보가 RF 통신으로 RF 지상유닛에 수신되는지 확인하고, 동시에 LTE 통신을 통해서 지상관제시스템에 수신되는지 확인하였다. RF 통신은 기본 드론에서 제공되는 것으로 문제 없이 동작하였으며, LTE 통신은 그림 8과 같이 기본 드론 데이터가 모두 수신됨을 확인하였다. 그림 9는 현재 임무비행중인 드론의 지상관제시스템 화면을 나타낸것이며, 철탑 주위에 빨간색 및 노란색 펜스는 자기장 지오펜스이며, 파란점과 노란색선은 웨이포인트 및 비행경로, 빨간색선은 드론의 이동경로를 나타낸다. 그림 9와 같이 비가시권 환경에서 LTE 통신을 통해 임무 업로드, 임무 시작, 속도 조정 등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LTE 통신을 통한 드론 조종은 비행중인 상태에서 LTE 조종기로 제어권을 가져왔을 때, 일반적인 조종기와 같이 throttle, rudder, aileron, elevator 모든 방향이 정상동작함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RF 조종기로는 조종이 안됨을 확인하였다. 반대로 RF 조종기에서 제어권을 가져왔을때는 LTE 조종기로 조종이 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충돌방지기능은 실제 송전선로 점검경로에서 기능을 시험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사람이 없는 비교적 넓은 공터에서 이륙지점으로부터 약 25m 거리에 약 높이 20m의 나무가 존재하는 곳에 드론이 나무를 통과하도록 비행경로를 설정한 뒤 드론이 회피해서 가는지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는 그림 10과 같으며 장애물을 만났을 때 5m 단위로 2번 고도를 상승한 후, 장애물이 탐지되지 않았을 때 앞으로 전진을 수행하였다. 약 6m 진행하였을 때 장애물이 없어 기존 비행경로로 고도를 낮추다가, 장애물이 탐지되어 약 10m 추가적으로 비행한 후, 기존 비행경로로 복귀하여 비행함을 확인하였다.

GPS 발신기능은 RF와 LTE 통신이 모두 끊어져 있는 상태에서도 GPS 전용 수신기 앱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수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상수신은 RF 통신을 통해 기본 드론에서 제공되는 앱에 영상이 수신됨과 동시에 LTE를 통해 지상관제시스템에서 영상이 수신됨을 확인하였다.

그림. 8. 지상관제시스템 제어창

Fig. 8. Control panel of ground control system

../../Resources/kiee/KIEE.2022.71.7.993/fig8.png

그림. 9. 지상관제시스템 드론 비행화면 (a)전체 비행경로 화면, (b) 상세 비행경로.

Fig. 9. Drone flight display of ground control system (a)Whole flight path, (b) detailed flight path

../../Resources/kiee/KIEE.2022.71.7.993/fig9.png

그림. 10. 우회 비행 경로 그래프

Fig. 10. Graph for detour flight path

../../Resources/kiee/KIEE.2022.71.7.993/fig10.png

5.3 특별비행승인

항공안전법(2), 동법 시행규칙(3), 무인비행장치 특별비행을 위한 안전기준 및 승인절차에 관한 기준(4), 행정권한의 위임 및 위탁에 관한 규정(10)에 따라 항공안전기술원으로부터 서류 심사 및 현장 실사를 받아 승인을 받아야 한다. 대상 서류는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312조의2 1항에 제시되어 있다. 서류 심사가 통과하면, 항공안전기술원에서 현장 실사를 통해 특별비행 안전기준에 충족하는지 검사한다.

특별비행 승인을 받은 장소는 그림 11과 같이 154kV 대덕-덕진 T/L 5-10호이며, 여기서 5-8호까지는 가시권, 8-10호까지는 비가시권 영역이다. 항공안전기술원의 실사를 통해 통신 이중화, 자동/수동 비행, 충돌방지기능, 자동안전장치, GPS 발신기, 시각보조장치 및 기타 운용에 관한 사항에 대해 각 항목별로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는지 점검을 받았으며, 최종적으로 5호에서 10호까지 전체 송전선로 점검비행을 시연하였고, 최종적으로 그림 12과 같이 특별비행승인 허가를 받았다.

그림. 11. 특별비행승인 대상선로

Fig. 11. Transmission Lines for Special flight approval

../../Resources/kiee/KIEE.2022.71.7.993/fig11.png

그림. 12. 무인비행장치 특별비행승인서

Fig. 12. Authorization of UAV Special Flight

../../Resources/kiee/KIEE.2022.71.7.993/fig12.png

5.4 현장 적용

특별비행승인을 득한 후, 해당 송전선로에 대해 개발한 비가시권 드론시스템을 활용하여 점검을 실시하였다. 점검 간 LTE 통신이 원활한 상태에서는 설계한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였으나, 송전선로가 산악지형에 있는 특성상 LTE 통신이 간헐적으로 끊어져 드론 및 탑재 장비 제어, 데이터 획득이 불가한 경우가 발생하였다. 통신 두절은 드론 비행은 크게 상관이 없으나 점검 시 영상이 수신되지 않고, 탑재 장비가 제어되지 않아 점검에 어려움이 있었다. 통신이 두절된 상황에서 원활히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존에 개발하였던 송전선로 자동촬영 알고리즘을(11) 적용하여, 통신이 두절되는 상황에서도 원활하게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장시간 통신이 않을 경우 홈으로 복귀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그림 7에서 보듯이 수소연료전지에 의해 무게중심이 상당히 위쪽에 형성되어 외풍에 드론이 불안정한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일부 문제는 안정적인 운용을 위해 향후 개선할 예정이다.

6.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기존 가시권 송전선로 점검드론 시스템을 비가시권 영역으로 확장하기 위한 개발 및 비가시권 특별비행 승인에 대해 다루었다. 비사기권 비행을 위해 필요한 법적 기준 분석하고 및 이에 따른 필수기능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필수기능을 설계 방법에 대해 제안하였다. 최종적으로 국토교통부 특별비행 승인을 받음으로써, 본 논문에서 제안한 비가시권 송전선로 점검드론 시스템의 적합성을 검증받았다.

본 시스템을 활용하여 현장적용간 LTE 통신이 불안정한 구간이 일부 발생하여, 홈으로 복귀하는 경우가 일부 발생하였다. 또한 수소연료전지로 인해 무게중심이 비교적 높아 외풍에 불안정한 부분이 있었다. 향후 통신 안정화를 위해 RF, LTE외에 추가적인 통신을 보완할 예정이며, 외풍에 강인하도록 드론 설계를 개선할 예정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비가시권 송전선로 점검드론시스템을 통해, 여러 경간을 송전선로를 점검하기 위해 불필요한 이동 및 비행 준비시간을 줄일 수 있고, 한 번의 드론 비행으로 장 경간의 송전선로 점검이 가능하게 되었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is the results of “Development of Total Anti-Drone Solution for Protecting Electric Power Facilities from Bad Drones” project supported by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References

1 
Joon‐Young Park, 2020, Method of operating a GIS‐based autopilot drone to inspect ultrahigh voltage power lines and its field tests, Journal of Field Robotics, Vol. 37, No. 3, pp. 345-361DOI
2 
Act No. 17463, 2020, Aviation Safety Act, 2020.12.08Google Search
3 
Ministry of Land, 2021.8.27,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Ordinance No. 882, Aviation Safety Act Enforcement RegulationsGoogle Search
4 
Ministry of Land, 2020.12.18,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Notice No. 2020-98, Standards for Safety Standards and Approval Procedures for Special Flights for Unmanned Aerial VehiclesGoogle Search
5 
Ji Zhang, 2014, LOAM: Lidar Odometry and Mapping in Real-time., Robotics: Science and Systems, Vol. 2, No. 9Google Search
6 
Mathieu Labbé, Michaud François, 2019, RTAB‐Map as an open‐source lidar and visual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library for large‐scale and long‐term online operation., Journal of Field Robotics, Vol. 36, No. 2, pp. 416-446DOI
7 
Wolfgang Hess, 2016, Real-time loop closure in 2D LIDAR SLAM., 2016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ICRA). IEEEGoogle Search
8 
Steven Skiena, 1990, Dijkstra’s algorithm., Implementing Discrete Mathematics: Combinatorics and Graph Theory with Mathematica Reading MA: Addison-Wesley, pp. 225-227Google Search
9 
David Gelperin, 1977, On the optimality of A∗., Artificial Intelligence 8.1, pp. 69-76Google Search
10 
Decree No. 31961 Presidential, 2021.09.10, Regulations on Delegation and Entrustment of Administrative PowersGoogle Search
11 
Seo-Hyeon Ryu, 2021, Development of Deep Learning- based Automatic Camera Gimbal System for Drone Inspection of Transmission Line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70, No. 1, pp. 121-129Google Search

저자소개

류서현 (Seohyeon-Ryu)
../../Resources/kiee/KIEE.2022.71.7.993/au1.png

He has received the M.S degree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from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t and Technology (KAIST).

He work for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KEPRI).

His research interests are image processing, deep learning, and drone applications.

박준영 (Joon-Young Park)
../../Resources/kiee/KIEE.2022.71.7.993/au2.png

He has received the M.S and Ph.D degrees in Mechanical Engineering from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t and Technology (KAIST).

He work for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KEPRI).

His research interests are hazardous environment robots, optimal kinetic design, and drone applications.

김석태 (Seok-Tae Kim)
../../Resources/kiee/KIEE.2022.71.7.993/au3.png

He has received the M.S degree in Mechanical Engineering from Yonsei University.

He work for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KEPRI).

His research interests robot&drone mechanical design, and their applications.

이재경 (Jae-Kyung Lee)
../../Resources/kiee/KIEE.2022.71.7.993/au4.png

He has received the M.S degree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from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t and Technology (KAIST).

He work for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KEPRI).

He work for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KEPRI).

His research interests are embedded system, control system, and drone applications.

고병성 (Byung-Sung Ko)
../../Resources/kiee/KIEE.2022.71.7.993/au5.png

He has got a B.S degree in Electronics and Avionics Engineering from Korea Aerospace University (KAU).

He work for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KEPRI).

His research interests are automatic control, robotic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우정욱 (Jung-Wook Woo)
../../Resources/kiee/KIEE.2022.71.7.993/au6.png

He received hi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yungpook University.

He worked for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KEPRI).

His research interests are Insulation design, Fault Analysis, and Lightening Observ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