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Smart Electrical and Signaling Division,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Korea.)



Reliability Evaluation, Auxiliary Power Unit(APU), Reliability Demonstration Test, Virtual Operation Simulator

1. 서 론

철도차량 구조가 첨단화되고 복잡해지면서 장치 고장은 안전뿐만 아니라 점차 요구수준이 높아지고 있는 승객 서비스 분야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구조가 복잡해지면 신뢰도는 저하되고 고장에 따른 파급효과는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신뢰도에 대한 요구는 엄격해진다. 이에 따라 사고 발생 시 대규모 인명사고와 경제적 피해가 동시에 발생하는 위험을 내재한 철도 시스템 분야에서는 안전과 밀접한 신호제어 장치 등이 주도적으로 고장률을 정량적으로 예측하고 입증하는 방안들을(1), (2) 연구해 왔다.

특히 2014년 철도안전법 강화 및 세부지침 고시, 2017년 개정에 따라 철도차량 주요장치 대상의 RAMS 관련 대응 수요가 증가(3)하였고 철도 분야 내 다양한 전장품 및 부품으로까지 대상 범위가 확장되면서 신뢰성 평가 연구는 활발해졌다. 철도차량의 주요 전장품은 크게 주변환장치, 보조전원장치, 견인전동기 등으로 구성된다. 주요 전장품의 고장은 열차 사고나 열차운행 서비스 중단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중요하게 관리되고 있으며 특히 고전압과 연계된 전장품들의 고장은 열차운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APU, Auxiliary Power Unit)는 철도차량을 구성하는 주요 전장품 중 고전압을 인가받아 차량제어전원을 공급하고 전등, 냉난방과 같이 승객 서비스 환경을 조성하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 운영서비스 관리 측면까지 그 중요성을 점차 인정받고 있다. 이로 인해 차량 개발단계에서 차량 구성품으로서의 고장진단 및 성능평가나(4) 점검조치방안(5) 위주로 연구되던 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는 차츰 신뢰성 연구의 대상으로 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를 대상으로 하는 신뢰성 연구는 수집된 유지보수 데이터를 활용한 고장분석(6) 혹은 운영 환경 스트레스 인자 도출을 통한 신뢰성 분석과(7), (8) 같이 필드데이터 기반의 신뢰도 예측에 한정되어 있으며 입증시험을 포함한 단계까지 수행한 사례는 극히 드문 실정이다.

이는 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역할의 특성상 고전압 및 저전압과 모두 연계되어 장치 운영에 필요한 신호 및 전기부품이 필연적으로 많아짐으로써 장치 운영 모의에 기반한 입증시험을 별도로 수행하기에는 가상운영 시뮬레이터 개발과 같은 경제적, 기술적 노력이 추가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의 수명예측 분석 결과를 입증하기 위한 가속수명시험을 설계하고, 실제 시험기간 동안 시험시료를 정상상태로 모의할 수 있는 가상운영 시뮬레이터를 적용한 신뢰성 입증 과정을 제시한다.

2. 본 론

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를 대상으로 한 신뢰성 평가는 그림 1과 같이 가속수명시험을 입증시험 방편으로 포함한 신뢰성 평가 절차를 통해 진행된다.

그림. 1. 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APU) 신뢰성 평가 절차

Fig. 1. APU Reliability evaluation process

../../Resources/kiee/KIEE.2022.71.10.1460/fig1.png

그림 1의 1단계는 운영환경 분석 단계로 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운영환경에 따라 구분하여 신뢰성 평가 대상 부품들로 상세 분류하는 과정이다. 2단계는 신뢰도 예측 단계로 운영환경을 고려하여 설정한 분류체계에 따라 소분류 된 부품들의 BOM(Bill of Material)에 표기된 모든 소자들을 모델링하여 고장률 예측모델에 따른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를 산출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MTBF는 수리 가능 아이템의 평균 고장간격을 의미한다. 3단계는 2단계에서 제시된 신뢰도 예측값을 입증하는 과정이다. 입증시험 방편으로 가속수명수험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가속수명시험 설계가 요구된다. 또한 가속수명시험 동안 시료의 정상상태 동작을 모의할 수 있는 가상운영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여 이를 활용한 실제 가속수명시험을 수행해야 한다.

자동차, 건설 중장비 및 산업용 설비나 부품 중에는 대형, 고가의 품목이 많고 수명시험에 소요되는 비용도 다른 소형 전기전자 부품 등에 비해 월등히 높아 불가피하게 소수의 시료만으로 한정된 시간 내에 시험을 종료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로 인해 장수명 제품 또는 고가의 시료에 대한 보증수명시험은 무고장 시험 형태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9). 특히 무고장 시험방식은 요구수명을 주어진 신뢰수준으로 보장하는 시험방식들 중에서 적용이 비교적 수월하며, 상대적으로 시험시간이나 시료 수가 단축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져 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의 신뢰성 입증은 무고장 시험방식을 채택하여 적용하였다.

2.1 운영환경 분석

일반적으로 국내 직류철도에 투입되는 철도차량의 보조전원장치는 입력전압이 DC 750V 혹은 DC 1,500V이지만 본 논문의 시험 대상인 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는 해외 수출용으로 개발된 장치임에 따라 브라질 및 유럽에서 많이 사용하는 직류철도 운영전압인 DC 3,000V가 입력전압으로 적용되었다. 이외 DC 및 AC 부하에 대한 전원 공급용 출력전압 등을 포함한 상세사양들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특히 국내 도시철도 차량용 제어전원은 DC 100V를 출력해야 하는 반면 해외 수출용은 72V를 제어전원으로 출력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림 2는 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의 입력부터 출력까지 전압상태 변화를 보여준다. DC 3,000V 전압이 입력되면 주회로 내 입력초퍼를 통해 DC 1,800V로 전압을 강하시킨다. 이는 다시 컨버터를 통해 교류로 변환되며 절연용 변압기를 거쳐 정류기를 통해 DC 672V로 변환된다. 이 후 인버터를 통해 삼상 AC 380V로 변환하여 교류 부하에 공급하거나 직류로 다시 변환하여 차량 제어용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활용한다. 즉, 차량 제어용 배터리를 통해 끊임없이 안정적으로 직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

표 1. 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APU) 사양

Table 1. APU performance specification

Item

Description

Type

Main circuit

Double chopper + Resonant converter + PWM inverter

Control

ZVS / ZCS control + PWM

Cooling

Air

Input

Rated voltage

DC 3000 V

Operating range

DC 2000 V ~ 3900 V

Output

(AC)

Capacity

165 kVA

Output type

3 phase 4 line, neutral grounded

Rated voltage

AC 380 V, 3 phase

Frequency

60 Hz

Distortion

Less than 6%

Power factor

85% (lagging)

Output

(DC)

Capacity

25 kW

Rated voltage

DC 72 V

Efficiency

More than 90%

그림. 2. 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APU) 입출력 전압변환 흐름

Fig. 2. APU input/output voltage conversion flow

../../Resources/kiee/KIEE.2022.71.10.1460/fig2.png

우선 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신뢰성 평가 대상 부품들로 분류하기 위해 전기적 환경에 따라 고전압 부분(HV)과 저전압 부분(LV)으로 나누었다. 그림 3은 시험대상품인 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와 전기적 환경에 따라 상위 분류된 주카테고리를 보여준다.

그림. 3. 실제 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및 주카테고리

Fig. 3. Actual APU and main category

../../Resources/kiee/KIEE.2022.71.10.1460/fig3.png

주카테고리는 역할과 기능에 따라 부카테고리로 하위 분류하였다. 고전압 부분(HV)은 가선전압 입력단의 컨택터부(LK), 스위칭 전력변환 소자 모듈부(Stack), 절연용 변압기부(HFTR) 및 부하전원 생성부(Power)와 같은 부카테고리들로 하위 분류하였다. 저전압 부분(LV)은 제어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제어기부(Control), 전기신호와 광신호 간 변환하는 광변환기부(OPT) 및 릴레이/필터부(RYU)와 같은 부카테고리들로 하위 분류하였다. 그림 4는 주카테고리를 하위 분류한 부카테고리들과 이를 구성하는 실제 구성품들을 보여준다.

그림. 4. 부카테고리와 구성품

Fig. 4. Sub-category and components

../../Resources/kiee/KIEE.2022.71.10.1460/fig4.png

2.2 신뢰도 예측

수명예측 분석은 시스템 또는 어셈블리 레벨의 신뢰도 분석 또는 평가에 사용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과거로부터 경험적으로 알려진 고장률 산출 기법을 체계화한 규격서 등을 이용한 방법으로 대표적인 신뢰도 예측 규격인 MIL-HDBK-217F NOTICE2(이하 217F N2), Telcordia SR-332(구 Bellcore) 또는 IEC 62380(구 RDF 2000) 등을 활용하여 고장률 및 MTBF를 산출하고 있다.

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의 어셈블리 레벨인 부카테고리별 고장률 및 MTBF 예측은 Relex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방 규격(MIL-HDBK-217F N2)을 주로 활용하여 구성품 BOM에 명기된 약 4,500개의 모든 소자/부품에 대해 모델링 입력하였다. 미국방 규격에 명기되지 않은 전자, 기계류 부품 및 어셈블리는 미국 RIAC가 제공하는 NPRD Parts 및 EPRD Parts 데이터베이스 등을 활용하였다.

MIL-HDBK-217F는 1962년 미 국방부에서 최초 제정되었고, 이후 수 차례에 걸쳐 개정되어 1995년에 F버전 Notice 2까지 발간되었다. F버전 Notice 2는 90년대 중반 이후에 개발된 전자부품에 대한 고장률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는 않지만, 대부분의 전기/전자부품의 고장률 예측 모델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방산 분야뿐만 아니라 민수분야에서도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미국방 규격을 활용한 수명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가정들이 요구된다.

• 모든 부품들은 통계적으로 독립적이다.

• 정상상태 구간 내 고장만 고려한다.

• 모든 부품은 직렬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가정들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식(1)과 같다.

(1)
$\lambda_{SYS}=\sum_{k=1}^{n}\lambda_{p}$

여기서, $\lambda_{SYS}$=시스템의 고장률, $\lambda_{p}$=각 부품의 고장률, $n$=시스템의 총부품수

MIL-HDBK-217F N2에서 제시하는 전기, 전자 부품들의 전형적인 고장률 모델은 식(2)와 같으며 캐패시터, 인덕터, 스위치 등 소자 부품에 따라 식(2)에 표기된 인자들을 조합한 고장률 예측식이 적용된다.

(2)
$\lambda_{P}=\lambda_{B}\pi_{T}\pi_{A}\pi_{R}\pi_{S}\pi_{C}\pi_{Q}\pi_{E}$

여기서, $\lambda_{P}$= 부품의 고장률(예측 값), $\lambda_{B}$=기본 고장률, $\pi_{T}$=온도 인자, $\pi_{A}$=용도 인자, $\pi_{R}$=정격전력 인자, $\pi_{S}$=전압스트레스 인자, $\pi_{C}$=전기용량 인자, $\pi_{Q}$=품질 인자, $\pi_{E}$=환경 인자

고장률 산출 시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요소들로는 부품품질, 운용환경, 동작온도 등이 있다. 부품품질은 고장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로 $\pi_{Q}$로 표기된다. 운용환경은 진동, 충격, 온도 등 운용환경으로부터 기인한 스트레스 요소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체계 운용을 기준으로 운용환경을 선택한다. 즉,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고장률 예측 시 체계 내 모든 부품은 동일한 운용환경을 적용한다. 부품의 동작온도는 부품이 동작하고 있는 온도를 의미한다. 만일 동작 온도를 알 수 없다면, 일반적으로 상온 25도로 가정한다.

앞에서 언급한 체계를 따라 모델링된 부카테고리의 신뢰도 예측 결과는 그림 5와 같다.

그림. 5. 부카테고리 신뢰도 예측 결과

Fig. 5. Reliability prediction results for sub-category

../../Resources/kiee/KIEE.2022.71.10.1460/fig5.png

부품 고장분포는 PCB 보드류의 신뢰도 분석 시 자주 사용되는 지수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저전압 부분에 대한 상세 고장률 및 역수인 MTBF는 표 2와 같다.

표 2. 저전압 부분 상세 고장률 및 MTBF

Table 2. Detailed failure rate and MTBF of LV part

Item

Level

Failure rate(106)

MTBF(Hour)

Low voltage part

1

24.629116

40,602

Controller

2

21.678896

46,128

RYU

2

2.182417

458,208

OPT

2

0.767802

1,302,418

부카테고리에 대한 수명예측 결과에 따르면, 주카테고리인 저전압 부분을 구성하는 부카테고리들 중 GDU(Gate Drive Unit) 등을 포함한 제어기(Controller)부가 46,128시간의 MTBF로 가장 낮게 예측되었다. 이러한 예측 결과는 GDU 및 제어기 부분이 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 중 50% 이상 비율을 차지하여 고장률이 가장 높았던 일산선 필드고장 사례(2009 ~ 2011년)(10)와 동일한 경향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시스템 수명관점에서 가장 취약한 제어기부를 포함하는 저전압 부분(LV)에 대해 신뢰도 입증시험을 진행함으로써 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에 대한 신뢰도 평가 절차는 완료될 수 있다.

2.3 신뢰도 입증

입증시험으로 가속수명시험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가속수명시험 설계과정이 요구된다. 가속수명시험(Accelerated Life Test)은 짧은 기간 안에 부품 및 시스템의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시험 기법으로 단기간에 사용상태보다 더 높은 스트레스를 인가하여 시험함으로써, 신속히 설계 사양의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가속수명시험 설계에 적용될 스트레스 요인은 보조전원장치 스트레스 영향에 대한 기존 연구 사례들을(7), (8) 참조하여 온도로 지정하였다.

이를 반영한 저전압 부분(LV) 어셈블리의 가속계수(AF, Acceleration Factor)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개별 부품에 대한 가속계수 값이 필요하며 이는 식(3)을 통해 도출된다.

(3)
$AF =\exp[(\dfrac{E_{a}}{k})(\dfrac{1}{T_{n}}-\dfrac{1}{T_{a}})]$

여기서, $E_{a}$=활성화에너지[eV], $k$=볼츠만상수(=8.623×10-5[eV/K]), $T_{n}$: 사용조건 절대온도[K], $T_{a}$: 가속조건 절대온도[K]

가속계수는 정상사용조건 수명과 가속조건 수명의 비로 정의되는 계수이며 활성화에너지는 부품의 특성에 따라 고장의 추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상수로 일반화시킨 값을 의미한다.

부품별 활성화에너지와 식(3)에 따라 산출된 온도별 가속계수에 대한 일부 예시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부품별 활성화에너지 및 가속계수(일부)

Table 3. Example of components activation energy and AF

Item

Activation energy($E_{a}$)

AF according to temperature

65°C

70°C

75°C

85°C

IC

0.5

10.001

12.843

16.374

26.078

Capacitor

0.44

7.587

9.454

11.707

17.633

Connector

0.4

6.310

7.708

9.361

13.584

Relay

0.15

1.995

2.151

2.313

2.660

Resistor

0.22

2.754

3.075

3.422

4.199

개별 부품에 대한 가속계수를 활용하여 어셈블리의 가속계수를 구하는 방법은 식(4)와 같다.

(4)
$AF_{ASSY}=\dfrac{\sum_{i=1}^{m}\left(n_{i}\times\lambda_{nomal}^{i}\times AF_{i}\right)}{\sum_{i=1}^{m}\left(n_{i}\times\lambda_{nomal}^{i}\right)}$

여기서 $AF_{ASSY}$=어셈블리 가속계수

개별 부품 가속계수를 활용하여 식(4)에 의해 산출된 어셈블리 가속계수는 표 4와 같다.

표 4. 어셈블리 가속계수

Table 4. AF according to assembly item

Item

Level

AF according to temperature

65°C

70°C

75°C

85°C

Low voltage part

1

6.3371

7.8564

9.6986

14.5901

Controller

2

6.2167

7.6892

9.4695

14.1743

RYU

2

6.4673

8.0635

10.0134

15.2499

OPT

2

6.3273

7.8165

9.6130

14.3461

표 2에서 예측된 저전압 부분의 MTBF 40,602시간을 온도별 가속계수로 나누면 표 5의 온도별 MTBF 예측값이 도출된다.

표 5. 온도별 MTBF 예측값

Table 5. Predicted MTBF according to temperature

Temperature

Acceleration factor

Predicted MTBF(Hour)

65°C

6.3371

6407.0301

70°C

7.8564

5168.0057

75°C

9.6986

4186.3636

85°C

14.5901

2782.8489

신뢰도 예측을 통해 예측된 MTBF와 가속계수 값을 활용하면 필요 시험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시험시간은 신뢰수준(Confidence level, C.L.)에 따른 확률에 기반하여 제시된다. r번째 고장이 발생하면 시험을 중단하는 고장종료 시험의 경우, $\dfrac{2r\left(m_{e}\right)}{MTBF_{real}}$를 확률변수로 할 때, 이 값은 자유도 2r인 분포를 따르며, 식(5)와 같은 고장종료 시험에 관한 식이 성립한다.

(5)
$P\left[\dfrac{2r(m_{e})}{\chi_{1-\alpha /2,\:2r}^{2}}\le MTBF_{real}\le\dfrac{2r(m_{e})}{\chi_{\alpha /2,\:2r}^{2}}\right]=1-\alpha$

이때 $m_{e}=\dfrac{t}{r}$이므로 시간종료 시험의 경우, 식(6)과 같이 변환하여 표현할 수 있다.

(6)
$P\left[\dfrac{2t}{\chi_{1-\dfrac{\alpha}{2},\:2r+2}^{2}}\le MTBF_{real}\le\dfrac{2t}{\chi_{\alpha /2,\:2r}^{2}}\right]=1-\alpha$

여기서 신뢰수준 하한의 자유도를 2r+2로 표현한 것은 무고장(r=0)일 경우 $m_{e}=\dfrac{t}{r}=\dfrac{t}{0}=\infty$ 가 되는 모순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양측 신뢰한계인 식(6)을 단측 신뢰한계로 표현하면 식(7)과 같다.

(7)
$P\left[MTBF_{real}\ge\dfrac{2t}{\chi_{1-\alpha ,\:2r+2}^{2}}\right]=1-\alpha$

식(7) 은 틀릴 확률 $\alpha$를 가지고 실제 $MTBF_{real}$는 $\dfrac{2t}{\chi_{1-\alpha ,\:2r+2}^{2}}$ 보다 크다고 말할 수 있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따라서 시험시간 t는 $m_{e}=MTBF_{real}=\dfrac{2t}{\chi_{1-\alpha ,\:2}^{2}}$의 전제하에서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무고장 시험을 전제할 경우, r은 0이고 자유도 2r+2는 2이다. 신뢰수준이 1-$\alpha$인 표 6의 카이제곱 분포표 수치를 참고하여 식(8)을 이용하면 신뢰수준별 시험시간을 도출할 수 있다.

(8)
$t=m_{e}\dfrac{\chi_{1-\alpha ,\:2}^{2}}{2}$

여기서 $t$=신뢰수준별 시험시간(1세트 기준), $m_{e}$=MTBF 예측값, $\chi_{1-\alpha ,\:2}^{2}$=카이제곱 분포값(신뢰수준 1-$\alpha$, 자유도=2)

표 6. 신뢰수준별 통계량

Table 6. Statistics by confidence level

Confidence level(%)

Chi square distribution($\chi_{1-\alpha ,\:2}^{2}$) value

60

1.83258

70

2.40795

80

3.21888

90

4.60517

신뢰수준을 고려한 시험시간은 시험체 수량에 따라 식(9)와 같은 선형관계가 형성된다.

(9)
$시험시간=\dfrac{단일시험체의시험시간}{시험체의수량}$

표 7은 시험체 수량이 5세트임을 고려하여 무고장 시험으로 보증수명시험을 진행할 경우, 식(8)식(9)을 활용하여 각 신뢰수준에 따른 필요 시험시간을 도출한 결과이다.

표 7. 신뢰수준별 무고장 시험시간(5세트 기준)

Table 7. Required no failure test time by confidence level(5 sets)

Acceleration temperature

Required no failure test time for 5 sets (Day)

C.L. 60%

C.L. 70%

C.L. 80%

C.L. 90%

65°C

1174.1405 (49)

1542.7780 (64)

2062.3434 (86)

2950.5464 (123)

70°C

947.0791 (40)

1244.4277 (52)

1663.5169 (69)

2379.9546 (100)

75°C

767.1852 (32)

1008.0536 (42)

1347.5385(56)

1927.8917 (80)

85°C

509.9797 (21)

670.0949 (28)

895.7645 (37)

1281.5493 (53)

식(3) ~ 식(9)로 제시한 설계 절차에 따라 설계된 시험시간 t 동안 시험체 수량에서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신뢰도 예측을 통해 얻은 MTBF 예측값인 $m_{e}$값을 보증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 설계된 가속수명시험은 표 7의 가속온도 75°C, 신뢰수준 60% 기반 32일간 무고장 시험이다. 여기서 신뢰수준 60%는 낮은 수준이 아닌 상식 신뢰수준으로 GM사의 경우 50 ~ 60% 범위를 채택하고 있으며 IEC의 경우 50%, 미국방 규격은 60 ~ 90% 범위를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무고장의 보증수명시험을 설계된 가속수명시험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시험체들을 고온 챔버에서 정상동작 상태로 두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복잡하고 다양한 신호 입출력이 요구되는 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를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모의 동작시킬 수 있는 가상운영 시뮬레이터 개발이 요구된다.

그림. 6. 가상운영 시뮬레이터와 운영화면 구성

Fig. 6. Virtual operation simulator and screen configuration

../../Resources/kiee/KIEE.2022.71.10.1460/fig6.png

그림 6은 개발된 가상운영 시뮬레이터와 운영화면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총 5세트 시험체들은 저전압 부분(LV)의 구성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Controller부(ACU controller 및 GDU 포함)와 이들을 연계하는 RYU부 및 OPT부 등이 한(1) 세트씩 단위 구성되어 있다. 가상운영 시뮬레이터는 이러한 단위 세트 내 구성품들을 연계하여 정상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시뮬레이터 출력신호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80개의 시뮬레이터 입력신호를 통해 시험체들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고장이 발생하면 정상 동작(녹색) 표시 대신 고장 상태(빨간색) 표시가 모니터링 화면에 나타난다.

그림. 7. 가상운영 시뮬레이터 역할 및 기능

Fig. 7. Virtual operation simulator role and function

../../Resources/kiee/KIEE.2022.71.10.1460/fig7.png

이 외에도 가상운영 시뮬레이터는 그림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원입력, 기동신호 시퀸스 모의, 광/전기 변환, 에러 로깅 등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며 복잡한 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의 가속수명시험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맡고 있다.

가상운영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가속수명시험은 32일간 공인시험기관에서 가속 온도 75°C로 항시 유지되는 챔버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그림 8은 가속수명시험 공인성적서의 일부로 챔버 내부온도 상승/하강 조정시간(각 50분)과 768시간(32일)의 시험기간 동안 가상운영 시뮬레이터 운영화면에 고장표시(빨간색)가 없었음을 시험 전, 중, 후에 확인한 공인시험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8. 신뢰도 입증시험 결과(공인성적서)

Fig. 8. Reliability verification test results(Certified certificate)

../../Resources/kiee/KIEE.2022.71.10.1460/fig8.png

3.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철도차량 제어전원, 조명 및 냉난방 부하 전원 공급을 통해 운행 안전 및 승객 서비스에 있어 중요한 전장품인 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에 대한 신뢰성 평가를 다루었다.

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를 전기적 환경 및 기능별로 분류하여 신뢰도 예측을 수행하여 예측 수명을 도출했다. 또한 제시한 신뢰도 예측을 입증하기 위해 가속수명시험을 설계하고 무고장의 보증수명시험을 진행하여 신뢰도 평가 과정을 완료하였다. 특히 복잡하고 다양한 입출력이 요구되는 시험체의 정상상태 모의 및 고장 확인을 위한 가상운영 시뮬레이터를 개발 적용하여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가속수명시험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가상운영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신뢰도 입증은 향후 복잡하고 다양한 철도차량 전장품 및 부품에 대한 기대수명 산정 등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R&D Program (Virtualization-based railway station smart energy manage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technology development, PK2203E1​) of the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References

1 
J. Lee, D. Shin, 2002, Measures to secure safety and reliability of railroad control systems using compu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 5, No. 4, pp. 31-40Google Search
2 
D. Shin, J. Lee, J. Lee, K. Lee, 2005, A Study on the Failure Rate Prediction and Demonstration for the Train Control system, 2005 Autumn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 , No. , pp. 77-81Google Search
3 
J. Lim, H. Lee, 2021, Study on Improvement of RAM Analysis Method and Life Prediction for Major Device of Rolling Stoc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 24, No. 12, pp. 1031-1038Google Search
4 
Y. Han, S. Kim, K. Kim, S. Kim, H. Koo, H. Joo, 2006, Fault Diagnosis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uxiliary Block for Korean High-Speed Railw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 9, No. 5, pp. 612-617Google Search
5 
H. Shin, Y. Son, 2010, The Study of Maintenance SIV for Rolling Stock of the Seoul Metro, 2010 Autumn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pp. 2476-2488Google Search
6 
H. Yoon, K. Shin, H. Lee, 2016, Reliability analysis for auxiliary power supply unit of EMU,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Urban Railway, Vol. 4, No. 3, pp. 557-562Google Search
7 
N. Park, J. Song, 2016, Reliability Analysis of EMU Static Inverters considering Influence of Operating Environment Factors, 2016 Autumn Conference of the Korean Reliability Society, pp. 211-217Google Search
8 
N. Park, J. Song, 2017, Reliability Analysis of EMU Static Inverters considering Influence of Temperature Stress Facto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3, pp. 493-500DOI
9 
S. Back, Y. Son, J. Kim, J. Lee, 2015, Reliability Qualification Test of a Unmanned Control Robot System for an Excavator,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A, Vol. 39, No. 4, pp. 397-403DOI
10 
H. Shin, Y. Park, Y. Son, 2012, Reliability research through improvement in locomotive auxiliary power maintenance, 2012 Autumn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pp. 795-807Google Search

저자소개

김재원 (Jaewon Kim)
../../Resources/kiee/KIEE.2022.71.10.1460/au1.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2006, 2008, and 2018,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 Principal Researcher with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Uiwang, South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on-board energy storage system for railway vehicles, traction power supply systems analysis, and railway electric components reliability analysis.

조환희 (Hwanhee Cho)
../../Resources/kiee/KIEE.2022.71.10.1460/au2.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from Dankook University, Yongin, in 2014, and the Ph.D. degree from Korea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2020.

He is currently a Senior Researcher with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Uiwang, South Korea.

정호성 (Hosung Jung)
../../Resources/kiee/KIEE.2022.71.10.1460/au3.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in 1995 and 1998, respectively.

He received the Ph.D. degree from the Electrical Electronic and Computer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in 2002.

He is currently a chief Researcher with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Uiwang, South Korea.

김형철 (Hyungchul Kim)
../../Resources/kiee/KIEE.2022.71.10.1460/au4.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1991, and 1993, respectively.

He received the Ph.D. degree from Texas A&M University in 2003.

He is currently a chief Researcher with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Uiwang, 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