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Korea.)



Hydrogen Charging Facilities, Hydrogen Fuel Cell Train Depots, Hydrogen demand, Optimization

1. 서 론

친환경 연료인 수소를 주에너지원으로 하는 수소연료전지 와 2차 전지를 하이브리드 동력원(1), (2)으로 적용한 수소철도차량은 철도교통 운영에 따른 탄소 및 미세먼지 배출 이슈의 해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3). 기존 전차선을 통한 전력공급 방식은 변전소, 전차선 등 전력설비 인프라가 필요하고 그에 따른 건설비용 등이 수반되는데 반해, 별도 외부전력설비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지 않는 에너지 자립형 철도시스템인 수소철도차량의 도입은 철도 인프라 건설의 용이성을 높이고 친환경 대중교통으로서의 위상을 재고할 수 있다.

수소철도차량은 외부 전력설비 인프라 없이 기존 노선을 자유롭게 운행할 수 있어 차세대 경전철로 활용도가 높고 비전철화 구간 내 철도교통 서비스 제공, 전차선 제거를 통한 도심 경관 개선 등 자연 친화형 철도차량으로서 고객 삶의 질 향상에 기여가 가능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수소철도차량은 기존 도시철도 차량의 대체까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고속철도, 기관차 등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한 기술개발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최초의 수소철도차량은 프랑스 철도차량 제작사인 Alstom이 개발한 Coradia iLint로 2022년 8월부터 공식적인 영업운전을 시작했다. 국내의 경우,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도로 2018년 4월부터 개발 중(1)에 있으며 현재 수소철도차량 시운전 시험을 진행 중이다. 이러한 국내외 수소철도차량 기술개발에 맞물려 수소철도차량 기반 노선이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차량 기지 내 수소충전설비에 대한 효율적인 운영방안 개발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수소충전설비는 크게 수소저장탱크와 수소충전장치 만으로 구성할 수 있지만 수소생산장치를 포함한 다양한 조합을 고려하여 활용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다만, 수소생산까지 고려한다면 탄소중립을 위해 수소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지 않는 신재생에너지와 연계한 수전해 기술이 요구되므로(4) 부가적으로 수전해 방식 수소생산, 수전해 설비 연계 신재생 보조 공급전원 등을 추가 고려할 수 있다.

수소충전설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수소생산, 저장, 충전과 관련된 장치들의 성능 사양들을 제약조건으로 반영하고, 철도 시스템에 적용되는 요금제를 고려한 최적 운영전략을 도출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수소충전설비 최적 운영전략을 도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2장과 3장에서는 차량 1편성이 노선 전 구간 왕복에 요구되는 소비전력을 기준으로 필요한 수소 소비량을 최소화하는 최적 운영 1차 최적화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차량 1편성이 소비하는 수소량을 산출한다. 4장에서는 차량 운행 스케줄과 전력요금제를 기반으로 1일 차량 운행에 따른 수소 공급 비용 최적화를 위한 수소충전설비 운영 최적화 알고리즘과 이를 통한 최적 운행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각 장은 도시철도 8호선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 운영방안이 도출되는 과정의 사례연구를 포함한다.

2. 최적 수소 소비 주행 방안

수소철도차량은 운행에 필요한 주 에너지 공급원을 수소연료전지로 하고 차량의 급격한 소비전력 변화 대응 및 회생전력 저장은 차량 내 설치된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로 보상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의 구조를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철도 노선에 수소철도차량을 적용한다는 전제하에 차량 1편성의 노선 주행에 필요한 수소 소비량을 산출한다. 그림 1은 서울교통공사 8호선 노선정보에 기반한 열차 모의주행 시뮬레이션(TPS, Train Performance Simulation)을 통해 계산된 차량 주행 소비전력을 보여준다. 이를 활용하여 전차선을 통한 외부 전력공급이 아닌 수소연료전지와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만으로 주행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되 수소 소비량은 최소화하는 수소연료전지와 차장 에너지 저장장치의 최적 운영방안을 찾는다.

그림. 1. 도시철도 8호선 차량 주행시 요구되는 소비전력

Fig. 1. Power required for vehicle operation on Metro Line 8

../../Resources/kiee/KIEE.2022.71.10.1467/fig1.png

수소 소비량 최소화를 위한 두 전원 요소의 최적 운영방안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림 2의 수소연료전지 출력에 따른

그림. 2. 수소연료전지 출력 전압-전류 관계(5)

Fig. 2. Current-Voltage graph of fuel cell(FC)(5)

../../Resources/kiee/KIEE.2022.71.10.1467/fig2.png

전압-전류 관계로부터, 그림 3과 같은 수소연료전지 출력 전력-전류 관계를 도출하고 출력 구간별 선형화를 통해 수소 소비량을 산출하는 모델을 구성해야 한다. 그림 2의 수소연료전지 출력 전압-전류 관계식은 식(1)과 같이 피크점 정격전류 대비 %I가 56.25 이하인 구간에 대하여 3개의 구간으로 Piecewise Linear 함수로 표현하며, 해당 함수는 식(2)와 같이 출력(%P)에 대한 전류(%I)의 함수로 변환되어 적용된다.

(1)
\begin{align*} \%P & =2.044\%I(0.00\le\%I<25.00)\\ \\ & =1.244\%I+25.00(25.00\le\%I<43.75)\\ \\ & =0.474\%I+67.13(43.75\le\%I\le 56.25) \end{align*}

(2)
\begin{align*} %I & =0.489\%P(0.000\le\%P<51.111)\\ \\ & =0.804\%P-16.07(51.111\le\%P<74.444)\\ \\ & =2.109\%P-113.20(74.444\le\%P\le 80.000) \end{align*}

그림. 3. 수소연료전지 출력 전력-전류 사이의 관계

Fig. 3. Power-Current graph of fuel cell(FC)

../../Resources/kiee/KIEE.2022.71.10.1467/fig3.png

식(3)은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약을 나타낸다. 식(3)의 제약 범위 내 출력에 따른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의 SOC(State Of Charge) 변화는 식(4)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3)
$-P_{ESS}^{\max}\le P_{ESS}^{t}\le P_{ESS}^{\max}$

여기서, $P_{ESS}^{\max}$: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 최대 출력, $P_{ESS}^{t}$: t 시간에서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 출력

(4)
\begin{align*} E_{ESS}^{t} & =E_{ESS}^{t-1}+\eta P_{ESS}^{t}(P_{ESS}^{t}>0)\\ \\ & =E_{ESS}^{t-1}+\dfrac{1}{\eta}P_{ESS}^{t}(P_{ESS}^{t}<0) \end{align*}

여기서, $E_{ESS}^{t}$: t 시간에서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 내 에너지, $\eta$: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효율, $P_{ESS}^{t}>0$: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 방전 모드, $P_{ESS}^{t}<0$: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 충전 모드

계산된 SOC는 식(5)에 나타낸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 SOC 제약에 적용된다.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의 SOC 범위를 45∼55%로 제한한 이유는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 수명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이다(6).

(5)
$0.45E_{ESS}^{\max}\le E_{ESS}^{t}\le 0.55E_{ESS}^{\max}$

여기서, $E_{ESS}^{\max}$: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 최대 용량

식(6)의 제약은 주행 종료 후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에 관여할 수 있는 설비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주행 전과 주행 후의 SOC 수준을 같은 값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제약이다.

(6)
$E_{ESS}^{0}=E_{ESS}^{t_{dep}}$

여기서, tdep: 주행 종료 시간

3. 차량 1편성 노선 주행에 필요한 수소 소비량 산출

차량 1편성의 노선 전구간 주행시 필요한 수소 소비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차량 내 수소연료전지(FC)의 운전모드를 크게 상시출력, 정격 25%, 50%, 75% 이상에서 FC 동작과 같이 네 가지 케이스들로 구분하여 수소 소비량을 산출하였다.

3.1 Case 1: 수소연료전지(FC) 상시 운전

일정한 출력으로 상시 운전하는 수소연료전지를 상정하고 잔여 필요전력은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에서 공급하도록 설정한 후 차량 주행에 따른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 출력, SOC 변화 및 수소 소비량을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는 표 1과 같다. 수소연료전지 출력,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 출력 및 내부 저장에너지 변화는 그림 4~ 그림 6에 나타내었다.

표 1. Case 1의 모의 결과

Table 1. Simulation results of case 1

Item

Results

$P_{FC}$

398.59 kW

$P_{ESS}$

4.568 MW

$E_{ESS}$

439.7 kWh

Total amount of $H_{2}$ consumption

26.081 kg

그림. 4. Case 1의 수소연료전지 출력

Fig. 4. Power by fuel cell of case 1

../../Resources/kiee/KIEE.2022.71.10.1467/fig4.png

그림. 5. Case 1의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 출력

Fig. 5. Power by on-board energy storage of case 1

../../Resources/kiee/KIEE.2022.71.10.1467/fig5.png

그림. 6. Case 1의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 내부 저장에너지

Fig. 6. Cumulative energy in on-board energy storage of case 1

../../Resources/kiee/KIEE.2022.71.10.1467/fig6.png

3.2 Case 2: 정격 25% 이상에서 FC 동작

정격 25% 이상에서 동작하는 수소연료전지를 상정하고 잔여 필요전력은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에서 공급하도록 설정한 후 차량 주행에 따른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 출력, SOC 변화 및 수소 소비량을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는 표 2와 같다. 수소연료전지 출력,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 출력 및 내부 저장에너지 변화는 그림 7~ 그림 9에 나타내었다.

표 2. Case 2의 모의 결과

Table 2. Simulation results of case 2

Item

Results

$P_{FC}$

903.40 kW

$P_{ESS}$

4.170 MW

$E_{ESS}$

339.5 kWh

Total amount of $H_{2}$ consumption

24.792 kg

그림. 7. Case 2의 수소연료전지 출력

Fig. 7. Power by fuel cell of case 2

../../Resources/kiee/KIEE.2022.71.10.1467/fig7.png

그림. 8. Case 2의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 출력

Fig. 8. Power by on-board energy storage of case 2

../../Resources/kiee/KIEE.2022.71.10.1467/fig8.png

그림. 9. Case 2의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 내부 저장에너지

Fig. 9. Cumulative energy in on-board energy storage of case 2

../../Resources/kiee/KIEE.2022.71.10.1467/fig9.png

3.3 Case 3: 정격 50% 이상에서 FC 동작

정격 50% 이상에서 동작하는 수소연료전지를 상정하고 잔여 필요전력은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에서 공급하도록 설정한 후 차량 주행에 따른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 출력, SOC 변화 및 수소 소비량을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는 표 3과 같다. 수소연료전지 출력,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 출력 및 내부 저장에너지 변화는 그림 10~ 그림 12에 나타내었다.

표 3. Case 3의 모의 결과

Table 3. Simulation results of case 3

Item

Results

$P_{FC}$

926.36 kW

$P_{ESS}$

4.170 MW

$E_{ESS}$

339.9 kWh

Total amount of $H_{2}$ consumption

24.751 kg

그림. 10. Case 3의 수소연료전지 출력

Fig. 10. Power by fuel cell of case 3

../../Resources/kiee/KIEE.2022.71.10.1467/fig10.png

그림. 11. Case 3의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 출력

Fig. 11. Power by on-board energy storage of case 3

../../Resources/kiee/KIEE.2022.71.10.1467/fig11.png

그림. 12. Case 3의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 내부 저장에너지

Fig. 12. Cumulative energy in on-board energy storage of case 3

../../Resources/kiee/KIEE.2022.71.10.1467/fig12.png

3.4 Case 4: 정격 75% 이상에서 FC 동작

정격 75% 이상에서 동작하는 수소연료전지를 상정하고 잔여 필요전력은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에서 공급하도록 설정한 후 차량 주행에 따른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 출력, SOC 변화 및 수소 소비량을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는 표 4와 같다. 수소연료전지 출력,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 출력 및 내부 저장에너지 변화는 그림 13~ 그림 15에 나타내었다.

표 4. Case 4의 모의 결과

Table 4. Simulation results of case 4

Item

Results

$P_{FC}$

934.59 kW

$P_{ESS}$

4.170 MW

$E_{ESS}$

345.1 kWh

Total amount of $H_{2}$ consumption

24.744 kg

그림. 13. Case 4의 수소연료전지 출력

Fig. 13. Power by fuel cell of case 4

../../Resources/kiee/KIEE.2022.71.10.1467/fig13.png

그림. 14. Case 4의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 출력

Fig. 14. Power by on-board energy storage of case 4

../../Resources/kiee/KIEE.2022.71.10.1467/fig14.png

그림. 15. Case 4의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 내부 저장에너지

Fig. 15. Cumulative on-board energy in energy storage of case 4

../../Resources/kiee/KIEE.2022.71.10.1467/fig15.png

4. 수소충전설비 운영 최적화

그림. 16. 수소충전설비 운영 최적화 알고리즘

Fig. 16. Optimization algorithm for hydrogen charging facilities

../../Resources/kiee/KIEE.2022.71.10.1467/fig16.png

차량 1편성의 수소 소비량 최적화 방안을 포함한 수소충전설비 운영 최적화 알고리즘을 그림 16에 나타내었다. 3장의 Case 4에서 산정된 가장 적은 수소 소비량과 그림 17의 서울교통공사 8호선 평일 차량 운행 스케줄을 기반으로 산출된 시간별 수소 소비량에 대해, 수소충전설비 사양을 제약으로 반영하여 가장 경제적인 수소충전설비 운영방안을 도출하였다.

여기서, 최적화 알고리즘 하단에 스케줄링 수소량과 실제 수소량 사이 차이가 일정 이상 벌어지면 재스케줄링하는 모듈이 포함되어 있지만, 실제 운영 시 발생하는 오차를 상정할 수 없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해당 모듈 효과를 별도로 검증하진 않는다.

그림. 17. 서울 8호선 평일 차량 운행 스케줄 일부

Fig. 17. A part of operation schedule for week day in Seoul Metro Line 8

../../Resources/kiee/KIEE.2022.71.10.1467/fig17.png

4.1 전기철도 적용 전기요금제

한국전력공사는 계약전력 300kW 이상 고객에 대해 산업용(을) 요금제를 적용하고 있으며, 2022년 4월부터 2022년 9월까지 적용되는 요금제 중 고압A 선택I 전력량 요금제는 표 5와 같다.

표 5. 전기철도 적용 전기요금표(전력량 요금)

Table 5. Electric rates table for electric railway systems

Classification

Energy charge (KRW/kWh)

Summer

(6~8)

Spring, Fall

(3~5, 9~10)

Winter

(11~2)

Off-peak

61.5

61.5

68.5

Mid-peak

114.4

84.0

114.6

On-peak

196.5

114.7

172.1

Classification

Summer, Spring, Fall

Winter

Off-peak

23:00~09:00

23:00~09:00

Mid-peak

09:00~10:00

12:00~13:00

17:00~23:00

09:00~10:00

12:00~17:00

20:00~22:00

On-peak

10:00~12:00

13:00~17:00

10:00~12:00

17:00~20:00

22:00~23:00

4.2 수소충전설비 사양

수소충전설비는 수전해 기반 수소생산장치, 수소저장탱크 및 수소충전장치 등으로 구성된 것으로 가정하며 각각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수소충전장치는 지상 수소저장탱크에서 수소철도차량 내 차상수소탱크로 수소를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 수소생산장치: 200 kg/h(15분 최대 50kg)

• 수소저장탱크: 1,500 kg

• 수소충전장치: 2.5 kg/min(15분 최대 37.5kg)

4.3 봄·가을철

가장 저렴한 전력량 요금이 적용되는 봄·가을철의 수소철도차량 운행에 따른 수소충전설비 운영 최적화 모의를 진행하였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기준 시각을 0시가 아닌 05시로 설정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차량 운행이 5시에 시작되는 점을 고려한 것이며 이후 시간은 15분 단위로 모의 결과를 보인다.

그림 18은 수소철도차량 운행에 따른 수소 소비량를 고려한 가장 경제적인 수소생산장치의 운영전략을 보여준다. 경부하 시간대에서 최대 출력으로 수소생산장치가 가동되며, 중간부하 시간대에도 정격용량에 가까운 수준으로 수소생산장치가 가동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최대부하 시간대에서는 전혀 수소생산장치 운영이 없다. 그림 19에서 볼 수 있듯이, 이러한 수소생산장치 운영에 따른 수소저장탱크 내 누적 잔존수소량 변화는 하한점인 0kg과 최대인 1,500kg 사이에서 변화하며 누적 잔존수소량 제약을 벗어나지 않는다. 특히, 퇴근 시간대에 좁은 시격으로 수소철도차량이 운행되면 수소 소비량이 높아지며, 퇴근시간 이후 수소저장탱크 내 수소량이 최소치에 도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8. 봄·가을철 수소생산장치 최적 운영

Fig. 18. Optimal operation of hydrogen production for Spring and Autumn season

../../Resources/kiee/KIEE.2022.71.10.1467/fig18.png

그림. 19. 봄·가을철 최적 운영시 수소저장탱크 내 수소량 변화

Fig. 19. Cumulative hydrogen in storage tank for Spring and Autumn season

../../Resources/kiee/KIEE.2022.71.10.1467/fig19.png

4.4 여름철

여름철의 전력량 요금은 다르지만 부하수준을 구분하는 시간대가 봄·가을철과 같아 수소생산장치 최적 운영방안 및 수소저장탱크 내 수소량 변화는 봄·가을철과 같은 결과를 보여준다.

4.5 겨울철

겨울철은 표 5와 같이 최대부하 시간대가 다른 계절과 달리 3개의 시간대이며, 이로 인해 다른 계절과는 다른 패턴의 운영방안이 도출된다. 그림 20은 최대부하 시간대 전기요금에 비해 저렴한 경부하와 중간부하 시간대에서 수소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운영에 따른 수소저장탱크 내 누적 잔존수소량 변화는 그림 21과 같다. 다른 계절과 마찬가지로 퇴근 시간대 부터 누적 잔존수소량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특히 22시∼23시는 최대부하 시간대여서 해당 시간대에 수소생산장치 운영이 없어 23시 근처에서 수소탱크 내 수소량이 최소치에 도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20. 겨울철 수소생산장치 최적 운영

Fig. 20. Optimal operation of hydrogen production for Winter season

../../Resources/kiee/KIEE.2022.71.10.1467/fig20.png

그림. 21. 겨울철 최적 운영시 수소저장탱크 내 수소량 변화

Fig. 21. Cumulative hydrogen in storage tank for Winter season

../../Resources/kiee/KIEE.2022.71.10.1467/fig21.png

5. 결 론

수소철도차량 개발에 따른 수소 인프라의 최적 운영전략을 도출하기 위해, 차량 1편성의 노선 운행에 따른 수소 소비량을 산정하고 1일 차량 운행 스케줄을 기반으로 수소충전설비 시간대별 수소 소비량을 산출하였다. 수전해 기반 수소생산장치만으로 수소 생산하는 것을 전제로, 각 계절별 전력량 요금을 고려한 최소 비용으로 일간 수소 소비량에 대응하는 최적 운영방안을 도출하였다.

즉, 제시된 수소충전설비 운영 최적화 알고리즘은 차량 운행 시 수소 소비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수소연료전지와 차상 에너지 저장장치의 부하 배분 방안과 비용 최적화된 수소충전설비 운영방안 도출의 두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최적화 알고리즘이 목적한 결과물을 보여주고 있는지 사례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다만, 수전해 방식의 수소 생산비용이 현재로선 매우 높은 수준으로 아직 경제성을 논할 단계의 기술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였고 본 논문 내 상정한 수소 활용기술 수준 또한 현재 기술 수준을 상회하여 설정된 부분이 있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신규 노선 건설 시 경제적인 무가선 노선 건설, 기존 노후 디젤 차량 교체 등과 같은 부분들을 고려하면 수소 철도는 여전히 매력적인 기술이며 수소 활용기술 발전에 대해 조기 대응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제시한 철도용 수소충전설비 최적 운영 알고리즘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향후 실용화 단계에서 수소철도차량 기지 내 수소생산장치, 수소저장탱크 및 수소충전장치 사양을 설계하고 장치별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Railway Technology Research Project, “Development of Propulsion System Optimization and Operating Technology for Hydrogen Powered (1.2 MW or More) Railway (22RTRP-B146008-05)”

References

1 
J. Ryu, 2020, Hydrogen Railway Vehicle Fuel Cell Power Conversion System Technology Trend, KIPE Magazine, Vol. 25, No. 1, pp. 38-44Google Search
2 
I. Cho, 2020, Hybrid power system design technology trend for hydrogen railway vehicles, Railway Journal, Vol. 23, No. 2, pp. 21-26Google Search
3 
S. Lim, S. Sung, Y. Lee, J. Kim, 2018, Technical Trends of Hydrogen fuel cell railway rolling stock, 2018 Autumn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pp. 314-317Google Search
4 
S. Hwang, J. Park, 2021, Techno-Economic Analysis of Water Electrolysis System Connected with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Tra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ol. 32, No. 6, pp. 477-482DOI
5 
T. Agaesse, 2016, Simulations of one and two-phase flows in porous microstructures, from tomographic images of gas diffusion layers of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Ph. D. thesisGoogle Search
6 
J. Lee, J. Ryu, 2019, Hydrogen Fuel-Cell/Battery Hybrid Tra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 22, No. 1, pp. 19-26Google Search

저자소개

김재원 (Jaewon Kim)
../../Resources/kiee/KIEE.2022.71.10.1467/au1.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2006, 2008, and 2018,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 Principal Researcher with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Uiwang, South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on-board energy storage system for railway vehicles, traction power supply systems analysis, and railway electric components reliability analysis.

류준형 (Joonhyoung Ryu)
../../Resources/kiee/KIEE.2022.71.10.1467/au2.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control and instrumentation engineering and electronics engineering from Ajou University, Suwon, South Korea, in 1997, 1999 and 2005,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 Principal Researcher with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Uiwang, South Korea.

조환희 (Hwanhee Cho)
../../Resources/kiee/KIEE.2022.71.10.1467/au3.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from Dankook University, Yongin, in 2014, and Ph.D. degree from Korea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2020.

He is currently a Senior Researcher with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Uiwang, South Korea.

오용국 (Yongkuk Oh)
../../Resources/kiee/KIEE.2022.71.10.1467/au4.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 computer engineering and the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anyang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2005 and 2007,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 Senior Researcher with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Uiwang, South Korea.

이한상 (Hansang Lee)
../../Resources/kiee/KIEE.2022.71.10.1467/au5.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from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in 2003, 2005, and 2010,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ssistant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Semyung University, Jecheon, 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