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Korea.)



XGBoost, Feature Selection, Shapley Value, Correlation Coefficient, Weekends Load Forecasting

1. 서 론

전력수요 예측의 결과는 전력시장의 가격결정, 전력 계통운영을 위한 요소, ESS(Energy Storage System) 운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된다. 또한 전력수요를 정확히 예측함을 통해 전력계통 운영에 대한 안정성 향상, 전력시장의 경제성과 효율성 등을 개선할 수 있다(1,2).

하지만, 일 전력수요 패턴은 사람들의 생활패턴에 따라 바뀌는 특성을 가지고 특히 주중에서 주말로 넘어가면 출근을 하는 직장인이 급격하게 줄어듦과 같이 사람들의 생활패턴이 크게 바뀌어 전력수요 패턴의 큰 변화로 이어진다(3-5).

따라서 주말 기동정지 계획 수립에 필수적인 주말 전력수요 예측은 평일보다 어렵기 때문에 급격하게 바뀌는 전력수요 패턴에 대해 미리 대비하지 못함은 전력계통의 불안정성과 직결된다.

이와 관련한 연구 사례로는 제주도의 기온변화에 대한 민감도를 반영하여 주말 전력수요 예측을 진행한 연구가 있다(6). 해당 논문은 제주도 하절기의 온도 변화 특성을 활용했는데 이는 냉방부하로 인해 전체부하가 크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절기 주말의 기온 변화 특성과 일 최대 전력 수요 데이터를 이용하여 예측을 진행했으며 이를 통해 제주도 하절기 주말 전력수요 예측에 대한 오차 감소를 제시했다.

해외 주요 연구에선 준모수 회귀분석(Semi-Parametric Regression Analysis)을 기반으로 기상과 전력수요 데이터를 고려하여 주말 전력수요를 예측한 연구가 있다(7). 해당 논문은 일반적인 전력수요로부터 주말 전력수요를 구분했으며 최대 부하와 기상 요소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또한 기상정보와 부하 사이의 관계를 더 사실적으로 나타내는 준모수 회귀분석에 따라 단기 주말 전력수요 예측을 진행했으며 이를 통해 기상정보와 부하 정보의 상호작용을 사용하는 준모수 주말 전력수요 예측 방법이 예측의 정확도를 높임을 제시했다.

수요패턴이 불규칙한 주말 수요를 다룬 연구가 평일 수요에 비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주말 전력수요 예측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고 본 논문은 변수 선택과 예측모델 파라미터 최적화를 통한 주말 전력수요 예측 알고리즘을 제시하며 주말에서 크게 달라지는 전력수요 패턴을 미리 예측함으로써 전력수요의 큰 변화가 전력계통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방지함을 기여하고자 한다.

예측 과정은 크게 변수 선택, 예측모델의 파라미터들을 최적화하는 하이퍼 파라미터, 오차 산출로 구분된다. 변수 선택은 예측 과정에서 영향력이 크고 다른 변수들과 선형성이 낮은 변수들을 선택하는 것으로 진행했다. 이를 위해 SHAP(SHapley Additive exPlanations) 기법으로 변수들의 영향력을 측정했으며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기법으로 변수들 간의 선형성을 측정했다. 이를 통해 사용할 변수를 선택하고 격자 탐색(Grid Search) 기법을 사용하여 하이퍼 파라미터 최적화를 진행했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2021년의 전체 주말에 대해 예측을 진행했으며 추석과 같은 명절을 포함하고 전력수요에 대한 변동성이 큰 9월의 예측 결과를 NMAE(Normalized Mean Absolute Error), MAPE(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NRMSE(Normalized Root Mean Squared Error)를 통해 제시했다.

2장에서는 예측을 진행하기 위한 기법들인 SHAP 기법, 피어슨 상관계수 기법, 격자 탐색(Grid Search) 기법, 예측모델인 XGBoost에 대해 서술하고 3장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진행한 예측 과정을 서술했다. 결론 부분에는 예측 결과에 대한 해석과 특수일에 관한 예측, 다양한 변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 등 추후 연구에 관하여 작성했다.

2. 예측을 위한 기법

2.1 변수선택을 위한 기법

2.1.1 SHAP 기법

SHAP 기법은 Shapley Value를 통해 입력 변수와 예측모델의 결과값 사이의 관계를 탐색하여 설명하는 인공지능 기법이다(8,9). 여기서 Shapley Value란 여러 변수들의 조합에서 해당 변수의 추가 혹은 제거에 따른 변화에 따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 입력 변수의 양(+), 음(-)의 영향력 모두를 계산할 수 있다.

SHAP 기법은 결과를 산출하기 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지만 변수들의 예측값에 대한 영향력을 기존의 변수 중요도(Feature Importance) 기법보다 정확하게 측정한다는 장점을 가진다(10,11).

2.1.2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피어슨 상관계수는 두 변수 사이의 선형 관련성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며 –1에서 1 사이의 값을 갖는다. 피어슨 상관계수의 절대값이 클수록 상관관계가 큼을 의미하고 부호는 상관관계의 방향을 나타내며 두 변수 $X$, $Y$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12).

(1)
$r =\dfrac{\sum_{i=1}^{n}(x_{i}-\overline{x})(y_{i}-\overline{y})}{\sqrt{\sum_{i=1}^{n}(x_{i}-\overline{x})^{2}}\sqrt{\sum_{i=1}^{n}(y_{i}-\overline{y})^{2}}}$

위의 수식에서 $n$은 표본 집단($X$, $Y$)의 개체수를 의미하고 $x_{i}$는 표본 집단 $X$의 원소, $\overline{x}$는 표본 집단 $X$의 평균을 의미한다.

예측을 진행할 때 선형성이 높은 변수들은 같이 사용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예측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모든 변수들끼리의 피어슨 상관계수를 구한 후 다른 변수들과의 상관계수가 높은 변수를 제거했다.

2.2 하이퍼 파라미터 튜닝

2.2.1 격자 탐색(Grid Search)

파라미터들이 가질 수 있는 범위 내 값들의 경우의 수를 통해 최적의 결과를 찾아내는 격자 탐색 방법을 이용해 튜닝할 예측모델의 내부 파라미터는 학습률(Learning Rate), 결정 트리 개수(n_estimators), 트리 최대 깊이(Max Depth)이다.

위의 값이 지나치게 높으면 예측모델이 과적합(Over Fitting) 되어 예측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최적의 조합을 찾는 것은 예측 성능 향상을 위해 필수적이다. 이때, 나머지 파라미터들은 본래 함수에 내장되어있는 기본 값(Default)을 사용했다(13).

2.3 예측모델 구성

2.3.1 XGBoost 모델

본 논문에서 예측모델로 사용하는 XGBoost 모델은 의사결정 나무(Decision Tree) 기법 중 하나이며 부스팅(Boosting), 앙상블(Ensemble) 기반의 머신러닝 모델이다(14,15). 경사 하강법(Gradient Descent)을 통해 가중치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기법인 GBM(Gradient Boosting Machine)은 과적합 문제를 단점으로 가지는데 XGBoost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구조를 변형함에 따라 가지치기(Prunning)를 통해 과적합을 줄일 수 있고 병렬 연산이 가능하며 빠른 학습 속도를 가지면서 정확도가 높다(16).

그림. 1. XGBoost의 구조

Fig. 1. Architecture of XGBoost

../../Resources/kiee/KIEE.2022.71.11.1578/fig1.png

XGBoost는 그림 1과 같이 이전 tree에서 생성된 잔차를 학습해나가는 구조를 가지며 최종적인 결과는 각 tree에서 생성된 결과들의 합으로 산출된다(17).

2.3.2 예측 알고리즘

그림. 2. 예측 진행 알고리즘

Fig. 2. Algorithm for Forecasting

../../Resources/kiee/KIEE.2022.71.11.1578/fig2.png

예측을 진행하는 알고리즘은 그림 2와 같다. 전체적으로는 변수선택을 진행한 이후 하이퍼파라미터 과정을 통해 예측 모델의 파라미터를 조정한 후 위에서 정한 변수들을 예측모델에 적용하여 예측 결과를 산출하는 순서를 가진다. 먼저 학습 데이터를 구성하고 1번 블록에서 SHAP 기법을 통해 변수 중요도를 산정한 후 2번 블록에서 피어슨 상관계수를 통해 서로 선형성을 갖는 변수들을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사용할 변수를 지정한다.

예측모델은 XGBoost이며 모델 내의 파라미터인 학습률, 결정 트리 개수, 트리 최대 깊이를 적절히 조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3번 블록에서부터 격자 탐색 방법을 사용하여 3개의 파라미터 조합을 $A^{n}$으로 설정한 후 조합의 모든 경우에 따라 점수를 산정하고 최고점을 갖는 조합을 예측모델의 파라미터로 적용한다. 입력 변수 선정과 파라미터 조합을 마친 후 이를 바탕으로 예측을 진행하여 오차를 분석하는 것으로 알고리즘을 마친다.

3. 사례연구

3.1 입력 데이터 구성

입력 데이터는 2021년 1월 1일부터의 전국 기상데이터(18), 날짜 데이터, 하루 전 수요 데이터로 구성했다. 이때, 수요 데이터는 전력거래소에서 제공받은 송전단 기준 데이터를 사용했다. 날짜 데이터, 하루 전 수요 데이터와 다르게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데이터는 지역별로 구분되어 있다.

하지만 기상데이터를 전국의 전력수요 예측을 위해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역별로 나누어진 기상데이터를 합쳐 하나의 전국 기상데이터로 만드는 작업이 필요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역별 인구수에 기반한 가중치를 두어 전국 기상데이터를 구성했다(19).

기상데이터 수집에 사용한 지역은 서울특별시, 6개 광역시, 각 도에 위치한 5개 주요 도시이다. 표 1에 나타난 각 지역의 가중치와 지역 기상데이터를 곱한 값들의 합을 전국 기상데이터로 만들었다. 또한 주말에 대한 전력수요를 예측하기 위해 모든 데이터를 정리한 후 토, 일요일에 대한 데이터만 따로 추출하여 사용했다.

표 1. 인구수기반 지역별 가중치

Table 1. Weighted by regions based on population

구분

지역

인구수

가중치

특별시

서울

9,509,458

0.376

광역시

인천

2,948,375

0.117

울산

1,121,592

0.044

대구

2,385,412

0.094

광주

1,441,611

0.057

대전

1,452,251

0.057

부산

3,350,380

0.133

도 별

주요도시

원주

357,757

0.014

청주

848,482

0.034

전주

657,269

0.026

안동

156,972

0.006

창원

1,032,741

0.041

3.2 변수 선택

예측모델에 사용할 중요한 변수로 SHAP 기법에서 높은 순위의 영향력을 가지고 다른 변수와의 피어슨 상관계수가 낮은 변수를 산정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준에 만족하는 변수를 찾기 위한 과정으로 먼저 SHAP 기법을 통해 모든 변수들의 중요도 순위를 측정하면 표 2와 같다.

표 2. 입력 변수의 SHAP value 순서

Table 2. Order of SHAP value ​​of input variables

순위

변수

순위

변수

1

하루 전 수요

9

2

시간

10

이슬점 온도

3

기온

11

지면기압

4

일조량

12

습도

5

일사량

13

해면기압

6

14

강수량

7

요일

15

풍속

8

증기압

16

적설량

이후 피어슨 상관계수 수식을 사용하여 상관계수가 높은 변수 쌍을 찾으면 (기온 - 증기압: 0.89), (기온 - 이슬점 온도: 0.89), (일조량 - 일사량: 0.86)이며 이들 중 SHAP 기법에서 영향력이 낮은 대기압, 이슬점 온도, 일사량 변수를 제거했다.

위의 기준을 만족하는 변수들을 선택함에 따라 월(Month), 시간(Hour), 요일(Week), 기온(Tem), 일조량(Sun), 하루 전 수요(D1) 변수를 최종 변수로 사용했다.

6개의 변수의 모델 예측 결과에 대한 영향력을 SHAP 기법을 통해 그림 3, 그림 4로 나타내었을 때 모두 적적할 영향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고 변수들끼리 피어슨 상관계수를 그림 5를 통해 표현했을 때 월 변수와 기온 변수의 상관관계가 0.67로 약간 높게 나타나는 것을 제외하면 모든 변수가 서로 낮은 상관관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3. 입력변수 SHAP value 분포도

Fig. 3. Distribution of the Input Variable SHAP Value

../../Resources/kiee/KIEE.2022.71.11.1578/fig3.png

그림. 4. 입력변수별 SHAP value 값의 절대 영향도 시각화

Fig. 4. Visualization of absolute impact of SHAP value for input variable

../../Resources/kiee/KIEE.2022.71.11.1578/fig4.png

그림. 5. 입력변수에 대한 피어슨 상관계수 시각화

Fig. 5. Visualization of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for input variable

../../Resources/kiee/KIEE.2022.71.11.1578/fig5.png

16개의 변수를 SHAP 기법을 통해 분석하면 시간 변수가, 최종 선정한 6개의 변수를 다시 분석하면 온도 변수가 두 번째로 높은 순위를 갖는 특이점을 보인다. 그림 3은 6개 변수들의 예측 결과에 대한 양(+), 음(-)의 영향력을 모두 보이고 그림 4는 예측 결과에 대한 절대적인 영향력만을 보인다.

그림 3,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SHAP value 값의 절대 영향도가 높은 변수는 대체적으로 양(+), 음(-) 영향력 모두에서 높은 순위를 가짐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절대적인 영향력에 대한 순위를 입력 변수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했다.

3.3 XGBoost 파라미터 최적화

학습률은 0.01에서 1까지, 결정 트리 개수는 100에서 1000까지, 트리 최대 깊이는 3에서 10까지 각각 모든 경우의 수에 대하여 점수를 매긴 후 두 변수씩 묶어 점수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그림 6, 7, 8과 같다.

그림. 6. 트리 최대 깊이와 학습률에 의한 점수 변화

Fig. 6. Score change by Max depth and Learning Rate

../../Resources/kiee/KIEE.2022.71.11.1578/fig6.png

그림. 7. 결정트리 개수와 학습률에 의한 점수 변화

Fig. 7. Score change by n_estimators and Learning Rate

../../Resources/kiee/KIEE.2022.71.11.1578/fig7.png

그림. 8. 결정트리 개수와 트리 최대 깊이에 의한 점수 변화

Fig. 8. Score change by n_estimators and Learning Rate

../../Resources/kiee/KIEE.2022.71.11.1578/fig8.png

앞에서 설정한 세 변수의 범위에 따라 총 800개의 조합에 대해 격자 탐색을 진행한 결과 최적 파라미터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위의 결과에 따라 3개의 파라미터 최적 값과 함께 앞에서 선정한 최종 변수를 예측모델에 적용하여 예측을 진행한 후 오차를 산출했다.

3.4 예측 결과분석

(2)
$NMAE =\dfrac{100}{n}\times\dfrac{\sum_{t=1}^{n}\left | L_{t}^{Measured}- L_{t}^{Forecast} \right |}{\max(L_{t}^{Measured})}$

(3)
$$ M A P B=\frac{100}{n} \times \sum_{t=1}^n\left|\frac{L_t^{\text {Measured }}-L_t^{\text {Forecast }}}{L_t^{\text {Measured }}}\right| $$

(4)
$NRMSE =\dfrac{\sqrt{\dfrac{1}{ {n}}\sum_{ {t}=1}^{ {n}}( {L}_{ {t}}^{ {Measured}}- {L}_{ {t}}^{{Forecast}})^{2}}}{\max( {L}_{ {t}}^{ {Measured}})}\times 100$

$n$: 시점의 개수

$L_{t}^{Measured}$: t시점 계측 전력수요

$L_{t}^{Forecast}$: t시점 예측 전력수요

표 3. 시뮬레이션에 따른 예측오차

Table 3. Forecasting error according to simulation

구분

NMAE

MAPE

NRMSE

Simulation 1

2.04

2.44

2.76

Simulation 2

1.99

2.39

2.56

Simulation 3

1.76

2.06

2.31

Simulation 4

1.60

1.88

2.15

변수 선택법과 하이퍼 파라미터 적용 여부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4가지로 분류하여 예측을 진행한 후 NMAE, MAPE, NRMSE를 통해 오차를 산출했다. Simulation 1은 두 과정을 모두 거치지 않았고 Simulation 2는 변수 선택 법만 적용했으며 Simulation 3은 하이퍼 파라미터 최적화만 적용했다. 결과적으로 표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변수 선택법과 하이퍼 파라미터를 모두 적용한 Simulation 4에서 가장 결과가 좋게 나옴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각 시뮬레이션에 따라 2021년 9월의 4개 주말, 즉 4일, 5일, 11일, 12일, 18일, 19일, 25일, 26일에 대해 예측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그림 9와 같다. 이때, 추석을 포함한 9월 3주차에서 오차가 크게 발생하지만 다른 기간에서 예측에 대한 정확도가 높음에 따라 전체적인 오차가 낮게 산출된다.

그림. 9. 시뮬레이션에 따른 수요 참값과 수요 예측값 그래프

Fig. 9. Graph of demand true values and demand forecast values according to simulation

../../Resources/kiee/KIEE.2022.71.11.1578/fig9.png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주말 수요를 분리한 후 주요 변수를 선택하고 파라미터 최적화를 거쳐 예측모델인 XGBoost 모델을 통해 전력수요를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했다.

SHAP 기법과 상관계수 기법을 사용하여 의미 있는 변수들을 사용하고 격자 탐색을 통한 하이퍼파라미터를 적용함에 따라 모델의 과적합 등을 방지하는 Simulation 4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한 예측 오차가 가장 작게 산출되었다. 또한 전력수요의 변동이 가장 심한 9월 3주차에 대해서도 준수한 예측성능을 보임에 따라 강건성(Robustness)을 가졌다.

차후 연구로는 변수 민감도 분석과 다양한 날들에 대한 예측을 통해 적절한 변수를 구성하고 명절, 특수일 등과 같은 특수한 날짜 또한 고려하고자 한다. 또한 예측모델로 단일 모델을 사용하기보다는 여러 개의 예측모델의 장점을 결합한 앙상블 모델을 통해 단일 예측 모델의 단점을 상쇄하고 더욱 정확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예측모델의 최적 파라미터를 찾는 방안으로 격자 탐색 대신 베이지안 최적화(Bayesian Optimization) 혹은 랜덤 서치(Random Search)를 통해 소요 시간을 줄이고자 한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2022학년도 건국대학교의 연구년교원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본 연구는 2020년도 산업통상자원부(MOTIE)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입니다.

(NO. 20204010600220)

References

1 
H. M. Hwang, J. B. Park, S. H. Lee, J. H. Roh, Y. G. Park, 2016, Load Forecasting and ESS Scheduling Considering the Load Pattern of Building, Trans of the KIEE, Vol. 65, No. 9, pp. 1486-1492DOI
2 
K. H. Kim, R. J. Park, S. W. Jo, K. B. Song, 2017, 24-Hour Load Forecasting Algorithm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in Summer Weekday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1, No. 12, pp. 113-119Google Search
3 
X. Zhou, S. Yang, S. Sun, 2021, A Deep Learning model for day-ahead load forecasting taking advantage of expert knowledge, 2021 IEEE 4th International Electrical and Energy Conference (CIEEC), pp. 1-5DOI
4 
N. A. Salim, T. K. A. Rahman, M. F. Jamaludin, M. F. Musa, 2009, Case study of Short Term Load Forecasting for weekends, 2009 IEEE Student Conference on Research and Development (SCOReD), pp. 332-335DOI
5 
K. B. Song, Y. S. Baek, D. H. Hong, G. Jang, Feb 2005, Short- term load forecasting for the holidays using fuzzy linear regression method, in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20, No. 1, pp. 96-101DOI
6 
H. W. Jeong, B. H. Ku, J. M. Cha, 2016, A Study on the Weekend Load Forecasting of Jeju System by using Temperature Changes Sensitivity, Trans of the KIEE, Vol. 65, No. 5, pp. 718-723DOI
7 
Li, Bin, Lu Mingzhen, Zhang Yiyi, no 20: 3820, A Weekend Load Forecasting Model Based on Semi- Parametric Regression Analysis Considering Weather and Load Interaction, Energies 12DOI
8 
Winter Eyal, 2002, Handbook of Game Theory with Economic Applications, Vol. 3, pp. 2025-2054Google Search
9 
W. Y. Chung, S. W. Park, J. U. Moon, E. J. Hwang, Mar 2022, SHAP based Solar Power Generation Forecasting Scheme Relecting the Solar Periodic Time Variable,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Vol. 28, No. 3, pp. 196-201Google Search
10 
J. H. Ahn, 2020, Expla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ikibooks Pub, Vol. ch 05, pp. 168-171Google Search
11 
H. R. Oh, A. L. Son, Z. K. Lee, Jul 2021, Occupational accident prediction modeling and analysis using SHAP,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22, No. 7, pp. 1115-1123Google Search
12 
H. S. Son, S. Y. Kim, Y. Jang, Oct 2020, LSTM-based 24-Hour Solar Power Forecasting Model using Weather Forecast Data,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Vol. 26, No. 10, pp. 435-441Google Search
13 
J. Y. Oh, D. H. Ham, Y. G. LEE, G. B. Kim, 2019, Short term Load Forecasting Using XGBoost and the Analysis of Hyperparameters, Trans of the KIEE, Vol. 68, No. 9, pp. 1073-1078Google Search
14 
J. Han, J. Baek, 2010, The Load Forecasting in Summer Considering Day Factor, The Transactions of KAIS, Vol. 11, No. 8, pp. 2793-2800DOI
15 
Y. Park, B. Wang, 2004, Neuro-Fuzzy Model based Electrical Load Forecasting System, The Transactions of KIIS, Vol. 14, No. 5, pp. 553-538DOI
16 
M. K. Kim, C. E. Hong, Jan 2016,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based Electric Power Demand Forecast using a Season and Weather Information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53, No. 1, pp. 71-78DOI
17 
Yuanchao Wang, Z. Pan, J. Zheng, L. Qian, Li Mingtao, August 2019, A hybrid ensemble method for pulsar candidate classification, Astrophysics and Space Science, Vol. 364, No. 8DOI
18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p. 2021, http://www.weather.go.kr/Google Search
19 
D. H. Kim, H. J. JO, M. S. Kim, J. H. Roh, J. B. Park, 2019, Short-Term Load Forecasting Based on Deep Learning Model, Trans of the KIEE, Vol. 68, No. 9, pp. 1094-1099Google Search

저자소개

심상우(Sang Woo Shim)
../../Resources/kiee/KIEE.2022.71.11.1578/au1.png

1997년 3월 26일생.

2022년 건국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현재 건국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석사과정

이다한(Da Han Lee)
../../Resources/kiee/KIEE.2022.71.11.1578/au2.png

1992년 3월 20일생.

2018년 건국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2019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현재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박사과정

노재형(Jae Hyung Roh)
../../Resources/kiee/KIEE.2022.71.11.1578/au3.png

1969년 11월 10일생.

1993년 서울대 원자핵 공학과 졸업.

2002년 홍익대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2008년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전기공학과 졸업(박사).

현재 건국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박종배(Jong-Bae Park)
../../Resources/kiee/KIEE.2022.71.11.1578/au4.png

1963년 11월 24일생.

1987년 서울대 전기공학과 졸업.

1989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1998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박사).

현재 건국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