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Beamforming, Inter-cell interferenc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Power allocation

1. 서 론

가상현실, 메타버스,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서비스 등의 새로운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 데이터 트래픽과 무선접속기기 수가 급증하고 있다 (1). 이것은 현재의 무선통신 시스템으로 충족시키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학계 및 산업계에서 전송용량을 혁신적으로 향상하는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2)-(4). 특히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의 통신품질과 구축비용 등을 고려할 때 유용한 주파수 대역의 부족으로 인해 주파수 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기술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5)-(7). 이러한 기술들 중에서 비직교 다중접속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방식은 상용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되고 있는 직교 다중접속 방식과 달리 다수의 사용자에게 중복해서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여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이 방식을 이용하면 주파수 자원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많은 사용자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어 유망한 기술로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7)-(10). 관련 주요 기술들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11)에서는 송신기가 클러스터 내 사용자를 위해 중첩 코딩 (superposition coding)과 랜덤 빔포밍 (random beamforming)을 적용하고 사용자 수신기는 SIC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을 이용하는 다중안테나 기반 비직교 다중접속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방법은 시스템 복잡도는 감소시키나 사용자 클러스터 간 간섭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한다. (12)에서는 송신기 프리코더 (precoder) 설계를 위한 채널 피드백 없이 사용자 클러스터 간 간섭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수신기에서 클러스터 간섭에 직교하는 수신 빔포밍 벡터를 채용하는 다중안테나 기반 비직교 다중접속 방법이 개발되었다. 또한 송신기 프리코더 설계를 위해 채널 피드백은 요구되나 (12)의 방식보다 적은 수의 수신 안테나를 사용하여 사용자 클러스터 간 간섭을 제거하는 신호 정렬 기반 다중안테나 비직교 다중접속 방법이 (13)에서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방법들은 클러스터의 각 사용자에게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할 수 없고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도 고려하지 않는다.

그림 1 다중 셀 시스템에서 단일 사용자 클러스터에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MIMO 하향링크 모델

Fig. 1 Model of MIMO downlink transmitting multiple data streams to a single user cluster in a multi-cell system

../../Resources/kiee/KIEE.2023.72.1.114/fig1.png

클러스터 간 간섭과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을 동시에 제거하기 위해 (14)에서는 간섭 정렬을 이용하여 조정된 빔포밍 벡터 (coordinated beamforming vector)를 설계하는 다중안테나 기반 비직교 다중접속 방법이 제시되었다. 이 방법 역시 클러스터의 각 사용자에게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할 수 없고 간섭을 주는 인접 셀이 2개 이상이면 적용할 수 없다. 클러스터의 각 사용자에게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해 GSVD (generalize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15)를 이용하는 다중안테나 기반 비직교 다중접속 방법이 (16)(17)에서 제안되었다. 또한 (18)에서는 계층 전송 (layered transmission) (19)와 이에 따른 송신전력할당을 수행하는 MIMO (multiple-input multiple- output) 비직교 다중접속 방식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 방법들은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단일 클러스터에 전송할 수 있으나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영향을 고려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접 셀의 간섭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주파수 효율을 향상하기 위해, 기지국 근처에 위치한 셀 중심 사용자 (cell-center user)와 기지국에서 먼 곳에 위치한 셀 가장자리 사용자 (cell-edge user)로 구성된 단일 클러스터에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하는 다중안테나 기반 비직교 다중접속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인접 셀로부터 간섭이 없는 단일 셀 (single-cell)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방법을 개발한다. 이 방법은 셀 중심 사용자의 MIMO 채널상태를 기반으로 이 사용자의 수신 빔포밍 행렬을 구하고 이 사용자의 데이터 스트림별 송신전력을 할당한다. 그리고 셀 가장자리 사용자의 MIMO 채널상태와 셀 중심 사용자의 간섭을 고려하여 이 사용자의 수신 빔포밍 행렬 설계와 데이터 스트림별 송신전력할당을 수행한다. 이 방법을 확장하여 다중 셀 (multi-cell) 환경에서 제안 방법은 셀 중심 사용자의 MIMO 채널상태와 인접 셀의 간섭을 고려하여 이 사용자의 수신 빔포밍 행렬을 설계하고 데이터 스트림별 송신전력을 할당한다. 셀 가장자리 사용자의 경우는 MIMO 채널상태, 셀 중심 사용자의 간섭, 인접 셀의 간섭 등을 고려하여 이 사용자의 수신 빔포밍 행렬 설계와 데이터 스트림별 송신전력할당을 수행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 방법이 각 사용자별 데이터 율과 outage 확률 측면에서 기존의 다중안테나 기반 비직교 다중접속 방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달성함을 보인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 2절에서는 본 연구에서 고려하는 다중안테나 기반 비직교 다중접속 방식을 이용하여 단일 클러스터의 사용자를 지원하는 하량링크 시스템 모델을 기술한다. 제 3절에서는 단일 셀과 다중 셀 환경에서 클러스터의 각 사용자의 데이터 율을 향상하는 수신 빔포밍 방법과 송신전력할당 방식을 제안한다. 제 4절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각 사용자의 데이터 율과 outage 확률 측면에서 제안 방식의 성능을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제 5절에서 본 논문을 결론 맺는다.

2. 단일 클러스터 MIMO 비직교 다중접속 시스템

본 논문에서 고려하는 전송 시스템이 그림 1에 주어진다. 즉, 셀룰러시스템의 기지국이 단일 사용자 클러스터에 비직교 다중접속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링크 시스템을 고려한다. 이때 기지국과 사용자 모두 $M$개의 안테나를 이용한다. 사용자 클러스터는 두 명의 사용자로 구성되는데 한 명은 기지국 근처에 위치한 셀 중심 사용자이고 다른 한 명은 기지국에서 먼 곳에 위치한 셀 가장자리 사용자이다. 또한 이 시스템을 위해 셀 간 간섭이 없는 단일 셀 환경과 셀 간 간섭이 존재하는 다중 셀 환경이 고려된다.

우선 단일 셀 환경에서 클러스터의 셀 중심 사용자에서 수신한 신호와 셀 가장자리 사용자에서 수신한 신호를 각각 $ r_{c}$와 $ r_{e}$라 하고 기지국과 셀 중심 사용자 간의 채널과 기지국과 셀 가장자리 사용자 간의 채널을 각각 $ H_{c}$와 $ H_{e}$로 나타내면 $ r_{c}$와 $ r_{e}$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1)
$ r_{c}= H_{c}( Q_{c} d_{c}+ Q_{e} d_{e})+ n_{c}= H_{c} Q_{c} d_{c}+ H_{c} Q_{e} d_{e}+ n_{c}$

(2)
$ r_{e}= H_{e}( Q_{c} d_{c}+ Q_{e} d_{e})+ n_{e}= H_{e} Q_{e} d_{e}+ H_{e} Q_{c} d_{c}+ n_{e}$

여기서 $ d_{c}$와 $ d_{e}$는 각각 셀 중심 사용자와 셀 가장자리 사용자로 전송되는 데이터 벡터이고 비직교 다중접속 방식에 따라 동시에 전송된다. 또한 $E\left\{ d_{c} d_{c}^{H}\right\}= E\left\{ d_{e} d_{e}^{H}\right\}= I_{M}$이고 $E\{\}$와 $()^{H}$는 각각 기댓값과 공액 전치 행렬을 의미하며 $ I_{M}$은 $M\times M$ 단위행렬을 나타낸다. $ Q_{c}$와 $ Q_{e}$는 각각 셀 중심 사용자와 셀 가장자리 사용자로 전송되는 데이터 스트림의 송신전력할당 행렬이다. 수신 잡음 $ n_{c}$와 $ n_{e}$는 각각 평균이 영벡터이고 공분산 행렬이 $\sigma_{c}^{2} I_{M}$와 $\sigma_{e}^{2} I_{M}$인 백색 가우시안 잡음 벡터를 나타낸다.

한편 다중 셀 환경에서 간섭을 주는 인접 셀의 개수가 $N$이고 $i$번째 간섭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셀 중심 사용자로의 채널과 셀 가장자리 사용자로의 채널을 각각 $ G_{c,\: i}$와 $ G_{e,\: i}$로 나타내면 수신 신호 $ r_{c}$와 $ r_{e}$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3)
\begin{align*} r_{c}= H_{c}( Q_{c} d_{c}+ Q_{e} d_{e})+\sum_{i=1}^{N} G_{c,\: i} s_{i}+ n_{c}\\ = H_{c} Q_{c} d_{c}+ H_{c} Q_{e} d_{e}+\sum_{i=1}^{N} G_{c,\: i} s_{i}+ n_{c} \end{align*}

(4)
\begin{align*} r_{e}= H_{e}( Q_{c} d_{c}+ Q_{e} d_{e})+\sum_{i=1}^{N} G_{e,\: i} s_{i}+ n_{e}\\ = H_{e} Q_{e} d_{e}+ H_{e} Q_{c} d_{c}+\sum_{i=1}^{N} G_{e,\: i} s_{i}+ n_{e}. \end{align*}

여기서 $ s_{i}$는 $i$번째 간섭 셀의 기지국이 전송하는 데이터 벡터를 나타낸다.

3. 수신 빔포밍과 송신전력할당 방법

이 절에서는 먼저 단일 셀 환경에서 제안하는 수신 빔포밍과 송신전력할당 방식을 기술하고 이 방식을 다중 셀 환경에서도 적용 가능한 방식으로 확장한다.

3.1 단일 셀 환경에서의 전송 방법

단일 셀 환경에서 셀 중심 사용자는 비직교 다중접속 방식에 의해 동일한 무선자원에 겹쳐서 전송되는 셀 가장자리 사용자의 데이터에 의한 간섭을 먼저 제거한다. 이를 위해 자신의 데이터를 잡음으로 간주하여 셀 가장자리 사용자의 데이터를 복원한다. 이때 셀 중심 사용자는 자신의 데이터와 수신 잡음의 합을 백색 잡음으로 변환하여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데이터 복원이 가능하도록 식 (1)에 주어진 수신신호 $ r_{c}$에 다음과 같은 수신 빔포밍 행렬 $ W_{c}^{H}$을 적용한다.

(5)
$ W_{c}^{H} r_{c}= W_{c}^{H} H_{c} Q_{e} d_{e}+ W_{c}^{H}( H_{c} Q_{c} d_{c}+ n_{c}).$

셀 중심 사용자 데이터 벡터 $ d_{c}$와 잡음 벡터 $ n_{c}$ 간에 상관관계가 없다고 가정하면 $ W_{c}^{H}$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6)
$ R_{\widetilde n_{c}}= H_{c} Q_{c} Q_{c}^{H} H_{c}^{H}+\sigma_{c}^{2} I_{M}= R_{\widetilde n_{c}}^{\dfrac{1}{2}} R_{\widetilde n_{c}}^{\dfrac{H}{2}}$

(7)
$ W_{c}^{H}= R_{\widetilde n_{c}}^{-\dfrac{1}{2}}.$

이 시스템의 달성 가능한 데이터 율 (achievable rate) $R_{e}^{(1)}$은 다음과 같다.

(8)
$R_{e}^{(1)}=\log_{2}\left\{\det\left( I_{M}+ W_{c}^{H} H_{c} Q_{e} Q_{e}^{H} H_{c}^{H} W_{c}\right)\right\}.$

여기서 $\det()$는 행렬식을 의미한다. 따라서 셀 가장자리 사용자를 위한 데이터가 $R_{e}^{(1)}$ 이하의 데이터 율로 전송된다면 셀 중심 사용자는 SIC에 의해 셀 가장자리 사용자 간섭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이 조건이 만족되어 식 (1)의 수신신호 $ r_{c}$에서 셀 가장자리 사용자 간섭을 완전히 제거하고 채널 $ H_{c}$을 SV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에 의해 $ H_{c}= U_{c} D_{c}^{\dfrac{1}{2}} V_{c}^{H}$로 분해하면 그 수신신호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9)
$\widetilde r_{c}= U_{c} D_{c}^{\dfrac{1}{2}} V_{c}^{H} Q_{c} d_{c}+ n_{c}.$

신호 $\widetilde r_{c}$에 수신 빔포밍 행렬 $ U_{c}^{H}$을 적용하면

(10)
$ U_{c}^{H}\widetilde r_{c}= D_{c}^{\dfrac{1}{2}} V_{c}^{H} Q_{c} d_{c}+ U_{c}^{H} n_{c}= D_{c}^{\dfrac{1}{2}} V_{c}^{H} Q_{c} d_{c}+\widetilde n_{c}$

와 같이 쓸 수 있다. 여기서 잡음 벡터 $\widetilde n_{c}$는 $ n_{c}$와 동일한 통계적 특성을 갖는다. 이 시스템의 셀 중심 사용자의 달성 가능한 데이터 율 $R_{c}$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11)
\begin{align*} R_{c}=\log_{2}\left\{\det\left( I_{M}+\sigma_{c}^{-2} D_{c} V_{c}^{H} Q_{c} Q_{c}^{H} V_{c}\right)\right\}\\ \le\sum_{k=1}^{M}\log_{2}\left(1+\sigma_{c}^{-2}\left[ D_{c}\right]_{k k}\left[ V_{c}^{H} Q_{c} Q_{c}^{H} V_{c}\right]_{k k}\right). \end{align*}

여기서 $[]_{k k}$는 행렬의 $k$번째 주대각 원소를 의미한다. $R_{c}$의 상한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 V_{c}^{H} Q_{c} Q_{c}^{H} V_{c}$이 대각행렬이어야 한다. 이 대각행렬을 $\Lambda_{c}$로 나타내고 셀 중심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송신전력의 상한을 $P_{c}$라 하면, 즉 $\sum_{k=1}^{M}\left[ Q_{c} Q_{c}^{H}\right]_{k k}=\sum_{k=1}^{M}\left[\Lambda_{c}\right]_{k k}\le P_{c}$이면 Water-filling 알고리즘 (20)을 이용하여 $\left[\Lambda_{c}\right]_{k k}$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12)
$\left[\Lambda_{c}\right]_{k k}=\max\left[0,\:\mu_{c}-\sigma_{c}^{2}\left[ D_{c}\right]_{k k}^{-1}\right].$

이때 $\mu_{c}$는 $\sum_{k=1}^{M}\left[\Lambda_{c}\right]_{k k}=P_{c}$이 만족되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이 구해진 $ V_{c}$와 $\Lambda_{c}$을 이용하여 셀 중심 사용자의 데이터 스트림을 위한 송신전력할당 행렬 $ Q_{c}$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13)
$ Q_{c}= V_{c}\Lambda_{c}^{\dfrac{1}{2}}.$

또한 이 송신전력할당 행렬 $ Q_{c}$을 식 (10)에 대입하면 수신 빔포밍 행렬을 적용한 신호 $ U_{c}^{H}\widetilde r_{c}$는

(14)
$ U_{c}^{H}\widetilde r_{c}= D_{c}^{\dfrac{1}{2}}\Lambda_{c}^{\dfrac{1}{2}} d_{c}+\widetilde n_{c}$

와 같이 $M$개의 SISO (single-input single-output) 채널로 분리되어 효율적으로 데이터 복원이 가능하다.

한편 셀 가장자리 사용자는 셀 중심 사용자의 데이터에 의한 간섭을 잡음으로 간주하여 자신의 데이터를 복원한다. 식 (2)에 주어진 수신신호 $ r_{e}$의 간섭과 수신 잡음의 합을 백색 잡음으로 변환하는 수신 빔포밍 행렬 $ W_{e}^{H}$는 셀 중심 사용자의 데이터 벡터 $ d_{c}$와 잡음 벡터 $ n_{e}$ 간에 상관관계가 없다고 가정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15)
$ R_{\widetilde n_{e}}= H_{e} Q_{c} Q_{c}^{H} H_{e}^{H}+\sigma_{e}^{2} I_{M}= R_{\widetilde n_{e}}^{\dfrac{1}{2}} R_{\widetilde n_{e}}^{\dfrac{H}{2}}$

(16)
$ W_{e}^{H}= R_{\widetilde n_{e}}^{-\dfrac{1}{2}}.$

또한 합성 채널 $ W_{e}^{H} H_{e}$을 SVD에 의해 $ U_{e} D_{e}^{\dfrac{1}{2}} V_{e}^{H}$로 분해하고 합성 수신 빔포밍 행렬 $ U_{e}^{H} W_{e}^{H}$을 식 (2)에 주어진 수신신호 $ r_{e}$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표현된다.

(17)
$ U_{e}^{H} W_{e}^{H} r_{e}= D_{e}^{\dfrac{1}{2}} V_{e}^{H} Q_{e} d_{e}+\widetilde n_{e}.$

$\widetilde n_{e}$는 평균이 영벡터이고 공분산 행렬이 $ I_{M}$인 백색 잡음 벡터이다. 그러면 이 시스템의 달성 가능한 데이터 율 $R_{e}^{(2)}$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18)
\begin{align*} R_{e}^{(2)}=\log_{2}\left\{\det\left( I_{M}+ D_{e} V_{e}^{H} Q_{e} Q_{e}^{H} V_{e}\right)\right\}\\ \le\sum_{k=1}^{M}\log_{2}\left(1+\left[ D_{e}\right]_{k k}\left[ V_{e}^{H} Q_{e} Q_{e}^{H} V_{e}\right]_{k k}\right). \end{align*}

$R_{e}^{(2)}$의 상한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 V_{e}^{H} Q_{e} Q_{e}^{H} V_{e}$이 대각행렬이어야 한다. 이 대각행렬을 $\Lambda_{e}$라 하고 셀 가장자리 사용자에게 할당된 송신전력 상한을 $P_{e}$라 하면, 즉 $\sum_{k=1}^{M}\left[ Q_{e} Q_{e}^{H}\right]_{k k}=\sum_{k=1}^{M}\left[\Lambda_{e}\right]_{k k}\le P_{e}$이면 $\left[\Lambda_{e}\right]_{k k}$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19)
$\left[\Lambda_{e}\right]_{k k}=\max\left[0,\:\mu_{e}-\left[ D_{e}\right]_{k k}^{-1}\right].$

이때 $\mu_{e}$는 $\sum_{k=1}^{M}\left[\Lambda_{e}\right]_{k k}=P_{e}$이 만족되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이 구해진 $ V_{e}$와 $\Lambda_{e}$을 이용하여 셀 가장자리 사용자의 데이터 스트림을 위한 송신전력할당 행렬 $ Q_{e}$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20)
$ Q_{e}= V_{e}\Lambda_{e}^{\dfrac{1}{2}}.$

이 송신전력할당 행렬 $ Q_{e}$을 식 (17)에 대입하면 합성 수신 빔포밍 행렬을 적용한 신호 $ U_{e}^{H} W_{e}^{H} r_{e}$는

(21)
$ U_{e}^{H} W_{e}^{H} r_{e}= D_{e}^{\dfrac{1}{2}}\Lambda_{e}^{\dfrac{1}{2}} d_{e}+\widetilde n_{e}$

와 같이 $M$개의 SISO 채널로 분리되어 효율적으로 데이터 복원이 가능하다. 또한 셀 중심 사용자에서 셀 가장자리 사용자 간섭을 완전히 제거하면서 달성할 수 있는 셀 가장자리 사용자의 데이터 율 $R_{e}$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22)
\begin{align*} R_{e}=\min\left[R_{e}^{(1)},\: R_{e}^{(2)}\right]\\ =\min\left[\log_{2}\left\{\det\left( I_{M}+ D V \Lambda_{e} V^{H}\right)\right\},\:\log_{2}\left\{\det\left( I_{M}+ D_{e}\Lambda_{e}\right)\right\}\right]. \end{align*}

여기서 $ D =\left( D_{c}\Lambda_{c}+\sigma_{c}^{2} I_{M}\right)^{-1} D_{c}$이고 $ V = V_{c}^{H} V_{e}$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단일 셀 환경에서 제안한 방식의 수행절차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셀 중심 사용자와 셀 가장자리 사용자는 각각 $ H_{c}$와 $\sigma_{c}^{2}$ 정보 그리고 $ H_{e}$와 $\sigma_{e}^{2}$ 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 한다.

② 기지국은 식 (12)에 의해 $\Lambda_{c}$을 구하여 식 (13)과 같이 $ Q_{c}$을 결정하고, 식 (19)에 의해 $\Lambda_{e}$을 구하여 식 (20)과 같이 $ Q_{e}$을 결정한다.

③ 기지국은 식 (6)과 (7)에 의해 $ W_{c}^{H}$을 구하고 식 (15)(16)에 의해 $ W_{e}^{H}$을 구하여 각각 셀 중심 사용자와 셀 가장자리 사용자로 전송한 후에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다.

④ 셀 중심 사용자는 수신신호에 $ W_{c}^{H}$을 적용하여 셀 가장자리 사용자의 데이터를 복원한 후 이것을 이용하여 수신신호에서 이 간섭을 제거한다. 간섭이 제거된 수신신호에 셀 중심 사용자는 $ U_{c}^{H}$을 적용하여 자신의 데이터를 복원한다. 셀 가장자리 사용자는 수신신호에 $ U_{e}^{H} W_{e}^{H}$을 적용하여 자신의 데이터를 복원한다.

3.2 다중 셀 환경에서의 전송 방법

다중 셀 환경에서 식 (3)에 주어진 셀 중심 사용자의 수신신호에 존재하는 자신의 데이터에 의한 간섭,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 수신 잡음 등의 합을 백색 잡음으로 변환하는 수심 빔포밍 행렬 $\widetilde W_{c}^{H}$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23)
$\widetilde R_{\widetilde n_{c}}= H_{c} Q_{c} Q_{c}^{H} H_{c}^{H}+\sum_{i=1}^{N} G_{c,\: i} R_{ s_{i}} G_{c,\: i}^{H}+\sigma_{c}^{2} I_{M}=\widetilde R_{\widetilde n_{c}}^{\dfrac{1}{2}}\widetilde R_{\widetilde n_{c}}^{\dfrac{H}{2}}$

(24)
$\widetilde W_{c}^{H}=\widetilde R_{\widetilde n_{c}}^{-\dfrac{1}{2}}.$

여기서 $ R_{ s_{i}}=E\left\{ s_{i} s_{i}^{H}\right\}$이고 데이터 벡터와 잡음 벡터 간 그리고 서로 다른 기지국에서 전송하는 데이터 벡터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다고 가정한다. 식 (3)에 주어진 수신신호 $ r_{c}$에 $\widetilde W_{c}^{H}$을 적용하는 시스템에서 달성 가능한 셀 가장자리 사용자의 데이터 율 $\widetilde R_{e}^{(1)}$은 다음과 같다.

(25)
$\widetilde R_{e}^{(1)}=\log_{2}\left\{\det\left( I_{M}+\widetilde W_{c}^{H} H_{c} Q_{e} Q_{e}^{H} H_{c}^{H}\widetilde W_{c}\right)\right\}.$

따라서 셀 가장자리 사용자의 데이터를 $\widetilde R_{e}^{(1)}$ 이하의 데이터 율로 전송하면 셀 중심 사용자는 SIC에 의해 셀 가장자리 사용자 간섭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셀 중심 사용자에서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과 수신 잡음의 합을 백색 잡음으로 변환하는 수신 빔포밍 행렬 $\widetilde Z_{c}^{H}$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26)
$\overline{ R}_{\widetilde n_{c}}=\sum_{i=1}^{N} G_{c,\: i} R_{ s_{i}} G_{c,\: i}^{H}+\sigma_{c}^{2} I_{M}=\overline{ R}_{\widetilde n_{c}}^{\dfrac{1}{2}}\overline{ R}_{\widetilde n_{c}}^{\dfrac{H}{2}}$

(27)
$\widetilde Z_{c}^{H}=\overline{ R}_{\widetilde n_{c}}^{-\dfrac{1}{2}}.$

합성 채널 $\widetilde Z_{c}^{H} H_{c}$을 SVD에 의해 $\widetilde U_{c}\widetilde D_{c}^{\dfrac{1}{2}}\widetilde V_{c}^{H}$로 분해하고 식 (3)에서 셀 가장자리 사용자의 간섭을 제거한 신호 $\widetilde r_{c}$에 합성 수신 빔포밍 행렬 $\widetilde U_{c}^{H}\widetilde Z_{c}^{H}$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28)
\begin{align*} \widetilde U_{c}^{H}\widetilde Z_{c}^{H}\widetilde r_{c}=\widetilde D_{c}^{\dfrac{1}{2}}\widetilde V_{c}^{H} Q_{c} d_{c}+\widetilde U_{c}^{H}\widetilde Z_{c}^{H}\left(\sum_{i=1}^{N} G_{c,\: i} s_{i}+ n_{c}\right)\\ =\widetilde D_{c}^{\dfrac{1}{2}}\widetilde V_{c}^{H} Q_{c} d_{c}+\overline{ n}_{c} \end{align*}

$\overline{ n}_{c}$는 평균이 영벡터이고 공분산 행렬이 $ I_{M}$인 백색 잡음 벡터이다. 이 시스템에서 셀 중심 사용자의 달성 가능한 데이터 율 $\widetilde R_{c}$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29)
\begin{align*} \widetilde R_{c}=\log_{2}\left\{\det\left( I_{M}+\widetilde D_{c}\widetilde V_{c}^{H} Q_{c} Q_{c}^{H}\widetilde V_{c}\right)\right\}\\ \le\sum_{k=1}^{M}\log_{2}\left(1+\left[\widetilde D_{c}\right]_{k k}\left[\widetilde V_{c}^{H} Q_{c} Q_{c}^{H}\widetilde V_{c}\right]_{k k}\right). \end{align*}

이때 $\widetilde V_{c}^{H} Q_{c} Q_{c}^{H}\widetilde V_{c}$이 대각행렬일 때 $\widetilde R_{c}$의 상한이 달성된다. 이 대각행렬을 $\widetilde \Lambda_{c}$라 하고 셀 중심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송신전력의 상한을 $P_{c}$라 하면, $\left[\widetilde \Lambda_{c}\right]_{k k}$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30)
$\left[\widetilde \Lambda_{c}\right]_{k k}=\max\left[0,\:\widetilde\mu_{c}-\left[\widetilde D_{c}\right]_{k k}^{-1}\right].$

이때 $\widetilde\mu_{c}$는 $\sum_{k=1}^{M}\left[\widetilde \Lambda_{c}\right]_{k k}=P_{c}$이 만족되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이 구해진 $\widetilde V_{c}$와 $\widetilde \Lambda_{c}$을 이용하여 셀 중심 사용자의 데이터 스트림을 위한 송신전력할당 행렬 $ Q_{c}$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31)
$ Q_{c}=\widetilde V_{c}\widetilde \Lambda_{c}^{\dfrac{1}{2}}.$

또한 이 송신전력할당 행렬 $ Q_{c}$을 식 (28)에 대입하면 합성 수신 빔포밍 행렬을 적용한 신호 $\widetilde U_{c}^{H}\widetilde Z_{c}^{H}\widetilde r_{c}$는

(32)
$\widetilde U_{c}^{H}\widetilde Z_{c}^{H}\widetilde r_{c}=\widetilde D_{c}^{\dfrac{1}{2}}\widetilde \Lambda_{c}^{\dfrac{1}{2}} d_{c}+\overline{ n}_{c}$

와 같이 $M$개의 SISO 채널로 분리되어 효율적으로 데이터 복원이 가능하다.

한편 셀 가장자리 사용자에서 셀 중심 사용자의 데이터에 의한 간섭,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 수신 잡음 등의 합을 백색 잡음으로 변환하는 수신 빔포밍 행렬 $\widetilde W_{e}^{H}$는 식 (4)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33)
$\widetilde R_{\widetilde n_{e}}= H_{e} Q_{c} Q_{c}^{H} H_{e}^{H}+\sum_{i=1}^{N} G_{e,\: i} R_{ s_{i}} G_{e,\: i}^{H}+\sigma_{e}^{2} I_{M}=\widetilde R_{\widetilde n_{e}}^{\dfrac{1}{2}}\widetilde R_{\widetilde n_{e}}^{\dfrac{H}{2}}$

(34)
$\widetilde W_{e}^{H}=\widetilde R_{\widetilde n_{e}}^{-\dfrac{1}{2}}.$

합성 채널 $\widetilde W_{e}^{H} H_{e}$을 SVD에 의해 $\widetilde U_{e}\widetilde D_{e}^{\dfrac{1}{2}}\widetilde V_{e}^{H}$로 분해하여 식 (4)에 주어진 수신신호 $ r_{e}$에 합성 수신 빔포밍 행렬 $\widetilde U_{e}^{H}\widetilde W_{e}^{H}$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35)
$\widetilde U_{e}^{H}\widetilde W_{e}^{H} r_{e}=\widetilde D_{e}^{\dfrac{1}{2}}\widetilde V_{e}^{H} Q_{e} d_{e}+\overline{ n}_{e}.$

$\overline{ n}_{e}$는 평균이 영벡터이고 공분산 행렬이 $ I_{M}$인 백색 잡음 벡터이다. 이 시스템의 달성 가능한 데이터 율 $\widetilde R_{e}^{(2)}$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36)
\begin{align*} \widetilde R_{e}^{(2)}=\log_{2}\left\{\det\left( I_{M}+\widetilde D_{e}\widetilde V_{e}^{H} Q_{e} Q_{e}^{H}\widetilde V_{e}\right)\right\}\\ \le\sum_{k=1}^{M}\log_{2}\left(1+\left[\widetilde D_{e}\right]_{k k}\left[\widetilde V_{e}^{H} Q_{e} Q_{e}^{H}\widetilde V_{e}\right]_{k k}\right). \end{align*}

$\widetilde R_{e}^{(2)}$의 상한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widetilde V_{e}^{H} Q_{e} Q_{e}^{H}\widetilde V_{e}$이 대각행렬이어야 한다. 이 대각행렬을 $\widetilde \Lambda_{e}$라 하고 셀 가장자리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송신전력의 상한이 $P_{e}$라 하면, $\left[\widetilde \Lambda_{e}\right]_{k k}$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37)
$\left[\widetilde \Lambda_{e}\right]_{k k}=\max\left[0,\:\widetilde\mu_{e}-\left[\widetilde D_{e}\right]_{k k}^{-1}\right].$

이때 $\widetilde\mu_{e}$는 $\sum_{k=1}^{M}\left[\widetilde \Lambda_{e}\right]_{k k}=P_{e}$이 만족되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이 구해진 $\widetilde V_{e}$와 $\widetilde \Lambda_{e}$을 이용하여 셀 가장자리 사용자의 데이터 스트림을 위한 송신전력할당 행렬 $ Q_{e}$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38)
$ Q_{e}=\widetilde V_{e}\widetilde \Lambda_{e}^{\dfrac{1}{2}}.$

이 송신전력할당 행렬 $ Q_{e}$을 식 (35)에 대입하면 합성 수신 빔포밍 행렬을 적용한 신호 $\widetilde U_{e}^{H}\widetilde W_{e}^{H} r_{e}$는

(39)
$\widetilde U_{e}^{H}\widetilde W_{e}^{H} r_{e}=\widetilde D_{e}^{\dfrac{1}{2}}\widetilde \Lambda_{e}^{\dfrac{1}{2}} d_{e}+\overline{ n}_{e}$

와 같이 $M$개의 SISO 채널로 분리되어 효율적으로 데이터 복원이 가능하다. 또한 셀 중심 사용자에서 셀 가장자리 사용자 간섭을 완전히 제거하면서 달성할 수 있는 셀 가장자리 사용자의 데이터 율 $\widetilde R_{e}$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40)
\begin{align*} \widetilde R_{e}=\min\left[\widetilde R_{e}^{(1)},\:\widetilde R_{e}^{(2)}\right]\\ =\min\left[\log_{2}\left\{\det\left( I_{M}+\widetilde D\widetilde V\widetilde \Lambda_{e}\widetilde V^{H}\right)\right\},\:\log_{2}\left\{\det\left( I_{M}+\widetilde D_{e}\widetilde \Lambda_{e}\right)\right\}\right]. \end{align*}

여기서 $\widetilde D =\left(\widetilde D_{c}\widetilde \Lambda_{c}+ I_{M}\right)^{-1}\widetilde D_{c}$이고 $\widetilde V =\widetilde V_{c}^{H}\widetilde V_{e}$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다중 셀 환경에서 제안한 방식의 수행절차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셀 중심 사용자는 $ H_{c}$와 인접 셀의 간섭과 결합된 수신 잡음의 공분산 행렬 정보를 그리고 셀 가장자리 사용자는 $ H_{e}$와 인접 셀의 간섭과 결합된 수신 잡음의 공분산 행렬 정보를 각각 기지국으로 피드백 한다.

② 기지국은 식 (30)에 의해 $\widetilde \Lambda_{c}$을 구하여 식 (31)과 같이 $ Q_{c}$을 결정하고, 식 (37)에 의해 $\widetilde \Lambda_{e}$을 구하여 식 (38)과 같이 $ Q_{e}$을 결정한다.

③ 기지국은 식 (23)(24)에 의해 $\widetilde W_{c}^{H}$을 구하고 식 (33)(34)에 의해 $\widetilde W_{e}^{H}$을 구하여 각각 셀 중심 사용자와 셀 가장자리 사용자로 전송한 후에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다.

④ 셀 중심 사용자는 수신신호에 $\widetilde W_{c}^{H}$을 적용하여 셀 가장자리 사용자의 데이터를 복원한 후 이것을 이용하여 수신신호에서 이 간섭을 제거한다. 간섭이 제거된 수신신호에 셀 중심 사용자는 $\widetilde U_{c}^{H}\widetilde Z_{c}^{H}$을 적용하여 자신의 데이터를 복원한다. 셀 가장자리 사용자는 수신신호에 $\widetilde U_{e}^{H}\widetilde W_{e}^{H}$을 적용하여 자신의 데이터를 복원한다.

4. 시뮬레이션 결과

이 절에서는 제안한 전송 방식의 데이터 율과 outage 확률 성능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평가한다, 이를 위해 (16)(18)에서 제안된 단일 클러스터 다중안테나 비직교 다중접속 방식과 성능 비교를 수행한다. 이 평가는 단일 셀과 다중 셀 환경에서 기지국과 사용자 모두가 2개의 안테나를 채용하는 시스템과 기지국과 사용자 모두 4개의 안테나를 채용하는 시스템에 대해 진행된다. 세부적인 시뮬레이션 환경은 다음과 같다. 기지국과 사용자 간의 전송 채널로 경로 손실 지수 (path loss exponent)가 3인 레일리 페이딩 (Rayleigh fading) 채널 모델을 적용한다 (14). 셀 중심 사용자는 기지국으로부터 0.2km~0.3km 거리 사이에 균일하게 분포하고 셀 가장자리 사용자는 기지국으로부터 0.9km~1km 거리 사이에 균일하게 분포한다고 가정한다.

그림 2 $M=2$인 단일 셀 시스템에서 제안 방식과 기존 방식 간의 성능 비교

Fig. 2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the proposed method and the existing methods in the single-cell system with $M=2$

../../Resources/kiee/KIEE.2023.72.1.114/fig2.png

또한 다중 셀 환경에서는 이것에 추가하여 간섭을 주는 인접 셀이 2개 존재하고 서빙 셀 (serving cell) 기지국과 간섭 셀 기지국 간의 거리는 1.9km라고 가정한다. 간섭 셀의 기지국과 사용자 간의 간섭 채널도 경로 손실 지수가 3인 레일리 페이딩 채널 모델을 따른다. 모든 환경에서 기지국은 셀 중심 사용자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총 송신전력의 20%를 할당하고 셀 가장자리 사용자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총 송신전력의 80%를 할당한다. 즉, 기지국의 총 송신전력을 $P_{T}$라 할 때, $P_{c}=0.2P_{T}$이고 $P_{e}=0.8P_{T}$이다. 셀 중심 사용자와 셀 가장자리 사용자에서의 수신 백색 잡음 전력 $\sigma_{c}^{2}$과 $\sigma_{e}^{2}$는 $\sigma_{c}^{2}=\sigma_{e}^{2}=\sigma^{2}$으로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모든 그림에서 제안 방식, (16)의 방식, (18)의 방식은 각각 ‘Proposed’, ‘GSVD’, ‘Layered’로 표시되고 SNR (signal-to-noise ratio) (dB)는 $10\log_{10}\dfrac{P_{T}}{\sigma^{2}}$로 정의된다. 모든 성능은 랜덤하게 선택되는 셀 중심과 셀 가장자리 사용자 위치에서 레일리 페이딩에 따라 랜덤하게 채널을 생성하는 과정을 2000회 독립적으로 시행하여 획득한 성능을 평균하여 구한다. 또한 outage 확률 성능의 경우 셀 중심 사용자에 대한 outage 확률은 $Pr\left(R_{c}<1{bps}/{Hz}\right)$로 구해지고 셀 가장자리 사용자에 대한 outage 확률은 $Pr\left(R_{e}<0.1{bps}/{Hz}\right)$로 구해진다.

그림 3 $M=4$인 단일 셀 시스템에서 제안 방식과 기존 방식 간의 성능 비교

Fig. 3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the proposed method and the existing methods in the single-cell system with $M=4$

../../Resources/kiee/KIEE.2023.72.1.114/fig3.png

그림 2와 3은 단일 셀 환경에서 SNR에 따른 성능 비교를 보인다. 그림 2에서는 기지국과 사용자 모두 2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시스템이 고려된다. 그림 2(a)는 셀 중심 및 셀 가장자리 사용자의 SNR에 따른 데이터 율 성능 비교를 보이고 그림 2(b)는 셀 중심 및 셀 가장자리 사용자의 SNR에 따른 outage 확률 성능 비교를 보인다. 이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안 방식이 기존 방식보다 모든 사용자에서 데이터 율과 outage 확률 모두 향상된 성능을 나타낸다. 데이터 율 성능인 경우 2 bps/Hz의 셀 중심 사용자 데이터 율에 대해 제안 방식은 (16)(18)의 방식 대비 각각 2.7 dB와 1.7 dB의 성능 이득을 얻는다. 1 bps/Hz의 셀 가장자리 사용자 데이터 율에 대해서는 제안 방식은 (16)(18)의 방식 대비 각각 4.2 dB와 2.1 dB의 성능 이득을 획득한다. 또한 outage 확률 성능을 살펴보면 셀 중심과 셀 가장자리 사용자에서 10%의 outage에 대해 제안 방식은 (16)(18)의 방식 대비 각각 대략 4.4 dB와 2.5 dB의 성능 이득을 얻는다. 이러한 성능향상은 각 사용자에서 데이터 율을 최대화하기 위해 제안 방식이 셀 가장자리 사용자에서는 채널 상태와 셀 중심 사용자의 간섭을 고려하여 설계된 수신 빔포밍과 데이터 스트림별 송신전력할당을 적용하고 간섭이 제거된 셀 중심 사용자에서는 채널 상태를 고려한 수신 빔포밍과 데이터 스트림별 송신전력할당을 수행하는데서 기인한다.

그림 4 $M=2$인 다중 셀 시스템에서 제안 방식과 기존 방식 간의 성능 비교

Fig. 4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the proposed method and the existing methods in the multi-cell system with $M=2$

../../Resources/kiee/KIEE.2023.72.1.114/fig4.png

그림 5 $M=4$인 다중 셀 시스템에서 제안 방식과 기존 방식 간의 성능 비교

Fig. 5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the proposed method and the existing methods in the multi-cell system with $M=4$

../../Resources/kiee/KIEE.2023.72.1.114/fig5.png

그림 3에서는 기지국과 사용자 모두 4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시스템이 고려된다. 그림 3(a)은 셀 중심 및 셀 가장자리 사용자의 SNR에 따른 데이터 율 성능 비교를 보이고 그림 3(b)은 셀 중심 및 셀 가장자리 사용자의 SNR에 따른 outage 확률 성능 비교를 보인다. 이 그림 역시 그림 2와 동일한 성능 경향을 보여, 제안 방식이 기존 방식들보다 모든 사용자에 대해 데이터 율과 outage 확률 모두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 데이터 율 성능인 경우 4 bps/Hz의 셀 중심 사용자 데이터 율에 대해 제안 방식은 (16)(18)의 방식 대비 각각 3.5 dB와 2.5 dB의 성능 이득을 얻는다. 2 bps/Hz의 셀 가장자리 사용자 데이터 율에 대해서는 제안 방식은 (16)(18)의 방식 대비 각각 4.6 dB와 2.7 dB의 성능 이득을 획득한다. Outage 확률 성능을 살펴보면 셀 중심 사용자에서 10%의 outage에 대해 제안 방식은 (16)(18)의 방식 대비 각각 5.6 dB와 2.7 dB의 성능 이득을 얻고 셀 가장자리 사용자에서 10%의 outage에 대해서는 제안 방식은 (16)(18)의 방식 대비 각각 6.4 dB와 3.7 dB의 성능 이득을 획득한다. 또한 이 시스템은 그림 2의 시스템보다 2배 많은 안테나를 이용하기 때문에 모든 사용자의 데이터 율이 그림 2의 시스템보다 약 2배 증가하고 outage 확률 성능 역시 향상된다.

그림 4와 5는 다중 셀 환경에서 SNR에 따른 성능 비교를 보인다. 제안 방식은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을 고려하나 (16)(18)의 방식은 인접 셀 간섭이 없는 시스템을 고려한다. 따라서 이 시뮬레이션에서 (16)(18)의 방식은 인접 셀의 간섭 영향을 없애기 위해 일반적인 셀 간 시분할 (time-sharing) 방법을 이용한다. 그림 4에서는 간섭 셀 기지국을 포함한 모든 기지국과 사용자가 2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시스템이 평가된다. 그림 4(a)는 셀 중심 및 셀 가장자리 사용자의 SNR에 따른 데이터 율 성능 비교를 보이고 그림 4(b)는 셀 중심 및 셀 가장자리 사용자의 SNR에 따른 outage 확률 성능 비교를 보인다. 다중 셀 환경에서도 제안 방식이 기존 방식보다 모든 사용자에서 향상된 데이터 율과 outage 확률 성능을 나타낸다. 또한 성능향상 정도가 단일 셀 환경에서보다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 율 성능인 경우 2 bps/Hz의 셀 중심 사용자 데이터 율에 대해 제안 방식은 기존 방식 대비 11.5 dB의 성능 이득을 얻는다. 0.5 bps/Hz의 셀 가장자리 사용자 데이터 율에 대해서는 제안 방식이 기존 방식 대비 7.5 dB의 성능 이득을 획득한다. 이러한 성능 이득은 모든 사용자에서 데이터 율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커진다. 또한 outage 확률 성능을 살펴보면 셀 중심과 셀 가장자리 사용자에서 10%의 outage에 대해 제안 방식은 기존 방식 대비 각각 10 dB 이상과 7.7 dB 이상의 성능 이득을 얻는다. 이러한 성능향상은 제안 방식이 사용자들에서의 채널 상태, 인접 셀의 간섭, 셀 중심 사용자의 간섭 등을 고려하여 설계한 수신 빔포밍과 데이터 스트림별 송신전력할당을 적용하기 때문에 달성된다. 그림 2의 단일 셀 환경에서 달성된 제안 방식의 성능과 비교하면 다중 셀 환경에서 제안 방식은 다소 열화된 성능을 보인다. 이것은 인접 셀 간섭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이 간섭의 영향은 셀 가장자리 사용자에서 더 크게 작용하므로 이 사용자의 성능 열화가 셀 중심 사용자보다 더 두드러진다.

그림 5에서는 간섭 셀 기지국을 포함한 모든 기지국과 사용자가 4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시스템이 고려된다. 그림 5(a)는 셀 중심 및 셀 가장자리 사용자의 SNR에 따른 데이터 율 성능 비교를 보이고 그림 5(b)는 셀 중심 및 셀 가장자리 사용자의 SNR에 따른 outage 확률 성능 비교를 보인다. 예상한 바와 같이 그림 4와 동일한 성능 경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 율 성능인 경우 4 bps/Hz의 셀 중심 사용자 데이터 율에 대해 제안 방식은 기존 방식 대비 11.9 dB의 성능 이득을 얻는다. 1 bps/Hz의 셀 가장자리 사용자 데이터 율에 대해서는 제안 방식은 기존 방식 대비 9.1 dB의 성능 이득을 획득한다. 모든 사용자에서 SNR이 증가함에 따라 제안 방식과 기존 방식 간의 성능격차는 더욱 확대된다. Outage 확률 성능인 경우 셀 중심과 셀 가장자리 사용자에서 10%의 outage에 대해 제안 방식은 기존 방식 대비 각각 9.9 dB 이상과 8.5 dB 이상의 성능 이득을 얻는다. 또한 그림 4와 동일한 이유로 이 시스템에서의 제안 방식은 그림 3의 단일 셀 환경에서 달성된 제안 방식의 성능에 비해 다소 열화된 성능을 보인다. 그림 4와 비교하면 이 시스템에서 제안 방식은 모든 사용자에서 약 2배 증가한 데이터 율과 향상된 outage 확률 성능을 달성한다. 이것은 이 시스템이 그림 4의 시스템보다 2배 많은 안테나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5. 결 론

기지국이 한 클러스터 내의 셀 중심 사용자와 셀 가장자리 사용자에게 동시에 전송하는 데이터 율을 향상하기 위한 다중안테나 기반 비직교 다중접속 방식이 제안되었다. 이 방식은 단일 셀 환경뿐만 아니라 다중 셀 환경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각 사용자의 데이터 율을 향상하기 위해 단일 셀 환경에서의 제안 방식은 셀 중심 사용자의 채널 상태를 기반으로 설계된 셀 중심 사용자의 수신 빔포밍과 데이터 스트림별 송신전력할당을 적용하고 셀 가장자리 사용자의 채널 상태와 셀 중심 사용자의 간섭을 고려하여 셀 가장자리 사용자의 수신 빔포밍과 데이터 스트림별 송신전력할당을 수행한다. 다중 셀 환경에서의 제안 방식은 셀 중심 사용자의 채널 상태와 인접 셀의 간섭을 고려하여 설계된 셀 중심 사용자의 수신 빔포밍과 데이터 스트림별 송신전력할당을 적용하고 셀 가장자리 사용자의 채널 상태, 셀 중심 사용자의 간섭, 인접 셀의 간섭 등을 기반으로 설계된 셀 가장자리 사용자의 수신 빔포밍과 데이터 스트림별 송신전력할당을 수행한다. 또한 기존의 단일 클러스터를 지원하는 다중안테나 기반 비직교 다중접속 방식과 각 사용자의 데이터 율과 outage 확률 측면에서 성능 비교평가를 수행하여 제안 방식이 모든 성능측면에서 기존 방식보다 우수함을 보였다.

References

1 
White paper (June 2021), Ericsson Mobility Report, https:// www.ericsson.com/4a03c2/assets/local/mobility-report/documents/2021/june-2021-ericsson-mobility-report.pdfGoogle Search
2 
M. Matthaiou, O. Yurduseven, H. Q. Ngo, D. Morales-Jimenez, S. L. Cotton, V. F. Fusco, Jan 2021, The Road to 6G: Ten Physical Layer Challenges for Communications Engineers,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 59, No. 1, pp. 64-69DOI
3 
M. Giordani, M. Polese, M. Mezzavilla, S. Rangan, M. Zorzi, March 2020, Toward 6G Networks: Use Cases and Technologies,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 58, No. 3, pp. 55-61DOI
4 
H. Viswanathan, P. E. Mogensen, March 2020, Communications in the 6G Era, IEEE Access, Vol. 8, pp. 57063-57074DOI
5 
S. Biswas, A. Bishnu, F. A. Khan, T. Ratnarajah, July 2021, In-Band Full-Duplex Dynamic Spectrum Sharing in Beyond 5G Networks,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 59, No. 7, pp. 54-60DOI
6 
W. Liu, Z. Wang, April 2019, Non-Uniform Full-Dimension MIMO: New Topologies and Opportunities, IEEE Wireless Communications, Vol. 26, No. 2, pp. 124-132DOI
7 
K. Yang, N. Yang, N. Ye, M. Jia, Z. Gao, R. Fan, Feb 2019,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Achieving Sustainable Future Radio Access,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 57, No. 2, pp. 116-121DOI
8 
Y. Yuan, S. Wang, Y. Wu, H. V. Poor, Z. Ding, X. You, L. Hanzo, July 2021, NOMA for Next Generation Massive IoT: Performance Potential and Technology Directions,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 59, No. 7, pp. 115-121DOI
9 
Y. Yuan, Z. Yuan, L. Tian, July 2020, 5G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Study in 3GPP,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 58, No. 7, pp. 90-96DOI
10 
Q. Wang, R. Zhang, L.-L. Yang, L. Hanzo, April 2018, 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A Unified Perspective, IEEE Wireless Communications, Vol. 25, No. 2, pp. 10-16DOI
11 
K. Higuchi, Y. Kishiyama, Sept 2015,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Using Intra-Beam Superposition Coding and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Cellular MIMO Downlink, IEICE Trans. on Communications, Vol. E98-B, No. 9, pp. 1888-1895DOI
12 
Z. Ding, F. Adachi, H. V. Poor, Jan 2016, The Application of MIMO to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IEEE Trans. on Wireless Communications, Vol. 15, No. 1, pp. 537-552DOI
13 
Z. Ding, R. Schober, H. V. Poor, June 2016, A General MIMO Framework for NOMA Downlink and Uplink Transmission Based on Signal Alignment, IEEE Trans. on Wireless Communications, Vol. 15, No. 6, pp. 4438-4454DOI
14 
W. Shin, M. Vaezi, B. Lee, D. J. Love, J. Lee, H. V. Poor, Jan 2017, Coordinated Beamforming for Multi-Cell MIMO- NOMA, IEEE Communications Letters, Vol. 21, No. 1, pp. 84-87DOI
15 
C. C. Paige, M. A. Saunders, June 1981, Towards a Generalize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SIAM Journal on Numerical Analysis, Vol. 18, No. 3, pp. 398-405DOI
16 
Z. Ma, Z. Ding, P. Fan, S. Tang, 2016, A General Framework for MIMO Uplink and Downlink Transmissions in 5G Multiple Access, IEEE Vehicular Technology Conf., pp. 1-4DOI
17 
Z. Chen, Z. Ding, X. Dai, R. Schober, Jan 2019, Asymptotic Performance Analysis of GSVD-NOMA Systems with a Large-Scale Antenna Array, IEEE Trans. on Wireless Communications, Vol. 18, No. 1, pp. 575-590DOI
18 
J. Choi, May 2016, On the Power Allocation for MIMO-NOMA Systems with Layered Transmissions, IEEE Trans. on Wireless Communications, Vol. 15, No. 5, pp. 3226-3237DOI
19 
G. J. Foschini, 1996, Layered Space-Time Archite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a Fading Environment When Using Multi-Element Antennas, Bell Labs Technical Journal, Vol. 1, No. 2, pp. 41-59DOI
20 
T. M. Cover, J. A. Thomas, 2006, Elements of Information Theory, 2nd Edition, New Jersey: John Wiley & Sons, Inc.Google Search

저자소개

신창용 (Changyong Shin)
../../Resources/kiee/KIEE.2023.72.1.114/au1.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from Yonsei University in 1993 and 1995, respectively, and the Ph.D. degree from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in 2006, all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1995 to 2001, he was a Senior Research Engineer at LG Electronics.

From 2007 to 2014, he was a Principal Research Engineer at Samsung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 where he worked on futur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Since 2014, he has been with the Depart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Engineering at Sunmoon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wireless communications and signal processing for commun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