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Inha University.)



Critical frequency limitation time, Distributed generator, Penetration level, Photovoltaic system, Transient stability.

1. 서 론

전력계통은 발전기로부터 부하까지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복잡하게 얽혀있는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전력계통은 동기 발전기, 변압기, 부하 등이 선로로 연결된 복잡한 구조를 가진다. 탄소 중립과 같은 친환경 정책이 시행됨에 따라 많은 국가는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인한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재생에너지 발전을 늘리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재생에너지 기반의 분산전원의 침투율이 증가하고 있다 (1-3). 즉, 동기 발전기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여 부하가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계통의 기본적인 구조에 분산전원이 발전원으로 주입됨에 따라, 많은 변화를 생기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재생에너지 기반의 분산전원의 침투율이 더욱 증가하여 이에 대한 영향도 커지고 있다.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EIA)는 분산전원의 침투율이 2050년까지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라고 보도하였다 (4).

하지만 분산전원은 동기 발전기와 출력특성이 다르므로 계통에 주입되었을 때 그리드의 전력 흐름과 전력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5,6). 따라서, 분산전원이 전력계통에 주입되었을 때 과도상태 반응 및 안정도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많은 선행 연구들은 분산전원의 침투에 따른 전력계통의 과도안정도를 분석하였다. 먼저, 동기 기반 가스 터빈 발전기가 분산전원으로 침투한 계통에 대해 낮은 관성 상수로 인해 생기는 전력망의 문제가 지적되었으며, 시스템의 관성을 높일 수 있는 클라우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라는 개념이 도입되어 배전망에서의 과도안정성이 개선되었다 (7). 또한, 선행 연구에서 동기식 분산전원으로 풍력발전과 작은 수력터빈이 주입된 배전계통의 과도안정성 평가를 위한 방법론이 제시되었다 (8). 그러나 선행 연구들은 방사형 계통에서 동기식 분산전원을 사용하였으므로, 인버터 기반의 분산전원이 과도안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어렵다 (7-8). 따라서, 인버터 기반의 분산전원 시스템이 계통에 주입하였을 때 과도안정도를 분석한 선행 연구가 진행되었다. 선행 연구에서는 인버터 기반의 태양광 시스템이 분산전원으로 계통에 침투하였을 때와 침투하지 않았을 때를 계통의 과도안정도를 분석하였지만, 태양광 시스템의 40% 이하의 침투율을 특정하여 세 가지 경우에 대해서 과도안정도 해석을 진행하였으며 시스템의 안정도를 구체적으로 판별하지 않았다 (9). 또 다른 선행 연구는 높은 침투 수준의 태양광 시스템이 계통 침투하였을 때 분산전원 시스템의 영향을 확인하였지만, 주파수의 관점에서 과도안정도를 분석하지 않았다 (10).

이처럼 다양한 선행 연구들은 분산전원이 계통에 주입하였을 때 과도안정도를 분석하였다. 하지만 동기기 기반 분산전원 시스템은 인버터 기반의 분산전원 시스템과 과도상태의 출력 특성이 다르므로, 인버터 기반의 분산전원 시스템을 주입하여 과도안정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또한, 분산전원의 침투율을 특정하고 해당 침투율에 대한 과도안정도를 분석하는 것은 추후 미래의 높은 침투율을 가진 전력 시스템에 적용하긴 어렵다. 그리고 인버터 기반의 분산전원의 침투율의 추이에 따른 주파수 변동을 확인하여 분산전원이 계통에 미치는 영향을 주파수 특성 관점에서 직관적으로 확인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분산전원으로 인버터 기반의 태양광 시스템을 주입하였고 IEEE 9-bus system 즉, 환상형 계통을 테스트베드로 설정하여 과도안정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계통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태양광 시스템을 일시적으로 끊어주는 스위칭 제어 방식을 제안하고, 해당 방법론의 효과 및 영향을 과도상태 주파수 특성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고장 발생 선로의 개방 동작 시간이 과도상태 주파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테스트베드의 모델링, 시뮬레이션, 분석의 과정을 위해 DIgSILENT PowerFactory 소프트웨어가 사용되었다.

2. 본 론

본 연구는 분산전원이 계통에 침투했을 때, 분산전원의 침투율에 따른 과도상태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산전원 시스템으로는 인버터 기반의 태양광 시스템을 선정하였다. 먼저, 식(1)을 통해 분산전원으로 주입된 태양광 시스템의 침투 수준을 계산하였다. 이는 분산전원을 통한 발전량을 분산전원이 침투하지 않았을 때 기존 계통에서의 동기 발전기를 통한 전체 발전량으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환산한 값이다. 이때, 분산전원이 침투하지 않았을 때 동기 발전기를 통한 전체 발전량이란 분산전원이 설치되지 않은 계통에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계통 내의 동기 발전기가 발전한 양의 합을 의미한다. 즉, PG의 합은 약 320MW로 고정된 값이다.

(1)
$PL(%)=\dfrac{P_{DG}}{\sum P_{G}}\times 100$

where

$PL$ = 태양광 시스템의 침투 수준,

$P_{DG}$ = 분산전원의 침투 용량,

$\sum P_{G}$ = 기존의 시스템의 총 발전용량의 합.

또한, 과도안정도 분석을 위한 지표로 주파수와 로터각 특성을 선정하였다. 계통에서 3상 단락 고장이 발생했을 때, 과도상태 주파수와 로터각의 크기 변동을 확인함으로써 계통의 과도안정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말하는 주파수 차이와 로터각 차이는 각각의 최댓값에서 최솟값을 뺀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연구는 태양광 시스템이 침투하지 않은 경우인 침투율 0%를 시작으로 하여 태양광 시스템의 침투율이 100%인 경우까지 각각에 대한 임계 주파수 제한 시간을 결정하고, 이를 Critical frequency limitation time (CFLT)로 칭하였다. 본 연구에서 말하는 임계 주파수 제한 시간은 3상 단락 고장에 대해 시스템의 주파수가 표 1의 주파수 상한과 주파수 하한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최대 고장 제거 지연 시간을 의미한다. 즉, 본 연구는 해당 시간을 주파수의 안정 범위를 지정하며 이에 대해 안정권을 유지할 수 있는 고장 제거 시간을 결정하였다는 의미에서 임계 주파수 제한 시간이라 정의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시뮬레이션을 위해, 고장의 종류는 3상 단락 고장을 가정하였다.

표 1. 임계 주파수 제산 시간 결정을 위한 주파수 상한과 하한

Table 1. The upper and lower frequency limits for determining the critical frequency limitation time

주파수 상한 (Hz)

주파수 하한 (Hz)

60.2

59.8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을 위한 테스트베드로 IEEE 9-bus system을 선택하였다. 분산전원 시스템은 배전계통에 주로 주입되어 발전하지만, 본 연구는 분산전원의 침투율을 세분화하여 낮은 침투율부터 높은 침투율에 해당하는 11가지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서 송전 계통인 IEEE 9-bus system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또한, 과도상태에서 분산전원이 전력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 IEEE 9-bus system의 모선 5, 6, 8에 인버터 기반의 태양광 시스템이 설치하였다 (11). 즉, 본 연구에서 선정한 테스트베드는 세 대의 동기 발전기, 세 대의 변압기, 세 대의 태양광 시스템, 세 대의 부하를 가진 계통이다. 과도안정도 해석을 진행한 테스트베드의 동기 발전기에 대한 데이터는 Appendix에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고장 발생 위치와 가장 가까운 태양광 시스템에 대해 잠시 계통과의 연결을 끊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이를 태양광 스위칭 (이하 PV switching)이라 칭하였다. 그림 2는 PV switching을 적용했을 때 태양광 시스템의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 출력을 나타낸다. 고장이 발생하고 설정한 시간 지연 이후 태양광 시스템과 계통의 연결이 끊어지며 유효전력 출력이 0으로 감소한다. 그리고 태양광 시스템은 고장이 제거된 후 다시 연결될 때 약간의 출력 변동을 거친 후 다시 유효전력을 출력한다. 본 연구는 무효전력 제어 (Volt/Var control) 기능을 적용하지 않는 태양광 시스템에 대해 모의했기 때문에, 그림 2에서 무효전력 출력은 0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PV switching에 대한 설명을 위해 그림 2에 나타난 태양광 시스템의 출력은 고장이 발생하고 6주기가 지난 후 고장이 제거된 상황을 가정하였다.

그림. 1. 분산전원이 침투한 IEEE 9-버스 시스템

Fig. 1. IEEE 9-bus system with distributed generators

../../Resources/kiee/KIEE.2023.72.3.341/fig1.png

그림. 2. PV switching을 적용했을 때 태양광 시스템의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 출력

Fig. 2. The active and reactive power output of a photovoltaic system with PV switching

../../Resources/kiee/KIEE.2023.72.3.341/fig2.png

다음 그림 3은 본 연구에서 분산전원 시스템의 침투율에 따른 계통의 과도안정도 분석을 위해 설계한 고장해석 프로세스이다. 먼저, PV switching을 적용하지 않았을 때와 적용했을 때로 프로세스를 구분하였다. PV switching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 1초에 고장이 발생하고 0.001초의 시간 지연 후 스위치가 개방된다. 그리고 n 주기 이후 고장이 제거되고 고장이 제거된 후 0.05초 이후 다시 스위치가 닫혀 환상형 계통의 구조가 형성된다. 반면, PV switching이 적용된 경우에는 고장이 발생하고 0.001초 후 고장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태양광 시스템이 계통으로부터 끊어지고 고장이 제거되고 0.05초의 시간 지연 후 다시 투입된다. 태양광 시스템이 고장 위치를 판별하는 것은 스마트 인버터를 통한 방식임을 가정한다. 발전기들은 Fault- ride-through의 기능을 가지지만,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론은 Fault-ride-through 기능의 적용이 실패하였을 때 분산전원의 침투율에 따른 계통의 영향을 모의하였다.

그림. 3. 고장해석을 위한 프로세스

Fig. 3. Process for the short circuit study

../../Resources/kiee/KIEE.2023.72.3.341/fig3.png

2.1 IEEE 9-bus system에서의 고장해석 및 과도안정도 해석

본 연구는 선행 연구에서 진행하지 않은 환상형 계통인 IEEE 9-bus system을 테스트베드로 설정하였다. 표 2는 각각의 침투율에 따른 태양광 시스템의 용량과 주파수 편향을 나타낸다. 태양광 시스템의 침투율에 따라 총 11가지 케이스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고, 이에 따른 주파수와 로터각 변동을 확인하였다.

표 2. 분산전원의 침투율에 따른 태양광 시스템 용량

Table 2. The hosting capacity of the photovoltaic system according to the penetration level of the distributed generator

침투율 (%)

1개의 태양광 시스템 용량 [kW]

주파수 편향 [kW/Hz]

0

0

0

10

10653.33

300

20

21306.66

600

30

31959.99

900

40

42613.32

1200

50

53266.65

1500

60

63919.98

1800

70

74573.31

2100

80

85226.64

2400

90

95879.97

2700

100

106533.33

3000

과도안정도 분석을 위한 고장 시나리오는 그림 3의 프로세스에서 n의 값을 6으로 가정하였고 모두 동일한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그림 4그림 5처럼 분산전원의 침투율이 증가할수록 주파수와 로터각 변동이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분산전원의 침투율인 60%인 지점을 기준으로 그래프의 기울기가 약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분산전원의 침투율이 60%를 넘을 때 주파수와 로터각 변동이 더 커졌다. 인버터 기반의 태양광 시스템은 대체로 동기 발전기 기반의 계통의 관성을 약하게 하고, 따라서 고장이 발생했을 때 태양광 시스템의 출력 변동이 생기므로 시스템을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 (12). 따라서, 태양광 시스템의 침투율이 증가함에 따라서 동일한 고장해석 프로세스에 대해, 주파수 및 로터각이 더 크게 변동했다.

그림. 4. 분산전원 침투율에 따른 주파수 차이

Fig. 4. The frequency difference at each penetration level of the distributed generator

../../Resources/kiee/KIEE.2023.72.3.341/fig4.png

그림. 5. 분산전원 침투율에 따른 G2, G3의 로터각 차이.

Fig. 5. The rotor angle difference of G2 and G3 at each penetration level of the distributed generator.

../../Resources/kiee/KIEE.2023.72.3.341/fig5.png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정의한 PV switching 적용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림 6은 PV switching의 적용에 여부에 따른 과도상태 주파수 변동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분산전원 침투율은 40%를 가정하였고 고장 제거 지연 시간이 6주기와 12주기일 때에 대해 각각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그림 6의 위쪽 그래프는 시뮬레이션 시간을 8초로 짧게 하여 과도상태 변동을 자세히 확인할 수 있고, 그림 6의 아래쪽 그림은 시뮬레이션 시간을 80초로 길게 하여 주파수가 정상상태로 수렴하기까지의 추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림 6에서 빨간색과 파란색 그래프는 각각 고장 제거 지연 시간이 6주기, 12주기인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실선과 점선은 각각 본 연구에서 적용한 PV switching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와 적용한 경우를 의미한다. PV switching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와 적용한 경우 모두 고장이 발생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주파수가 비슷하게 수렴한다. 하지만 수렴 이전까지는 PV switching을 적용한 경우 주파수의 피크 값이 약 0.05% 감소하였다. 다만, 분산전원이 갑작스럽게 끊김으로써 해당 구간에 주파수가 급격히 변동한다는 단점이 있다. 즉, 본 연구에서 제안한 PV switching은 계통에서 발전원 역할을 하는 분산전원이 끊기고 연결되는 현상을 의미하므로 과도상태 안정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분산전원의 침투율과 PV switching의 적용 여부에 따른 과도반응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림. 6. PV switching 적용 여부에 따른 주파수 변동

Fig. 6. The frequency variation according to the PV switching

../../Resources/kiee/KIEE.2023.72.3.341/fig6.png

표 3은 분산전원의 침투율에 따른 계통의 임계 주파수 제한 시간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분산전원의 침투율과 PV switching 적용 여부에 따라 각각 임계 주파수 제한 시간을 결정하였다. 먼저 PV switching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 분산전원 침투율이 증가할수록 계통의 임계 주파수 제한 시간은 감소하였다. 즉, 고장이 발생했을 때 더욱 신속하게 고장을 제거해야 표 1에서 정의한 주파수의 상한과 하한을 벗어나지 않을 수 있다. PV switching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 분산전원의 침투율이 50%에서 60%로 증가하는 구간에서 임계 주파수 제한 시간의 감소 폭이 커지기 시작하였다. 또한, 분산전원의 침투율이 60%를 넘어서는 시점에서 그 이상으로 침투율이 증가할수록 계통의 임계 주파수 제한 시간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분산전원의 침투율이 100%인 경우 PV switching을 적용하지 않았을 때 임계 주파수 제한 시간은 1.5주기로 매우 짧다.

다음으로 PV switching을 적용한 경우 분산전원 침투율에 따른 계통의 임계 주파수 제한 시간을 표 3에 나타냈다. 분산전원의 침투율이 0%인 경우는 분산전원이 주입되지 않은 계통이므로 PV switching을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PV switching 유무와 관계없이 계통의 임계 주파수 제한 시간은 20주기로 동일하다. 분산전원의 침투율이 60%가 넘기 전까지, PV switching은 계통의 임계 주파수 제한 시간을 약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분산전원의 침투율이 60%와 70%인 경우에는 PV switching의 임계 주파수 제한 시간 증가 효과가 거의 없었다. 또한, 분산전원의 침투율이 70%를 넘어섰을 때 PV switching은 오히려 계통의 임계 주파수 제한 시간을 감소시켰다. 분산전원의 침투율이 100%인 계통에 PV switching을 적용했을 때, 임계 주파수 제한 시간은 1주기 미만이므로 표 3에는 나타내지 않았다. 이처럼 계통에서 분산전원의 침투율이 높지 않은 경우에 대해 태양광 시스템을 계통으로부터 끊고 고장이 제거된 후 다시 연결하는 PV switching 방법론은 임계 주파수 제한 시간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분산전원의 침투율이 증가할수록 큰 용량을 가지는 분산전원을 고장 구간 동안에 끊고 다시 연결하는 방법은 오히려 계통의 안정도 측면에서 더 큰 변동을 초래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장에서는 고장이 발생한 후 선로의 스위치가 0.001초 이후 빠르게 개방이 되었다. 그리고 빠른 스위칭 이벤트를 적용한 임계 주파수 제한 시간을 결정하였다. 선로의 스위치 개방 속도가 굉장히 빨랐기 때문에 3상 단락 고장이 발생했더라도 주파수 변동이 60Hz 기준으로 0.2Hz의 범위 내를 유지할 수 있었다. 스위치의 신속한 개방은 주파수의 큰 변동을 막는데 매우 큰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선로의 스위치 개방 속도를 약간 증가시켰을 때 동일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해 분산전원 및 PV switching의 영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표 3. 분산전원의 침투율에 따른 임계 주파수 제한 시간

Table 3. The critical frequency limitation time at each penetration level of the distributed generator

침투율 (%)

CFLT without PV switching [cycle]

CFLT with PV switching [cycle]

0

20

20

10

17

21

20

17

21

30

15

19

40

14

16

50

13

14

60

11.5

11.5

70

9.5

9.5

80

8

7

90

5.5

4

100

1.5

-

2.2 고장 선로의 스위치 개방 동작 시간에 따른 주파수의 과도반응 분석 및 해석

이전 절에서는 고장이 발생한 후 0.001초 이후 스위치가 개방되어 고장 선로를 차단하였다. 이처럼 빠른 차단 동작은 임계 주파수 제한 시간을 증가시키고 주파수와 로터각의 변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장은 그림 7처럼 스위칭 이벤트를 통한 개방 동작 지연 시간을 0.01초로 증가시켰다. 그리고 스위칭 이벤트의 시간에 따른 주파수 변동의 피크 값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고장이 1초에 발생하고 선로의 스위치가 개방되기까지의 시간 지연이 0.001초에서 0.01초로 느려졌다는 것 외에 다른 프로세스는 동일하다.

그림. 7. 스위치 개방 시간이 지연되었을 때 고장해석을 위한 프로세스

Fig. 7. Process for short-circuit analysis when the switch opening time is delayed

../../Resources/kiee/KIEE.2023.72.3.341/fig7.png

본 장은 분산전원 시스템이 설치된 계통에서스위치 개방 시간과 PV switching 적용 여부에 따른 영향을 주파수 관점에서 비교하였다. 그림 8은 분산전원의 침투율에 따른 주파수의 피크 값을 나타낸 것이다. 즉, 그림 8은 스위치의 개방 시간에 따라 두 가지, PV switching 적용 여부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하여 총 네 가지의 경우에 대해 주파수의 피크 값을 나타냈다. 스위치 개방 동작 시간과 PV switching 적용 여부에 따른 네 가지의 구성은 표 4에 정리되어 있다.

표 4. 스위치 개방 시간과 PV switching 적용 여부에 따른 시나리오

Table 4. The scenarios according to the switch opening operation time and the PV switching application

Case

스위치 개방 시간 [sec]

PV switching 여부

1

1.001

미적용

2

1.001

적용

3

1.01

미적용

4

1.01

적용

그림. 8. 분산전원의 침투율과 PV switching 여부에 따른 주파수 피크 값.

Fig. 8. The peak value of the frequency according to the penetration level and the PV switching.

../../Resources/kiee/KIEE.2023.72.3.341/fig8.png

PV switching을 적용하지 않았을 때 스위치의 개방 시간이 1.001초, 1.01초인 경우 모두에 대해 침투율이 증가할수록 주파수의 피크 값이 증가했고, 이를 그림 8에 실선으로 표시하였다. 스위치 개방 동작이 1.001초일 때 침투율에 따른 주파수의 피크 그래프의 기울기가 침투율 60%를 기점으로 약간 변화하였다. 즉, 스위치가 1.001초에 개방된 경우 그래프의 기울기가 1번 변화하였다. 1.01초에 스위치가 개방된 경우 분산전원 침투율이 60%, 70%, 80%로 바뀔 때마다 그래프의 기울기가 변화하였다. 즉, 분산전원 침투율이 60%를 넘어선 이후, 분산전원 침투율의 변화에 대해 계통이 민감하게 반응하며 주파수의 피크 값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즉, 표 4의 case 1의 경우 1번, case 3의 경우는 총 4번에 걸쳐 주파수 피크 그래프의 기울기가 변화하였다.

다음으로 PV switching을 적용했을 때 스위치 개방 시간에 따른 그래프를 확인하면 대체로 유사한 형태의 곡선을 그리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를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먼저 스위치가 1.001초에 개방된 경우, 분산전원 침투율이 40% 이하까지는 분산전원의 침투율이 증가함에 반비례하여 주파수의 피크 값이 감소한다. 스위치가 1.01초에 개방된 경우, 분산전원의 침투율이 30% 이하인 경우까지에 대해 분산전원의 침투율이 증가함에 반비례하여 주파수의 피크 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분산전원의 침투율이 증가하지만 PV switching을 통해 주파수의 피크가 감소할 수 있는 최대 침투율을 임계 침투율이라 정의하면, 표 4의 case 2와 case 4는 각각 40%와 30%의 임계 침투율을 가진다. 그러나 각각의 임계 침투율을 넘어선 침투율을 가진 계통에 대해 분산전원의 침투율이 증가함에 따라 주파수의 피크 값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스위치 개방 시간이 같을 때 PV switching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실선)와 PV switching을 적용한 경우(점선)에 대해 비교하면, 분산전원의 침투율이 약 70%인 지점을 기준으로 두 그래프가 만나며 주파수의 피크 값이 역전되는 모습을 보인다. 3상 단락 고장 발생 선로의 스위치의 개방 동작 시간에 따른 두 가지 경우 모두에서 공통된 특징으로 나타났다. 즉, 분산전원의 침투율이 70%를 넘어서기 전까지는 PV switching을 적용한 경우가 PV switching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주파수의 피크 값이 낮다. 그리고 분산전원의 침투율이 70%를 넘어선 경우에서 PV switching을 적용한 경우가 PV switching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주파수의 피크가 높다.

즉, PV switching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인 case 1과 case 3은 분산전원 침투율이 증가할수록 주파수의 피크 값을 증가하였다. PV switching을 적용한 경우인 case 2와 case 4는 스위치 개방 시간에 따라 각각의 임계 침투율을 가지고 해당 침투율을 넘어서기 전까지는 분산전원의 침투율이 증가할수록 주파수의 피크 값이 낮아지지만, 임계 침투율 이상에서 분산전원의 침투율이 증가할수록 주파수의 피크 값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분산전원의 침투율이 100%인 경우 표 4의 case 1을 제외한 모든 경우에서 조류해석이 수렴하지 않았다. 표 4의 네 가지 경우에서 주파수의 피크 값에 대한 데이터는 Appendix에 나타나 있다.

3. Discussion

그림 9는 인버터 기반 분산전원이 계통의 과도안정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IEEE 9-버스 시스템에 태양광 시스템이 주입하지 않은 경우를 빨간색으로, 태양광 시스템의 침투율이 40%인 경우를 파란색으로 표시하고 동일한 고장해석 프로세스를 적용했을 때 시스템의 주파수 특성을 비교한 것이다. 인버터 기반의 태양광 시스템이 주입한 계통의 주파수 변동은 태양광 시스템이 주입하지 않은 계통의 주파수 변동의 약 1.308배이다. 즉, 인버터 기반의 낮은 관성의 태양광 시스템이 동기기 기반의 계통에 주입되었을 때 과도상태에서 시스템의 주파수 안정도를 악화시키고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Discussion을 통해 확인했다. 따라서 인버터 기반의 분산전원이 계통에 주입하였을 때 PV switching과 같은 적절한 스위칭 제어은 침투율이 임계 침투율 이하인 시스템에서의 변동을 막을 막는데 기여할 수 있다.

그림. 9. 인버터 기반 분산전원의 주입에 따른 시스템의 과도상태 주파수 특성.

Fig. 9. Transient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inverter- based distributed generator penetration.

../../Resources/kiee/KIEE.2023.72.3.341/fig9.png

4. Conclusion

본 연구는 계통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분산전원의 침투율에 따른 주파수와 로터각의 변동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분산전원의 침투율에 따른 임계 주파수 제한 시간을 결정하였다. 또한, 고장 발생 선로의 스위치 개방 시간이 주파수의 피크 값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고장이 발생하고 고장이 제거되기까지 고장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태양광 시스템의 연결을 끊어주는 PV switching이라는 방법론을 제시하였고, 분산전원의 침투율에 따른 PV switching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산전원의 침투율을 11가지로 나누어, 침투율을 0%부터 100%까지 증가시키며 각각의 경우에 대해 PV switching이 주파수의 변동을 막을 수 있는 최대 침투율인 임계 침투율을 정의하였다.

PV switching을 적용하였을 때 임계 침투율 이하에 대해서는 주파수 변동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임계 침투율 이상의 계통에서 PV switching은 갑작스러운 전력 흐름의 변화를 야기하므로 주파수 변동이 커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PV switching의 적용 여부에 따른 임계 주파수 제한 시간, 임계 침투율은 스위치의 개방 동작 시간 및 고장 종류, 고장 제거 시간, 고장 위치, 계통의 연결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분산전원의 종류를 인버터 기반의 태양광 시스템으로 제한하였고, 고장 위치를 한 곳으로 설정하였으며 고장의 종류를 3상 단락 고장으로 하였다. 계통의 보호 협조는 가장 큰 위험 요소를 기준으로 하지만 전력계통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고장을 상정하여 시스템의 과도안정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로서 분산전원의 종류를 다양화하고, 고장 위치, 고장 종류에 따른 임계 주파수 제한 시간 및 임계 침투율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환상형 계통이 아닌 방사형 및 준 방사형 계통에서 임계 주파수 제한 시간 및 임계 침투율을 결정하는 향후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5. Appendix

표 5. 테스트베드의 발전기의 파라미터

Table 5. Parameters of generators in the testbed

G1

G2

G3

정격용량 [MVA]

247.5

192

128

정격전압 [kV]

16.5

18

13.8

역률

1

0.85

0.85

결선

YN

YN

YN

d축 동기 리액턴스 [p.u.]

0.3613

1.7199

1.68

q축 동기 리액턴스 [p.u.]

0.2398

1.6598

1.609

영상분 [p.u.]

리액턴스

0.1

0.1

0.1

레지스턴스

0

0

0

정상분

[p.u.]

리액턴스

0.2

0.2

0.2

레지스턴스

0

0

0

표 6. 분산전원 침투율에 따른 주파수 변동

Table 6. The frequenc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enetration level of the distributed generator

침투율 (%)

최대 주파수 [Hz]

최소 주파수 [Hz]

주파수 변동 [Hz]

0

60.0749

59.9800

0.0949

10

60.0793

59.9763

0.1030

20

60.0837

59.9726

0.1111

30

60.0881

59.9690

0.1191

40

60.0923

59.9652

0.1271

50

60.0964

59.9616

0.1348

60

60.1004

59.9581

0.1423

70

60.1075

59.9534

0.1541

80

60.1149

59.9485

0.1664

90

60.1253

59.9431

0.1822

100

60.1435

59.9389

0.2046

표 7. 분산전원 침투율에 따른 G2의 로터각 변동

Table 7. The rotor angle difference of G2 according to the penetration level of the distributed generator

침투율 (%)

최대 로터각 [deg]

최소 로터각 [deg]

로터각 변동 [deg]

0

63.9658

44.0939

19.8719

10

68.9891

47.1743

21.8148

20

73.9137

50.1046

23.8091

30

78.8208

52.9127

25.9081

40

83.7154

55.6142

28.1012

50

88.6148

58.1950

30.4198

60

93.0989

60.4146

32.6843

70

98.5880

62.9907

35.5973

80

103.7388

65.2135

38.5253

90

109.1144

67.4419

41.6725

100

114.8491

69.6900

45.1591

표 8. 분산전원 침투율에 따른 G3의 로터각 변동

Table 8. The rotor angle difference of G3 according to the penetration level of the distributed generator

침투율 (%)

최대 로터각 [deg]

최소 로터각 [deg]

로터각 변동 [deg]

0

62.8900

38.6858

24.2042

10

58.4034

42.2520

26.1514

20

73.7462

45.7392

28.0070

30

78.9469

49.1593

29.7876

40

84.0022

52.5249

31.4773

50

88.9204

55.8940

33.0264

60

93.2672

58.9389

34.3283

70

98.4322

62.2102

36.2220

80

103.0428

64.9834

38.0594

90

107.5408

67.9005

39.6403

100

111.9847

70.5709

41.4138

표 9. 스위치 개방 동작 시간과 PV switching 적용 여부에 따른 주파수의 피크 값

Table 9. The peak value of the frequency according to the switch opening operation time and the PV switching application

침투율 (%)

Case 1

Case 2

0

60.0749

60.0749

10

60.0793

60.0687

20

60.0837

60.0626

30

60.0881

60.0569

40

60.0923

60.0565

50

60.0964

60.0644

60

60.1004

60.0789

70

60.1075

60.1058

80

60.1149

60.1680

90

60.1253

60.3205

100

60.1435

-

표 9. 스위치 개방 동작 시간과 PV switching 적용 여부에 따른 주파수의 피크 값

Table 9. The peak value of the frequency according to the switch opening operation time and the PV switching application

침투율 (%)

Case 3

Case 4

0

60.1002

60.1002

10

60.1021

60.0935

20

60.1044

60.0871

30

60.1074

60.0812

40

60.1111

60.0830

50

60.1159

60.0917

60

60.1222

60.1080

70

60.1426

60.1390

80

60.1825

60.2040

90

60.2843

60.3946

100

-

-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Grant number: R22XO02-22)

References

1 
A. Mostafaeipour, A. Bidokhti, M.-B. Fakhrzad, A. Sadegheih, Y. Z. Mehrjerdi, 2022, A new model for the use of renewable electricity to reduce carbon dioxide emissions, Energy, Vol. 238, pp. 121602DOI
2 
Z. Zhongming, L. Linong, Y. Xiaona, Z. Wangqiang, L. Wei, 2022, EIA projects US energy consumption will grow through 2050, driven by economic growthGoogle Search
3 
H. Qudrat-Ullah, 2022, A review and analysis of renewable energy policies and CO2 emissions of Pakistan, Energy, Vol. 238, pp. 121849DOI
4 
M. Backes, I. Idehen, T. Yardley, P. Panumpabi, 2016, Off-grid microgrid development for the village of katumbi in tanzania, in 2016 North American Power Symposium (NAPS), Vol. ieee, pp. 1-5DOI
5 
, 2022, Distributed Generation on Power System, in Proceedings of the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Engineering and Networks, Springer, pp. 1036-1043Google Search
6 
P. Saini, L. Gidwani, 2022, An investigation for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installation with renewable energy resources in distribution system by considering residential, commercial and industrial load models, Journal of Energy Storage, Vol. 45, pp. 103493DOI
7 
H. Ebrahimi, A. Yazdaninejadi, S. Golshannavaz, 2022, Transient stability enhancement in multiple‐microgrid networks by cloud energy storage system alongside considering protection system limitations, IET Generation, Vol. Transmission & DistributionDOI
8 
E. Madruga, D. Bernardon, R. Vieira, L. Pfitscher, 2018, Analysis of transient stability in distribution systems with distributed gene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ical Power & Energy Systems, Vol. 99, pp. 555-565DOI
9 
S. Eftekharnejad, V. Vittal, G. T. Heydt, B. Keel, J. Loehr, 2012, Impact of increased penetration of photovoltaic generation on power systems,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28, No. 2, pp. 893-901DOI
10 
L. I. Dulău, M. Abrudean, D. Bică, 2014, Effects of distributed generation on electric power systems, Procedia Technology, Vol. 12, pp. 681-686DOI
11 
J.-M. Park, I. Kim, 2022, A Study on Estimating the Local Capacity of Photovoltaic Generation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Renewable Energy Penetration Level, (in Korean),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71, pp. 9-22DOI
12 
S. Gordon, C. McGarry, J. Tait, K. Bell, 2021, Impact of low inertia and high distributed generation on the effectiveness of under frequency load shedding schemes, IEEE Transactions on Power Delivery, Vol. 37, No. 5, pp. 3752-3761DOI

저자소개

장지연 (Jiyeon Jang)
../../Resources/kiee/KIEE.2023.72.3.341/au1.png

Jiyeon Jang received the B.S degree in from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from Inha University, Incheon, South Korea, in 2022.

She is currently pursuing the M.S degree from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at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김인수(Insu Kim)
../../Resources/kiee/KIEE.2023.72.3.341/au2.png

Insu Kim (M’15) received the Ph.D. degree from the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Atlanta, in 2014.

He is currently an Associate Professor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Inha University in South Korea.

His major research interests are (a) analyzing the impact of stochastically distributed renewable energy resources such as photovoltaic systems, wind farms, and microturbines on distribution networks, (b) examining the steady-state and transient behavior of distribution networks under active and reactive power injection by distributed generation systems, and (c) improving power-flow, short-circuit, and harmonic analysis algorith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