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Korea.)
  2.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Dongyang Mirae University, Korea.)



Wind turbine, PMSG, Cogging torque, Magnet manufacturability, Optimization

1. 서 론

최근 환경 문제와 에너지 자원 고갈 등의 문제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신재생 에너지자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 신재생 에너지 자원으로 태양광, 풍력, 수력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풍력발전기는 친환경적이며, 에너지 생산 가격이 낮고, 무한한 자원으로서 각광받고 있다(2). 특히 소형 풍력발전기는 동일 용량의 태양광 발전 대비 설치 및 생산 비용이 낮아 시장규모가 확대되고 있다(3). 또한 소형 풍력발전기는 휴대형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저용량의 발전기를 통해 가정 및 레저용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4).

풍력발전기는 주로 높은 출력밀도와 효율, 소형화 특성을 갖는 PMSG를 채택한다(5), (6). 일반적인 PMSG는 슬롯과 치(teeth) 구조를 갖는다. 이 구조는 공극의 위치에 따른 퍼미언스 크기의 차이를 발생시키며 코깅 토크의 원인이 된다(7-9). 코깅 토크는 발전기 운전 시 진동 및 소음을 유발하며 구동을 방해한다. 풍력발전기의 구동을 위해서는 코깅 토크 이상의 힘을 요구하기 때문에 높은 코깅 토크를 갖는 풍력발전기는 미풍에서 구동이 어렵다(10). 따라서 미풍에서도 구동할 수 있도록 풍력발전기의 코깅 토크를 줄이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1-13).

본 논문에서는 소형 풍력발전기의 코깅 토크를 저감하기 위한 영구자석 형상에 대한 연구를 소개한다. 일반적으로 코깅 토크를 저감하기 위해서 영구자석 테퍼링의 방법을 채택한다. 하지만 영구자석을 곡선의 형태로 제작하는 것은 제작성이 나쁘기에, 본 논문에서는 영구자석의 형상을 사각형 형상을 갖는 모델을 선정하였다. 처음에 일반적인 SPMSG(Surface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Generator)인 ring 타입과 제안하는 bar 타입의 비교 후, 극슬롯 조합에 따른 전자계 특성을 비교하였다. 다음 bar 타입 모델에 대하여 코깅 토크와 효율 등을 고려하여 설계 변수를 선정하고 수식과 유한요소 해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선정된 변수에 대하여 RSM을 통해 코깅 토크와 효율 등 최적화를 진행하여 개선 모델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기초 모델과 개선 모델을 비교하여 코깅 토크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2. 본 론

2.1 소형 풍력발전기 사양 및 기초 모델

표 1은 소형 풍력발전기의 목표 사양을 보여준다. 표 1의 사양을 고려한 기초모델을 선정하기 위해 그림 1과 같이 ring 타입과 bar 타입의 영구자석을 갖는 모델을 선정하였다. ring 타입과 bar 타입의 영구자석 형상에 맞게 치의 슈(shoe) 구조도 원형 및 직선형으로 선정하고, 동일한 조건(전체 사이즈, 영구자석 사용량 등)에 대하여 출력 및 코깅 토크의 크기를 비교하여 표 2에 정리하였다. 그림 2는 ring 타입과 bar 타입 모델의 자속 선도를 보여주며, bar 타입은 영구자석 사이 거리가 ring 타입 대비 길어, 슈(shoe)를 통한 누설 자속이 줄어듦으로 효율이 높게 나타난다. 하지만 bar 타입은 공극 위치에 따른 퍼미언스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하여 코깅 토크는도 높다. 본 논문에서는 영구자석의 제작성을 고려하여 bar 타입을 선정하였다.

일반적으로 코깅 토크는 극수와 슬롯수의 최소공배수에 의해 결정된다(14). 식(1)은 코깅 토크의 수식을 나타낸다(15).

(1)
$T_{cog}=\dfrac{\pi L_{stk}}{4\mu_{0}}\left(R_{2}^{2}-R_{1}^{2}\right)\sum_{n=0}^{\infty}n N_{L}Ga_{n N_{L}}Ba_{n N_{L}}$

여기서 $L_{stk}$는 축방향 길이, $μ_{0}$는 공기의 투자율, $R_{1}$과 $R_{2}$는 각각 고정자 내경과 외경, n은 고조파 차수, $N_{L}$은 극수와 슬롯수의 최소공배수, $Ga_{nNL}$과 $Ba_{nNL}$은 고정자 치와 영구자석의 디자인 계수를 나타낸다.

극당 상당 슬롯수(q)가 1 이하인 경우 최소공배수가 클수록 $Ga_{nNL}$과 $Ba_{nNL}$이 감소하므로 코깅 토크가 줄어든다(15). 그림 3은 본 논문에서 선정한 10극 12슬롯, 14극 12슬롯, 14극 18슬롯, 14극 42슬롯의 주기 모델을 보여준다. 동일 조건에서의 비교를 위해 전체 사이즈, 총 직렬 턴수, 영구자석 사용량 등의 조건을 동일하게 선정하였다.

그림. 1. 기초 모델 형상 (a) ring 타입 (b) bar 타입

Fig. 1. Basic model shape (a) ring type (b) bar type

../../Resources/kiee/KIEE.2023.72.8.897/fig1.png

표 1. 소형 풍력발전기의 사양

Table 1. Specifications of small wind turbine

항목

단위

발전기 외경

100

mm

적층 길이

60

mm

정격 출력

150

W

정격 속도

500

RPM

출력 전압

20.9

$V_{rms}$

효율

>85

%

전류 밀도

<4

$A_{rms}$/mm2

그림. 2. 기초 모델의 자속 선도 (a) ring 타입 (b) bar 타입

Fig. 2. Flux line of basic model (a) ring type (b) bar type

../../Resources/kiee/KIEE.2023.72.8.897/fig2.png

표 2. ring 및 bar 타입 모델의 특성

Table 2. Characteristic of ring and bar type model

항목

ring 타입

bar 타입

단위

코깅 토크

0.04

0.06

$Nm_{pk-pk}$

출력

154.3

155.9

W

효율

89.09

89.40

%

그림. 3. 극슬롯 조합에 따른 모델 형상 (a) 10극 12슬롯 (b) 14극 12슬롯 (c) 14극 18슬롯 (d) 14극 42슬롯

Fig. 3. Model shape according to pole slot combinations (a) 10P12S (b) 14P12S (c) 14P18S (d) 14P42S

../../Resources/kiee/KIEE.2023.72.8.897/fig3.png

표 3은 각 모델에 따른 유한요소 해석 결과를 보여준다. 극당 상당 슬롯수(q)가 정수를 갖는 그림 3(d) 모델 대비 1이하의 값을 갖는 타 모델이 코깅 토크가 낮고 출력이 높게 나타난다. 소형 풍력발전기는 구동 특성을 위해 코깅 토크가 작아야하므로, 코깅 토크가 작으며 효율이 높은 14극 12슬롯을 기초 모델로 선정하였다.

표 3. 극슬롯 조합 모델에 따른 특성

Table 3.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ole slot combinations

항목

10극 12슬롯

14극 12슬롯

14극 18슬롯

14극 48슬롯

단위

슬롯당 턴수

21

21

14

6

-

코깅 토크

0.06

0.06

0.08

1.78

$Nm_{pk-pk}$

효율

89.21

89.40

88.85

86.89

%

2.2 회전자 설계 변수에 따른 경향성

그림 3(b)와 같이 14극 12슬롯 모델의 코깅 토크를 저감하기 위해서 설계 변수에 따른 경향성 분석을 진행한다. 본 논문에서 선정한 bar 타입 모델은 설계 변수가 ring 타입 모델 대비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그림 4는 bar 타입 모델의 설계 변수를 보여준다. 여기서 $T_{m}$은 영구자석 두께, $W_{m}$은 영구자석 너비, $W_{m1}$은 영구자석 아랫변 추가 길이, $T_{r}$은 영구자석 삽입 깊이, 그리고 $θ_{mag}$는 영구자석 삽입 각도이다.

그림. 4. 회전자 설계 변수

Fig. 4. Rotor design variable

../../Resources/kiee/KIEE.2023.72.8.897/fig4.png

2.2.1 영구자석의 두께 및 너비

풍력발전기의 출력은 단자 전압의 크기 비례하며 전압방정식은 식(2)와 같다. 식(2)에서 알 수 있듯이 역기전력이 클수록 출력이 증가하는데, 역기전력은 공극자속의 크기로 결정이 된다. 식(3)은 SPMSG의 공극자속 수식을 보여준다(16).

(2)
$\dot V =\dot E_{a}-R_{a}\dot I_{a}-j\omega L_{q}\dot I_{a}$

(3)
$\phi_{g}=\dfrac{2k_{ls}}{1+k_{r}\dfrac{g'\mu_{r}}{T_{m}}\dfrac{A_{m}}{A_{g}}}\dfrac{\phi_{r}}{2}$

여기서 $\dot E_{a}$는 무부하 역기전력, $\dot V$는 단자 전압, $R_{a}$는 권선 저항, $\dot I_{a}$는 부하 전류, $\omega$는 전기적 각주파수, $L_{q}$는 q축 인덕턴스, $\phi_{g}$는 공극자속, $k_{ls}$는 누설계수, $φ_{r}$은 영구자석의 자속, $k_{r}$은 릴럭턴스 계수, g’는 유효 공극길이, $μ_{r}$은 영구자석의 비투자율, $T_{m}$은 영구자석 두께, $A_{m}$과 $A_{g}$는 각각 영구자석과 극당 유효 공극의 면적을 나타낸다.

식(3)과 같이 $T_{m}$이 클수록 공극자속의 크기가 증가하지만, 분모가 1에 수렴하므로 공극자속의 크기가 포화된다. $T_{m}$에 따른 출력과 코깅 토크의 유한요소 해석 결과를 그림 5와 같이 정리하였다. $T_{m}$이 클수록 영구자석 사용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코깅 토크가 감소하며 출력이 증가한다. 하지만 코깅 토크의 감소가 타 설계 변수 대비 적으며 식(3)과 같이 $T_{m}$이 일정 이상이 되면 출력의 증분이 포화되기 때문에 영구자석 사용량과 출력 포화를 고려하여 $T_{m}$의 선정이 필요하다.

그림. 5. 영구자석 두께에 따른 출력 및 코깅 토크

Fig. 5. Output and cogging torque according to magnet thickness

../../Resources/kiee/KIEE.2023.72.8.897/fig5.png

일반적인 ring 타입 SPMSG는 극호율을 조절하여 공극자속밀도의 파형을 정현적으로 만들 수 있다. 하지만 본 모델에서는 영구자석 너비($W_{m}$) 변수를 선정하여 조절하였다. 영구자석 너비가 클수록 자속의 크기가 증가하여 출력이 증가한다. 그림 6(a)는 영구자석 너비에 따른 유한요소 해석 결과를 보여준다. 영구자석 너비가 클수록 영구자석 사용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토크가 증가한다. 하지만 코깅 토크가 최소가 되는 포인트가 존재하므로 이를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

영구자석을 직사각형의 형태로 제작 후 삽입 시 철심이 영구자석을 지지하지 못하므로 비산 방지를 위한 본딩 작업이 요구된다. 그림 4와 같이 $W_{m1}$의 변수를 도입하여 영구자석을 직사각형이 아닌 사다리꼴의 형태로 제작하게 되면 철심의 홈 부분이 영구자석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림 6(b)는 영구자석 아랫변의 추가 길이에 따른 유한요소 해석 결과를 보여준다. $W_{m}$과 비슷하게 영구자석 사용량의 증가로 출력이 소폭 증가하며 코깅 토크의 최적점이 존재하지만, $W_{m}$ 대비 변화량이 크지 않다.

그림. 6. 영구자석 너비에 따른 출력 및 코깅 토크 (a) 영구자석 너비 (b) 영구자석 아랫변 추가 길이

Fig. 6. Output and cogging torque according to magnet width (a) magnet width (b) additional length of down side magnet

../../Resources/kiee/KIEE.2023.72.8.897/fig6.png

2.2.2 영구자석 삽입 깊이 및 각도

본 논문에서는 그림 4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의 영구자석을 회전자 철심 표면에 삽입하는 구조를 채택하였으며, 영구자석의 삽입 깊이를 변수 $T_{r}$로 선정하였다. 그림 7(a)는 영구자석 삽입 깊이에 따른 유한요소 해석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8은 $T_{r}$이 각각 1mm와 3mm, 5mm일 때의 자속 선도를 보여주며, 1mm일 때와 3mm일 때는 자속의 차이가 거의 없지만 5mm일 때 인접한 극으로 자속이 크게 누설된다. 따라서 그림 7(a)와 같이 영구자석 삽입

본 논문에서는 bar 타입의 영구자석에서 코깅 토크를 저감하기 위해 그림 4와 같이 영구자석의 삽입 각도($θ_{mag}$)를 선정하였다. 영구자석 상단의 한 꼭지점을 기준으로 각도를 회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최소의 공극 길이를 만족 시켰다. 그림 7(b)는 영구자석 삽입 각도에 따른 유한요소 해석 결과를, 그림 9는 영구자석 삽입 각도에 따른 발전기의 벡터도를 보여준다. 여기서 $λ_{a}$는 무부하 쇄교 자속, $λ_{o}$는 총 쇄교 자속을 나타낸다. 영구자석 삽입 각도에 따라 그림 9와 같이 영구자석 자속 축이 틀어지므로 식(2)식(4)와 같이 바꿀 수 있다.

(4)
$\dot V'=\dot E_{a}\angle\theta_{mag}-R_{a}\dot I_{a}-j\omega L_{q}\dot I_{a}$

그림. 7. 영구자석 삽입 깊이 및 각도에 따른 출력 및 코깅토크 (a) 영구자석 삽입 깊이 (b) 영구자석 삽입 각도

Fig. 7. Output and cogging torque according to magnet insertion (a) insert depth (b) insert angle

../../Resources/kiee/KIEE.2023.72.8.897/fig7.png

그림. 8. 영구자석 삽입 깊이에 따른 자속 선도 (a) $T_{r}$=1mm (b) $T_{r}$=3mm (c) $T_{r}$=5mm

Fig. 8. Flux line according to insert depth of magnet

../../Resources/kiee/KIEE.2023.72.8.897/fig8.png

그림. 9. 영구자석 삽입 각도에 따른 발전기의 벡터도

Fig. 9. Vector plot according to magnet insert angle

../../Resources/kiee/KIEE.2023.72.8.897/fig9.png

그림. 10. 영구자석 삽입 각도에 따른 자속 선도 (a) $θ_{mag}$=0° (b) $θ_{mag}$=4°

Fig. 10. Flux line according to insert angle of magnet

../../Resources/kiee/KIEE.2023.72.8.897/fig10.png

회전자 삽입 각도가 커질수록 발전기의 평균 공극 길이는 길어지고 그림 7의 벡터도와 같이 영구자석의 자속 축이 약간 틀어지게 되어 단자 전압의 크기가 감소하므로 출력이 감소하는 경향성을 갖는다. 하지만 그림 10의 영구자석 삽입 각도에 따른 자속선도와 같이 영구자석의 비대칭 배치로 인해 영구자석 삽입 각도가 클수록 슈를 통한 누설 자속이 줄어들어 포화가 줄어듦으로 코깅 토크가 작아진다. 따라서 영구자석 삽입 깊이와 각도를 조절하면 코깅 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2.3 소형 풍력 발전기의 최적 설계

2.3.1 풍력발전기 최적 설계

본 논문에서 선정한 설계 변수에 대하여 RSM 기법을 통해 코깅 토크 저감 설계를 진행하였다. 각 설계 변수에 대하여 표 4와 같이 제작성과 경향성 등을 고려하여 범위를 선정하고 목적함수를 결정하였다.

표 4. 최적 설계를 위한 설계 변수의 범위 및 목적함수

Table 4. Range of design variables and objective function for optimal design

구분

항목

구속조건 / 목표값

단위

설계 변수

영구자석 두께 ($T_{m}$)

2 < $T_{m}$ < 6

mm

영구자석 너비 ($W_{m}$)

7 < $W_{m}$ < 9

mm

영구자석 아랫변 추가 길이 ($W_{m1}$)

0 < $W_{m1}$ < 1.6

mm

영구자석 삽입 각도($θ_{mag}$)

1 < $θ_{mag}$ < 5

deg

목적 함수

코깅 토크

최소화

$Nm_{pk-pk}$

발전기 효율

> 85

%

전류 밀도

< 4

$A_{rms}$/mm2

그림 11은 RSM을 통한 최적화 과정을 보여준다. RSM을 통해 최적화를 위한 설계 변수($T_{m}$, $W_{m}$, $W_{m1}$, $θ_{mag}$) 및 구속 조건을 선정 후, 구속 조건 내 임의의 목적함수 수준에서 결과값을 예측하고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변수를 조정하였다. 이 때 영구자석 두께는 출력 포화 직전 값을, 영구자석 너비와 아랫변 추가 길이는 출력과 코깅 토크의 크기를 고려하여 각각 구속조건의 값을 선정하였다. 앞서 선정한 구속 조건에 대하여 출력 및 코깅 토크의 영향도를 고려하여 영구자석 삽입 각도를

그림. 11. RSM을 통한 최적화

Fig. 11. Optimization using RSM

../../Resources/kiee/KIEE.2023.72.8.897/fig11.png

그림. 12. 최종 모델 형상

Fig. 12. Shape of final model

../../Resources/kiee/KIEE.2023.72.8.897/fig12.png

선정하였다. $T_{r}$을 제외한 설계 변수에 대하여 최적화를 진행 후, 출력과 코깅 토크 특성을 고려한 $T_{r}$을 선정하여 그림 12와 같은 최종 모델을 도출하였다.

2.3.2 유한요소 해석 결과

그림 13그림 3(b)의 기초 모델과 그림 12의 개선 모델의 코깅 토크를 보여주며, 개선 모델의 코깅 토크가 더 작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그림 14는 역기전력의 FFT 파형 보여주고 있으며, 개선 모델의 역기전력 기본파가 기초 모델 대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5는 기초 및 개선 모델의 주요 출력을 정리하였다. 효율이 약간 감소하지만, 역기전력의 THD는 절반 수준으로 나타나며 코깅 토크의 크기가 1% 이하로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3. 기초 및 개선 모델의 코깅 토크

Fig. 13. Cogging torque of basic and improved model

../../Resources/kiee/KIEE.2023.72.8.897/fig13.png

그림. 14. 기초 및 개선 모델의 역기전력 FFT

Fig. 14. Back EMF according to basic and improved model

../../Resources/kiee/KIEE.2023.72.8.897/fig14.png

표 5. 기초 및 개선 모델의 특성

Table 5.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basic and improved model

기초 모델

개선 모델

단위

출력

155.9

153.4

W

코깅 토크

0.062

0.026

$Nm_{pk-pk}$

1.86

0.79

%

역기전력 THD

0.51

0.24

%

효율

89.4

89.0

%

전류밀도

3.1

3.2

$A_{rms}$/mm2

출력 전압

22.3

21.4

$V_{rms}$

3. 결 론

본 논문은 사각형 영구자석을 철심 표면에 삽입한 소형 풍력발전기의 코깅 토크 개선 연구에 관한 것이다. bar 타입과 ring 타입 모델을 비교 후 영구자석 발전기 모델의 극슬롯 조합 비교를 통해 기초 모델을 도출하였다. 기초 모델에 대하여 설계 변수에 따른 경향성을 정리하였다. 선정한 설계 변수에 대하여 RSM을 통해 코깅 토크 저감 최적화 설계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기초 모델과 개선 모델의 비교를 진행하여 코깅 토크가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한국전력공사의 2022년 착수 기초연구개발 과제 연구비에 의해 지원되었음(과제번호 : $R_{2}$2XO02-02)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Grant number : $R_{2}$2XO02-02)

References

1 
P. Verma, S. K, B. Dwivedi, 2023, A Self-Regulating Virtual Synchronous Generator Control of Doubly Fed Induction Generator-Wind Farms, IEEE Canadian Journal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Vol. 46, No. 1, pp. 35-43DOI
2 
G. -H. Kim, 2013, Design and Characteristic Analysis of a 10 kW Superconducting Synchronous Generator for Wind Turbines, IEEE Trans. Appl. Supercond., Vol. 23, No. 3, pp. 5202405-5202405DOI
3 
S. -H. Lee, Y. -J. Kim, K. -S. Lee, S. -J. Kim, 2016, Multiobjective Optimization Design of Small-Scale Wind Power Generator With Outer Rotor Based on Box-Behnken Design, IEEE Trans. Appl. Supercond., Vol. 26, No. 4, pp. 1-5DOI
4 
Ji-Young Lee, 2012, Design of an Axial Flux Permanent Magnet Generator for a Portable Hand Crank Generating System, IEEE Trans. Magn., Vol. 48, No. 11DOI
5 
M. -F. Hsieh, Y. -H. Yeh, 2013, Rotor Eccentricity Effect on Cogging Torque of PM Generators for Small Wind Turbines, IEEE Trans. Magn., Vol. 49, No. 5, pp. 1897-1900DOI
6 
H. Polinder, J. A. Ferreira, B. B. Jensen, A. B. Abrahamsen, K. Atallah, R. A. McMahon, 2013, Trends in Wind Turbine Generator Systems, IEEE J. Emerg. Sel. Topics Power Electron., Vol. 1, No. 3, pp. 174-185DOI
7 
W. Li, H. Qiu, X. Zhang, R. Yi, 2012, Influence of copper plating on electromagnetic and temperature fields in a high-speed permanent magnet generator, IEEE Trans. Magn., Vol. 48, No. 8, pp. 2247-2253DOI
8 
J. Li, K. T. Chau, J. Jiang, C. Liu, W. Li, 2010, A new efficient permanent magnet Vernier machine for wind power generation, IEEE Trans. Magn., Vol. 46, No. 6, pp. 1475-1478DOI
9 
M. Flankl, A. Tuysuz, J. W. Kolar, 2017, Cogging Torque Shape Optimization of an Integrated Generator for Electromechanical Energy Harvesting, IEEE Trans. Ind. Electron, Vol. 64, No. 12, pp. 9806-9814DOI
10 
R. Nasiri-Zarandi, A. M. Ajamloo, K. Abbaszadeh, 2020, Design Optimization of a Transverse Flux Halbach-Array PM Generator for Direct Drive Wind Turbines, IEEE Trans. Energy Convers., Vol. 35, No. 3, pp. 1485-1493DOI
11 
R. Kumar, 2020, A Review on Transverse Flux Permanent Magnet Machines for Wind Power Applications, IEEE Access, Vol. 8, pp. 216543-216565DOI
12 
A. Selema, 2020, Development of a Three-Phase Dual-Rotor Magnetless Flux Switching Generator for Low Power Wind Turbines, IEEE Trans. Energy Convers., Vol. 35, No. 2, pp. 828-836DOI
13 
W. Gul, Q. Gao, W. Lenwari, 2020, Optimal Design of a 5-MW Double-Stator Single-Rotor PMSG for Offshore Direct Drive Wind Turbines, IEEE Trans. Ind. Appl., Vol. 56, No. 1, pp. 216-225DOI
14 
F. Meier, 2008, Permanent-Magnet Synchronous Machines with Non-Overlapping Concentrated Windings for Low-Speed Direct-Drive Applications, Doctoral Thesis, Vol. royal institute of technology, No. StockholmGoogle Search
15 
Sang-Moon Hwang, 2000, Cogging torque and acoustic noise reduction in permanent magnet motors by teeth pairing, IEEE Trans. Magn., Vol. 36, No. 5, pp. 3144-3146DOI
16 
JAE-Nam Bae, 2010,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achine Design through an Automatic Selection of the Specific Loadings, Ph.D. Thesis, Dept. Elect. Eng., Vol. hanyang univ., No. seoul, republic of koreaGoogle Search

저자소개

강준호(Junho Kang)
../../Resources/kiee/KIEE.2023.72.8.897/au1.png

2019년: 충북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2019년~현재: 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석박통합과정

Tel: 02-2220-0349

E-mail : rwg1783@hanyang.ac.kr

김정원(Jeongwon Kim)
../../Resources/kiee/KIEE.2023.72.8.897/au2.png

2019년: 동국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2019년~현재: 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석박통합과정

Tel: 02-2220-0349

E-mail : kjw0427@hanyang.ac.kr

윤인열(Inyeol Yun)
../../Resources/kiee/KIEE.2023.72.8.897/au3.png

2020년: 경일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2020년~현재: 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석박통합과정

Tel: 02-2220-0349

E-mail : tadogo@hanyang.ac.kr

안정호(Jungho Ahn)
../../Resources/kiee/KIEE.2023.72.8.897/au4.png

2020년: 대구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2020년~현재: 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석박통합과정

Tel: 02-2220-0349

E-mail : ahnleo@hanyang.ac.kr

원성홍(Sunghong Won)
../../Resources/kiee/KIEE.2023.72.8.897/au5.png

1993년: 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1995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1995~2004년: CAE 삼성전기 중앙연구소 그룹

2007년: 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박사)

2007~2008년: BK21 한양대학교 연구교수

2009~현재: 동양미래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

Tel: 02-2610-5180

Fax: 02-2610-1854

E-mail : sagewide@dongyang.ac.kr

이주(Ju Lee)
../../Resources/kiee/KIEE.2023.72.8.897/au6.png

1986년: 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1988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1988~1993년: 국방과학연구소 연구원

1997년: 일본 큐슈대학교 System 정보과학연구과 졸업(박사)

1997년: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1997년~현재: 한양대학교 전기생체공학부 교수

Tel: 02-2220-0342

E-mail : julee@hanyang.ac.kr

김현우(Hyunwoo Kim)
../../Resources/kiee/KIEE.2023.72.8.897/au7.png

2017년: 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2019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2022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박사)

2022년~현재: 동 대학원 박사 후 과정

Tel: 02-2220-0349

E-mail : khw7481@han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