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K-water), Korea.)



Recurrent Neural Network, Power Generation Prediction, Floating Photovoltaic, LSTM, AI

기호 및 약어

FER : Forecasting Error Rate

FPV : Floating Photovoltaic

MAE : Mean Average Error

MAPE : Mean Average Percentage Error

MSE : Mean Square Error

Output : 발전출력

Output_prediction : 발전출력 예측

Test : 예측

Test_MAE : 예측 평균오차

Train : 훈련

Train_MAE : 훈련 평균오차

Y_test : 예측발전량 실제값

Y_test_prediction : 예측발전량 예측값

Y_train : 훈련발전량 실제값

Y_train_prediction : 훈련발전량 예측값

1. 서 론

재생에너지 3020 등 정부정책에 따라 태양광 발전 및 풍력발전의 설치용량이 증가하였으며, 기상에 따른 발전량 변동은 전력계통의 불안정성을 야기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이러한 재생에너지 발전량의 예측은 매우 중요하다(1). 따라서 정부는 신재생에너지를 체계적으로 관리를 위해 소규모 전력중개시장을 개설하였고,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제도를 도입하여 예측정확도에 따라 정산금을 지급하는 제도를 시행 중이다. 태양광 발전량 예측 방법에는 통계적 접근방식과 머신러닝을 이용한 접근방식이 있고, 통계적인 접근 방식은 자기회귀(Auto regressive) 모형, 이동평균(Moving average) 모형 그리고 두 가지를 결합하여 이용하는 회귀이동평균(ARIMA) 모형이 사용된다(2). 머신러닝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성공적으로 적용되는 가운데, 머신러닝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량 예측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3). 순환신경망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량 예측 모델 설계에 관한 연구(2019)(4), LSTM(Long Short Term Memory) 기반한 일사량 예측에 관한 연구(2021)가 있었고(5), 순환신경망을 이용한 수상태양광의 일일간 발전량을 예측 연구(2022)는 일사량과 온도를 포함한 취득된 12개 데이터를 이용하였다(6). 순환신경망으로 발전량을 예측하는 경우 연산속도는 신속한 GRU (Gated Recurrent Unit) 보다 정확도에서 더 높은 LSTM을 이용하는 것이 더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6). 본 논문에서는 머신러닝의 하나인 순환신경망 LSTM을 이용하여 시간별로 수상태양광 발전량을 예측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기존 취득된 데이터를 모두 이용하지 않고 발전량과 연관성이 높은 데이터를 선정하고, 순환신경망 LSTM으로 발전량 예측모델을 생성한다. 실제 운영 중인 수상태양광 발전소를 대상으로 생성된 모델을 이용하여 기상청 일사량 온도 예보데이터만을 입력하여 시간별 발전량 예측을 수행하였고 전력거래소에서 제시하는 오차율을 만족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2. 기상예보데이터로 충주태양광 발전량 예측

2.1 발전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방법 선정

수상태양광의 발전량을 예측 연구(2022)에서 사용된 12개 데이터는 일사량, 온도, 강우량 풍속, 운량 등의 데이터를 포함한다(2). 50[kW] 수상태양광 발전출력과 다른 변수와의 상관계수를 보면 경사 일사량(0.95) 모듈 온도(0.56), 외기온도(0.21) 순서이다(3). 태양광 모듈 온도는 예측의 선행지표가 아니므로 발전량 예측을 위해 상관계수가 낮은 많은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보다 경사 일사량과 외기온도를 활용이 실용적이다. 머신러닝의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SVR(Support Vector Regression) 등이 있다. 최근에는 하드웨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데이터 연산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RNN(Recurrent Neural Network), LSTM과 같은 방법이 발전량 예측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LSTM은 MLP (Multi-Layer Perceptron)과 달리 은닉층에서 과거에 학습된 결과를 현재 시점에 반영할 수 있으므로 시계열 데이터 예측에 효과적이다(4). 본 논문에서는 LSTM을 적용하여 수상태양광의 발전량을 예측한다.

2.2 예측값과 실제값의 비교

오차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MAE(Mean Average Error), MAPE(Mean Average Percentage Error)가 있으며 MAE는 식 (1)과 같다. 재생에너지 예측오차율(FER: Forecasting Error Rate)에 대해서는 전력시장운영규칙에서 예측발전량과 전력거래량의 차이의 절댓값을 식 (2)와 같이 백분율(%)로 표현한 것을 말한다(5).

(1)
$MAE =\dfrac{\sum_{i=1}^{n}\left | y_{i}-x_{i}\right |}{n}=\dfrac{\sum_{i=1}^{n}\left | e_{i}\right |}{n}$

여기서, $y_{i}$는 실측값, $x_{i}$는 예측값, $e_{i}$는 에러값을 나타낸다.

(2)
\begin{align*} FER_{i,\:n,\:t}=\dfrac{\left |(FGM_{i,\:n,\:t}+FGA_{i,\:n,\:t})-(MGOM_{i,\:t}+MGOA_{i,\:t})\right |}{ICM_{i,\:t}}\\ \times 100(\%),\: n=1,\:2 \end{align*}

여기서, FERi,n,t는 차수 및 시간대별 예측오차율, FGM은 주요자원 예측발전량, FGA는 예측발전량, MGOM은 전력거래량, MGOA는 보조자원 및 전력거래량, ICMi,t는 시간대별 설비용량을 나타낸다.

2.3 일사량, 온도를 이용한 발전량 예측모델

측정된 데이터 기반으로 만들어진 예측모델은 풍속, 모듈 온도, 주위온도, 일사량계 등의 값을 포함한다. 이러한 데이터들의 예보가 가능할 경우 발전량 예측이 가능하고 예보의 정확도가 높을수록 예측발전량의 오차가 적다. 실제로 발전량을 예측할 때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는 기상청의 예보데이터이며 발전량 예측에 유의미한 데이터는 일사량, 온도, 풍속, 강수량, 운량 등이 있다. 그러나 풍속은 예측 정확도가 낮고 강수량 및 운량의 영향에 관한 결과는 일사량에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쉽게 취득할 수 있는 일사량과 온도 두 가지 데이터로 모델을 만들어 예측하는 것이 실용적이고 쉽다. 표 1과 같이 발전량에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일사량과 온도를 이용하여 수상태양광 발전량 예측모델을 생성하였으며, 분석에 활용된 데이터는 표 2와 같이 16개월 기간의 데이터이다.

표 1. 기상청 데이터의 2개 입력 데이터

Table 1. Two input data of KMA

구 분

입력데이터

기상청 예보

댐일사량, 온도

표 2. 충주 수상태양광의 Train과 Test 기간

Table 2. Train & Test periods of Chungju FPV

항목

기 간

월수

전체기간

2019년 1월 1일~2020년 4월 01일

16

Train 기간

2019년 1월 1일~2019년 12월 31일

12

Test 기간

2020년 1월 1일~2020년 3월 31일

3

모델을 생성할 때 다른 단위 변수(발전량, 일사량, 풍속)를 비교하기 위해 변수 Scale에 대한 정규화가 필요하다. 변수 간 상대비교를 위해 Scaler를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MinMaxScaler, StandardScaler, RobustScaler 3가지 방식을 사용한다. MinMaxScaler의 방식은 데이터의 최솟값을 0, 최댓값을 1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발전량 예측모델(Model)을 만든 후 발전량 예측(Prediction)을 하나의 프로젝트 파일 안에서 순차적으로 수행하면 입력데이터의 Scaler 변환의 일관성에 관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모델을 만든 후 예측을 별도로 수행하면, 예측을 수행할 때마다 변환이 되면 기존 모델의 Scale이 다르게 되어 정확한 변환 값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모델과 예측에 사용하는 데이터를 표 3과 같이 동일한 Scale을 만들기 위해 Per Unit(PU)법을 이용하여 동일한 기준으로 변환한 후 모델을 만들었고 예측을 수행하였다. 충주 FPV의 1[PU] 기준은 표 3과 같이 발전량은 발전설비용량 3MW를 기준으로 하였고 일사량은 1,060W/m2, 온도는 50°C 기준으로 한다.

표 3. 테이입력 데이터 Scale 변환 방법블

Table 3. Scale conversion method of input data

항목

Per Unit

비교

발전량

발전량 / 3000

설비용량 3,000kW

일사량

일사량 / 1060

일사량 1,060W/m2

온도

온도 / 50

온도 50°C

Train(훈련)과 Test(예측)의 결과를 비교했을 때 Train은 양호한 결과이지만 Test에서 낮은 정확도를 나타내는 것을 과대적합이라 한다. 과소적합은 Train과 Test에서 정확도는 차이는 없지만 모두 정확도가 낮은 경우를 나타낸다(6). 표의 세로 항목 Activation~Sequence까지 하이퍼 파라미터는 고정하고 가로 LSTM 은닉층 수(Hidden layer)단계를 2~128로 LSTM layer를 변경하면서 수행한 오차 결과를 표 4의 하단 Train_MAE(훈련 평균오차), Test_MAE(예측 평균오차)로 나타낸다. LSTM 은닉층 수(Hidden layer)를 변화시키면서 반복 수행한 결과 Layer(32, 16)가 Train_MAE와 Test_MAE가 결괏값의 차이가 크지 않고 정확도가 높아 과대적합과 과소적합의 문제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표 4. 충주 FPV의 LSTM layer 변경에 따른 MAE 결과

Table 4. MAE results of changing LSTM layers at Chungju FPV

항목

LSTM layer 1, 2

128

64

32

16

8

4

64

32

16

8

4

2

Activation

Tanh

Dropout_ratio

0.1

Optimizer

Nadam

Batch_size

100

Epoch

200

Sequence

24

Train_MAE

0.026

0.028

0.031

0.034

0.038

0.042

Test_MAE

0.031

0.032

0.032

0.033

0.036

0.040

반복 학습에 대한 파라미터인 Epoch는 학습데이터가 신경망을 통과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100 Epoch는 학습데이터가 신경망을 100번 통과하는 것을 나타낸다(7). Epoch를 100~500으로 조정하면서 수행한 결과는 표 5와 같이 Epoch가 300일 때 과대적합 없이 Test_MAE의 값이 가장 양호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5. 충주 FPV의 Epoch 변경에 따른 MAE 결과

Table 5. MAE results of changing Epochs at Chungju FPV

항목

Epoch

50

100

200

300

400

Model 1

32 layer

Model 2

16 layer

Activation

Tanh 

Dropout_ratio

0.1

Optimizer

Nadam

Loss

Mean_squared_error

Sequence

24

Batch_size

100

Train_MAE

0.039

0.034

0.032

0.030

0.026

Test_MAE

0.038

0.033

0.032

0.031

0.034

시간별 발전량을 예측하기 위해 예측하고자 하는 시간의 이전 몇 시간 단위로 모델을 만들지 결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시간별 예측을 위해 이전 6시간~36시간 연속한 단위(Sequence)로 분석한 결과는 표 6과 같이 24시간 연속한 단위에서 Test_MAE가 가장 낮은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표 6. 충주 FPV의 Sequence에 변경에 따른 MAE 결과

Table 6. MAE results of changing sequences at Chungju FPV

항목

Sequence

6

12

18

24

30

36

Model 1

32 layer

Model 2

16 layer

Activation

Tanh

Dropout_ratio

0.1

Optimizer

Nadam

Loss

Mean_squared_error

Batch_size

100

Epoch

300

Train_MAE

0.039

0.033

0.032

0.029

0.029

0.028

Test_MAE

0.034

0.030

0.031

0.030

0.031

0.030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는 신경망 은닉층(Hidden layer)에 사용되는 함수로서 레이어(Layer)에서 다음 레이어로 보내지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8). 인공신경망의 은닉층 활성화 함수 변경에 따른 결과는 표 7과 같이 Tanh가 가장 양호한 결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본 논문의 예측모델에 대한 활성화 함수는 Tanh로 선정하였다.

표 7. 충주 FPV의 Activation에 변경에 따른 MAE 결과

Table 7. MAE results of changing activation at Chungju FPV

항목

Activation

ReLU

Sigmoid

Tanh

Elu

Selu

Model 1

32 layer

Model 2

16 layer

Dropout_ratio

0.1

Optimizer

Nadam

Loss

Mean_squared_error

Batch_size

100

Epoch

300

Sequence

24

Train_MAE

0.032

0.038

0.028

0.030

0.027

Test_MAE

0.036

0.036

0.031

0.033

0.031

모델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하이퍼 파라미터 조합의 탐색이 필요하며 하이퍼 파라미터 적정화(Hyper Parameter Reasonable Optimization)를 위해 Optimizer 변경을 수행하였고 Nadam optimizer가 가장 양호한 결과가 도출되는 것을 표 8을 통해 알 수 있다.

표 8. 충주 FPV의 Optimizer 변경에 따른 MAE 결과

Table 8. MAE results of changing optimizer at Chungju FPV

항목

Optimizer

Nadam

adam

SGD

RMS

Prop

Ada

Delta

Model 1

32 layer

Model 2

16 layer

Activation

Tanh

Dropout_ratio

0.1

Loss

Mean_squared_error

Batch_size

100

Epoch

300

Sequence

24

Train_MAE

0.030

0.028

0.095

0.115

0.029

Test_MAE

0.031

0.032

0.107

0.128

0.031

한 번에 연산을 묶음으로 수행하는 Batch의 설정값을 변경하면서 얻은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9. 충주 FPV의 Tanh일 때 Batch 변경에 따른 MAE 결과

Table 9. MAE results of changing Batch with Tanh at Chungju FPV

항목

Batch

200

100

70

50

30

Model 1

32 layer

Model 2

16 layer

Activation

Tanh 

Dropout_ratio

0.1

Optimizer

Nadam

Epoch

300

Sequence

24

Train_MAE

0.032

0.028

0.027

0.027

0.023

Test_MAE

0.032

0.031

0.030

0.032

0.030

활성화 함수가 Tanh이고, Epoch 300일 때 Batch는 70인 경우에 가장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입력 데이터를 설정한 확률적으로 이용하지 않게 하여 과대적합을 방지하고 예측능력을 향상하는 목적으로 드롭아웃(Dropout)이 도입되었으며(9), 이는 신경망에 뉴런의 사용하지 않는 범위를 설정하여 과대적합을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Dropout에 대한 분석한 결과는 표 10과 같으며, Dropout 0.15일 때 오차가 가장 낮은 결과가 도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10. 충주 FPV의 Tanh, Batch 70일 때 Dropout 따른 결과

Table 10. MAE results of changing Dropout variations when Tanh & Batch 50 at Chungju FPV

항목

Dropout

0.1

0.15

0.2

0.25

0.3

Model 1

32 layer

Model 2

16 layer

Activation

Tanh

Optimizer

Nadam

Loss

Mean_squared_error

Batch_size

70

Epoch

300

Sequence

24

Train_MAE

0.030

0.027

0.030

0.029

0.033

Test_MAE

0.035

0.030

0.032

0.032

0.035

위의 하이퍼 파라미터를 변경한 것을 바탕으로 표 11과 같이 적정(Reasonable) Setting 값을 선정하였다.

표 11. 충주 FPV의 Batch 70, Epoch 300일 때 Tanh 적정 설정값

Table 11. Reasonable parameter values for Batch 70, Epoch & Tanh at Chungju FPV

항목

Reasonable setting

Model 1

32 layer

Model 2

16 layer

Activation

Tanh

Dropout_ratio

0.15

Optimizer

Nadam

Loss

Mean_squared_error

Epoch

300

Batch_size

70

Sequence

24

Train_MAE

0.028

Test_MAE

0.032

적정 setting에 따라 Train 기간의 Y_train(훈련발전량 실제값)과 Y_train_pred(훈련발전량 예측값)의 결과는 그림 1과 같이 패턴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3개월간의 Test 기간의 결과는 그림 2와 같이 Y_test(예측발전량 실제값)와 Y_test_pred(예측발전량 예측값)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 충주 FPV의 Y_train and Y_train_prediction의 비교

Fig. 1. Comparison between Y_train and Y_train_prediction at Chungju FPV

../../Resources/kiee/KIEE.2023.72.8.904/fig1.png

그림. 2. 충주 FPV의 Y_test and Y_test_prediction의 비교

Fig. 2. Comparison between Y_test and Y_test_prediction at Chungju FPV

../../Resources/kiee/KIEE.2023.72.8.904/fig2.png

Test 기간 하루평균 오차와 FER은 표 12와 같이 전력시장운영규칙의 재생에너지 FER의 기준인 5% 이하를 만족하는 양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표 12. 충주 FPV의 FER 예측 결과

Table 12. FER prediction results at Chungju FPV

구 분

MAE

MSE

1일 MAPE

FER

LSTM

Train

0.028

0.0043

13.9

2.8

Test

0.032

0.0049

36.1

3.2

1일 MAPE는 하루의 실제 발전량과 예측발전량의 총량을 비교한 값으로 Test 값에서 오차가 크게 나타나며. 실용적으로 사용하는 FER 에서는 Test 오차가 3.2%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비 오는 날과 같이 일사량이 적은 경우의 MAPE와 FER을 비교하면 전체 발전량의 총량이 적어서 MAPE의 오차가 크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나 FER의 경우 식 (1)과 같이 시간대별 설비용량으로 나눈 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사량이 적은 날의 경우 분자인 발전량이 적어지고 분모는 시간대별 설비용량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오차가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2.4 기상 데이터로 충주 FPV 발전량 예측

생성된 예측모델을 가지고 기상청 예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충주 FPV 발전량 예측을 수행하였다. 사용된 예측 데이터는 2021년 10월 1일부터 2021년 11월 30일까지 기상청 일사량, 온도 예보데이터이다. 예측 결괏값은 표 13과 같이 하루평균 일사량의 오차가 15.7%가 되지만, 발전량 예측의 1일 오차는 22.0%이고 FER은 4.4%이다. 따라서 기상청 예보데이터로 발전량을 예측한 결과는 전력거래소 FER 기준치 5% 이내를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출력(Output)과 발전출력 예측값(Output_prediction)의 비교한 결과는 그림 3과 같다.

표 13. 충주 FPV의 기상청 예보데이터를 이용한 발전량 예측 결과

Table 13. Power generation prediction results using meteorological agency forecast data at Chungju FPV

구분

MAE

MSE

1일

MAPE

오차[%]

LSTM

0.042

0.006

22.0

1일 평균 예측 오차율 (FER)

4.4

1일 평균 일사량오차

15.7

그림. 3. 충주 FPV의 기상청 예보데이터를 이용한 출력예보와 실제출력 비교

Fig. 3. Comparison between output and output_prediction with KMA forecast data at Chungju FPV

../../Resources/kiee/KIEE.2023.72.8.904/fig3.png

3. 기상예보데이터로 합천 FPV 발전량 예측

본 절에서는 2절에서의 수상태양광 발전량 예측모델의 생성 방법과 동일하게 합천 수상태양광 발전소를 대상으로 발전량을 예측을 수행하였다.

3.1 일사량, 온도를 이용한 합천 FPV 발전량 예측

합천의 분석 자료는 표 14와 같이 35개월의 데이터로 분석한다.

표 14. 합천 수상태양광의 Train과 Test 기간

Table 14. Train & Test periods of Hapcheon FPV

항 목

기 간

월수

전체기간

2019년 1월 1일~2021년 11월 30일

35

Train 기간

2019년 1월 1일~2021년 06월 30일

30

Test 기간

2021년 7월 1일~2021년 11월 30일

5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는 실용성과 용이성을 고려하여 표 1과 같이 발전량에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일사량과 온도를 이용하여 발전량을 예측하였다. 발전량 예측 결과 비교를 위해 발전량은 거래용 전력량계의 시간별 거랫값을 사용하였고 일사량은 발전소의 일사량계, 온도는 발전소 온도를 사용하였다. 2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합천댐 하이퍼 파라미터의 적정 값을 선정하기 위해 LSTM layer, Epoch, 연속한 단위(Sequence) 시간, 활성화 함수, Optimizer, Batch, Dropout을 변경하면서 얻은 적정 설정값은 표 15와 같다.

적정 setting에 따라 Test 기간의 Y_train과 T_train_pred의 결과는 그림 4과 같이 패턴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15. 합천 FPV의 Batch 70, Epoch 250일 때 Tanh 적정 설정값

Table 15. Reasonable parameter values for Batch 70, Epoch 250 & Tanh at Hapcheon FPV

항 목

Reasonable setting

Model 1

16 layer

Model 2

8 layer

Activation

Tanh

Dropout_ratio

0.15

Optimizer

Nadam

Loss

Mean_squared_error

Sequence

24

Batch_size

70

Epoch

250

Train_MAE

0.035

Test_MAE

0.038

그림. 4. 합천 FPV의 Y_train and Y_train_prediction의 비교

Fig. 4. Comparison between Y_train and Y_train_prediction at Hapcheon FPV

../../Resources/kiee/KIEE.2023.72.8.904/fig4.png

2021년 7월에서 2021년 11월까지 5개월간의 Test 기간 결과는 그림 10과 같이 Y_test와 Y_test_pred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5. 합천 FPV의 Y_test and Y_test_prediction의 비교

Fig. 5. Comparison Between Y_test and Y_test_prediction at Hapcheon FPV

../../Resources/kiee/KIEE.2023.72.8.904/fig5.png

Test 기간 하루평균 오차와 FER은 표 16과 같이 전력시장운영규칙의 재생에너지 FER의 기준인 5% 이하를 만족하는 양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표 16. 합천 FPV의 FER 예측 결과

Table 16. FER prediction results at Hapcheon FPV

구 분

MAE

MSE

1일 MAPE

FER

LSTM

Train

0.036

0.006

22.2

3.9

Test

0.038

0.006

21.8

4.0

3.2 기상 데이터로 합천 FPV 발전량 예측

2021년 10월 1일부터 2021년 11월 30일까지 기상청 일사량, 온도, 예보데이터 이용하여 생성된 합천 예측모델로 발전량 예측을 하였다. 예측 결괏값은 표 17과 같이 FER은 4.4%로 기준치 5% 이하를 만족한다. 태양광 Output과 Output_prediction을 비교한 결과는 그림 6과 같다. 

표 17. 합천 FPV의 기상청 예보데이터를 이용한 발전량 예측 결과

Table 17. Power generation prediction result using meteorological agency forecast data at Hapcheon FPV

구분

MAE

MSE

1일

MAPE

오차[%]

LSTM

0.041

0.007

19.7

1일 평균 예측 오차율 (FER)

4.3

1일 평균 일사량오차

11.8

그림. 6. 합천 FPV의 기상청 예보데이터를 이용한 출력예보와 실제출력 비교

Fig. 6. Comparison Between output and output_prediction with meteorological agency forecast data at Hapcheon FPV

../../Resources/kiee/KIEE.2023.72.8.904/fig6.png

3.3 기상 데이터로 예측 결과 분석

충주와 합천 수상태양광에 대하여 기존 측정된 데이터를 가지고 각각의 모델을 만들어서 예측을 수행하였고 사용된 데이터 기간은 표 18과 같다.

표 18. 충주와 합천 수상태양광의 Train과 Test 기간

Table 18. Train & Test periods of Chungju & Hapcheon FPV

항 목

충 주

합 천

전체기간(월)

16

35

Train 기간(월)

12

30

Test 기간(월)

3

5

설치 연도

2017

2012

시설용량[kW]

3000

500

적정 설정값을 찾기 위해 LSTM layer 변경, Epoch, Sequence 등의 값을 변경하면서 수행한 결과, 적정 설정값은 표 11(충주), 표 15(합천)와 같다. 두 모델의 설정값의 차이는 Epoch 설정에서 충주는 300, 합천은 250으로 큰 차이는 없다. 이처럼 만생성된 모델로 기상예보 데이터를 가지고 충주와 합천 FPV 발전량을 예측을 수행하였고, 실제 발전량 비교한 오차율은 표 19과 같다.

표 19. 충주와 합천 FPV의 기상청 예보데이터를 이용한 발전량 예측 결과

Table 19. FER prediction results at Chungju & Hapcheon FPV

구분

MAE

오차[%]

모델 Train

모델

Test

예측

충주

0.028

0.032

0.042

1일 평균 예측오차율 (FER)

4.4

일 평균 일사량 오차

15.7

합천

0.035

0.038

0.041

1일 평균 예측오차율 (FER)

4.3

1일 평균 일사량 오차

11.8

표 18에서 분석 전체기간이 합천(35개월)이 충주(16개월)보다 2배 크지만, 모델 Train 결과는 충주(0.028)의 오차가 작고, 모델 Test 결과도 충주의 에러(0.032)가 합천(0.038)보다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합천 수상태양광은 2012년도에 설치되었고 충주 수상태양광은 비교적 최근인 2017년에 설치되어, 충주 수상태양광 데이터의 신뢰성이 높고 고장데이터의 정확한 기록 또한 영향이 있는 것에 기인한다고 판단된다. 기상예보 데이터 기반의 예측모델에 대한 오차 결과는 큰 차이는 없으나 합천의 FER이 4.3%로 충주 4.4%보다 오차가 적다. 모델 결과에서는 충주가 우수하였으나 기상청 예보데이터를 이용한 발전량 예측은 합천 수상태양광 대상의 결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합천에 가까운 함양군 기상국(26km)은 충주에서 가장 인접한 원주기상국(46km)보다 더 인접하여 하루평균 일사량 오차가 합천이 11.8%로 충주 15.7%보다 더 정확한 일사량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4. 결 론

기상청의 예보데이터를 이용하여 두 개의 수상태양광 발전량 예측을 분석한 결과 모델의 정확도는 최근에 설치되어 신뢰성이 높은 데이터가 있는 충주(오차 0.032)가 합천(오차 0.038) 모델 Test 오차에서 우수하였으나, 일사량의 예측 정확도는 기상국인 인접한 합천(오차 11.8%)이 충주(오차 15.7%) 우수하다. 발전량의 정확한 예측을 위해 모델을 정확도가 높아야 하고 또한 예측일사량의 정확도가 높아야 좀 더 정확한 발전량 예측을 할 수 있다. 합천의 경우 모델의 정확도가 충주보다 낮지만, 일사량의 오차가 적어서 비슷한 예측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충주 FPV의 FER은 4.4%이고 합천 FPV의 FER은 4.3%로 두 수상태양광 모두 전력거래소에서 FER 5% 이하로 기준을 만족하는 양호한 모델이라 할 수 있다. 두 모델에서 제시된 적정 설정값은 거의 같으므로 다른 수상태양광 발전량 예측모델을 만들 때 기준자료로 참고하여 활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References

1 
M. A. Delucchi, M. Z. Jacobson, 2011, Providing All Global Energy with Wind, Water, and Solar Power, part ii: Reliability, System and Transmission Costs, and Policies, Energy policy, Vol. 39, No. 3, pp. 1170-1190DOI
2 
Hyesook Son, Seokyeon Kim, Yun Jang, 2020, LSTM-based 24-Hour Solar Power Forecasting Model using Weather Forecast Data,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Vol. 26, No. 10, pp. 435-441DOI
3 
Jae-Young Oh, Yong-Geon Lee, Gibak Kim, 2020, Improvement of Solar Power Forecasting Using Interpret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1111-1116DOI
4 
Hanho Kim, Haesung Tak, Hwan-gue Cho, Jun 2019, Design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with Recurrent Neural Network, Journal of KIISE, Vol. 46, No. 6, pp. 506-514DOI
5 
Minseok Kim, Seunghwan Jung, Jonggeun Kim, Hansoo Lee, Sungshin Kim, 2021, A Study on Solar Radiation Forecasting Based on Long Short-term Memory Considering Hourly Weather Chang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pp. 88-94DOI
6 
Ogeuk Kwon, Soohyun Choi, Hyunsik Jo, Hanju Cha, 2022, The Prediction of a Floating Photovoltaic Generation Utilizing RNN,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71, No. 8, pp. 1126-1134DOI
7 
Kwangsoon Kim, Feb 2019, Optimum Design of ESS Capacity Converged with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hD thesis, pp. 71DOI
8 
Baekcheon Kim, Seunghwan Jung, Feb 2020, Solar Power Generation Forecasting Based on LSTM Considering Weather Condition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ol. 30, No. 1, pp. 7-12DOI
9 
Korea Power Exchange, Dec. 2021., Power Market Operating Regulation, Article 12-2 of Chapter 14DOI
10 
Hangsang Jung, Feb 2021,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Considering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Floating Photovoltaic System, PhD thesis, pp. 86-92DOI
11 
Young-seung Lee, Feb 2022, Long and Short Term Prediction of Rebar Price Using Deep learning and Related Techniques, PhD thesis, pp.79DOI
12 
Yoojin Park, Joonwoong Na, Hyejoo Kim, 2021, Dynamic Response Improvement of Boost Converter with Neural Network,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pp 8DOI
13 
Young-seung Lee, Feb 2022, Long and Short Term Prediction of Rebar Price Using Deep Learning and Related Techniques, PhD thesis, pp. 79DOI

저자소개

권오극 (Ogeuk Kwon)
../../Resources/kiee/KIEE.2023.72.8.904/au1.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Korea, in 1998 and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Arizona State University, in 2011.

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 the Ph.D. degree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urrently, he serves as a General Manager of K-water.

홍현표 (Hyunpyo Hong)
../../Resources/kiee/KIEE.2023.72.8.904/au2.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from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in 2014.

Currently, he serves as a Manager of K-water.

조현식 (Hyunsik Jo)
../../Resources/kiee/KIEE.2023.72.8.904/au3.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in 2011, 2013 and 2017.

Currently, he serves as a Senior Researcher for K-water Research Institute.

차한주 (Hanju Cha)
../../Resources/kiee/KIEE.2023.72.8.904/au4.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1988; the M.S. degree from the Pohang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hang, South Korea, in 1990; and the Ph.D. degree from Texas A&M University, College Station, TX, USA, in 2004, all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1990 to 2001, he was at LG Industrial Systems, Anyang, South Korea, where he was engaged in the development of power electronics and adjustable speed drives.

Since 2005, he has been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South Korea.

He was a Visiting Professor at the United Technology Research Center, Hartford, CT, USA, in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