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The Graduate School of Interdisciplinary Information Studies, The Cyber University of Korea, Korea)



Ultrasound vibrator, Resonance frequency, Impedance, Nonlinear regression, Rational Model

1. 서 론

초음파는 역학적인 파동이기에 매질이나 조직에 대해 동일한 비침습적 특성을 가지는 X-선과는 달리 이온을 전리시키지 않아 부작용이 없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의료진단 및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불필요한 과도한 초음파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인식이 늘어나고 있으며, 국제초음파협회 (World Federation for Ultrasound in Medicine and Biology, WFUMB), 미국 FDA, EU의 ECMUS(European Committee for the Medical Ultrasound Safety) 등에서는 초음파기기의 음향 출력에 대한 한계치를 제시하고 있다.(1) 따라서, 초음파 의료기기를 좀 더 안전하게 공급하고 사용하기 위해서는 초음파 출력의 정확한 측정과 완제품 상태에서의 검증 방법이 꼭 필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인 초음파 출력 에너지 측정 방법은 첫 번째 방사에너지 저울법 두 번째 하이드로폰 음장 주사 방법 세 번째 열역학적 측정 방법 그리고 네 번째로 광-음향 측정 방법이 일반적이며 이들 중에서 음압을 측정하는 방법은 “증류수 내에서 중력이 작용하고 있는 흡음형 표적에 초음파가 입사하여 발생한 중력에 반하는 방사 힘을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질량 단위로 측정하는 중량 분석적(Gravimetric)방법”(2)을 사용한다.

그리고 이 방법을 표준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로 아래 [그림1]과 같은 초음파 방사에너지 측정법 (칼로리 법, 방사 저울을 이용한 음향 파워 측정), 초음파 음압 분포 측정법 (스케닝 법, 하이드로폰을 이용한 음향 진폭 측정)이다.(3)(4)

그림. 1. 초음파 에너지를 측정하는 두가지 방법(1)

Fig. 1. Two methods of measuring ultrasonic energy(1)

../../Resources/kiee/KIEE.2023.72.8.935/fig1.png

1.1 일반적인 초음에너지 측정법의 문제점

(1) 물속에서만 측정이 가능.

대부분의 초음파 장비는 방수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일부 의료기 제품의 경우 특성상 방수가 않되는 경우도 많다.

(2) 단일 진동자만 측정이 가능.

진동자가 인접하여 동시에 구동되면 초음파의 중첩으로 정확한 에너지 측정이 불가능하다.

(3) 진동자와 측정자 사이에 물체가 없어야 함.

진동자와 측정자 사이에는 물체나 반사체가 없어야 한다.

(4) 상용 계측기의 경우 사이즈의 한계가 있음.

상용 제품의 계측기의 경우([그림 3] 참조) 수조의 직경이 11.43cm로 좁아서 일부 제품의 경우 이 방법으로 에너지를 측정하지 못한다.

1.2 이론적 배경 및 목적

본 논문에서는 형태와 특성상 물속이나 일반 상업용 계측기로 초음파 에너지를 측정하지 못하는 초음파 장비의 에너지 측정을 위하여 일반 대기 중에서 측정 가능한 에너지 측정 방법을 제시하려 한다.

그 이론적 배경은 2012년도에 발행된 정보통신 단체표준의 "무선 전력 전송용 초음파 수신 소자의 효율 평가 방법"을 근간으로 하는데 여기서 전력의 효율을 측정하기 위해 초음파 수신 소자의 최소 파라메타로 공진 주파수와 공진 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값을 요구하고 있다.(5) 이렇게 수신부에서 소리 에너지를 보내면 반대편의 수신부에서 이를 받아 전력으로 다시 변환과정을 거치는 무선전송 개념은 1980년대 Cochran이 처음 제안했다.(6) 그리고 2000년대 들어 Kawanabe와 Suzuki가 위 방식으로 전력과 신호를 생체 삽입 의료기기에 무선전력 충전이 가능함을 선보였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30mm 거리에서 1MHz 주파수로 최대 20퍼센트의 효율로 에너지전송이 가능함을 보였다. (7)(8)

이런 초음파 에너지 전송 기법을 근간으로 동일 특성의 초음파 진동자를 수신자로 하고, 임피던스 매칭용 소자는 일반 공기 보다 특성이 좋은 고체형 초음파 젤을 이용하여 조금 더 효율적이고 재현성 높은 초음파 에너지 계측기를 제작할 것이다.

이 기기는 앞서 말한바와 같이 제품 특성상 초음파 에너지를 측정할 수 없는 제품도 최종 생산 완료 후 초음파 출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실제 산업 현장에서 제품의 안전성과 성능 검증을 할 수 있는 실용 장비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기기의 성능 검증의 실현으로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함으로써 초음파 산업의 가치를 높이기 위함이다.

2. 초음파 진동자 데이터 분석

2.1 대기 중 초음파 에너지 측정을 위한 조건

초음파 에너지는 물 뿐만이 아닌 공기 중에서도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으며 환경이 고정된 상태의 경우 이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9)

동일한 에너지로 초음파 에너지를 측정 시 문제가 되는 환경 변수는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진동자 매질의 특성

2) 진동자 간의 거리 및 방향(10)

3) 진동자 사이의 매질 특성

4) 진동자 각각의 임피던스 또는 공진 주파수(11)

첫 번째의 경우 동일한 공정에서 생산한 진동자를 수신용과 발신용으로 나누어 사용한다면 매질 특성에 따른 전기적 특성은 문제없을 것으로 판단되며, 두 번째 와 세 번째 환경은 아래 [그림 2]처럼 수신용 진동자와 발신용 진동자를 고체형 초음파 젤을 사이에 두고 서로 부착하여 사용하게 되면 거리와 방향 그리고 진동자 사이의 매질 특성 또한 해결된다.

그림. 2. 발신/수신 진동자의 고정 방법 및 임피던스 매칭 방법

Fig. 2. The fixed method and impedance matching method of the transmitter / receiver vibrator

../../Resources/kiee/KIEE.2023.72.8.935/fig2.png

그러나 가장 큰 문제는 각기 다른 임피던스에 따른 공진 주파수인데 발신 초음파 진동자마다 동일 출력(기준 장비로 측정한 음압)이지만 서로 다른 주파수로 에너지를 방출하면 수신 초음파 진동자에서 측정하는 에너지 크기는 수신 초음파 진동자의 공진 주파수에 따라 다르게 측정될 것으로 예측된다.

2.2 기준 장비

기준값과 실험값 측정 및 통계화에서 사용할 기준값으로는 [그림 3]와 같이 중량 분석적(Gravimetric) 방법을 사용하는 범용 장비인 UPM-DT-1000PA을 사용한 음압(W) 값을 기준으로 하며, 동일 출력일 때(기준 장비 측정 기준) 각 발신 초음파 진동자의 공진 주파수를 독립변수로 하고, 종속 변수는 수신 초음파 진동자로 측정된 출력값으로 한다. 이 중에서 물을 대신하는 임피던스 매칭 소자는 고체 형태의 초음파 젤을 사용하여 모든 실험에서 같은 특성을 갖는다는 가정하에 실험을 진행한다.

그림. 3. 기준 장비 UPM-DT-1000PA 사양

Fig. 3. Reference Equipment UPM-DT-1000PA Specifications

../../Resources/kiee/KIEE.2023.72.8.935/fig3.png

2.3 기준 장비와 실험 장비의 신뢰성 검증

실험 장비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초음파 파워 변환 시스템(Ultrasonic converter B`D)으로 측정한 전압/전류값이 기준 장비로 측정한 음향 파워(W)값과 유의성 확인하였다. [그림 4]와 같이 고정 주파수(1.24MHz)에서 발신용 초음파 진동자 30개의 출력을 기준 장비로 측정하고, 또한 제작된 초음파 파워 변환 시스템으로 측정하여 두 값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그림. 4. 신뢰성 검증 시스템 구성도

Fig. 4. Reliability Validation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Resources/kiee/KIEE.2023.72.8.935/fig4.png

그림. 5. 음압과 전력 그래프와 상관계수

Fig. 5. Sound Pressure and Power Graphs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Resources/kiee/KIEE.2023.72.8.935/fig5.png

상관계수를 확인한 결과 [그림 5]처럼 상관계수는 0.98, 결정 계수와 조정된 결정 계수 모두 0.95 이상으로 매우 높으며, 회귀분석의 유의한 F 값은 8.08475×10-21, p 값은 6.33548×10-13으로 0.05 보다 매우 작아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된다.

2.4 각 발신 초음파 진동자의 출력 데이터 측정

각 발신 초음파 진동자의 출력 데이터 측정 전 가설로는 발신 초음파 진동자마다 동일 출력이지만, 주파수가 서로 다르면 수신 초음파 진동자가 측정하는 에너지 크기도 서로 다르며 그 특성은 비선형 특성을 가진다는 것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초음파 발진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압 출력이 기준 장비로 측정했을 때 1W(±10\%)가 되도록 초음파 발진 시스템의 입력 전압을 설정하고 이때 초음파 파워 변환 시스템을 통해 출력 전력을 측정한다. 측정 샘플의 수는 100개로 하며 주파수에 따른 전력값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아래 표 1은 측정한 데이터를 통계화하기 위해 전처리 과정으로 중복된 주파수는 평균값을 취하였으며, 주파수 기준으로 내림차순으로 전력값을 정리하였다.

표 1. 동일 음압에서 주파수가 서로 다른 진동자의 전력

Table 1. Power from different frequencies at the same sound pressure

주파수

MHz

전력

W

주파수

MHz

전력

W

주파수

MHz

전력

W

주파수

MHz

전력

W

1.239

1.2154

1.258

(없음)

1.277

6.6899

1.296

2.7625

1.24

1.2711

1.259

(없음)

1.278

7.8553

1.297

(없음)

1.241

1.2755

1.26

(없음)

1.279

8.3593

1.298

(없음)

1.242

(없음)

1.261

3.0210

1.28

8.5187

1.299

(없음)

1.243

(없음)

1.262

3.5325

1.281

9.0259

1.3

(없음)

1.244

(없음)

1.263

3.5864

1.282

9.1004

1.301

(없음)

1.245

1.3333

1.264

3.7142

1.283

8.8719

1.302

(없음)

1.246

1.5194

1.265

3.8357

1.284

8.8075

1.303

(없음)

1.247

(없음)

1.266

4.36

1.285

8.7040

1.304

(없음)

1.248

(없음)

1.267

4.5732

1.286

8.5855

1.305

(없음)

1.249

1.845

1.268

4.7251

1.287

8.2436

1.306

(없음)

1.25

2.0776

1.269

4.7488

1.288

7.8276

1.307

(없음)

1.251

2.1346

1.27

4.8267

1.289

7.1064

1.308

(없음)

1.252

2.6248

1.271

4.8768

1.29

6.09

1.309

(없음)

1.253

2.6062

1.272

5.096

1.291

5.3537

1.31

(없음)

1.254

(없음)

1.273

5.5011

1.292

4.6216

1.311

(없음)

1.255

2.5995

1.274

6.3831

1.293

(없음)

1.312

(없음)

1.256

2.6004

1.275

6.5525

1.294

(없음)

1.313

(없음)

1.257

2.6188

1.276

6.6053

1.295

(없음)

1.314

0.7296

전처리 결과 녹색으로 표시된 주파수의 값이 결손되었으며 특히 1.296~1.314MHz 사이의 값은 결손값이 너무 많아 주파수 범위를 1.239~1.296MHz 사이로 특정하였다. 또한 중간에 결손 값들은 일반적으로 결손된 데이터를 보완하는 평균값, 중간값, 빈도수가 높은값 등의 방법 중에 중간값을 사용하여 결손값을 보완하였다. 결측값의 원인이 Missing Completely at Random(MCAR)이나 Missing at Random(MAR)이 아닌 Missing not at Random(MNAR)으로 입력값의 결손으로 따른 출력값의 결손이므로 중간값을 사용한 결손값 보완을 적용한다.

표 2. 표 1의 결손 주파수 값을 중간값으로 보완한 값

Table 2. Value of defect frequency in Table 1 supplemented by intermediate value

주파수

MHz

전력

W

주파수

MHz

전력

W

주파수

MHz

전력

W

주파수

MHz

전력

W

1.239

1.2154

1.254

2.6028

1.269

4.7488

1.284

8.8075

1.24

1.2711

1.255

2.5995

1.27

4.8267

1.285

8.7040

1.241

1.2755

1.256

2.6004

1.271

4.8768

1.286

8.5855

1.242

1.2900

1.257

2.6188

1.272

5.096

1.287

8.2436

1.243

1.3044

1.258

2.7194

1.273

5.501

1.288

7.8276

1.244

1.3189

1.259

2.8199

1.274

6.3831

1.289

7.1064

1.245

1.3333

1.26

2.921

1.275

6.5525

1.29

6.09

1.246

1.5194

1.261

3.0210

1.276

6.6053

1.291

5.3537

1.247

1.6279

1.262

3.5325

1.277

6.6899

1.292

4.6216

1.248

1.7365

1.263

3.5864

1.278

7.8553

1.293

4.1568

1.249

1.845

1.264

3.7142

1.279

8.3593

1.294

3.6920

1.25

2.0776

1.265

3.8357

1.28

8.5187

1.295

3.2272

1.251

2.1346

1.266

4.36

1.281

9.0258

1.296

2.7625

1.252

2.6248

1.267

4.5732

1.282

9.1004

1.253

2.6062

1.268

4.7251

1.283

8.8719

측정 결과를 그래프로 그리면 [그림 6]과 같이 비선형 출력 특성이 확인된다.

그림. 6. 테스트 시스템으로 측정된 전력값

Fig. 6. Power measured by the test system

../../Resources/kiee/KIEE.2023.72.8.935/fig6.png

3. 측정 데이터의 비선형회귀 분석

3.1 상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회귀식 유추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Python 프로그램을 통한 비선형회귀식 검증 전에 우선 상용 프로그램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CurveExpert Professional”을 이용하여 비선형 회귀식을 확인한 결과 [그림 7]과 같이 “Rational Model”이 974 score로 두 번째 “Steinhart-Hart Equation”의 903 score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 7. CurveExpert Professional로 계산된 결과값

Fig. 7. Results calculated by CurveExpert Professional

../../Resources/kiee/KIEE.2023.72.8.935/fig7.png

3.2 Python을 이용한 비선형회귀식 유추

Python을 이용하여 비선형 회귀식을 유추하고 피팅을 하기 위해 scipy optimize 함수를 사용하였으며 아래 표 3에서 제시한 23가지 모델식에 대해 피팅을 진행하였다.

표. 3. 피팅에 사용한 비선형 회귀식 모델

Table. 3. Nonlinear regression model used for fitting

../../Resources/kiee/KIEE.2023.72.8.935/table3_1.png../../Resources/kiee/KIEE.2023.72.8.935/table3_2.png

우선 모델을 선정하기 위해 각 모델에 실제 데이터와 예측 데이터 사이의 오차(잔차)의 제곱에 대한 평균을 취한 값으로 통계적 추정의 정확성에 대한 질적인 척도를 나타내는 평균제곱오차(MSE)를 계산하였으며, 여기서 MSE가 0에 근접할수록 예측한 값이 원본에 근접한 것이기 때문에 정확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관계수 R과 결정 계수 $R^{2}$도 확인하였는데 상관계수 R는 -1 ≤ R ≤ +1의 값으로 두 변수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척도이며, $R^{2}$는 총 변동 중에서 회귀선에 의해 설명이 되는 변동이 차지하는 비율로 값이 0.65 이상일 경우 회귀식으로서 의미 있는 식이라 할 수 있다.

표 4. 피팅에 사용한 비선형 회귀식 모델에 따른 오차값

Table 4. Error value according to nonlinear regression model used for fitting

NO

Mode

MSE

R

$R^{2}$

1

Asymptotic Regression

2.6997

0.7559

0.5714

2

Density Function

18.1731

0.1697

0.0288

3

18.1704

0.1371

0.0188

4

Gauss Function

2.2996

0.7968

0.6349

5

0.9740

0.9289

0.8629

6

Gompertz Function

2.0560

0.8222

0.6760

7

Johnson Schumagher Function

2.2809

0.7991

0.6386

8

Log Modified Function

2.4852

0.7782

2.4852

9

Log Logistic Function

None

None

None

10

Metcherlich Law of Diminishing Returns

2.6334

0.7628

0.5819

11

Michaelis Menten Function

6.0777

0.7628

0.5819

12

Richards Function

6.2996

-0.7945

0.6313

13

Growth Function

1.8956

0.8378

0.7020

14

Weibull Function

6.2996

None

None

15

근사 회귀분석

2.6334

0.7628

0.5819

16

2.3030

0.7964

0.6344

17

Morgan-Mercer-Florin

1.6943

0.8550

0.7310

18

Peal-Reed

6.2996

None

None

19

3차 모형

0.6827

0.9442

0.6827

20

2차 모형

2.0842

0.8180

0.6691

21

Verhulst

6.2996

0.7945

0.6313

22

Von Bertalanffy

26.0403

None

None

23

Rational Model

0.0598

0.9952

0.9905

3.3 회귀 모델의 선정

회귀 모델 선정은 표4의 MSE와 $R^{2}$ 값에서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는 세 가지 모델 Gauss Function 중 2번째 식, 3차 모형, Rational Model로 선정하였으며, 이 세 가지 모델에 대한 그래프와 오차값을 표 5에 정리해 놓았다. 이 중에서 가우시간 모델은 복수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특성이 좋은 2중 가우시안 모델과 3중 가우시안 모델을 사용하였다.

표 5. 최종 선정된 3가지 모델에 대한 출력 그래프와 오차값

Table 5. Output graphs and error values for the final three selected models

Model

그래프

MSE

R

$R^{2}$

Rational

../../Resources/kiee/KIEE.2023.72.8.935/table5_1.png

0.0598

0.9953

0.9905

이중

가우시안

../../Resources/kiee/KIEE.2023.72.8.935/table5_2.png

0.0527

0.9958

0.9917

삼중

가우시안

../../Resources/kiee/KIEE.2023.72.8.935/table5_3.png

0.0328

0.9974

0.9948

MSE와 $R^{2}$값은 3중 가우시간 모델이 가장 특성이 좋지만 그래프를 보면 다차원 형태로 오버 피팅된 경향이 보여, 이중이나 삼중 가우시안 모델은 회귀 모델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최종 회귀 모델에는 “Rational Model”을 사용하여 회귀 모델의 검증을 실행한다.

3.4 추가 실험

앞에서 실험하고 통계화하여 비선형 회귀식을 유추한 모델은 초음파 진동자마다 공진 주파수일 때 음압이 1W가 되는 전력값만을 산출하는 모델이다. 이 방식은 기준 음압 출력이 결정되어 있는 경우 제품의 출력 보정을 위해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만, 다른 음압일 때는 특성을 알 수 없다. 그러므로 0.5, 1, 1.5, 2, 2.5, 3, 3.5, 4W 음압 대역에 대한 전류 출력값을 1.273MHz와 1.274MHz의 공진 주파수를 갖는 각각 5개씩의 샘플로 추가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10개 샘플의 추세 곡선의 평균 곡선을 아래와 같이 산출하였다.

그림. 8. 음압에 따른 전력 특성 그래프

Fig. 8. Power Characteristics Graph according to Sound Pressure

../../Resources/kiee/KIEE.2023.72.8.935/fig8.png

이 그래프에 대한 비선형 회귀식 유추도 앞에서 진행한 방식과 동일하게 진행한 결과 최종 모델은 Richards 모델로 결정되었으며 오차값은 표6와 같다.

표 6. 비선형 회귀 모델 중 Richards 모델에 따른 오차값

Table 6. Error value according to Richards model among nonlinear regression models

MSE

R

$R^{2}$

0.034175

0.999945

0.999891

3.5 회귀 모델 결정 및 검증

최종적으로 결정된 두 가지 비선형 회귀식을 다시 정리하면 고정 음압에서 주파수 변화에 따른 츨력값 변화를 유추하기 위해 Rational Model로 피팅된 회귀 모델식(1)과 음압에 따른 출력값의 변화를 유추하기 위해 Richards로 피팅된 회귀 모델식(2)로 정리된다.

Rational Model

(1)
$y=\dfrac{a+bx}{1+cx+dx^{2}}=\dfrac{0.03934192-0.0300768x}{1-1.55500346x+0.60455588x^{2}}$

Richards

(2)
$y=\dfrac{a}{(1+e^{b-cx})^{\dfrac{1}{d}}}=\dfrac{11.527472}{(1+e^{0.064117-1.397742x})^{\dfrac{1}{0.460888}}}$

식(1)식(2)를 이용하여 주파수에 따른 음압값을 그래프로 그리면 [그림9]와 같이 표현된다.

그림. 9. 음압값과 주파수에 따른 출력 그래프

Fig. 9. Output Graph by Sound Pressure Value and Frequency

../../Resources/kiee/KIEE.2023.72.8.935/fig9.png

지금까지 실험으로 완성된 두 개의 회귀식의 검증을 위하여 총 5개의 시료를 이용하여 0.5, 1, 1.5, 2, 2.5, 3, 3.5, 4W 음압 대역에 대한 전력을 측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회귀식 계산값과의 오차값과 MSE값을 표7에 정리했으며, 전체 MSE와 $R^{2}$값은 표8에 정리했다.

표 7. 최종 분석 검증 결과값

Table 7. Final analysis verification result value

주파수

음압

전력

계산값

MSE

1.276

MHz

0.5

4.62668

4.5646

0.003853926

1

6.8055

6.9366

0.01718721

1.5

8.406

8.7619

0.12666481

2

10.1405

10.0627

0.00605284

2.5

10.509

10.7293

0.04853209

3

11.092

11.0693

0.00051529

3.5

11.394

11.3126

0.00662596

4

11.48

11.3984

0.00665856

1.278

MHz

0.5

5.5776

5.0819

0.24571849

1

8.189

7.7228

0.21734244

1.5

9.486

9.755

0.072361

2

10.734

11.2032

0.22014864

2.5

10.94

11.9453

1.01062809

3

11.269

12.3239

1.11281401

3.5

12.0398

12.5948

0.308025

4

12.0712

12.6903

0.38328481

1.265

MHz

0.5

2.8638

2.4621

0.16136289

1

4.5136

3.7415

0.59613841

1.5

5.616

4.726

0.7921

2

6.2368

5.4277

0.65464281

2.5

8.4318

5.7872

6.99390916

3

8.618

5.9706

7.00872676

3.5

9.216

6.1018

9.69824164

4

9.4521

6.1481

10.916416

1.241

MHz

0.5

0.98

1.0163

0.00131769

1

1.4457

1.5444

0.00974169

1.5

2.356

1.9508

0.16418704

2

2.9201

2.2404

0.46199209

2.5

3.1651

2.3888

0.60264169

3

3.488

2.4645

1.04755225

3.5

3.7216

2.5187

1.44696841

4

4.1339

2.5378

2.54753521

1.274

MHz

0.5

4.271

4.0661

0.042070112

1

6.368

6.1791

0.03568321

1.5

8.3904

7.8051

0.34257609

2

9.2757

8.9638

0.09728161

2.5

9.6368

9.5576

0.00627264

3

9.954

9.8605

0.00874225

3.5

10.458

10.0772

0.14500864

4

10.725

10.1536

0.32649796

표 8. 최종 분석 검증 오차

Table 8. Final analysis verification error

MSE

R

$R^{2}$

1.19734833291

0.96330315988031

0.92795297783539

4. 분석 결과

본 논문은 초음파 진동자의 출력 에너지를 수중이 아닌 일반 대기 중 환경에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으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음파 진동자를 수신 센서로 하는 초음파 파워 변환 시스템 설계하였으며 기준 장비와 비교 측정하여 음압과 측정된 전력의 상관성과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상관 계수는 0.98, 결정 계수와 조정된 결정 계수 모두 0.95 이상으로 매우 높으며, 회귀분석의 유의한 F 값은 8.08475×10-21, p 값은 6.33548×10-13으로 0.05 보다 작아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2) 각 발신 초음파 진동자의 출력 데이터를 측정하고 전처리 후 1.239 ~ 1.296MHz 사이의 출력값을 표본으로 하여 총 23가지의 비선형 회귀식 모델을 Python을 통해 피팅하고 또한 CurveExpert Professional을 이용하여 73개 모델을 비교하여 회귀 모델의 최적 모델로 Rational Model을 선정하였다. Rational Model의 MSE는 0.0598, $R^{2}$는 0.9905이다.

(3) 피팅 결과 추가적으로 음압 값에 따른 출력값의 회귀 모델이 추가로 필요하여 10개 모델 80개 데이터를 이용하여 CurveExpert Professional을 이용하여 회귀 모델을 결정하였으며, 모델은 Richards 모델로 MSE는 0.0341, $R^{2}$는 0.9998이다.

(4) 최종 검증으로 5개 모델 40개 데이터로 회귀식 모델을 검증하였으며, 검증 결과 MSE는 1.1973, $R^{2}$는 0.9279로 확인되었다. 특히 수신 초음파 진동자의 공진 주파수 영역 근처의 주파수에서는 오차가 현저히 줄어들지만 공진 주파수 영역에서 많이 벗어날수록 오차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 데이터의 오차는 초기 예상한 ±20\%보다 높은 ±22\% 정도로 나왔다.

(6) 이번 연구의 문제점으로 총 네 가지가 확인되었다.

① 수신 초음파 진동자에 따른 편차

② 수신 초음파 진동자 위치에 따른 편차

③ 발신 초음파 주파수 대역 중 일부 고주파 대역 데이터 부족

④ 추가 실험에서 음압에 대한 전력식을 단 두 개의 주파수 대역 샘플로만 산출한 후 전체 주파수 범위로 확대한 것이다.

이로인해 공진주파수에 따라 출력 음압과 출력 전력의 상관관계가 (식2)와 같다는 가정하에 [그림 9]와 같이 그래프로 표현하였지만 실제 검증 결과 1W 대역 근방의 데이터는 주파수와 상관없이 오차가 낮지만 2W가 넘어가면서부터 오차가 대폭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5. 결 론

본 연구에서 설계 제작된 실험 장비(초음파 파워 변환 시스템)는 물을 대신하는 임피던스 매칭 소재로 반 고체형 초음파 젤을 사용하고, 에너지를 측정하는 센서로는 발신 소자와 동일한 초음파 진동자를 적용하여 일반 대기 중에서 초음파 에너지를 측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기준 장비와 실험 장비의 유의성은 상관 계수와 결정 계수 모두 0.95 이상으로 매우 높아 계측의 신뢰성을 확보하였으며, 수신 소자의 임피던스 특성을 고려한 비선형회귀식을 이용한 실험 장비로 계측 및 계산된 음압값과 기준 장비의 음압값 오차를 확인한 결과 초기 예상보다 ±2\% 높은 결과가 나왔다.

초음파 기기의 새로운 에너지 측정 방법에 제시는 새로운 초음파 기기 개발과 안전성에 꼭 필요한 사안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문제점으로 제시된 네 가지 사안에 대한 추가 데이터 수집과 문제점 해결을 위한 연구를 계속 수행할 것이다.

References

1 
Medical Device Review Department, 2015, Guidelines for the Safety of Ultrasound Medical Devices (Complaint Guide).pdfGoogle Search
2 
M. J. Jho, Y. T. Kim, S. Jung, Y. H. Yoon, 2005, Construction of ultrasonic Power Measurement System and Its Performance Evaluation, J. Acoust. Soc. KOREA, Vol. vol 24, No. 8, pp. 431-440Google Search
3 
H. H. Choi, 2011, Study on a performance test for ultrasound simulator basis standard, Inje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TRKO201200007199, Vol. Available at: http://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Report.do?cn=TRKO201200007199Google Search
4 
S. K. Park, K. I. Na, I. H. Moon, J. H. Cha, K. J. Park, 2010, Study on the Standard of Test Method for Estimation of Safety and Performance of Ultrasonic Stimulator for Medical Use, J. Rehabil. Welf. Eng. Assist. Technol., Vol. 4, No. 1, pp. 15-21Google Search
5 
L. Pub., 2012, Evaluation Method of Ultrasonic Receiver Efficiency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pdf, No. TTAK.KO- 10.0632, 16Google Search
6 
G. V. Cochran, M. W. Johnson, M. P. Kadaba, F. Vosburgh, M. W. Ferguson-Pell, V. R. Palmieri, 1985, Piezoelectric internal fixation devices: a new approach to electrical augmentation of osteogenesis, J. Orthop. Res. Off. Publ. Orthop. Res. Soc., Vol. vol 3, No. 4, pp. 508-513DOI
7 
S. Suzuki, S. Kimura, T. Katane, H. Saotome, O. Saito, K. Kobayashi, 2002, Power and Interactive Information Transmission to Implanted Medical Device Using Ultrasonic, Jpn. J. Appl. Phys., Vol. 41, No. 5s, pp. 3600DOI
8 
H. Kawanabe, T. Katane, H. Saotome, O. Saito, K. Kobayashi, 2001, Power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to Implanted Medical Device Using Ultrasonic, Jpn. J. Appl. Phys., Vol. 40, No. 5s, pp. p 3865DOI
9 
W. S. Youm, G. Hwang, W. S. Yang, S. Q. Lee, 2012, Development of Ultrasonic Transducer System for Wireless Power Transfer Part 1 : Transmitter Development, Trans. Korean Soc. Noise Vib. Eng., Vol. 22, No. 9, pp. 845-852DOI
10 
M. Mahmood, S. Mohammed, S. Gharghan, 2019, Ultrasound Sensor-Based Wireless Power Transfer for Low-Power Medical Devices, J. Low Power Electron. Appl., Vol. 9DOI
11 
Y. Li, 2022, An Optimal Design Method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Ultrasoni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uring Communication, Sensors, Vol. vol 22, No. 3, pp. p 727DOI

저자소개

차현우 (Hyun-Woo Cha)
../../Resources/kiee/KIEE.2023.72.8.935/au1.png

received the Master's degree in Informatics from Cyber University of Korea in August 2023. He has been working in hardware development for 22 years at a medical device development company.

His research interests are ultrasound and medical device

장경배 (Kyung-Bae Jang)
../../Resources/kiee/KIEE.2023.72.8.935/au2.png

received the doctor's degree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in 2006.

He is a Professor in the Cyber University of Korea since 2014.

His research interests are machine control and robo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