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Semiconductor and Display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CNN, FFT, Harmonics, High resistance grounding system, Single line-to-ground fault

1. 서 론

배전계통에서 사고의 50~80%는 1선지락고장이다(1). 1선지락고장의 전류는 접지점을 통해 중성선으로 흐르며, 1선지락고장 시 중성선에 흐르는 전류로 1선지락고장 여부를 판정한다.

그림. 1. 3고조파의 특성

Fig. 1.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harmonic

../../Resources/kiee/KIEE.2023.72.9.987/fig1.png

만약 전압원의 왜곡되거나 부하 특성으로 3배수 고조파 성분이 증가하면, 그림 1 (a)와 같이 3배수 고조파는 각상은 동상이므로 누설전류는 계통에서 소멸하지 않는다. 누설전류는 그림 1 (b) 처럼 3배로 중성선에서 영상전류처럼 되기 때문에 1선지락고장을 오검출할 수 있다(2). 기존에는 1선지락고장 오검출을 방지하기 위해 FFT로 다른 주파수는 제외하고 기본파만 추출하여 1선지락고장 여부를 판정하였다.

그림. 2. 기본파, 13 고조파의 12 sampling

Fig. 2. 12 sampling of the fundamental and 13th harmonics

../../Resources/kiee/KIEE.2023.72.9.987/fig2.png

FFT는 Nyquist sampling theorem에 따라 sampling frequency는 신호 대역폭의 2배보다 커야 한다. 실제 산업현장 저압계통의 지락을 감지하기 위해 전원측에 적용된 Earth leakage detector(ELD)에서는 3 고조파를 제거하기 위해 주기당 12회 Sampling을 진행한다.

만약 크기가 1인 13 고조파가 ELD에 관측된다면, 그림 2와 같이 12회 Sampling 한 13 고조파는 기본파와 같게 측정되어 오류가 발생한다. 이는 그림 3과 같이 FFT 결과에서도 나타난다. 또한, Sampling을 늘리면 해결할 수 있지만, 연산량이 증가한다. Sample의 개수가 $N$이면 DFT는 $N$2, FFT는 $N$log2$N$의 연산이 필요하여 Sample의 개수를 무한히 늘릴 수는 없다.

그림. 3. Sampling에 따른 FFT 오차

Fig. 3. Sampling에 따른 FFT 오차

../../Resources/kiee/KIEE.2023.72.9.987/fig3.png

전력 계통 포함된 고조파를 제거하기 위한 연구는 계속되었다. 대표적인 예로는 Passive Power Filter와 Active Power Filter로 나뉘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Passive Power Filter는 L과 C를 통한 일정 무효전력을 공급하여 LC 공진현상을 발생시키면, 특정 차수의 고조파를 접지로 배출하여 계통으로 유입되는 고조파 전류를 저감 시킨다 (3,4). 또한 Active Power Filter는 인버터를 통해 공급되는 고조파 및 무효전력을 측정하여 제어기를 통해 그 역방향의 전류를 생성하여 계통에 공급하므로 계통에 흐르는 대부분 차수의 고조파를 소거시킬 수 있으며 요구되는 무효전력 또한 가변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5,6). 최근 Hybrid Active Power Filter의 연구가 활발하며, Hybrid Active Power Filter는 Passive Power Filter와 Active Power Filter를 동시에 사용하여 고조파를 저감 시킨다. Hybrid Active Power Filter는 Passive Power Filter에서 발생하는 병렬 공진 현상을 억제할 수 있고, 높은 효율 보이며, 큰 대역폭을 가지고 있다(7). 하지만 모든 Filter는 계통에 맞지 않는 소자를 선정하였을 때 제어의 오차, 무효전력의 과보상, 효율 저하, 진상역률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비용과 공간을 고려했을 때 모든 feeder에 설치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최근 Deep learning을 이용한 새로운 1선지락고장 검출 방법이 제안되었다. 소호리액터접지방식에서 사고 위치별 파형으로 CNN을 학습시켜 1선지락고장 여부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8). 또한 고저항 사고 전류 데이터를 시각 데이터로 변환하고 신경망(CNN) 기법을 적용하여 고저항 지락사고를 판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9).

현재의 ELD의 측정방법은 고조파의 종류와 Sample의 수량이 변동되면 측정 결과에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고조파의 발생여부와 Sample의 수량에 영향받지 않는 1선지락 검출 방법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고조파가 포함된 지락전류를 기본파만 추출하기 위해 Deep learning model 중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을 사용하였다. CNN은 이미지 처리에 특화된 Deep learning model 특징을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기에 기존의 방법보다도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파형 이미지를 직접 가공하기 때문에 CNN으로 처리 전에 파형 이미지를 확인하여 계통운영자가 직관적으로 영상전류의 형태를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 제안된 시스템의 모델링 및 CNN 구현

2.1 고저항 접지계통

그림. 4. 고저항 접지계통 단선도

Fig. 4. Single line diagram of HRGS

../../Resources/kiee/KIEE.2023.72.9.987/fig4.png

그림 4는 6.6kV/220V 배전계통 단선도이다. 고저항 접지계통은 최대 지락전류는 중성점의 저항에 관계되며, 본 계통은 저항이 158.8 [Ω]으로 최대 지락전류는 0.8 [A]로 매우 작다(10). 고저항 접지계통에서는 지락전류의 크기가 작으므로 저해상도의 이미지로도 CNN 처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고조파 전류는 단상 시스템에서는 SMPS, 형광등 안정기, 정류회로에서 3, 5, 7, 11, 13 고조파가 발생하며(11), 3상 시스템에서는 6 pulse와 12 pulse 정류회로에서 5, 7, 11, 13 고조파가 발생한다(12).

표 1. 15개 피더의 고조파

Table 1. Harmonics of 15 Feeders

Harmonic number

2

3

4

5

6

7

8

9

10

11

12

Current(%)

0.6

8.6

0.4

21

0.4

9

0.4

3.6

0.4

5.9

0.5

Harmonic number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Current(%)

4.5

0.5

2.2

0.5

3.4

0.6

3

0.7

1.8

0.6

2.2

Harmonic number

24

25

26

27

28

29

30

31

Max

THD

THDMax

Current(%)

0.7

2.1

0.7

2

0.8

2.1

0.8

2.1

64

28

84

표 1그림 4의 220 [V] 계통 중 고조파 전류가 많이 발생한 feeder 15개 고조파의 평균값을 나타낸 것으로 주로 3, 5, 7, 11, 13 고조파가 확인되었다. 위 고조파들은 각 feeder의 부하에 산업계에서 주로 Full wave rectifier, 6 pulse rectifier, 12 pulse rectifier가 사용되기 때문에 발생하였으며, 본 논문에서는 Full wave rectifier, 6 pulse rectifier, 12 pulse rectifier를 이용하여 발생한 고조파에 대해 다룰 예정이다.

그림. 5. 고저항 접지계통 등가회로

Fig. 5. Equivalent circuit of HRGS

../../Resources/kiee/KIEE.2023.72.9.987/fig5.png

그림. 6. 고저항 접지 계통의 1상 누설전류 등가회로

Fig. 6. 1-phase leakage current equivalent circuit of HRGS

../../Resources/kiee/KIEE.2023.72.9.987/fig6.png

그림 5그림 4의 등가회로이다. 그림 6은 고저항 접지 계통에서의 1상의 누설전류의 등가회로이며, 누설전류는 아래 식(1)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림 6의 누설전류를 계산하는데 필요한 매개변수로는 정격 1500kVA ∆-Y 변압기, Z% 7[%], X/R 6, cable F-CV 1X3C 300 [mm2], 절연저항 1000 [MΩ]을 선정하였다.

(1)
$I_{g}=\dfrac{V_{n}}{R_{TR}+R_{cable}+j\omega L_{TR}+j\omega L_{cable}+\dfrac{1}{\dfrac{1}{R_{C0}}+j\omega C_{C0}}}$

표 1의 고조파의 최댓값은 64%이며, 그림 5는 전압에 고조파 성분이 64%일 때, 고조파와 누설전류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누설전류는 cable의 대지 정전용량에 의해 누설되며, 고조파의 차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서론에서 3 고조파의 누설전류는 중성선에서 3배가 관측됨을 확인하였다. 그림 7의 3 고조파의 누설전류는 0.022 [A]이지만, 3배수 고조파는 중성점에서 3배로 관측되기 때문에 0.066 [A]가 되며, 이 값은 최대 지락전류의 8% 이상의 유의미한 값이다. 그래서 기존에는 3 고조파가 제거된 영상전류 검출을 위해 FFT를 활용하였으나, 이는 고조파의 종류와 Sample의 수량이 변동되면 측정 결과가 변할 수 있다.

그림. 7. 고조파에 따른 누설전류

Fig. 7. Leakage current according to harmonics

../../Resources/kiee/KIEE.2023.72.9.987/fig7.png

2.2 제안된 CNN의 입력

CNN의 Input인 지락전류는 실제 현장에서 발생한 고조파(표 1)의 종류를 고려하여 주로 발생하는 1~13 고조파가 조합된 형태로 결정하였다. 지락전류는 지락점의 전압의 왜곡에 영향을 받는다. 전압 왜곡은 전류의 왜곡과 선로임피던스로 결정되며, 전류 THD가 높더라도 전압 THD는 5% 이내로 나타난다(13). 그렇기 때문에 지락전류의 왜곡은 5% 이내이다. 또한 각 고조파의 최대 비율은 30%로 선정하였다. 이는 CNN 처리결과를 계전기에 활용을 위하여 산업계의 일반적으로 계전기 정정방법을 반영하였다. 계전기에 의한 오차 10%와 CT 오차 10%, 그리고 지락전류의 왜곡 5%, 여유율 5%를 적용하여 30%로 하였다. 고조파가 포함된 지락전류에서 $A_{1 \sim 13}$이 각 고조파의 크기를 표현한다면, 1~13 고조파가 함유된 지락전류는 다음 식(2)로 나타낼 수 있다.

(2)
$I_{g}=A_{1}\sin\omega t+A_{2}\sin 2\omega t.......+A_{13}\sin 13\omega t$

$A_{1}$은 기본파이므로 최대 지락전류의 0.8 [A] 이므로 0~0.8 [A]로 선정하였으며, $A_{2 \sim 13}$은 고조파로 최대 지락전류의 30%인 0.3 [A]을 반영하여 0~0.3 [A] 결정하였다. 가능한 많은 고조파의 전류로 실험을 하고자 0.1 [A] 단위로 지락전류를 생성하였다. 지락전류는 실효값이지만 CNN 처리에 사용될 이미지는 순시값이므로 이를 반영하면 $A_{1 \sim 13}$를 아래 식(3)으로 나타낼 수 있다.

(3)
\begin{align*} A_{1}=\sqrt{2}a_{1},\: a_{1}=0,\: 0.1,\: 0.2 ...... 0.8\\ A_{2}=\sqrt{2}a_{2},\: a_{2}=0 ,\: 0.1,\: 0.2 ,\: 0.3\\ .\\ .\\ .\\ A_{13}=\sqrt{2}a_{13},\: a_{13}=0 ,\: 0.1,\: 0.2,\: 0.3 \end{align*}

$A_{1 \sim 13}$을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조합할 수 있는 경우에 수는 9×412으로 150,994,944개이나, 최대 지락전류 0.8 [A]를 초과하는 경우의 수를 제거하면 2,048,626개이다. 영상전류의 값을 나타내는 Class는 최대 지락전류 0.8[A] 0~0.8까지 0.1단위로 총 9개 생성하였다. Class를 소수점 첫째자리로 생성하였으므로 영상전류를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class를 맞춰 주었으며, Class별 수량은 표 2로 나타난다. class imbalance problem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oversampling으로 data의 개수를 Class 당 515,000개로 맞춰 주었다. 모든 파형은 99×99 픽셀의 흑백 image file로 생성하였는데, Y축은 최대 지락전류인 0.8 [A]의 순시 값을 포함할 수 있는 ±1.25 [A]로 생성하였다.

표 2. Oversampling 전/후 Class 별 이미지 수량

Table 2. Image quantity by class before/after oversampling

Class

Before

After

0

513,832

515,000

0.1

442,739

515,000

0.2

371,830

515,000

0.3

298,010

515,000

0.4

216,998

515,000

0.5

131,183

515,000

0.6

57,617

515,000

0.7

14,843

515,000

0.8

1,575

515,000

2.3 제안된 CNN MODEL

본 논문에서는 CNN의 Model 중 VGGNet의 구조를 사용하기로 하였다. VGGNet은 기존의 크기가 큰 7×7 filter 대신 작은 크기의 3×3 filter를 활용하여 훈련하므로 속도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어 계통구성 변동으로 model의 변경이나 수정 필요할 빠르게 수정이 가능하다(14). Model의 깊이가 다른 2가지 CNN model을 활용하여 영상전류의 기본파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CNN model을 생성하였다.

그림. 8. CNN model 1

Fig. 8. CNN model 1

../../Resources/kiee/KIEE.2023.72.9.987/fig8.png

첫 번째는 CNN model은 그림 8과 같이 구성하였다. 99×99의 이미지를 VGGNet의 구조와 같이 Convolution layer에서 3×3 kernel로 2회 8, 16, 32채널을 통과한 다음 maxpooling 진행했다. Convolution layer를 통과한 feature map을 flatten 하여 1차원 배열로 변경해주고, fullyconnected layer를 통과하여 output으로 출력했다. 최적화 기법으로는 Stochastic Gradient Descent with Momentum(SGDM)을 사용하였고, activation function으로는 ReLU를 적용하였다. 또한 학습 속도를 높이기 위해 각각의 convolution layer를 통과한 후에는 BatchNormalization을 진행하여 입력을 정규화 시켰다. 각각의 train은 train data와 validation data의 비율은 8:2로 하였고, train data와 validation data를 shuffle하며 2 epoch로 훈련하였다. CNN model은 총 4회 학습 시켰는데, 가능하면 많은 이미지를 학습하기위해 train data와 validation data를 변경해 학습시켰다. 생성된 CNN model의 훈련결과 validation accuracy는 100%이다.

그림. 9. CNN model 2

Fig. 9. CNN model 2

../../Resources/kiee/KIEE.2023.72.9.987/fig9.png

두 번째 CNN model은 그림 9과 같이 구성하였다. 99×99의 이미지를 Convolution layer에서 3×3 kernel로 1회만 8, 16, 32채널을 통과시켜 네트워크의 깊이를 줄였으며, 대신 훈련량을 늘리기 위하여 매 train 당 3 epoch로 진행하였으며, 나머지 훈련 파라미터는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생성된 CNN Model의 훈련결과 validation accuracy는 100%이다.

3. 시뮬레이션 및 결과 검토

3.1 1선지락고장의 시뮬레이션 모델

본 논문에서는 고조파가 발생되고 있는 실제 저압 계통을 모델링하여 시뮬레이션을 Matlab으로 진행하였으며, 고저항 접지계통에서 지락 시뮬레이션 모델은 그림 10과 같으며, 이는 그림 4의 등가회로이다. 시뮬레이션은 A상 Cable 2차에서 1선 지락을 가정하였고, 각 요소 매개 변수 값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Y 변압기 Z% : 7%, X/R 비 : 6, Cable : F-CV 1X3C 300mm2, 부하 50 [kW].

그림. 10. 왜곡된 전압원 계통의 등가회로

Fig. 10. Equivalent circuit of distorted voltage source system

../../Resources/kiee/KIEE.2023.72.9.987/fig10.png

3.2 왜곡된 전압원 지락 시뮬레이션

1선 지락발생 시 왜곡된 전압원은 지락점의 전압도 왜곡시킨다. 그래서 전압원의 함유된 고조파 성분과 같은 고조파가 영상전류에 나타나게 된다. 또한 전압원이 왜곡되지 않더라도, 고조파 전류와 선로의 임피던스에 의해 지락점의 전압도 왜곡되여 영상전류에 고조파가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지락점의 전압을 왜곡시키고자 왜곡된 전압원으로 A상 Cable 2차 1선 지락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그림 10의 회로의 전압원에 고조파의 크기와 비율을 변경하며 영상전류의 기본파성분을 측정하였다. CNN Input인 영상전류와 같은 조건에서 실험하기 위해, 전압원의 왜곡을 앞의 영상전류의 설정과 같은 전압원의 기본파는 0~100% 고조파는 기본파의 0~30%로 구성하였다. 생성된 전압 파형 중 정격전압 이하는 8,474개로 1선 지락 시뮬레이션을 하였다. CNN model로 처리하여 얻은 영상전류의 기본파 성분 값과 1,200개로 sampling한 FFT의 기본파성분을 비교하였다. 1,200개로 sampling한 FFT 결과는 제 600차 고조파까지 측정할 수 있는 정확한 비교군이다. 1선 지락 시뮬레이션으로 발생한 파형을 CNN model로 처리하여 얻은 영상전류의 기본파 성분과 FFT 결과일치 여부를 비교하였 표 3으로 나타내었다. 표 3에서 오차는 FFT에서 측정한 영상전류 값과 CNN model의 결과값의 차이며, 오차별 수량과 구성 비율을 나타내었다. CNN과 FFT 결과가 일치한 경우는 CNN Model 1의 4,743개(56 [%])이다. 그러나 CNN Model 2는 7,173개(85 [%])로 Model 2이 더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일반적으로 Model의 깊이가 깊을수록 정확한 결과를 나타내지만, Model 1의 깊이가 필요 이상으로 깊어 Gradients Vanishing/ Exploding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Gradients Vanishing/Exploding은 깊이가 불필요하게 크게 설계된 Model은 역전파 시 Gradients가 작아지거나 커져서 학습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Model의 깊이는 적지만 최적화된 Model 2를 사용할 예정이다.

표 3. 왜곡된 전압원 시뮬레이션 결과

Table 3. Simulation results of distorted voltage source

오차

CNN Model 1

CNN Model 2

수량

비율

수량

비율

0.3[A]

9

0.1%

0

0.0%

0.2[A]

52

0.6%

0

0.0%

0.1[A]

490

5.8%

610

7.2%

0[A]

4,743

56.0%

7,173

84.6%

-0.1[A]

2,294

27.1%

690

8.1%

-0.2[A]

520

6.1%

1

0.0%

-0.3[A]

342

4.0%

0

0.0%

-0.4[A]

24

0.3%

0

0.0%

Model 2의 오차는 최대 ±0.1 [A]로 신뢰할 만한 수준이며, 실제 계통에서 가정되는 오차(지락과전류계전기 Setting 0.3[A])를 고려하면 지락을 판정하기에는 충분한 값이다. 그러므로 이후 시뮬레이션은 Model 2로만 진행했다.

3.3 SMPS 부하 지락 시뮬레이션

다양한 고조파 발생 부하 투입을 위한 회로는 그림 5와 같은 계통이며, 전압원을 정격전압의 기본파로 구성하였고, 부하는 앞에서 언급된 계통에서 주로 고조파 전류 발생에 원인이 되는 50 [kW] 정류기 3종류와 3종류 동시 공급하는 4가지 경우로 A상 Cable 2차 1선 지락 시뮬레이션하였다. 시뮬레이션 추출한 영상 전류 파형을 결과는 영상전류를 1,200개로 sampling한 FFT와 설계된 CNN Model 2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였다.

3.3.1 전파정류기 부하

전파정류기는 단상에서 4개의 소자를 브리지형으로 접속 하여 직류전압을 만들어내는 형태의 정류기이다. 그림 11의 (a)는 전파 정류기의 부하로 지락 시뮬레이션 시 영상전류의 파형은 정현파에서 심하게 왜곡됨을 육안으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0의 (b)의 FFT 결과를 보면 기본파 0.7 [A] 3 고조파 0.16[A] 5, 7 고조파 0.05 [A]로 왜곡됨을 정확히 알 수 있다. CNN Model로 결과 출력 시 0.7 [A]가 측정되어 FFT 결과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그림. 11. 전파 정류기의 영상전류

Fig. 11. Zero phase current of full wave rectifier

../../Resources/kiee/KIEE.2023.72.9.987/fig11.png

3.3.2 6펄스 정류기 부하

6펄스 정류기는 3상에서 6개의 소자를 브리지형으로 접속하여 직류전압을 만들어내는 형태의 정류기이다. 그림 12의 (a)

그림. 12. 6펄스 정류기의 영상전류

Fig. 12. Zero phase current of 6-pulse rectifier

../../Resources/kiee/KIEE.2023.72.9.987/fig12.png

6펄스 정류기의 부하로 지락 시뮬레이션 시 6펄스 정류기의 영상전류 파형은 고조파가 적어 전파 정류기에 비해 적게 왜곡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2의 (b)의 FFT 결과를 보면 기본파 0.8 [A] 5 고조파 0.08[A] 7, 11 고조파 0.04 [A] 13 고조파 0.03[A]로 왜곡됨을 알 수 있다. CNN Model로 결과 출력 시 0.8 [A]가 측정되어 FFT 결과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3.3.3 12펄스 정류기 부하

12펄스 정류기는 3상에서 2개의 6펄스 정류기를 병렬로 연결하여 직류전압을 만들어내는 형태의 정류기이다. 그림 13의 (a)는 12펄스 정류기의 부하로 지락 시뮬레이션 시 12펄스 정류기는 6펄스 정류기에 비해 영상전류의 왜곡이 적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3의 (b)의 FFT 결과를 보면 기본파 0.8 [A] 11 고조파 0.04 [A] 13 고조파 0.03 [A]로 5, 7 고조파가 감소하여 왜곡이 줄어듬을 확인하였다. CNN Model로 결과 출력 시 0.8 [A]가 측정되어 FFT 결과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그림. 13. 12펄스 정류기의 영상전류

Fig. 13. Zero phase current of 12-pulse rectifier

../../Resources/kiee/KIEE.2023.72.9.987/fig13.png

3.3.4 정류기 3종 합산 부하

한 feeder는 여러 종류의 부하로 구성된다. 일반저압 계통과 비슷하게 전파 정류기, 6펄스 정류기, 12펄스 정류기로 동시 공급을 가정하여 지락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그림 14의 (a)는 정류기 합산 부하로 지락 시뮬레이션 시, 전압파형이 왜곡됨을 확인하였다. 그림 14의 (b)의 FFT 결과를 보면 기본파 0.7 [A] 3 고조파 0.11 [A] 5 고조파 0.09[A]로 7, 9 0.4 [A]로 심하게 왜곡됨을 확인하였다. CNN Model로 결과 출력 시 0.7 [A]가 측정되어 FFT 결과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그림. 14. 정류기 3종 공급 시 영상전류

Fig. 14. Zero phase current when 3 types of rectifiers are supplied

../../Resources/kiee/KIEE.2023.72.9.987/fig14.png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CNN Model은 고조파가 제거된 정확한 영상전류의 기본파 성분을 검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EDL의 고조파의 종류와 Sample의 수량이 변동되면 측정 결과에 영향을 주는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설계된 정류기에서는 14차 보다 높은 고조파도 관측된다. CNN Model 설계 시 미반영된 14차 이상의 고조파에서도 신호의 크기가 작다면, 올바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CNN의 downsampling 과정에서 anti-aliasing이 발생하여 작은 신호는 무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고저항 접지계통에서 1선지락고장 감지의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고저항 접지계통에서의 고장전류는 매우 작으며, 고조파의 형태나 Sampling 방법 및 처리에 따라 영상전류 오검출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CNN을 통한 영상전류 검출 방법은 고조파의 형태나 Sampling 방법에 상관없이 영상전류의 정확한 검출이 가능하여 영상전류의 오검출을 감소시킨다. 기존의 CNN을 이용한 연구들은 1선지락고장 여부를 CNN으로 판정하였지만, 본 논문은 영상전류를 수치로 출력하기 때문에 기존의 계전기와 같이 과전류 순시 및 한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고저항 접지계통에서 고조파 포함된 영상전류의 기본파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기본파 영상전류로 1선 지락고장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References

1 
Seppo Hänninen, Lehtonen Matti, 1998, Characteristics of earth faults in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s with high impedance earthing, Electric Power Systems Research 44.3, pp. 155-161DOI
2 
Se-Dong Kim, 2005, Expansion phenomenon of zero-phase harmonic current of neutral wire and countermeasures., Journal of Electrical World Monthly Magazine, Vol. 2-13Google Search
3 
J. C. Das, 2004, Passive filters-potentialities and limitations, IEEE transactions on industry applications 40.1, pp. 232-241DOI
4 
Remus Narcis Beres, 2015, A review of passive power filters for three-phase grid-connected voltage-source converters, IEEE journal of emerging and selected topics in power electronics 4.1, pp. 54-69DOI
5 
Hirofumi Akagi, 2005, Active harmonic filters, Proceedings of the IEEE 93.12, pp. 2128-2141DOI
6 
Hideaki Fujita, Akagi Hirofumi, 2007, Voltage-regulation performance of a shunt active filter intended for installation on a power distribution system,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22.3, pp. 1046-1053DOI
7 
Sangsun Kim, Prasad N. Enjeti, 2002, A new hybrid active power filter (APF) topology,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17.1, pp. 48-54DOI
8 
Ying Du, 2018, Detection of single line-to-ground fault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task decomposition framework in distribution systems, 2018 Condition Monitoring and Diagnosis (CMD). IEEEDOI
9 
Jong-young Park, Hanmin Lee, Gyu-Jung Cho, Hosung Jung, 2022, High-resistance Ground Fault Detection through Deep Learning in a Distribution System with Distributed Generation,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71, Vol. 11, pp. 1715-1721Google Search
10 
IEEE Std 142., 2007, IEEE Recommended Practice for Grounding of Industrial and Commercial Power SystemsGoogle Search
11 
Michael McCarty, 2009, Harmonic analysis of input current of single-phase controlled bridge rectifier, 2009 IEEE Symposium on Industrial Electronics & Applications., Vol. 1, No. IEEEDOI
12 
David Chapman, 2001, Harmonics causes and effects, Power Quality Application Guide 3, pp. 4-5Google Search
13 
Lorenzo Cividino, 1992, Power factor, harmonic distortion; causes, effects and considerations, [Proceedings] Fourteenth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Energy Conference-INTELEC'92. IEEEDOI
14 
Simonyan, Karen, 2014, Very deep convolutional networks for large-scale image recognition, arXiv preprint arXiv:1409.1556DOI

저자소개

황동준(Dong-Jun Hwang)
../../Resources/kiee/KIEE.2023.72.9.987/au1.png

He received a B.S degree from the College of Engineering, Kwangwoon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2.

Since 2012, he joined Electricity Team, Device Solutions, Samsung Electronics, korea.

At present, he is enrolled in the master program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protec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for protection.

김철환(Chul-Hwan Kim)
../../Resources/kiee/KIEE.2023.72.9.987/au2.png

CHUL-HWAN KIM (M’90, SM’04 F’22)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in 1982, 1984, and 1990, respectively.

In 1990, he joined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as a full-time lecturer.

He was a visiting academic with the University of Bath, Bath, U.K., in 1996, 1998, and 1999.

He has been a professor with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since 1992, where he is currently the Director of the Center for Power Information Technology.

His fields of interest include power system protection,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for protection and control, and the modeling and protection of microgrids and DC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