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EcoTomorrow Korea Co., Ltd., )



DC Partial Discharge, High Speed Analog Circuit, Noise Pulse, Background Noise Level, TQ-Matrix

1. 서 론

코로나 및 부분방전이 전기 절연 및 장비의 수명을 단축시킨다는 사실은 명확하며 따라서 부분방전 진단 장치의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1).

부분방전 패턴 분석에서 교류 부분방전 진단 방식은 전압의 위상과 부분방전 신호의 크기로 생성되는 PRPD(Phase Resolved Partial Discharge) 패턴에 따라 절연결함의 특정 유형에 따라 구별되고(2) 직류 부분방전 진단 방식은 IEC60270 11장과 부속서 H에 기술되어 있다(3).

주요 내용을 살펴 보면, 부분 방전 펄스 수를 결정함에 있어 통계 오류를 피하기 위해 잡음 펄스를 계수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고, 실제 부분 방전 측정을 시작하기 전에 pC의 단위로 배경 잡음 레벨을 결정해야 한다고 기술되어 있다(3). 따라서 직류 부분 방전 측정에 있어서 잡음 펄스 제거가 필수적이고 배경 잡음 레벨이 중요함을 알 수 있고, 잡음 펄스 제거는 부분 방전 측정의 정확도와 관련이 되고 배경 잡음 레벨은 신호대 잡음비 그리고 동적영역(다이나믹 레인지)에 관련이 되고 결과적으로 부분 방전 측정 신뢰도와 결부된다.

무선잡음은 부분방전 펄스와 잡음펄스가 혼재되어 검출되는 초고주파 대역의 신호로 측정에 방해가 되는 요소이다(4).

부분 방전 측정에 있어서 특히 임펄스성 잡음 제거가 중요하다. 부분 방전 펄스와 임펄스성 잡음 펄스는 주파수 대역도 겹치고 파형도 유사하기 때문에 변별하기도 어렵고 변별 과정에서 부분 방전 신호가 감쇠될 수 있기 때문에 부분방전 측정에 있어 부분 방전 신호에 장해를 주지 않는 임펄스성 잡음 제거가 필요하다. 임펄스성 잡음펄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종전에는 아날로그 펄스와 수학적 알고리즘 영역으로 접근하였다.(5)

경우에 따라서는 부분 방전 신호의 크기보다 배경잡음이 더 큰 경우가 있어서 부분방전 측정이 불가능할 수도 있는데 방전 측정시 배경 잡음 레벨과 무관하게 부분 방전 신호를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수학적 알고리즘을 배제하고 아날로그 디지털 하이브리드 회로 방식을 적용하여 부분 방전 신호 측정에 있어서 부분 방전 신호에 장해를 주지 않으면서 배경 잡음 레벨과 무관하게 임펄스성 잡음을 완벽하게 제거하는 신뢰도 높은 직류 부분 방전 측정 장치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이 장치는 임펄스성 잡음 제거 테스트, 부분방전 현장 테스트 및 IEC60270 테스트를 통하여 임펄스성 잡음 신호를 제거한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2. 본 론

2.1 부분방전 발생 타이밍 펄스 신호

본 논문에서는 부분방전 발생 타이밍 펄스를 ‘T-펄스’라고 하며, IEC60270 3.2(3)에서 정의한 부분방전펄스(PD Pulse)가 입력되었을 경우 발생되는 펄스이다. T-펄스는 부분방전 임펄스 신호 파형의 상승부에서 발생되는 펄스 형태의 신호로서 부분방전이 발생하는 위치에서 발생되며, 원치 않는 잡음펄스를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트리거 신호이다.

T-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회로는 그림 1과 같으며, 2Way 분배기, 최대 10GHz 주파수 대역을 가진 한 쌍의 로그앰프, 고속 연산증폭기와 저항으로 구성된 감산부로 구성되어 있다. 로그앰프는 응답시간이 8ns이며 응답 기울기가 -22 mV/dB인 특성을 가진 로그 앰프를 선정하였다. T-펄스를 취득하기 위하여 하나의 로그앰프의 Setpoint Controller 피드백 계통에 공진회로를 추가하여 교정 펄스 발생기(CAL2A)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공진 파형이 발생하도록 설계하였고 출력 파형의 차이는 감산기를 거쳐서 T-펄스로 나타난다.

그림 2에 입력 신호가 임펄스 신호가 포함된 LTE 잡음 신호일 경우 임펄스 파형 부분에서 발생되는 T-펄스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 1. T-펄스 발생 회로

Fig. 1. T-pulse generation circuit

../../Resources/kiee/KIEE.2023.72.9.1076/fig1.png

그림. 2. T-펄스 발생(잡음 내에서 발생되는 경우), (a)T-펄스, (b)LTE잡음

Fig. 2. T-pulse generation(case occurs within noise), (a)T-pulse, (b)LTE noise

../../Resources/kiee/KIEE.2023.72.9.1076/fig2.png

2.2 부분방전 크기 펄스 신호

본 논문에서는 부분방전 크기 펄스를 ‘Q-펄스’라고 하며 단위는 pC이고 IEC60270 3.3.1(3)에서 정의한 ‘겉보기 전하량(q)’과 같다.

Q-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회로는 그림 3과 같으며 2Way 분배기, T-펄스 발생회로에서 사용된 것과 특성이 동일한 한 쌍의 로그 앰프, 고속 연산증폭기와 저항으로 구성된 감산부로 구성되어 있다. Q-펄스를 취득하기 위하여 교정 펄스 발생기(CAL2A) 신호와 일반 신호발생기를 2Way 분배기를 통하여 로그앰프에 입력시키고 감산기의 출력을 측정했을 때, 일반 신호발생기 경우 출력값이 최소값이 나오고 교정 펄스 발생기 경우 출력값이 최대값이 되도록 로그앰프의 Loop Filter 피드백 회로 계통의 용량값을 조정하여 Q-펄스를 취득한다.

그림. 3. Q-펄스 발생 회로

Fig. 3. Q-pulse generation circuit

../../Resources/kiee/KIEE.2023.72.9.1076/fig3.png

부분방전 펄스가 입력될 경우 발생되는 Q-펄스 파형을 그림 4에 보여주고 있다. 부분방전 펄스 입력은 교정 펄스 발생기 CAL2A(Power Diagnostix Systems GmbH)(6)로 발생시킨 0.5pC의 교정펄스를 사용하여 발생된 Q-펄스이다. 그림 4(a)는 한 쌍의 로그앰프 중 Loop Filter 피드백 회로 계통의 용량성 회로를 적용한 로그앰프의 출력이며, 그림 4(b)는 Loop Filter 피드백 회로 계통을 변경하지 않은 로그앰프의 출력이다. 이로부터 두 로그앰프 출력 신호간의 차이는 그림 4(c)와 같이 Q-펄스로 출력됨을 알 수 있다.

그림. 4. 0.5pC 부분방전 펄스 입력시 발생된 Q-펄스 파형, (a)loop filter 피드백 조정, (b)loop filter 피드백 무조정, (c)Q-펄스 출력 파형

Fig. 4. Q-pulse waveform of 0.5pC PD pulse, (a)loop filter feedback changed, (b)loop filter feedback not changed, (c)Q-pulse output waveform

../../Resources/kiee/KIEE.2023.72.9.1076/fig4.png

잡음 펄스 입력의 경우 발생되는 Q-펄스 파형은 그림 5에 나타낸다. 입력신호가 부분방전 임펄스 신호일 경우에는 각 로그앰프의 출력 차이는 펄스 형태의 출력으로 나타나지만, 입력신호가 잡음 펄스일 경우 감산기의 출력은 펄스 형태가 아닌 직선에 가깝게 출력됨을 알 수 있다.

그림 6은 부분방전이 발생하였을 때 T-펄스와 Q-펄스의 신호를 나타낸 그림으로 T-펄스로 동기화된 정지화면이다.

그림. 5. 잡음 펄스 입력 경우 Q-펄스 파형, (a)loop filter 피드백 용량 조정 (b)무조정 로그앰프 출력 (c)Q-펄스 출력 파형

Fig. 5. Q-pulse waveform of noise pulse, (a)loop filter feedback changed, (b)loop filter feedback not changed, (c)Q-pulse output waveform

../../Resources/kiee/KIEE.2023.72.9.1076/fig5.png

그림. 6. 부분방전 펄스 입력 경우, (a)Q-펄스 출력 파형, (b)부분방전신호, (c)T-펄스 출력 파형

Fig. 6. Case of PD pulse input, (a)Q-pulse output waveform, (b)PD signal, (c)T-pulse output waveform

../../Resources/kiee/KIEE.2023.72.9.1076/fig6.png

2.3 임펄스성 잡음 펄스 제거

잡음펄스는 측정 대상 부분방전 펄스가 아닌 다른 모든 신호를 말하며, 임펄스성 잡음펄스는 잡음 펄스 중 외부 부분방전 신호를 포함하여 부분방전 펄스와 유사하나 기존 필터로 제거가 되지 않는 잡음으로서 대표적인 예로 기중코로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분방전 신호에서 T-펄스와 Q-펄스를 조합하여 임펄스성 잡음펄스를 변별한 후 제거하는 방법을 ‘TQ-펄스’방식이라 한다.

TQ-펄스 회로를 그림 7에 나타내었는데, 2Way 분배기, Q-펄스 모듈, T-펄스 모듈, 0.1ms 단위시간 당 Q-펄스 최대값을 저장하는 피크홀드부, 0.2Vdc보다 큰 T-펄스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비교기, 마이크로 콘트롤러, 부분방전 펄스를 생성하여 외부로 공급하는 진폭변조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TQ-펄스 회로는 부분방전 펄스와 혼재하는 잡음 펄스를 제거하고 내부 무선주파수 발진기 신호를 베이스밴드로 Q-펄스 파형에 따라서 AM 진폭변조하여 부분방전 신호를 재현하고 외부 출력한다.

그림 7에서 TQ-펄스 회로에 부분방전 펄스가 입력된 경우, T-펄스와 Q-펄스가 동시에 발생하는데 그 중 T-펄스를 트리거로 이용하여 ADC를 동작시키면 무선 장해에 영향을 받지 않은 정확한 Q-펄스 값을 읽을 수 있다.

그림. 7. TQ-펄스 잡음펄스 제거 회로

Fig. 7. TQ-pulse noise pulse cancellation circuit

../../Resources/kiee/KIEE.2023.72.9.1076/fig7.png

반면, TQ-펄스 회로에 잡음 펄스가 입력된 경우, 잡음 펄스가 시작된 시점과 T-펄스가 발생되는 시점간에 시간적 차이가 존재하고 Q-펄스 값은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잡음 펄스가 존재시 T-펄스가 발생된 시점에 Q-펄스를 ADC로 읽어오더라도 매우 작은 값이 되어 결과적으로 잡음이 제거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러한 동작은 T-펄스 신호와 Q-펄스 값을 교집합 조건으로 읽어들이는 것이고, 결과적으로 잡음펄스를 제거하고 부분방전 펄스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2.4 부분방전 비교시험

본 논문에서는 그림 8과 같이 TQ-펄스회로에 의한 잡음펄스 제거 회로를 가진 TQ-펄스 모듈을 제작하고 측정기의 성능을 공유한 상태에서 TQ-펄스 모듈을 연결한 채널과 연결하지 않은 채널간에 비교시험을 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림. 8. TQ-펄스 모듈

Fig. 8. TQ-pulse module

../../Resources/kiee/KIEE.2023.72.9.1076/fig8.png

2.4.1 임펄스성 잡음펄스 제거 비교 시험

임펄스성 잡음펄스 제거 비교시험에서 사용한 측정용 장비는 장비 자체에 LTE 신호대역 필터 기능이 있는 포터블 장비(YH-IMOS, 유호전기공업(주), 한국)를 이용하여 고전압 시험 설비가 갖춰진 공간에서 부분방전 모의 셀을 동작시키고 잡음펄스를 인위적으로 가동하여 잡음펄스 제거 능력을 분석하였으며 시험 구성도를 그림 9에 보여주고 있다. 잡음펄스 발생원은 각각 플라즈마 방전 장치에 의한 임펄스성 잡음펄스와 테슬라코일로 발생시킨 기중 코로나 잡음펄스로 하였다.

YH-IMOS의 SRPD 방식의 소프트웨어적인 잡음 제거 기능은 비교시험에 오류를 유발할 수 있어 적용하지 않았다.

그림 10은 임펄스성 잡음 펄스가 존재할 때 TQ-펄스 모듈을 적용한 채널과 미적용 채널의 임펄스성 잡음 펄스 제거모습을 PRPS(Phase Resolved Pulse Sequence))패턴과 PRPD(Phase Resolved Partial Discharge)패턴으로 나타낸 결과이며 PRPS는 3차원 그래프상의 Z축에 부분방전의 크기, X축에 위상, Y축에 시간 정보를 3차원 표현한 것이며, PRPD는 PRPS에서 시간 정보를 누적하여 Z축과 X축의 정보를 2차원적으로 누적표현한 패턴이다.

그림. 9. 임펄스성 잡음펄스 제거 시험 구성도

Fig. 9. Block diagram of impulse noise pulse reduction test

../../Resources/kiee/KIEE.2023.72.9.1076/fig9.png

그림 10으로부터 TQ-펄스 모듈이 적용된 경우는 플라즈마 방전 잡음펄스가 보이지 않고 부분방전 신호펄스만 나타남을 알 수 있으며, TQ-펄스 모듈을 미적용한 경우는 부분방전 펄스와 플라즈마 방전 잡음펄스가 혼재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서 부분방전 펄스와 플라즈마 방전 잡음 펄스 간에 변별력이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림. 10. 플라즈마 방전 잡음펄스 제거 비교 시험. (a)TQ-펄스 적용 채널의 PRPS 패턴, (b)TQ-펄스 미적용 채널의 PRPS 패턴, (c)TQ-펄스 적용 채널의 PRPD 패턴, (d)TQ-펄스 미적용 채널의 PRPD 패턴,

Fig. 10. Plasma discharge noise pulse cancellation comparison test, (a)PRPS pattern for TQ-pulse applied channel, (b)PRPS pattern for TQ-pulse unapplied channel (c)PRPD pattern for TQ-pulse applied channel, (d)PRPD pattern for TQ-pulse unapplied channel

../../Resources/kiee/KIEE.2023.72.9.1076/fig10.png

그림 11은 기중코로나 방전 잡음펄스와 부분방전 펄스와의 변별력을 알아보는 시험의 분석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 10의 결과와 유사하게 TQ-펄스 모듈이 적용된 경우는 기중코로나 방전 잡음펄스가 보이지 않고 부분방전 펄스만 보이고 있으며, TQ-펄스 모듈을 미적용한 경우는 부분방전 펄스와 기중코로나 방전 잡음펄스가 혼재되어 있는 모습으로서 부분방전펄스와 기중코로나 방전 잡음펄스 간에 변별력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임펄스성 잡음펄스 제거 비교시험 결과 TQ-펄스 모듈을 적용하면 플라즈마 방전 잡음펄스나 기중코로나 잡음펄스와 상관없이 부분방전 펄스에 대한 변별력이 뛰어남을 알 수 있다

그림. 11. 기중코로나 잡음펄스 제거 비교 시험, (a)TQ-펄스 적용 채널의 PRPS 패턴, (b)TQ-펄스 미적용 채널의 PRPS 패턴, (c)TQ-펄스 적용 채널의 PRPD 패턴, (d)TQ-펄스 미적용 채널의 PRPD 패턴

Fig. 11. Air corona noise pulse cancellation comparison test, (a)PRPS pattern for TQ-pulse applied channel, (b)PRPS pattern for TQ-pulse unapplied channel (c)PRPD pattern for TQ-pulse applied channel, (d)PRPD pattern for TQ-pulse unapplied channel

../../Resources/kiee/KIEE.2023.72.9.1076/fig11.png

2.4.2 부분방전 발생 현장 비교 시험

부분방전 발생 현장 비교 시험에서 사용한 측정용 장비는 2.4.1에서 사용한 장비와 같다. YH-IMOS를 이용하여 부분방전이 실제로 발생하는 현장에서 잡음원으로 4대의 휴대전화와 2대의 무전기가 켜진 상태로 배경 잡음 레벨 이하에서 부분 방전 펄스 검출 능력과 잡음 펄스 제거 능력을 채널간 비교 시험으로 진행하였고 YH-IMOS의 SRPD 방식의 소프트웨어적 잡음 제거 기능은 비교시험에 오류를 유발할 수 있어서 적용하지 않았다.

YH-IMOS 채널 1번과 센서 사이에 TQ-펄스 모듈을 설치하고, 채널 2번에는 센서를 직결하여 TQ-펄스 모듈 적용방식과 TQ-펄스 모듈 미적용 방식과의 잡음펄스 제거 성능 및 부분방전 표현 성능을 비교하여 그 분석 결과를 그림 12에 나타내었다.

그림 12로부터 TQ-펄스 모듈을 적용하면 PRPS와 PRPD 화면에는 배경 잡음 레벨 이하에서도 최저 측정 레벨에서부터 부분방전 펄스만을 깨끗하게 표현하고 잡음펄스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TQ-펄스 모듈 미적용시, 심할 경우 PRPS와 PRPD 화면 상으로는 배경 잡음 레벨이 부분 방전 펄스의 크기보다 큰 영향으로 부분방전 신호를 판독할 수 없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림. 12. TQ-펄스가 적용된 채널과 미적용 채널 비교 (a)TQ-펄스 적용 채널의 PRPS 패턴, (b)TQ-펄스 미적용 채널의 PRPS 패턴, (c)TQ-펄스 적용 채널의 PRPD 패턴, (d)TQ-펄스 미적용 채널의 PRPD 패턴

Fig. 12. TQ-pulse applied channels compared to unapplied channels (a)PRPS pattern for TQ-pulse applied channel, (b)PRPS pattern for TQ-pulse unapplied channel (c)PRPD pattern for TQ-pulse applied channel, (d)PRPD pattern for TQ-pulse unapplied channel

../../Resources/kiee/KIEE.2023.72.9.1076/fig12.png

결과적으로 YH-IMOS와 같은 포터블 장비에 TQ-펄스 모듈을 적용하면 부분방전 신호가 미약하거나 배경 잡음 펄스의 크기가 부분방전 펄스의 크기보다 크더라도 부분방전 신호의 변별력과 부분방전 표현력이 우수하여 현장적용시 종전에 배경 잡음 레벨이 부분방전 펄스의 크기보다 큰 환경에서 부분방전 펄스 검출이 불가능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2.4.3 IEC60270 표준 비교시험

IEC60270 표준 장비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장비 중 하나인 오스트리아 Omicron사의 MPD 600 부분방전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비교시험 구성도를 그림 13에 나타내었다.

그림. 13. IEC60270 비교시험 구성도

Fig. 13. IEC60270 comparison test

../../Resources/kiee/KIEE.2023.72.9.1076/fig13.png

부분 방전 측정 시스템은 시험용 고전압 변압기, MPD 600 측정 단말 장치, UHF 620 초고주파 대역 변환기, MCU502 측정 단말 제어 장치, 커플링 커패시터 및 CPL542 IEC60270 4.3.2 커플링 장치(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13의 구성은 Omicron사가 제안하는 IEC60270 부분방전 시험 방식으로서 커플링 커패시터 방식이다.(7)

시험은 3가지 방법에 의하여 진행되었다. 커플링 커패시터를 이용한 IEC60270 11.5 표준 부분 방전 시험(3), UHF 620을 이용한 UHF 부분 방전 시험 그리고 TQ-펄스 모듈을 이용한 UHF 부분 방전 시험이다. 3 종류의 시험 결과를 비교하여 TQ-펄스 모듈의 결과가 IEC60270 표준 시험 결과와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검증하고 TQ-펄스 모듈의 잡음 펄스 제거 성능, 동적 영역 그리고 배경잡음 레벨을 검증하였다.

UHF 620 초고주파 대역 변환기의 입력 주파수 범위는 100Hz~ 2GHz이어서 중심 주파수 대역이 0Hz~32MHz인 MPD600 측정 단말 장치의 측정 주파수 범위를 넓혀 주는 역할을 한다.

비교시험의 조건을 같게 하기 위하여 측정 계기는 모두 Omicron 장비를 사용하였다. TQ-펄스 모듈을 적용한 채널의 경우, UHF 대역의 부분방전 측정을 위한 혼 안테나와 케이블의 부분방전 측정을 위한 센서로서 고주파 변류기인 HFCT를 TQ-펄스 모듈을 거쳐 MPD600에 연결하였고, TQ-펄스 모듈을 적용하지 않은 채널의 경우 혼 안테나는 Omicron UHF620을 거쳐 MPD600에, HFCT는 MPD600에 직결하였으며 시험품으로서 측정 샘플은 테프론 표면에서의 부분방전 모의셀을 이용하였다. TQ-펄스 모듈의 내부 부분방전 베이스밴드 주파수는 Omicron 장비의 중심주파수 대역 규격에 맞게 12MHz로 설정하였으며 주변에는 환경적인 잡음(조명, 공사장비)과 고전압 시험장비 자체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잡음이 혼재되어 있는 상황이다.

혼 안테나를 센서로 이용하여 시험한 결과를 그림 14에 나타내었다. 그림 14(a)는 커플링 커패시터를 이용한 IEC60270 11.5에 언급된 표준 부분 방전 시험 결과이고, 그림 14(b)는 혼 안테나와 UHF 620을 이용한 UHF 부분 방전 시험 결과이며, 그림 14(c)는 혼 안테나와 TQ-펄스 모듈을 이용한 UHF 부분 방전 시험 결과이다.

그림. 14. Horn 안테나 적용 시험 결과, (a)Omicron(CPL), (b)Omicron (HFCT), (c)TQ(HFCT), (d)확대 패턴

Fig. 14. Horn antenna application test results, (a)Omicron(CPL), (b)Omicron(HFCT), (c)TQ(HFCT), (d)magnification pattern

../../Resources/kiee/KIEE.2023.72.9.1076/fig14.png

그림 14(a), (b)와 같이 TQ-펄스 모듈이 적용되지 않은 채널의 경우, 배경 잡음 레벨은 40pC이며 부분방전의 최대 크기는 400pC이다. 배경 잡음 레벨과 부분방전의 최대 크기 차이는 그래프상 큰 눈금 한 칸이다. 양의 반주기에 잡음 펄스가 표시되었고 음의 반주기에는 부분방전 펄스와 잡음펄스가 혼재되어 표시되어 있다.

TQ-펄스 모듈이 적용된 그림 14(c)의 경우 배경 잡음 레벨은 150fC이며 부분방전의 최대 크기10pC이다. 배경 잡음 레벨과 부분방전의 최대 크기 차이는 그래프상 큰 눈금 두 칸이라서 그림 14(a), (b)의 TQ-펄스 장치가 적용되지 않은 채널에 배해서 두 배의 동적영역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양의 반주기에는 그림 14(a), (b)와 달리 잡음 펄스가 제거되어 있고, 음의 반주기에는 전형적인 상어 등지느러미 형태의 부분방전 패턴을 보이고 있어서 TQ-펄스 모듈이 적용될 경우 동적영역이 두 배이면서도 잡음 펄스를 제거하면서도 손실없이 부분방전 펄스를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적인 표면 방전의 특징은 그림 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PRPD 패턴에서 교류 한 사이클 중 양의 반주기와 음의 반주기의 측정값은 서로 다른 값을 가지며 음의 반주기에서 더 높게 나타난다(8).

그림 14(d)는 (c)의 결과를 확대한 그림이며, TQ-펄스 장치로 측정한 결과가 전형적인 표면방전의 패턴의 형태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림. 15. 표면방전 PRPD 패턴

Fig. 15. Surface discharge PRPD pattern

../../Resources/kiee/KIEE.2023.72.9.1076/fig15.png

HFCT를 센서로 시험한 결과는 그림 16에 보여주고 있다. 그림 16의 결과는 각각 커플링 커패시터를 이용한 IEC60270 11.5에 언급된 표준 부분 방전 시험 결과, HFCT와 MPD600을 이용한 시험 결과, HFCT와 TQ-펄스 모듈을 이용한 시험 결과이다. 배경잡음 레벨에 관하여, TQ-펄스 모듈이 미적용된 그림 16(a), (b)를 보면, 배경 잡음 레벨은 20pC이며 부분방전의 최대 크기는 150pC이다. 배경 잡음 레벨과 부분방전의 최대 크기 차이는 그래프상 큰 눈금 약 한 칸이다. TQ-펄스 모듈이 적용된 그림 16(c)를 보면, 배경 잡음 레벨은 100fC 이며 부분방전의 최대 크기는 6pC이다. 배경 잡음 레벨과 부분방전의 최대 크기 차이는 그래프상 큰 눈금 약 한 칸 반이다.

이들 결과로부터 양의 반주기에서는 차이가 별로 없는 반면, 음의 반주기의 경우 TQ-펄스 모듈이 미적용된 경우, 잡음과 부분방전이 혼재되어 있지만, TQ-펄스 모듈이 적용될 경우에는 부분방전 펄스가 잘 표현되어 있어서 결과적으로 TQ-펄스 모듈을 적용한다면 IEC60270 표준에 따르면서 신뢰도 높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림. 16. HFCT 적용 시험 결과, (a)Omicron(CPL), (b)Omicron(HFCT), (c)TQ(HFCT)

Fig. 16. HFCT application test results, (a)Omicron(CPL), (b)Omicron (HFCT), (c)TQ(HFCT)

../../Resources/kiee/KIEE.2023.72.9.1076/fig16.png

3. 결 론

본 논문은 직류부분방전 측정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부분방전 펄스의 크기값을 무손실로 취득하고 임펄스성 잡음 펄스의 제거를 목표로 TQ-펄스 잡음펄스 제거모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듈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임펄스 잡음 펄스 제거 시험, 부분방전 발생 현장 비교 시험 그리고 IEC60270 표준 비교시험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펄스성 잡음펄스를 제거하는 기술로서 아날로그 펄스와 수학적 알고리즘 영역으로 접근했던 종전과 달리 부분방전 펄스와 잡음 펄스를 아날로그 디지털 하이브리드 영역으로 접근하고 전자회로 내에서 임펄스성 잡음펄스 제거 기능을 구현하여 빠르고 정확하고 경제적이며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2) 플라즈마 방전장치로 임펄스성 잡음 펄스 및 테슬라코일로 발생시킨 기중 코로나 잡음펄스에 대한 부분방전 시험결과, TQ-펄스 모듈을 적용하면 플라즈마 방전 잡음펄스나 기중코로나 잡음펄스와 상관없이 부분방전 펄스에 대한 노이즈 변별력이 뛰어남을 알 수 있다

(3) 부분방전 발생현장 비교시험 결과, YH-IMOS와 같은 포터블 장비에 TQ-펄스 모듈을 적용하면 부분방전 신호가 미약하거나 부분방전 펄스의 크기가 배경 잡음 레벨 보다 매우 작더라도 부분방전 신호의 변별력과 부분방전 표현력이 뛰어나 현장적용시 종전에 임펄스성 잡음펄스와 배경 잡음 레벨이 부분방전 신호보다 높음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4) 부분방전 신호 발생원으로 테프론을 이용한 표면부분방전모의셀과 오미크론사 시스템을 이용하여 IEC60270 비교시험을 진행한 결과 혼 안테나를 센서로 사용할 경우 TQ-펄스 모듈을 적용하면 잡음 펄스를 제거하고 부분방전 펄스를 손실없이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동적영역도 두 배 증가하며, HFCT의 경우에도 부분방전 펄스가 표현되어 있으며, 전형적인 표면방전 형상과 유사한 모습을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오미크론 장비에 TQ-펄스 장치를 적용한다면 하드웨어 단계에서 고신뢰도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5) 본 논문에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IEC60270 직류 부분방전 표준에 부합되도록 분해능 시간을 0.1ms로 하고, X축에 Q-펄스, Y축에 T-펄스를 매핑하여 2차원 행렬 형태로 부분방전을 나타낼 수 있는 시제품을 제작하였고 자체 시험 결과 잡음펄스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겉보기 전하 크기가 표출됨을 분석하였다.

2차원 행렬 데이터를 축적하여 가공하면 직류 부분방전 유형별로 정형화된 패턴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누적된 행렬 데이터로 다양한 행렬 연산을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인버터 주파수에 따른 부분방전 발생 상관도 분석 등과 같은 새로운 직류 부분방전 분석 기법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es

1 
NASA Technical Handbook, 2020.12.29, Spacecraft High-Voltage Paschen and Corona Design Handbook.Google Search
2 
Sungho Yoon, Geonhyuk Park, Chanyeong Lee, Jeongtae Kim, 2022, DC Partial Discharge Pattern Recognition Using Time Series Analysis Technology, The 53th KIEE Summer Conference, pp. 1597-1598Google Search
3 
Korea Industrial Standards Commission, 2020, KS C IEC 60270: 2015Google Search
4 
KEPCO, 2011, Preventive Diagnosis Standard for Substation FacilitiesGoogle Search
5 
Jeong-Tae Kim, Ji-Hong Kim, Ja-Yoon Koo, Apr 2006, A Study of the Noise Discrimination by use of Different Sensors and Pulse Analysis Algorithms in Measuring Partial Discharge, KIEE, Vol. 55c, No. 4, pp. 183-188Google Search
6 
Power Diagnostix Systems GmbH, CAL-Calibration Im- pulses Generators.Google Search
7 
Omicron,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 Coupling Me- thods.Google Search
8 
Ramesh P Nair, Burjupati Nageshwar Rao, B.V. Sumangala, 2017, Statistical Analysis of Surface Discharges in Rotating Machine Stator Insulation System, The 20th Int. Symposium on High Voltage Eng. Buenos Aires Argentina, pp. 3Google Search

저자소개

최광식 (Kwang-Sik Choi)
../../Resources/kiee/KIEE.2023.72.9.1076/au1.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in electronic engineering fro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South Korea in 1992.

He is currently working at EcoTomorrow Korea Co., Ltd., Naju City, Korea.

His research includes DC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

조재철 (Jae-Cheol Cho)
../../Resources/kiee/KIEE.2023.72.9.1076/au2.png

He received his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in 1986, 1988, and 2005,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 professor at the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DongShin University, Naju City, Korea.

His research include display device and semiconductor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