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Power Distribution Lab., KEPCO Research Institute, Korea.)
  2.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Korea.)



Distribution planning, PV installation forecasting model, Machine learning, Land characteristic

1. 서 론

태양광 등 분산형 전원 증가로 배전계통의 복잡도와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2036년까지 태양광을 포함한 108GW의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전망하고 있어, 부하 증가율이 감소함에도 배전선로 신설과 관련한 투자비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1). 따라서 분산형 전원을 최적으로 고려한 배전계획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즉, 태양광 등 분산형 전원의 증가에 대응하여 최소의 비용으로 배전계통의 신뢰도와 전력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계획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2-5).

기존에는 배전설비의 설치 규모와 시기를 부하전망을 고려하여 배전설비의 용량을 기준으로 계획을 수립하여 왔으나, 현재는 부하전망을 고려한 계획과 더불어 기존의 배전선로에 연계된 분산형 전원과 전력회사에 접수된 분산형 전원의 용량을 고려한 배전설비 계획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분산형 전원의 전망에 대한 배전설비의 규모와 시기를 결정하는 전략적 배전계획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현대의 배전계획에서는 부하와 분산형 전원의 전망 결과를 통합하여 중장기적인 전략적 배전설비의 확장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배전선로의 신·증설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전망된 분산형 전원의 위치 예측이 필요하다. 이것은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배전계획을 세울 수 있는 기반이 되며, 동시에 배전시스템 계획, 운영 및 투자 의사결정에 중요한 정보이다(6).

하지만 현재까지 배전망의 운영계획을 위해 회귀분석, 기계학습 등을 적용하여 태양광, 풍력 등 분산형 전원의 발전량 예측 기술들은 연구되어오고 있으나, 배전설비 계획 측면에서 분산형 전원의 전망에 따른 설치 위치에 대한 예측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7).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배전계통에 연계되는 분산형 전원 중 대다수인 태양광의 설치 위치 즉, 태양광 입지 예측 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예측 모델을 통해 대상 지역의 연도별 태양광 입지 예측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2. 태양광 입지 특성 분석

전략적 배전계획을 위한 태양광 입지 예측 모델은 전망된 태양광 설치 용량에 대해 위치에 대한 예측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이를 통해 가장 가까운 배전선로와 그 배전선로의 접속 용량을 파악할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배전선로 신·증설 및 주변압기 또는 변전소 신설 계획을 검토할 수 있다(8-9).

즉, 태양광 입지 예측은 미래 전망된 태양광이 어떤 지역에 설치될지를 예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태양광의 입지 특성을 분석해야 한다. 기존의 설치된 태양광 발전소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비슷한 특성을 가진 입지에 태양광이 설치될 수 있다고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림 1은 김제시에 설치된 태양광 현황이다. 태양광이 설치된 위치의 토지를 분석한 결과, 지목의 경우, 잡종지, 답, 전, 임야 순서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용도지역으로는 생산관리지역, 계획관리지역, 농림지역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토지이용현황 대부분은 전과 답이 차지하였고, 지형 고저의 경우 대부분이 평지에 설치되었다. 표 1은 태양광 설치 현황 데이터에 가장 많이 보이는 토지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위 분석을 통해 태양광이 설치된 입지의 토지가 특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분된 지역 내 토지 특성을 기반으로 태양광 입지를 예측한다면 지리적 특색을 쉽게 파악하고 일관된 예측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림. 1. 김제시 태양광 설치 현황

Fig. 1. Current status of PV installation in Gimje city

../../Resources/kiee/KIEE.2023.72.12.1613/fig1.png

표 1. 태양광 설치 토지 특성 사례

Table 1. Example of PV installed land characteristics

공시지가

면적

지목

용도지역

17,500원

2,248㎡

잡종지

생산관리지역

토지이용

현황

지형고저

형상

도로조건

공업기타

평지

삼각형

세로(가)

3. 태양광-토지 통합 데이터 구축

토지 특성 기반의 태양광 입지 예측을 위해서는 토지 데이터와 태양광 데이터의 통합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일정 지역의 토지 데이터와 태양광 데이터를 취득한 후 격자 내에 태양광 설치 정보와 토지 특성 정보를 좌표 기반으로 부여하여 통합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이다.

3.1 데이터 취득

토지 데이터는 국가공간정보포털(10)에서 취득한다. 토지 데이터는 크게 토지의 주소를 나타내는 고유코드와 토지와 관련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토지 특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토지 특성은 9가지 종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데이터가 의미하는 항목은 아래 표와 같다. 이때, 각 토지 특성은 9가지 종류 아래 카테고리로 구성되어 있다. 태양광 데이터의 경우, 공공데이터포털(11)의 2종류 중 주소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 형식을 취득한다.

표 2. 토지 데이터 표기 및 정의

Table 2. Mark and definition of land

원본 데이터 표기

데이터 정의

PNILP

공시지가

JIMOK

지목

PAREA

토지면적

SPFC

용도지역

SPFC1

용도지구

LAND_USE

토지이용현황

GEO_HL

지형고저

GEO_FORM

형상

ROAD_SIDE

도로조건

3.2 데이터 전처리

태양광 입지 예측을 위해서는 대상 지역 내 토지의 지리적 상관성과 특성을 알아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각 토지 데이터의 좌표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좌표계를 사용하였다. 토지 데이터의 주소를 통해 좌표를 부여함으로써, 토지 데이터의 전처리 과정이 완료된다.

태양광 데이터의 전처리는 지번 주소, 도로명 주소 등 다양한 양식의 주소를 통일시킨 후, 토지 특성을 가지는 토지 데이터와 매칭을 위해 주소를 나타내는 고유코드인 PNU(Parcel Number)로 변환한다. 이 후, 토지 데이터와 매칭하여 토지 데이터의 좌표를 부여함으로써 태양광 데이터 전처리 과정이 완료된다.

그림. 2. 태양광 데이터 전처리 프로세스

Fig. 2. Preprocessing process of PV data

../../Resources/kiee/KIEE.2023.72.12.1613/fig2.png

3.3 태양광-토지 통합 데이터베이스

태양광-토지 통합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해 태양광 입지 예측을 수행할 대상 지역을 선정한다. 구분된 지역 내 태양광 입지 예측을 위해 대상 지역을 3km × 3km 등으로 격자화 한다. 그림 3은 김제시를 대상으로 격자화한 예시이다.

각 격자를 좌표계로 변환 후 격자 중심좌표를 추출한다. 이 후, 대상 지역의 토지 데이터들의 좌표와 격자 중심좌표의 거리를 계산하여 가장 가까운 중심좌표의 격자로 대상 지역의 토지 데이터를 배정한다. 태양광 데이터의 경우도 토지 데이터와 동일하게 태양광 데이터들의 좌표와 격자 중심좌표의 거리를 계산하여 가장 가까운 격자로 할당한다. 최종적으로 대상 지역의 각 격자는 토지와 태양광 데이터를 포함하게 되며, 태양광 입지 예측을 위한 격자 내 태양광 입지 토지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림. 3. 김제시 지역구분 단위 격자화 예시

Fig. 3. Example of the unit district grids in Gimje city

../../Resources/kiee/KIEE.2023.72.12.1613/fig3.png

그림. 4. 태양광-토지 통합 데이터 구축 개념도

Fig. 4. Diagram of integrated PV-land data

../../Resources/kiee/KIEE.2023.72.12.1613/fig4.png

그림. 5. 태양광-토지 통합 데이터 구축 프로세스

Fig. 5. Integration data process of PV-land

../../Resources/kiee/KIEE.2023.72.12.1613/fig5.png

4. 배전계획을 위한 태양광 입지 예측 모델

전략적 배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태양광 입지 예측 모델은 지역별 태양광 설치 용량 전망 결과를 반영하여 위치를 예측할 수 있어야 하며, 예측시 마다 동일한 예측 결과를 가져야 한다.

4.1 태양광 적합도 점수 산출

그림 5와 같이 태양광-토지 통합 데이터를 통해 대상 지역의 격자에 토지가 할당되면, 각 격자에 있는 토지들이 어떤 특성과 그 특성에 따른 어떤 카테고리를 가지고 있는지 분류할 수 있다. 즉, 격자의 해당 토지 특성 카테코리를 가지는 데이터가 몇 개 있는지는 분석하고 분류하는 것이다. 격자 내 모든 특성에 해당하는 카테고리 수의 합은 그 격자 내 총 토지 데이터의 개수가 된다.

태양광 적합도는 선정된 지역의 태양광 현황을 기반으로 태양광이 설치된 토지의 토지 특성 빈도를 산출하는 것으로 아래 식과 같다. 즉, I번째 특성의 J번째 카테고리의 태양광 적합도는 대상 지역 전체에 기존 태양광이 설치된 토지 데이터 중 I번째 특성의 J번째 카테고리 해당하는 총개수의 비율이다.

(1)
$$ \begin{aligned} & \text { fitness of } i^{t h} \text { category of } i^{\text {th }} \text { property } \\ & =\frac{\text { number of } i^{\text {th }} \text { categoryo } f i^{\text {th }} \text { propertyof } P V}{\text { total number of category of property of } P V} \end{aligned} $$

예를 들어, 김제시에 2006년 ~ 2017년도 태양광이 설치된 토지의 토지 데이터가 9,523개이고, 이 중 ‘지목’ 특성에 ‘전’ 카테고리를 갖는 태양광이 설치된 토지 데이터가 200개라고 하면 ‘지목’ 특성에 ‘전’ 카테고리의 태양광 적합도는 200/9523= 0.0021이 되는 것이다. 이때, 토지 특성은 표 2와 같이 9종류이다. 토지 특성 ‘지목’의 카테고리가 전, 답, 과수원, 목장용지, 임야 등과 같이 토지 특성 종류에 따라 카테고리가 다양하다.

태양광 적합도가 산출되면 이를 통해 각 격자에 적합도 점수(fitness score)를 산출할 수 있다. 적합도 점수는 각 격자에 대해 토지 특성 카테고리별 태양광 적합도와 토지 카테고리 수를 곱하여 나온 결과를 합한 값이며, 아래 식과 같다.

(2)
\begin{align*} fitnessscore \enspace of \enspace j^{th}category \enspace of \enspace i^{th}property \enspace of n^{th}grid\\ =fitnessof j^{th}categoryof i^{th}property\\ \times \enspace number \enspace of \enspace j^{th}categoryof i^{th}property in n^{th}grid \end{align*}

(3)
\begin{align*} fitnessscore \enspace of \enspace n^{th}grid\\ =\sum_{i=1}^{6}\sum_{j=1}^{\nu mber of category\in i^{th}property}(fitnessscore of j^{th}categoryof \\ i^{th}property \in n^{th}grid) \end{align*}

\begin{align*} i= 1,\:2,\:3...6(토지 특성)\\ j=1,\:2,\:3,\:...(i번째 토지특성의 카테고리 수)\\ n=1,\:2,\:3,\:...,\:(격자 수) \end{align*}

$n$은 격자의 수를 의미하며, $n$의 마지막 값은 일정 크기의 격자로 나누어졌을 때, 총 격자의 개수이다. $i$는 토지 특성 수를 나타내며, $j$는 $i$번째 특성에 해당하는 카테고리의 수를 나타낸다.

4.2 태양광 추세 점수 산출

다음으로 각 격자의 태양광 설치 개수를 기반으로 해당 격자에 설치될 태양광의 수를 예측한다. 시계열 기반의 딥러닝 모델인 LSTM(Long Shot Term Memory)을 사용하여 학습 및 예측을 수행한다. 그림 6은 대상 지역인 김제시의 격자별 태양광 수에 대한 예측 결과이다.

그림. 6. 김제시 격자별 누적 태양광 예측 결과

Fig. 6. Accumulated PV number forecasting results by grids in Gimje city

../../Resources/kiee/KIEE.2023.72.12.1613/fig6.png

격자별로 예측된 태양광 수를 바탕으로 격자별 태양광 추세 점수(trend score)를 산출한다. 해당 식은 아래와 같다.

(4)
$$ \begin{aligned} & \text { forecast } \in g P \text { Vnumber }_{t+1} \text { of } n^{\text {th }} \text { grid } \\ & =\operatorname{LSTM}\left(\text { PVnumber }_{t, \ldots, t-p}\right) \text { of } n^{\text {th }} \text { grid } \\ & \end{aligned} $$

(5)
$$ \text { trendscore $\enspace$ of } n^{\text {th }} \text { grid }=\frac{\text { forecast } \in g {PVnumber \enspace of } n^{\text {th }} \text { grid }}{\text { total forecasting PVnumber $\enspace$ of } \text { grid }} $$

$t$는 연도를 나타내며, $p$는 예측에 사용되는 시간 주기의 범위를 나타낸다. $n$은 격자 순서를 나타내며, 격자별 태양광 개수 예측은 해당 격자의 이전 연도 태양광 데이터를 LSTM으로 학습하여 얻은 값이 된다. 추세 점수는 각 격자별 태양광 예측 개수를 전체 격자별 태양광 예측 개수의 합산으로 나눈 값을 의미하며, 0 ~ 1까지의 비율로 나타나게 된다.

4.3 태양광 입지 예측 모델

격자별 태양광 적합도 점수와 추세 점수가 완료되면 해당 결과를 이용하여 격자별로 태양광 입지 예측 점수를 계산한다. 해당 입지 예측 점수(grid score)는 지역별 태양광 전망 결과에 곱하여 격자별로 태양광을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격자별 태양광 설치 여부는 태양광 입지 예측 점수의 비율로 구성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격자에 태양광이 설치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6)
\begin{align*} gridscore \enspace of n^{th}grid\\ =\dfrac{trendscore \enspace of n^{th}grid\times fitnessscore \enspace of n^{th}grid}{\sum_{n=1}^{m}(trend score \enspace of n^{th}grid\times fitnessscore \enspace of n^{th}grid)} \end{align*}

그림. 7. 대상 지역 태양광 총량 예측 결과

Fig. 7. Forecasting result of total PV capacity

../../Resources/kiee/KIEE.2023.72.12.1613/fig7.png

그림. 8. 태양광 입지 예측 모델 프로세스

Fig. 8. Process of PV installation forecasting model

../../Resources/kiee/KIEE.2023.72.12.1613/fig8.png

이때, m은 격자의 총수를 나타낸다.

격자별 태양광 입지 예측 점수가 산정되면 대상 지역의 태양광 전망 용량을 산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상 지역의 태양광 누적 추세를 이용하여, 연도별 태양광 총 누적용량을 예측하였다. 태양광 총량 예측을 위해서는 연도별 전체 격자별 태양광 용량을 합산하여 시계열 기반의 딥러닝 모델인 LSTM을 통해 학습시켰으며, 그 결과는 그림 7에서 보는 것과 같다. 이와 같이 예측된 연도별 태양광 연계 총용량을 격자별 태양광 입지 예측 점수를 통해서 격자별로 분배한다. 이와 같은 태양광 입지 예측 최종 모델은 그림 8에서 보는 것과 같다.

4.4 태양광 입지 예측 결과 분석

태양광 입지 예측의 정확도를 산정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F1 Score를 사용하였다. 표 3은 F1 Score의 산정 원리를 나타낸다. 정밀도(Precision)는 모델이 참으로 예측한 데이터 중 실제로 참인 데이터를 말하며, 재현율(Recall)은 실제로 참인 데이터 중 예측 모델이 참으로 예측한 데이터의 비율을 의미한다. 식(9)에서 보는 것과 같이 F1 Score는 정밀도와 재현율의 조화평균을 통해 구할 수 있다. F1 Score는 0부터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1에 가까울수록 예측 모델이 정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12).

표 3. F1 score의 산정 원리

Table 3. Calculation principle of F1 score

Confusion Matrix

Prediction Condition

Negative (PN)

Positive (PP)

Actual Condition

Negative (N)

True Negative (TN)

False Positive (FP)

Positive (P)

False Negative (FN)

True Positive (TP)

(7)
$Precision=\dfrac{True \enspace Positives}{True \enspace Positives + False \enspace Positives}$

(8)
$Recall=\dfrac{True \enspace Positives}{True \enspace Positives + False \enspace Negatives}$

(9)
$F1 \enspace Score=\dfrac{2}{1/Precision+1/recall}$

본 논문에서는 김제시를 대상으로 2006 ~ 2017년까지의 태양광 데이터를 통해 3km ~ 0.5km까지의 격자를 기준으로 2018, 2019 및 2020의 태양광 설치 위치, 즉 입지를 예측하였고, 그림 9에서 보는 것과 같이 그 결과 산출하였다.

그림. 9. 태양광 입지 예측 결과

Fig. 9. PV intallation forecasting result

../../Resources/kiee/KIEE.2023.72.12.1613/fig9.png

표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태양광 입지 예측 정확도를 산정하였다. 2018 ~ 2019년까지 격자 내 실제 태양광 설치 현황과 예측된 결과를 비교하여 정확도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격자의 간격이 클수록 예측 연도가 가까울수록 정확도가 높았다. 대상 지역에서 예측 연도의 태양광이 설치될 것으로 예측한 격자에 실제로 설치되고, 설치되지 않을 것으로 예측한 격자에 실제로 설치되지 않은 정확도가 2018년의 경우, 모든 격자 크기에서 높았으나, 예측 연도가 멀어질수록 격자 크기가 작아질수록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4. 태양광 입지 예측 정확도

Table 4. Accuracy of PV installation forecasting results

F1 Sore

2018

2019

2020

3km x 3km

100%

82.7%

83.1%

2km x 2km

99.6%

77.9%

75.9%

1km x 1km

99.2%

54.8%

48.3%

0.5km x 0.5km

98.8%

27.7%

18.7%

5. 결 론

매년 배전계획 사업 중 40% 이상이 신재생 연계 사업이고 이와 관련한 배전선로 확충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태양광 접수 기준으로 배전계획을 진행하면 태양광 연계 요구에 대응이 늦고, 태양광 잠재량 기준으로 계획을 한다면 과투자로 인해 설비 이용률 측면에서 문제를 겪게 된다. 따라서 태양광 입지 예측을 통해 배전계획을 진행한다면 향후 지역별로 배전설비 규모와 시기를 계획할 수 있어, 투자회피를 통해 투자비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며, 동시에 탄소 중립의 요구에 전략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토지 특성 기반에 태양광 입지 예측 모델을 제안하고 그 결과에 대해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델을 한전의 배전계획 시스템에 적용한다면 대상 지역의 태양광 전망 용량에 대해 예측된 태양광 설치 위치를 제공함으로써 가장 근접한 배전선로를 고려하여 배전설비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통해 투자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다양한 대상 지역에 대한 예측 결과 분석을 통해 예측 모델의 가중치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EPCO Research Institute under the project entitled by “A Research of Advanced Distribution Planning System for Mid-Long term (R20DA16)”.

References

1 
Y. U. Kim, 2020,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ower Systems, Trans of the KIEE, Vol. 69, No. 7, pp. 24-30Google Search
2 
2023, The 10th Basic Plan for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KoreaGoogle Search
3 
R. A. Walling, H. L. Willis, 2004, Power Distribution Planning Reference Book, 2nd ed.; Marcel Dekker: New YorkGoogle Search
4 
Advanced Energy Economy., https://info.aee.net/hubfs/Distribution %20System%-20Planning%20FINAL%20-%2007-03-2018.pdf.Google Search
5 
W. Chae, H. Lee, J. Park, W. Jung, June. 2012, Cooperative operation method of two battery systems at Microgrid system, In Proceedings of 3rd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Power Electronics for Distributed Generation Systems (PEDG), Aalborg, Denmark, pp. 872-877DOI
6 
R. Saint, R. C. Dugan, J. Burke, L. A. Kojovic, July 2008, Summary of Distributed Resources Impact on Power Delivery Systems, IEEE Trans. Power Deliv., Vol. 23, No. 3, pp. 1636-1644DOI
7 
J. Cho, H. Kim, H. Ryu, Y. Cho, J. Kim, S. Choi, October 11-14, 2021, Development of Power Distribution Planning System for Mid Long term, In Proceedings of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Power System Automation & Protection (APAP), Jeju, Vol. koreaGoogle Search
8 
J. Cho, H. Kim, H. Ryu, Y. Son, S. Choi, 2021, Analysis of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Forecasting Model for Power Distribution Planning,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70, No. 9, pp. 1248-1262DOI
9 
S.K. Khator, L.C. Leung, August 1997, Power distribution planning: a review of models and issues,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12, No. 3, pp. 1151-1159DOI
10 
A. Keane, L. F. Ochoa, C. L. T. Borges, G. W. Ault, A. D. Alarcon-Rodriguez, R. A. F. Currie, F. Pilo, C. Dent, G. P. Harrison, May 2013, State-of-the-Art Techniques and Challenges Ahead for Distributed Generation Planning and Optimization,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28, No. 2, pp. 1493-1502DOI
11 
Spatial Information Portal., http://www.nsdi.go.kr/lxportal/?menuno =3085Google Search
12 
Public Data Portal., https://www.data.go.kr/en/index.doGoogle Search
13 
R. Wang, H. Yun, R. Rayhana, J. Bin, C. Zhang, O. E. Herrera, Z. Liu, September 2023, An adaptive federated learning system for community building energy load forecasting and anomaly prediction, Energy and Buildings, Vol. 295DOI

저자소개

조진태(Jintae Cho)
../../Resources/kiee/KIEE.2023.72.12.1613/au1.png

He received the B.E., the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2006, 2008 and 2023, respectively.

He joined KEPCO Research Institute in 2009.

He is the Senior researcher at Distribution Planning Research Group in Power Distribution Lab. of KEPCO Research Institute, Daejeon,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load and DER forecasting, grid optimization for distribution power system planning.

김홍주(Hongjoo Kim)
../../Resources/kiee/KIEE.2023.72.12.1613/au2.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0 and 2012, respectively.

From 2012 to 2014, he was with the DL E&C, Seoul, Korea, as a plant design engineer.

From 2014 to 2016, he was with the LS Electric, Anyang, Korea, as an EMS engineer.

He joined KEPCO Research Institute in 2016.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planning, analysis and operation of Distribution Power System.

유호성(Hosung Ryu)
../../Resources/kiee/KIEE.2023.72.12.1613/au3.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Energy System Engineering from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9 and 2021.

He joined KEPCO Research Institute in 2021.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load forecasting based on deep learning and development of distribution planning system.

박래진(Rae-Jin Park)
../../Resources/kiee/KIEE.2023.72.12.1613/au4.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anbat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in 2020 and 2023,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in the Ph.D. course in Electrical Engineering at Hanbat National University.

He joined KEPCO Research Institute in 2022.

He is the researcher at Distribution Planning Research Group in Power Distribution Lab. of KEPCO Research Institute, Daejeon,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analysis and power forecasting of wind far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손용주(Yongju Son)
../../Resources/kiee/KIEE.2023.72.12.1613/au5.png

He received the B.E. degree in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ung-Ang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2019.

Since 2019, he is currently pursuing an M.S./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at Korea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renewable energy forecast and microgrid optimization based on deep learning.

김동섭(Dongsub Kim)
../../Resources/kiee/KIEE.2023.72.12.1613/au6.png

He received his B.S. and the M.S. degrees from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1982, 2000, and Ph.D. degree from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4, respectively.

He was the Vice president at KEPCO, Korea from 2018 to 2020.

Currently, he is a professor at Mokpo National University, Mokpo, Korea.

His recent research interests are in the applications of EMS, DERMS for active control of distribution power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