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2.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3.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4.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Doubly fed induction machine(DFIM), Variable renewable energy, Variable-speed pumped storage, Vector control.

1. 서 론

풍력발전(Wind Turbine, WT)이나 태양광발전(Photovoltaic, PV)은 시간과 날씨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발전을 제어하기 어려우며 환경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한다. 따라서 전력의 공급-수요 균형을 위한 일정 수준 이상의 예비력과 빠르게 응답할 수 있는 유연성 자원의 필요성이 증대된다.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높은 국가에서는 이미 예비력과 빠른 응답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배터리, 양수 발전기 등과 같은 에너지 저장장치를 활용하고 있다(1). 차세대 발전 기술인 가변속 발전 시스템은 여자 주파수를 변화함으로써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계통 주파수 변동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컨버터의 동작으로 빠른 응답이 가능하다. 가변속 발전 시스템은 여자전류 조정 방식에 따라 전용량 컨버터 (Full-Size Converter) 형식과 DFIM (Doubly-Fed Induction Machine) 형식으로 구분된다(2). 그중 DFIM 시스템은 고정자는 계통에 연결되고 회전자는 컨버터에 연결되어 제어되기 때문에 시스템 용량에 비해 작은 용량의 컨버터를 사용한다는 장점이 있다(3). 따라서 컨버터 설계 비용과 컨버터 손실이 작기 때문에 100MW 이상의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다. 기존 국내 가변속 DFIM에 대한 연구는 예비력 계산, 사례연구에 따른 용량산정, 활용방안 등 수학적 모델을 이용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다(4-5). 따라서 가변속 DFIM에 터빈-펌프 모델을 구성하여 운전 시 특성 분석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고, DFIM의 운전 시 조속기 및 회전속도, 유효전력 변경에 따른 응답 특성을 분석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회전자 측 컨버터와 계통 측 컨버터의 제어 구조를 설명하고, 터빈-펌프 모델을 통해 동작 조건에 따라 조속기와 컨버터의 동작 시간을 확인하였다. 회전자 속도는 조속기 및 관성으로 인해 수 십초의 변경 시간을 가지며, 컨버터는 유효전력 지령에 따라 수백 ms의 시간으로 전력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컨버터의 벡터 제어를 통해 계통 운영자의 요구 조건에 따라 빠른시간 내로 유효전력 변경이 가능하고 가변속을 통해 효율적인 운전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2. 가변속 DFIM의 백투백 컨버터

전력계통에 대규모 신재생 에너지원이 증가함에 따라 계통의 출력 변동성을 보완하고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자원이 필요하다. DFIM 시스템의 회전자는 백투백 컨버터에 연결되어 있어 회전자의 전기적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고 가변 속도로 동작이 가능하여 계통의 요구에 따른 유연성 있는 전력제어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유럽 및 기타 국가에서는 가변속 양수발전 시스템을 사용하여 발전하고 있으며 현재도 운전 중에 있다(6).

그림. 1. DFIM 기반 가변속 시스템 구조

Fig. 1. DFIM-base variable-speed system structure

../../Resources/kiee/KIEE.2024.73.1.137/fig1.png

2.1 벡터 제어와 백투백 컨버터

DFIM에서 사용되는 이중여자 유도기의 고정자는 계통에 연결되어 전압 및 전류를 공급받으므로 일반적으로 고정자 자속에 정렬된 회전 좌표계를 사용하여 회전자의 전기량을 제어한다. 회전자의 전압, 전류와 자속을 고정자 자속 기준 좌표계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회전자 전류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7).

(1)
$\overrightarrow{v_{s}}=R_{s}\overrightarrow{i_{s}}+\dfrac{d\overrightarrow{\lambda_{s}}}{dt}+j\omega_{e}\overrightarrow{\lambda_{s}}$

(2)
$\overrightarrow{v_{r}}=R_{r}\overrightarrow{i_{r}}+\dfrac{d\overrightarrow{\lambda_{r}}}{dt}+j(\omega_{e}-\omega_{r})\overrightarrow{\lambda_{r}}$

(3)
$\overrightarrow{\lambda_{s}}=L_{s}\overrightarrow{i_{s}}+L_{m}\overrightarrow{i_{r}}$

(4)
$\overrightarrow{\lambda_{r}}=L_{r}\overrightarrow{i_{r}}+L_{m}\overrightarrow{i_{s}}$

(5)
$T_{e}=\dfrac{3}{2}p\left(\lambda_{ds}i_{qs}-\lambda_{qs}i_{ds}\right)$

위 식에서 아래 첨자 $s$와 $r$은 각각 고정자와 회전자를 나타내며, $\overrightarrow{\lambda_{s}}[Wb]$, $\overrightarrow{\lambda_{r}}[Wb]$ 은 고정자 및 회전자 자속의 위상자, $\omega_{e}[rad/s]$, $\omega_{r}[rad/s]$은 고정자 각속도 및 회전자 속도, $\omega_{sl}[rad/s]$은 슬립 각속도, $p$는 극의 쌍, $L_{m}[H]$은 자화 인덕턴스, $T_{e}[Nm]$는 토크를 나타낸다. 고정자 자속 기준 제어를 사용하면 $\overrightarrow{\lambda_{s}}=\lambda_{ds}[Wb]$이고, $\overrightarrow{v_{s}}=v_{qs}[V]$이 된다. 식 (3)을 정리하면 고정자 전류에 대한 수식을 회전자 전류로 정리 가능하고, 토크도 회전자 전류에 대한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6)
$i_{ds}=\dfrac{\left |\overrightarrow{\lambda_{s}}\right |}{L_{s}}-\dfrac{L_{m}}{L_{s}}i_{dr},\: i_{qs}=-\dfrac{L_{m}}{L_{s}}i_{qr}$

(7)
$T_{e}=-3\dfrac{p}{2}\dfrac{L_{m}}{L_{s}}\left |\overrightarrow{\lambda_{s}}\right | i_{qr}$

또한, 식(6)을 고정자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 수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8)
$P_{g}=T_{e}\omega_{rm}=P_{s}+P_{r}$

(9)
\begin{align*} P_{s}=\dfrac{3}{2}\left(v_{ds}i_{ds}+v_{qs}i_{qs}\right)=-\dfrac{3}{2}\dfrac{L_{m}}{L_{s}}\left |\overrightarrow{v_{s}}\right | i_{qr}\\ Q_{s}=\dfrac{3}{2}\left(v_{qs}i_{ds}-v_{ds}i_{qs}\right)=\dfrac{3}{2}\left |\overrightarrow{v_{s}}\right |\left(\dfrac{\left |\overrightarrow{\lambda_{s}}\right |}{L_{s}}-\dfrac{L_{m}}{L_{s}}i_{dr}\right) \end{align*}

위 수식에서 $P_{g}[W]$는 계통 유효전력, $\omega_{rm}[rad/s]$은 회전자 기계 각속도, $P_{s}[W]$, $P_{r}[W]$은 고정자 및 회전자 유효전력, $Q_{s}[VAR]$는 고정자 무효전력을 나타낸다. 식 (7), (9)를 통해 회전자 d축 전류는 무효전력 성분 전류이고 회전자 q축 전류는 DFIM의 토크 성분 및 유효전력 성분 전류이며, 회전자 d-q축 전류를 제어하면 DFIM의 무효전력 및 유효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회전자 측 컨버터는 주로 DFIM의 회전자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을 제어하고 속도 또는 토크 제어에 사용된다. 따라서, 그림 2의 (a)와 같이 회전자 측 컨버터는 전력 지령에 따라 DFIM의 회전자를 제어하고, 그림 2의 (b)의 계통 측 컨버터는 DC 링크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필요시 무효전력 제어를 통해 계통 전압을 지원한다.

그림. 2. 백투백 컨버터 제어 블록도 (a) 회전자 측 컨버터 제어 블록도 (b) 계통 측 컨버터 제어 블록도

Fig. 2. Back-to-back converter control diagram (a) Rotor side converter control diagram (b) Grid side converter control diagram

../../Resources/kiee/KIEE.2024.73.1.137/fig2.png

그림 2에서 $P_{g}^{*}[W]$는 유효전력 지령을 나타내고, $Q_{s}^{*}[VAR]$, $Q^{*}[VAR]$는 고정자 및 계통 측 컨버터의 무효전력 지령, $\theta_{e}$, $\theta_{r}$, $\theta_{sl}$는 고정자 및 회전자각, 슬립각을 나타내고, $V_{dc}^{*}[V]$는 DC 링크 전압 지령을 나타낸다. 또한 $I_{d}^{*}[A]$, $I_{q}^{*}[A]$ 는 각각 d축 전류 및 q축 전류 지령을 나타내고 첨자 $s$, $r$, $g$는 고정자 및 회전자, 계통 측을 나타낸다.

2.2 가변속 DFIM 시스템 제어

본 논문은 유연성있는 계통 운영을 위하여 DFIM 가변속 시스템을 회전자 측 컨버터의 유효전력 제어를 통한 전력 우선 제어를 사용한다. 전력 우선 제어는 전력 명령치가 변경되면 최적 속도 계산기를 통해 전력 명령치에 대응하는 최적 속도가 계산되고 조속기에 전달되어 기계 속도와 터빈-펌프의 출력을 조절한다. 마찬가지로 최적 게이트 개방 계산기에서도 전력 명령치에 따른 게이트 개방도를 계산하여 게이트 개방 신호를 조속기 출력에 합쳐 터빈-펌프에 전달되게 된다. 전력 우선 제어의 가변속 DFIM 시스템 제어 블록도는 그림 3과 같으며, 가변속 DFIM 시스템은 크게 컨버터 제어 부분과 조속기 제어 부분으로 나뉜다. 컨버터 제어 부분은 그림 2와 같이 백투백 컨버터 제어에 의해 전력 명령에 따라 빠른 속도로 동작하고 조속기 제어 부분은 전력 명령에 따라 조속기를 통해 실제 속도를 속도 명령치와 비교하고 게이트 개방도를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지령속도와 일치시키도록 게이트를 제어하고 시스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PI 조속기에 따라 속도를 조정한다.

그림. 3. 가변속 DFIM 시스템 제어 블록도

Fig. 3. Variable-speed DFIM system control diagram

../../Resources/kiee/KIEE.2024.73.1.137/fig3.png

3. 터빈-펌프 모델

3.1 조속기 모델

터빈-펌프의 조정 시스템의 구조는 PI 제어를 사용하여 조속기로 사용하며(8), 전자 유압식 서보 시스템의 기능은 조속기의 전기 신호를 기계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여 가이드 베인 개방을 제어한다. 그림 4의 조속기는 발전 시스템의 중요한 제어 장치로 계통의 부하가 변하고 장치의 회전속도가 변경될 때 조속기를 통해 게이트를 조정하여 물의 흐름을 제어한다. 따라서 장치의 기계적 토크와 전기적 토크 사이의 균형을 통해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며, 주어진 지령 값과 실제 값의 편차에 따라 조정 및 제어할 수 있다.

그림. 4. 터빈-펌프의 속도 조정 시스템

Fig. 4. Turbine-pump speed adjustment system

../../Resources/kiee/KIEE.2024.73.1.137/fig4.png

그림 4에서 $n_{ref}$는 단위 속도 지령이고 $n$은 실제 단위 속도, $T_{m}$은 기계적 토크, $T_{e}$는 전기적 토크이다.

3.2 터빈 모델

일반적으로 발전 시스템에서는 수직 다극 동기기가 사용되며 대부분의 발전 시스템에서 가역식 터빈-펌프 장치를 사용하여. 하나의 기기를 통해 터빈과 펌프로 동작한다. 단위 터빈 양정, 터빈 유량 및 게이트 개방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10)
$\bar{H_{d}}=\left(\dfrac{\bar{Q_{d}}}{\bar{G}}\right)^{2}$

여기서 각 기호 위의 바는 p.u(per-unit) 값을 나타내고 단위 출력 전력은 다음과 같다.

(11)
$\bar{P_{m}}=\bar{H_{d}}(\bar{Q_{d}}-\bar{Q_{nl}})$

$\bar{Q_{nl}}$는 단위 무부하 유량이며, 터빈 모드의 가역식 터빈-펌프 장치의 블록도는 그림 5에 나타난다. $\bar{G}$는 속도 조속기의 출력에서 나오며, 펜스톡에는 두 가지 유형의 손실이 있다. 하나는 마찰 양정 손실이고 다른 하나는 무부하 유량 손실이다. 기저 양정 $H_{"base "}$는 일반적으로 정격 총 가용 양정으로 선택된다. 본 논문에서 기저 게이트 $G_{"base "}$는 무손실 정격 동작 조건에서 열리는 게이트로 정의되며, 무손실 터빈이 1 p.u 동적 양정을 발생시키고 1 p.u 기계적 동력을 출력할 때 유량은 1 p.u, 해당 게이트 개방도는 1 p.u이다.

그림. 5. 터빈 모드의 터빈-펌프 유닛 블록도

Fig. 5. Turbine-pump unit block diagram in turbine mode

../../Resources/kiee/KIEE.2024.73.1.137/fig5.png

4. 시뮬레이션

가변속 DFIM 시스템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PLECS를 통하여 모델링하였으며, 회전자 측 컨버터 및 계통 측 컨버터 제어를 통해 속도 및 유효전력 변경에 따른 응답 특성을 확인하였다. 시뮬레이션 속도를 높이기 위해 백투백 컨버터는 전압원을 이용한 평균모델로 구현하여 스위칭 리플 성분은 무시하고 시스템 동적 응답성을 관찰하였으며, 계통과 터빈-펌프를 포함한 가변속 DFIM 시스템을 모델링하였다. DFIM의 매개변수는 표 1과 같으며 250MW 용량의 가변속 DFIM 시스템이다(9).

그림. 6. 가변속 DFIM 시스템 시뮬레이션 모델

Fig. 6. Variable-speed DFIM system simulation model

../../Resources/kiee/KIEE.2024.73.1.137/fig6.png

표 1. 가변속 DFIM 시뮬레이션 파라미터

Table 1. Variable-speed DFIM system simulation parameter

Parameters

Value

Rated power[W]

250MW

Stator voltage[V]

15750V

Rotor voltage[V]

3300V

Frequency[Hz]

50Hz

Stator resistance[Ω]

2.52mΩ

Stator leakage inductance[H]

0.38mH

Rotor resistance[Ω]

1.04mΩ

Rotor leakage inductance[H]

0.52mH

Magnetizing inductance[H]

4.55mH

Inertia

4,600,000kgm2

Pole pairs

13

4.1 가변속 DFIM 시스템 동작 특성

조속기의 속도제어와 컨버터의 전력제어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가변속 DFIM이 0.9 p.u로 동작 중 속도 변경/전력 일정 조건과 전력 변경/속도 일정 조건에서 비교하였다. 그림 7(a)는 가변속 DFIM의 계통 측 유효전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조속기를 사용하여 속도만 변경하였을 경우를 나타낸다. 유효전력은 0.9 p.u로 유지하고 회전속도만 변경하였을 경우 회전자 속도는 조속기 동작에 따라 회전속도가 수 십초의 시간으로 천천히 변경된다. 그러나 유효전력의 지령은 0.9 p.u로 일정하게 유지했기 때문에 회전자 측 컨버터가 회전자 전압 및 전류를 제어하여 계통 유효전력은 0.9 p.u로 변하지 않는다. 그림 7(b)는 DFIM의 유효전력 지령을 0.9 p.u → 0.8 p.u → 0.9 p.u로 변경하고 조속기 지령을 일정하게 유지하였을 경우의 가변속 DFIM의 응답 특성을 나타낸다. 회전자 측 컨버터의 유효전력 지령이 변경됨에 따라 계통 유효전력은 0.9 p.u → 0.8 p.u → 0.9 p.u로 변경되며 전력 변경은 컨버터 동작으로 수백 ms의 빠른 속도로 전력 변경이 가능하다. 회전자 속도는 유효전력이 감소함에 따라 일시적으로 상승하지만 조속기의 속도 제어를 통해 다시 일정한 속도를 유지한다. 따라서 조속기 동작 시간은 수 십초로 컨버터의 수백 ms에 비해 느리게 동작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컨버터 및 조속기 사용을 통해 유효전력과 회전 속도의 독립적인 제어도 가능하다.

그림. 7. 조속기 및 컨버터 제어 특성 비교(p.u) (a) 전력 일정/속도 변경 제어 (b) 속도 일정/전력 변경 제어

Fig. 7. Comparison of governor and converter characteristics(p.u) (a) Power unchanged and speed changed (b) Speed unchanged and power changed

../../Resources/kiee/KIEE.2024.73.1.137/fig7.png

그림 8, 9는 전력 변경에 따른 효율적 운전을 위해 유효전력과 회전속도를 동시에 변경하여 동작하였을 경우의 결과를 나타낸다. DFIM은 회전자 속도에 따라 super/sub-synchronous 모드로 나뉘며, 슬립이 0보다 작아 동기 속도보다 빠르게 회전하면 super-synchronous 모드로 동작하고 슬립이 0보다 커서 동기 속도보다 회전속도가 작으면 sub-synchronous로 동작한다. 따라서 그림 8(a)와 같이 계통 측의 고정자 각속도는 일정하고 유효전력 지령 변경에 따라 회전자 속도가 변하면 슬립 각속도가 변하는 동작영역을 가진다. 또한 유효전력 지령을 0.9 p.u에서 0.8 p.u로 변경하였을 경우 수식 (9)에 나와 있는 것과 같이 회전자 q축 전류 제어를 통해 유효전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그림 8(b)와 같이 회전자 q축 전류를 줄여 유효전력을 줄이게 된다. 유효전력을 감소시켰을 경우 회전자 속도 $\omega_{r}$이 감소하여

그림. 8. 가변속 DFIM 시스템 유효전력과 슬립 관계 결과(p.u) (a) 각속도 (b) 회전자 d-q축 전류 (c) 회전자 3상 전압 및 전류

Fig. 8. Variable-speed DFIM system active power and slip relationship results(p.u) (a) Angular speed (b) Rotor d-q axis current (c) Rotor three-phase voltage and current

../../Resources/kiee/KIEE.2024.73.1.137/fig8.png

가변 속도로 동작하며, 그림 8(c)에서와 같이 회전자 전류를 줄이게 되면 회전자 전압이 감소하고 회전자 전류의 동작 주파수가 변하게 되며, 동작 모드가 super-synchronous모드에서 sub- synchronous로 바뀔 때 회전자 전압 및 전류의 위상이 변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9는 가변속 DFIM 시스템이 유효전력 0.9 p.u로 동작 중 200초에 유효전력 지령을 0.8 p.u로 변경하고 350초에 유효전력 지령을 0.9 p.u로 변경하였다. 전력 지령 변경에 따라 유효전력 지령이 감소하면 컨버터의 동작으로 유효전력이 감소하고, 조속기의 동작으로 회전속도 또한 감소하게 된다. 유효전력 10\% 변경 시 계통 측 유효전력 $P_{g}$가 수백 ms의 시간으로 변경이 완료되며 이는 그림 8과 같이 전력 제어를 위해 회전자 측 컨버터가 빠른 속도로 회전자의 전류 및 전압을 제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속도는 게이트의 닫힘 속도와 DFIM과 터빈의 관성 및 조속기의 동작으로 인해 수 십초의 응답성을 갖는다. 가변속 DFIM 시스템은 유효전력 변경 시 회전자 속도를 가변함으로 빠른 속응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9. 가변속 DFIM 시스템 시뮬레이션 결과(p.u) (a) 게이트 (b) 회전자 속도 (c) 유효전력 (d) 유효전력 0.9→0.8

Fig. 9. Variable-speed DFIM system simulation results(p.u) (a) Gate (b) Rotor speed (c) Active power (d) Active power 0.9→0.8

../../Resources/kiee/KIEE.2024.73.1.137/fig9.png

5. 결 론

전력 수급기본계획에 따라 풍력과 태양광 발전 비중이 증가하면 계통의 순부하(Net Load)가 낮아져 계통에 연계된 발전기의 수가 감소하지만 신재생 에너지의 출력 변동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확보해야 하는 예비력 요구량은 증대된다. 가변속 발전 시스템은 대표적인 유연성 자원으로 전기에너지의 저장 및 방출이 가능하고 타 발전설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동성이 우수한 자원이다. 가변속 DFIM 시스템은 고정속 시스템과는 달리 전력 변경 시 매우 빠른 응답 특성을 가지므로 전력계통에 주파수 응답 및 예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가변속 DFIM 시스템 모델을 통해 백투백 컨버터 및 조속기의 동작을 설명하고 시스템 모델링을 통해 급전 요구 상황 시 유효전력 변경 응답성 및 DFIM의 super/sub-synchronous 모드 전환을 이용한 가변속 특성을 확인하였다. 가변속 DFIM 시스템의 회전속도는 게이트의 닫힘 속도, 조속기의 동작 속도로 인해 수십 초의 응답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전력은 컨버터의 빠른 동작으로 인해 수백ms 로 변경이 가능하며 계통의 유효전력을 빠르게 지원하여 전력계통의 신뢰성이 증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research fund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References

1 
M. S. Javed, T. Ma, J. Jurasz, M. Y. Amin, 2020, Solar and wind power generation systems with pumped hydro storage: Review and future perspectives, Renewable Energy, Vol. 148, pp. 176-192DOI
2 
H. Ye, Sep 2021, Variable-speed Pumped Hydro Storage Technology: Overview, Solutions and Case Studies, 2021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wer and Renewable Energy (ICPRE), pp. 1273-1278DOI
3 
R. Cardenas, R. Pena, S. Alepuz, G. Asher, July 2013, Overview of Control Systems for the Operation of DFIGs in Wind Energy Applications, in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60, No. 7, pp. 2776-2798DOI
4 
Seung-Hoon. J, Yeong-Han. C, Jan 2017, An Analysis on the Usage of Pumped Hydro Storage as a Non-Spinning Reserve Power,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6, No. 1, pp. 1-6DOI
5 
Min-Su. P, Yeong-Han. C, Mar 2014, Effect of Adjustable Speed Pumped Storage Power Generator on the Frequency Control Against the Intermittence of Wind Turbine Output,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3, No. 3, pp. 338-342DOI
6 
M. Valavi, A. Nysveen, Sept-Oct 2018, Variable-Speed Operation of Hydropower Plants: A Look at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n IEEE Industry Applications Magazine, Vol. 24, No. 5, pp. 18-27DOI
7 
E. Tremblay, S. Atayde, A. Chandra, July 2011, Comparative Study of Control Strategies for the Doubly Fed Induction Generator in Wind Energy Conversion Systems: A DSP- Based Implementation Approach, in IEEE Transactions on Sustainable Energy, Vol. 2, No. 3, pp. 288-299Google Search
8 
J. Feltes, V. Koritarov, L. Guzowski, Y. Kazachkov, B. Gong, B. Trouille, P. Donalek, e MWH Americas, 2013, Modeling adjustable speed pumped storage hydro units employing doubly-fed induction machines, Relatório técnicoGoogle Search
9 
A. Joseph, K. Desingu, R. R. Semwal, T. R. Chelliah, D. Khare, Mar 2018, Dynamic Performance of Pumping Mode of 250 MW Variable Speed Hydro-Generating Unit Subjected to Power and Control Circuit Faults, in IEEE Transactions on Energy Conversion, Vol. 33, No. 1, pp. 430-441DOI

저자소개

김동민 (Dongmin Kim)
../../Resources/kiee/KIEE.2024.73.1.137/au1.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from Daejeon University, Daejeon, Korea, in 2021.

Currently he is pursuing the combine M.S and Ph.D. degree at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E-mail : rlaakfldh96@naver.com

손금뢰 (Jinlei Sun)
../../Resources/kiee/KIEE.2024.73.1.137/au2.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from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in 2021.

and M.S, degree at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in 2023.

Currently he is pursuing Ph.D.

E-mail : jinlei96@naver.com

생차야 (Chhaya Seng)
../../Resources/kiee/KIEE.2024.73.1.137/au3.png

He received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National Polytechnic Institute of Cambodia, Cambodia, in 2019, and is currently pursuing his M.S. and Ph.D. degree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E-mail : sengchhaya117@gmail.com

서정진 (Joungjin Seo)
../../Resources/kiee/KIEE.2024.73.1.137/au4.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from Daejeon University, Daejeon, Korea, in 2019.

and M.S, degree at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in 2021.

Currently he is pursuing Ph.D.

E-mail : wjdwls2020@gmail.com

차한주 (Hanju Cha)
../../Resources/kiee/KIEE.2024.73.1.137/au5.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in 1988;

the M.S. degree from the Pohang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hang, Korea, in 1990;

and the Ph.D. degree from Texas A&M University, College Station, TX, USA, in 2004, all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1990 to 2001, he was at LG Industrial Systems, Anyang, Korea, where he was engaged in the development of power electronics and adjustable speed drives.

Since 2005, he has been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