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Transportation System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Transpo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Korea)



Return Current on Adjacent Line, AT Feeding System, Protection, Ground fault, Overcurrent relay

1. 서 론

국내 철도산업은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전철화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더불어 일반철도를 비롯한 고속철도 등 전기를 공급받아 운행하는 철도차량이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으며, 전기철도차량이 운행되는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기철도급전 계통은 안정된 전원을 운행되는 철도차량에 공급하기 위해 복잡하게 구축되고 있다. 즉 운영되고 있던 전철변전소가 전차선로에 전원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때 인근 전철변전소를 통해 연장급전을 하거나 상선과 하선이 귀선로를 공유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급전계통이 복잡해짐에 따라 사고 시 고장점 표정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2차 사고로도 이어지고 있다.

AT 급전계통에서 전차선로의 지락사고 발생 시 동일모선에 연결된 사고 전차선로를 제외한 나머지 건전 상 전차선로의 단권변압기(Auto Transformer, AT)로 사고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 전류를 타 귀선전류라 한다. 그러나 현재 전철제어반에서는 변전소의 단권변압기에 나타나고 있는 타 귀선전류를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변전소에서 근거리의 지락사고 발생 시 과도한 타 귀선전류로 인해 단권변압기가 소손되는 2차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1)(2).

본 논문에서는 변전소를 중심으로 급전계통별로 나타나는 타 귀선전류를 파악하고 이를 정량화하였다. 정량화된 타 귀선전류를 토대로 전차선로의 지락사고 시 과도한 사고전류로부터 급전계통을 보호할 방법을 연구하였다. 즉 타 귀선전류를 기록하여 타 귀선전류에 의한 단권변압기의 전기적 충격에 대해 사전조치를 강화함으로서 급전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보호방안을 제안하였다.

2. 본 론

2.1 타 귀선전류

전기철도 AT급전계통에서 부하전류가 변전소→전차선→전기차량→레일→변전소 등의 경로로 흐른다. 이때 AT의 중성선으로 흐르는 전류를 귀선전류라 한다(3).

전동차 부하 또는 지락사고 발생 시 부하전류(사고전류 포함)가 부하가 있는 전차선로의 AT로 귀선(歸線)되는 전류를 자(自) 귀선전류라 하고 타 전차선로의 AT로 귀선되는 전류를 타(他) 귀선전류라 한다. 복선 이상의 전차선로에서는 타 귀선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AT 급전계통의 특성상 동일 모선에 같은 방향의 전차선로가 많을수록 타 귀선전류가 많아지게 된다. 즉 전차선로가 많을수록 자기 부하전류의 자(自) 귀선율은 작아지는 반면에 타(他) 귀선율은 커지는 현상이 일어난다.

자 귀선율은 그림 1에서 AT 급전계통의 부하전류 중에서 부하가 있는 전차선로_AT1의 중성선으로 귀선되는 전류의 비(比)로 식 (1)과 같이 나타낸다.

(1)
$$자 귀선율(\%)=\dfrac{I_{AT 1}}{I_{L}}\times 100$$

타 귀선율은 그림 1에서 AT 급전계통의 부하전류 중에서 부하가 없는 전차선로의 전차선로_AT2의 중성선으로 귀선되는 전류의 비(比)로 식 (2)와 같이 표현된다.

(2)
$$타 귀선률(\%)=\dfrac{I_{AT 2}}{I_{L}}\times 100$$

여기서 I_{AT2}는 타 귀선전류이다.

부하전류와 자 귀선전류 및 타 귀선전류의 흐름은 그림 1과 같다.

그림. 1. 부하전류와 귀선전류의 흐름도

Fig. 1. The flow of load current and return current on adjacent line

../../Resources/kiee/KIEE.2020.69.10.1499/fig1.png

$\begin{aligned} 여기서 \enspace & \\ & I_{55MB}\text{는 MTr 2차측 권선전류/55[kV],} \\ & I_{L}\text{는 부하전류/27.5[kV],}\\ & I_{AT 1}\text{는 하선의 자 귀선전류/27.5[kV],}\\ & I_{AT 2}\text{는 F2상선 타 귀선전류/27.5[kV],} \\ & I_{F 1AF}\text{는 하선 AF전류/55[kV],}\\ & I_{F 1TF}\text{는 하선 TF전류/55[kV],}\\ & I_{F 2AF}\text{는 상선 AF전류/55[kV],}\\ & I_{F 2TF}\text{는 상선 TF전류/55[kV]} \end{aligned}$

2.2 일반선 복선 구분소 타이(Tie) 급전계통 타 귀선전류

그림 2와 같은 복선 급전계통에서 A-SS의 하선에서 SP 타이(Tie)차단기가 개방되어 상·하선 분리급전 상태에서 지락사고가 발생하여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5,946[A]의 사고전류와 4,780[A]의 귀선전류, 1,166[A]의 타 귀선전류가 계측되었다. 따라서 타 귀선율은 19.61%이다. 이때 복선 전차선로의 사고전류와 타 귀선전류의 흐름은 그림 2와 같다.

(2)
$$타 귀선률(\%)=\dfrac{1166}{5946}\times 100=19.61\%$$

그림. 2. 상하선 분리급전 시 사고전류의 흐름

Fig. 2. The flow of fault current when the upper and lower line feeding system are separated

../../Resources/kiee/KIEE.2020.69.10.1499/fig2.png

SP 타이(Tie)차단기 개방 및 투입 시의 사고전류 분포 값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일반선 복선전차선로의 실제사고 시 타 귀선율

Table 1. Return current ratio on adjacent line in case of fault at general double catenary

구 분

사고선로(A-SS_F1)

타 귀선전류

전차선

전압

Ucat[V]

사고

전류

Ig[A]

전차선

ITF

[A]

자귀선

전류

IRB[A]

귀선율

(%)

귀선율

(%)

전류합

IADJ

(A)

SP_Tie

개방 시

17,646

5,946

3,556

4,780

80.4

19.6

1,166

SP_Tie

투입 시

16,417

6,946

4,492

4,908

70.7

29.3

2,038

2.3 타 귀선전류로부터 급전계통 단권변압기 보호

현재 국내에서 운영 중인 AT급전계통에서 타 귀선전류의 영향을 배제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과도한 타 귀선전류로부터 AT를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림 3과 같이 상·하선 각각의 사고(부하)전류로부터 급전계통을 보호하는 계전기(P.Ry-F1, P.Ry-F2)와 타 귀선전류로부터 AT를 보호할 과전류 계전기(OCR : Overcurrent Relay)를 설치한다.(2) 즉 AT 1차측 전류, 즉 TF와 AF에 흐르는 각각의 전류를 계측하여 AT에 가해진 전기적·기계적 충격을 확인하고 과도한 타 귀선전류가 발생하는 지락사고 시에 차단기를 트립시켜 AT를 보호한다.

OCR은 한시요소(51)와 순시요소(50)를 설정하여 각각 다른 용도로 사용한다. 한시요소는 일반적인 타 귀선전류를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순시요소는 과도한 타 귀선전류가 흐를 때 AT를 보호하기 위한 차단기 트립용으로 사용한다. 즉 한시요소는 과전류 정정의 픽업전류를 설정하고 트립 요소는 설정하지 않는다. 반면에 순시요소는 픽업전류와 트립 전류를 모두 설정한다.

그림. 3. 타 귀선전류에 대한 과전류 계전기 결선

Fig. 3. The connection of overcurrent relay on return current on adjacent line (1)

../../Resources/kiee/KIEE.2020.69.10.1499/fig3.png

2.3.1 타 귀선전류에 의한 OCR 동작원리

전차선로의 지락사고 발생 시 사고 전차선로(F1)의 보호계전기는 CT의 교차결선에 의해 사고전류를 정확히 인식하여 급전차단기를 트립시켜 AT와 급전계통을 보호한다. 그러나 동시에 정상부하(F2)의 보호계전기는 타 귀선전류가 흐르게 되지만 CT의 교차결선으로 사고전류를 상쇄시키므로 급전차단기를 트립시키지 못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과전류 계전기를 급전보호용 계전기와 직렬로 연결하여 타 귀선전류를 계측하여 필요시 급전차단기를 트립시켜 정상적인 전차선로의 AT를 보호한다.

과전류계전기를 그림 3과 같이 TF_CT 2차를 보호계전기의 CT_ITF와 OCR의 I1과 직렬로 연결하고 AF_CT 2차를 보호계전기의 CT_IAF와 OCR의 I2를 직렬로 연결한다.

사고 전차선로의 보호계전기는 임피던스 계전기(21)와 순시 과전류계전기(50)가 동작하여 차단기를 트립시켜 사고선로와 AT를 보호한다. 이때 정상 전차선로의 보호계전기는 타 귀선에 의한 부하전류를 “0”에 가까운 값으로 인식하여 동작하지 않지만 과전류 계전기는 방향에 무관하게 동작하기 때문에 I1, I2가 각각 AT 1차 측의 TF전류와 AF전류를 계측한다. 그 결과 정상 전차선로의 보호계전기(P.Ry-F2)는 동작하지 않지만 타 귀선전류보호용 과전류계전기가 AT1차 측(55[kV])에 흐르는 전류를 인식하여 과전류 보호요소(51, 50)를 동작시켜 타 귀선전류를 기록하고 과도한 타 귀선전류에는 급전용 차단기를 트립시켜 건전상의 AT를 보호한다.

표 2. 지락사고 시 보호계전기의 요소와 기능

Table 2. The element and functions of protective relay in case of ground fault

구 분

급전보호계전기

트립요소(21, 50)

타귀선 보호계전기

보호요소(50, 51)

지락사고

부하

동작

급전차단기 트립

*급전보호계전기 후비보호기능

*사고전류 픽업→트립

정상 부하

부(不)동작

급전차단기 트립 안됨

*타 귀선전류→픽업(51)

*과도한 타 귀선전류→트립(50)

$\begin{aligned} 여기서 \enspace & \\ & \text{21 : 임피던스 보호계전기(거리계전기),} \\ & \text{50 : 순시 과전류 보호계전기,}\\ & \text{51 : 한시 과전류 보호계전기} \end{aligned}$

2.3.2 OCR 정정

타 귀선전류 보호용 OCR의 한시요소는 AT정격전류의 4배(4In)에서 정한시 0.1초로 정정하고 순시요소는 AT정격전류의 7배(7In)에서 정한시 0.1초로 정정한다(2).

(1) OCR 한시요소(51)의 정정기준

전철변전소 급전반의 OCR 한시요소(51) 정정 시 MTR 정격전류(IMMn:M상 정격전류, IMTn:T상 정격전류)의 150%를 기준으로 한다. 이를 AT정격전류와 비교해 보면 아래와 같다.

스코트변압기(각각 20MVA) M상 또는 T상의 정격전류을 계산하면

$I_{MMn}=\dfrac{20000}{55}=363.6[A], \enspace I_{MTn}=\dfrac{20000}{55}=363.6[A]$

급전반 OCR의 한시요소($51_{IFEED}$)는

$51I_{FEED}=363.3\times 1.5=545[A]$

이고 이를 AT의 정격전류(IATn)와 비교해 보면

$I_{ATn}=\dfrac{7500}{55}=136[A], \enspace 4I_{ATn}=4\times 136=544[A]$

여기서,

$51I_{FEED}=545[A]$는 $4I_{ATn}=544[A]$와 비슷한 값이 된다.

그러므로 타 귀선전류 보호용 OCR의 한시요소는 AT정격전류의 4배로 정정한다.

(2) OCR 순시요소(50)의 정정기준

변전소 타 귀선전류 보호용 OCR 순시요소(50)는 AT의 단락강도(7.5In)를 고려하여 그보다 작은 AT정격전류의 7배(7In)로 정정한다.

(3) OCR 정정 예

전철변전소의 AT용량은 10[MVA]와 7.5[MVA]로 대별된다. 따라서 AT용량 10[MVA], 7.5[MVA]에 대한 각각의 정격전류는 182[A], 136[A]가 된다.

7.5[MVA] AT인 경우 OCR 한시(51)와 순시(50)의 정정 값은 CT비가 800/5A 이므로 아래와 같이 계산된다.

$\begin{aligned} & 51I_{7.5MVA}=136\times 4=544[A]\\ & 51TAP_{7.5MVA}=\dfrac{544}{CT 1차}I_{N}=\dfrac{544}{800}I_{N}=0.68I_{N}\\ & 50I_{7.5MVA}=136\times 7=952[A]\\ & 50TAP_{7.5MVA}=\dfrac{952}{CT 1차}I_{N}=\dfrac{952}{800}I_{N}=1.19I_{N} \end{aligned}$

그리고 10[MVA] AT인 경우는 OCR 한시(51)와 순시(50)의 정정 값은 CT비가 1200/5A 이므로 다음과 같다.

$\begin{aligned} & 51I_{10MVA}=182\times 4=728[A]\\ & 51TAP_{10MVA}=\dfrac{728}{CT 1차}I_{N}=\dfrac{728}{1200}I_{N}=0.67I_{N}\\ & 50I_{10MVA}=182\times 7=1,\:274[A]\\ & 50TAP_{10MVA}=\dfrac{1274}{CT 1차}I_{N}=\dfrac{1274}{1200}I_{N}=1.06I_{N} \end{aligned}$

표 3. 타 귀선보호용 OCR 정정표

Table 3. The OCR correction to protection return current on adjacent line

용량

51TAP**MVA

한시(51) Pickup

51TAP**MVA

순시(50) 트립

TAP

LEVER

TAP

LEVER

7.5

[MVA]

0.68*In

Definite 0.1sec

1.19*In

Definite 0.1sec

10

[MVA]

0.67*In

Definite 0.1sec

1.06*In

Definite 0.1sec

2.3.3 타 귀선전류 검증

(1)한시요소(51) 동작의 예

표 1에서 상선의 타 귀선전류(IADJ)는 1,166[A]이다. 이를 AT의 1차 전류($I_{ATPri}$)로 환산하면

$I_{AT Pri}=\dfrac{I_{ADJ}}{2}=\dfrac{1,\:166}{2}=583[A]$ 이고,

$51I_{7.5MVA}=0.68I_{N}=544[A]$ 이므로

그림 4에서 타 귀선전류(585[A])가 51 정정값(544[A])보다 크므로 계전기가 동작해 타 귀선전류를 기록하므로 AT에 가해진 전기적 충격을 확인할 수 있다. 즉 51기능이 동작했으므로 차단기는 트립 되지 않고 급전 상태를 유지한다.

그림. 4. 타 귀선전류 검증시험 결과

Fig. 4. The result of verification test for return current on adjacent line

../../Resources/kiee/KIEE.2020.69.10.1499/fig4.png

(2) 순시요소(50)의 동작 예

표 1에서 타 귀선전류(IADJ)는 2,038[A]이다. 이를 AT의 1차 전류($I_{ATPri}$)로 환산하면 $I_{AT Pri}=\dfrac{I_{ADJ}}{2}=\dfrac{2,\:038}{2}=1,\:019[A]$ 이고, $50I_{7.5MVA}=1.19I_{N}=952[A]$ 이므로 타 귀선전류($I_{ATPri}$ =1,019[A])가 순시요소(50) 정정값(952[A])보다 크므로 계전기가 동작해 타 귀선전류를 기록하고 동시에 차단기를 트립시킴으로 AT를 보호하고 가해진 전기적 충격을 확인할 수 있다. 즉 50기능이 동작했으므로 차단기는 트립 되고 단전상태를 유지한다.

3. 결 론

본 논문에서는 복선전기철도 AT급전계통에서 지락사고 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타 귀선전류의 영향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보호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고전류 분석을 통해 얻어진 타 귀선전류를 기록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류의 방향성과 무관하게 동작하는 과전류 계전기를 급전보호계전기와 직렬로 연결하여 타 귀선전류를 계측하게 하였다. 사고 시 실측된 타 귀선전류를 계전기 테스터를 이용해 검증시험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AT의 정격전류를 감안한 과전류 계전기 정정 값에 의해 계전기에 타 귀선전류가 기록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T정격전류의 4배 이상의 타 귀선전류에는 기록만 남기고 AT정격전류의 7배 이상의 타 귀선전류에는 건전상의 차단기도 차단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건전상의 AT에 귀선되는 사고전류의 크기를 확인하여 AT에 가해지는 충격을 확인함은 물론 2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급전계통의 신뢰도를 제고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한국전력공사의 2019년 선정 기초연구개발과제 연구비에 의해 지원되었음 (과제번호: R19XO01-48)

References

1 
Dong-Ho Lee, 2017, A Study on the Protection of the AT Feeding System From Absorbed Current on Adjacent Line in the Vehicle Base Catenary, Conference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1566-1567DOI
2 
Dong-Ho Lee, 2018, A Study on the Protection of the AT Feeding System Considering Absorbed Current Adjacent Line, Master’s ThesisGoogle Search
3 
Nam-Wook Baek, Sang-Jin Lee, 2007, RAILROAD DICTIONARY, Golden BellGoogle Search

저자소개

이동호 (Dong-ho Lee)
../../Resources/kiee/KIEE.2020.69.10.1499/au1.png

1990년 명지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2018년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교통시스템공학과 졸업(석사)

현재 동 대학원 교통정책교통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

1990년~1998년 ㈜광명전기 설계부.

2001년~현재 ㈜호크마테크 대표

최용은 (Yong-Eun Choi)
../../Resources/kiee/KIEE.2020.69.10.1499/au2.png

2019년 광주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졸업

현재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교통시스템공학과 석사과정

박원찬 (Weon-Chan Park)
../../Resources/kiee/KIEE.2020.69.10.1499/au3.png

1994년 원광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2018년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교통시스템 공학과 졸업(석사)

현재 동 대학원 교통정책교통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

1994~현재 서울교통공사 근무

김재문 (Jae-Moon Kim)
../../Resources/kiee/KIEE.2020.69.10.1499/au4.png

1994년 성균관대 전기공학과 졸업

2000년 2월 동 대학원 졸업(공박)

2000년∼2004년 현대모비스㈜ 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

2006년∼현재 국토교통부 철도기술 전문 위원

2004년 3월∼2012년 2월 한국철도대학 철도차량전기과 2013년 3월∼현재 한국교통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교수

강정원 (Jeong-Won Kang)
../../Resources/kiee/KIEE.2020.69.10.1499/au5.png

2002년 02월 중앙대학교 졸업(공박)

2006년 03월~2007년 02월 California at Riverside 대학교 박사 후 과정

2007년 10월~2008년 02월 LG Siltron 선임연구원

2008년 03월~2013년 08월 한국교통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2013년 09월~현재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교통시스템공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