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Safety Research Department Researcher,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Korea.)
  2. (Sungang Engineering, Korea.)



DC arc generator, UL1699B, Electrode spacing, Motor control, DC AFCI

1. 서 론

태양광설비 화재의 주요 원인은 아크이며 그림 1과 같은 심각한 소손을 일으킬 수 있다(1-3). 최근 3년(‘16~’18)간 국내 태양광설비 화재를 분석해 보면 아크에 의한 발화가 약 80%를 차지하였다(4). 전 세계에 설치되고 있는 태양광설비의 용량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초기에 설치되었던 태양광발전설비가 노후함에 따라 아크에 의한 화재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5).

미국에서는 태양광설비의 아크 화재로 발생하는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줄이기 위해 ‘11년 NEC(National Electric Code)를 개정하여 690.11에 따라 80V 이상 태양광설비에 AFCI(Arc-Fault Circuit Interrupter)를 요구하고 있다(6). 태양광설비에 AFCI 설치를 법제화함에 따라 UL(Underwrites Laboratory)에서는 ’13년 DC AFCI 시험표준인 UL1699B 초안(Draft)을 발행하여 특정 시간 내에 아크를 감지하도록 요구하였으며, ‘18년 8월에 UL1699B 초판(First Edition)이 발행되었다. IEC에서도 ‘21년에 UL1699B에 근거한 IEC 63027이 발행 예정이다.

UL1699B에 정의된 장치의 형태는 인버터 통합형, 분전함 통합형, 단일장치 형태로 나뉘어져 있다. 제조사에서 제품을 만들어 미국에서 판매하기 위해서는 UL1699B에서 정의된 일련의 시험을 통해 아크를 감지하여 기준시간 내 차단하고 오동작을 방지하는 수준을 보장받아야 한다. UL1699B(‘13)와 비교하여 UL1699B(‘18)을 보면 시험조건 및 적합기준, 아크발생장치의 형태 등이 변경되었다(7-8). 아크발생장치의 경우 시험조건에 의해 아크 발생 방법 및 구동방식에서 보다 정교함을 요구하고 있다.

‘20년 현재까지 UL1699B(’18)을 통과하여 미국에 설치되고 있는 제품은 독일 태양광기술 업체의 인버터 통합형 제품 하나에 불과하며, 제조사에서 자체 개발한 시험설비를 사용하여 UL 인증을 받았다. UL에서도 현재 변경된 시험표준에 맞춰 시험설비를 개발하고 시스템을 구축 중에 있다.

정부의 RE 3020 정책과 뉴딜 정책의 그린에너지 사업에 의해 태양광설비가 점차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화재 발생도 증가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국내에서도 화재예방 및 안전망 확충을 위한 AFCI 도입이 거론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제조사들의 AFCI 연구개발을 위해서는 국제 시험표준에 적합한 시험설비들의 개발 및 구축이 우선적으로 실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아크발생장치는 아크시험의 핵심적인 설비로 아크의 발생, 시험 및 제품의 표준화, 태양광 안전산업의 연구에 필수적이다.

그림. 1. 아크에 의한 화재

Fig. 1. Fire by arc fault

../../Resources/kiee/KIEE.2020.69.11.1778/fig1.png

그림. 2. 전극간격에 따른 직류아크의 전압­전류(10)

Fig. 2. Voltage-current of dc arc by electrode spacing

../../Resources/kiee/KIEE.2020.69.11.1778/fig2.png

본 연구에서는 DC AFCI 개발에 적용 가능하고, UL1699B 시험조건에 적합한 DC 아크발생장치 개발에 관하여 나타내었다.

2. UL1699B 시험조건

2.1 시험조건

UL1699B(‘13)은 300, 500, 650, 900W의 아크 발생을 시험조건으로 AFCI의 시험을 진행한다. 표 1은 아크발생 시의 아크전류, 아크전압, 아크전력 수치를 나타낸 것이다. 아크 발생을 위한 시험전류 및 전압은 규정하고 있지 않다. 반면 UL1699B (’18)는 표 2와 같이 시험조건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아크 발생을 위한 시험전류 및 전압을 규정하고 있으며, 시험전류 및 전압에 따른 아크 발생 시의 최소아크전류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전극간격과 이동전극의 속도를 규정하였다.

아크의 전압 및 전류 특성은 전극의 물성 및 전극간격에 영향을 받는다(9). 만약 DC 아크발생장치에서 구리전극을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전극 간 간격이 아크 특성을 변화시키는 유일한 변수가 된다. 그림 2와 같이 아크의 전극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전극 양단에 걸리는 아크 전압은 증가한다(10). 아크가 지속하는 동안 동일한 아크 특성을 유지하고, 아크 특성을 빠르게 안정화시키기 위해 전극 간격과 이동전극의 속도를 규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은 스트링에서의 직렬아크를 가정한 직렬아크 조건이다. UL1699B(‘13)는 직렬 및 병렬아크시험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으나, UL1699(’18)에서는 병렬아크시험에 대한 내용이 삭제되었다.

표 1. UL1699B (2013), 아크시험조건

Table 1. UL1699B 2013, Arcing tests condition

Arcing current

(A)

Arcing voltage

(V)

Arcing Watts

(W)

7

43

300

7

71

500

14

46

650

14

64

900

표 2. UL1699B ED1 (2018), 아크시험조건

Table 2. UL1699B 2018, Arcing tests condition

Minimum Iarc (A)

I

(A)

V

(V)

Sep.rate

(㎜/s)

Gap

(㎜)

2.5

3.0

312.0

2.5

0.8

7.0

8.0

318.0

5.0

0.8

7.0

8.5

607.0

5.0

2.5

표 3. UL1699B 적합기준 변경

Table 3. UL1699B pass criteria

Test Standard

Interrupting Time

(s)

Arc Energy

(J)

UL1699B 2013

2

750

UL1699B 2018

2.5

750

병렬아크에 대한 시험방법 및 시험조건은 논의가 더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대신 직렬아크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였다. 실제로 태양광설비에서 화재는 전로의 노화나 시공불량 등의 이유로 커넥터의 접속이 서서히 풀리면서 일어나는 아크가 대부분일 것이다(11).

2.2 적합기준

UL1699B(‘13)의 아크검출시험 적합기준은 아크 발생 후 2초 이내 차단, 아크에너지 750J 이내 차단이다. 두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한다. 반면, UL1699B(’18)에서는 아크에너지 750J를 초과하지 않는 것은 동일하나, 차단시간은 아크 발생 후 0.5초 늘어난 2.5초로 0.5초의 여유를 주었다. ‘14년 UL1699B(2013) 기준으로 미국 샌디아국립연구소에서 실시한 아크시험 결과를 보면 아크에너지에 의한 가연물의 평균 연기감지시간은 13초, 최소 연기감지시간은 2.5초였다. 가연물 시료는 폴리머 타입으로 착화에 이르지는 않았다(12). 이 결과를 바탕으로 차단 시간이 2초에서 2.5초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다.

3. DC 아크발생장치 개발

표 2의 UL1699B(‘18) 첫 번째 시험조건은 고정전극과 이동전극이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이동전극이 2.5㎜/s의 속도로 움직이면서 아크가 발생하고, 전극간격이 0.8㎜가 되었을 때 멈추어야 한다. 전극간격 0점에서 0.8㎜가 되는데, 0.32초의 시간이 요구된다. 수동 작업을 통해서는 불가능하다.

그림. 3. 아크발생장치 구성

Fig. 3. Arc generator configuration

../../Resources/kiee/KIEE.2020.69.11.1778/fig3.png

그림. 4. 모터 컨트롤 시스템

Fig. 4. Motor Controller System

../../Resources/kiee/KIEE.2020.69.11.1778/fig4.png

규정된 속도와 전극간격을 위해 모터를 사용한 자동화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전극의 분리 거리, 속도를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 스테퍼 모터와 선형 액추에이터를 장착하였다. 전극 재료 및 전극 형상의 경우 전극과 전극 홀더를 아크발생장치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재료 및 형상에 의한 데이터 프로파일이 가능토록 개발하였다.

위의 조건들을 만족하기 위해 아크발생장치는 그림 3과 같이 모터컨트롤 시스템, 전극 시스템, 아크발생회로로 구성되었으며 상호 연동되어 개발되었다. 시험자의 감전 및 아크로부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전체 어셈블리는 아크릴 재질의 안전커버 내에 장착하였다.

3.1 모터 컨트롤 시스템

시험을 용이하게 하고, 반복성을 가지며, 아크 특성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전극 이동의 파라미터를 정밀하게 제어해야 한다. 전극간격에 의한 프로파일은 고정 전극에 대한 이동 전극의 거리 및 속도로 정의된다. 만약 간격이 일정하지 않거나 변한다면 아크전압이 변하고 아크의 전기적 특성이 변할 수 있다.

모터 컨트롤 시스템은 그림 4와 같이 모터, 모터 드라이버, 모터 컨트롤러로 구성하였다. 모터는 높은 신뢰성을 가지는 스테퍼 모터인 NEMA 23을 사용하였다. NEMA 23은 브러시 없는 동기식 전기 모터로 최대 200스텝이며, 스텝 앵글은 1.8도이다. 모터 드라이버는 스테퍼 모터용으로 설계된 타입인 DRV8825으로 스텝의 최대 1/32까지 마이크로 스텝핑이 가능하다. 그 결과 한 스텝 당 1/32의 마이크로 스텝 사양으로 360도를 총 6400스텝으로 나누어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다. 모터 컨트롤러는 디스플레이 출력을 위해 LCD를 수용하는 custom- designed PCB로 제작되었다.

그림. 5. 선형 액추에이터 및 스테퍼 모터

Fig. 5. Linear actuator & stepper motor

../../Resources/kiee/KIEE.2020.69.11.1778/fig5.png

그림. 6. 전극 홀더

Fig. 6. Electrode holder

../../Resources/kiee/KIEE.2020.69.11.1778/fig6.png

3.2 전극 시스템

3.2.1 선형 액추에이터

선형 액추에이터는 저전압 DC 모터의 회전 모션을 리니어 동작으로 변환시키는 장치로 정확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그림 5의 선형 액추에이터는 아크발생장치 개발에 사용된 Rishil World HPV6 모델로 최대 속도 100㎜/s, 반복 위치 정확도 0.01㎜의 사양을 가진다. 선형 액추에이터의 스크류는 NEMA 23 스테퍼 모터를 사용하여 회전시킨다. 스테퍼 모터의 360도 1회전 원주길이는 4㎜이며, NEMA 23 스테퍼 모터는 360도를 6400스텝으로 제어함으로써 한 스텝당 6.25㎛의 분해능을 가진다. UL1699B(‘18)에서 요구하는 전극간격의 정확성을 위한 스펙을 충족시킨다.

3.2.2 전극 홀더

전극 홀더는 그림 6과 같이 다양한 전극 구조를 수용하고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전극 홀더에 탭을 내고 전극이 맞물리도록 하였다. 이종접합에 따른 저항이 생기지 않도록 전극홀더 재료는 전극과 동일한 구리로 제작하였다. 전극홀더에 부착되는 전극의 지름은 6.25㎜로 UL1699B(‘18) 규격으로 제작하였다. 표준 규격의 전극 외에도 지름의 크기와 형태가 다른 전극 또한 부착 가능한 구조이다. 전극 홀더를 고정하는 블록과 블록을 고정시키는 베이스 플레이트는 안전기능으로 절연체를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절연시켰다.

3.3 아크발생회로

그림 7은 아크발생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아크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양 전극을 접촉시켜 완전히 폐회로가 되도록 하고 전원을 인가한다. 정해진 간격 및 속도로 이동전극을 움직이면서 전극을 분리시켜 아크를 발생시킨다.

그림. 7. 아크발생회로

Fig. 7. Arc generation circuit

../../Resources/kiee/KIEE.2020.69.11.1778/fig7.png

그림. 8. DC 아크발생장치

Fig. 8. DC arc generator

../../Resources/kiee/KIEE.2020.69.11.1778/fig8.png

그림. 9. 아크발생실험 구성

Fig. 9. Arc generation composition

../../Resources/kiee/KIEE.2020.69.11.1778/fig9.png

표 4. 실험조건

Table 4. Test condition

No.

I

(A)

V

(V)

Sep.rate

(㎜/s)

Gap

(㎜)

1

3.0

312.0

2.5

0.8

2

8.0

318.0

5.0

0.8

3

8.5

607.0

5.0

2.5

4

1~5

312.0

5.0

2.5

UL1699B(‘18) 시험조건의 시험 최대전류는 8.5A로 DC차단기 및 릴레이 정격전류, 전선 허용전류는 20A 이상으로 선정한다. 아크발생을 위한 DC 전원은 별도의 DC 파워서플라이를 통해 전원을 공급한다. 입․ 출력 단자 및 아크전압 측정단자는 전선연결이 용이하도록 설치하였다. 아크발생 후 설정된 지속시간이 지나면 릴레이를 통해 회로를 끊어 아크를 소호시킨다. DC 아크는 제로크로싱이 없어 일정 간격에서 지속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아크 소호을 위해 DC 릴레이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모델은 EVHR400A로 최대스위칭전압 1,500V이며, 저항 부하 기준으로 DC750V/300A, DC1,000V/200A, DC1,500V/ 150A의 정격을 가진다. 입력전압은 DC24V이다.

4. 아크발생실험

그림 8은 개발품 외관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상부, (b)는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이다. 안전커버는 실린더를 이용해 위아래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였다. 아크발생시 시험자의 안전을 위해 인터록 기능을 추가하였다. 안전커버 안쪽에 인터록 버튼을 설치하여 안전커버가 열려있을 때는 모터가 작동하지 않는다.

4.1 실험방법

개발한 아크발생장치를 이용하여 그림 9와 같이 아크발생실험 세트를 구성하였다. 실험을 통해 아크 발생 시 나타나는 DC 아크 특성을 확인한다. 실험 세트는 직류전원, 아크발생장치, 저항부하, DC 아크 발생에 따른 전압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오실로스코프로 이루어진다. 직류전원은 ET System 社의 LAB HP 101000(10㎾, 1000V­10A)을 이용하였다. 오실로스코프는 LeCroy 社의 WaveRunner 610Zi(1GHz, 4채널, 20GS/s)를 사용하였다. 전압센서는 (ADP305, 1000V, 100MHz), 전류센서는 (CP030A, 30A, 50MHz)을 두 개를 사용하여 DC성분과 AC성분을 함께 측정하였다. 데이터는 100kS/s 샘플링으로 1초간 취득하였다.

실험은 표 5와 같이 UL1699B(‘18) 아크시험조건을 기반으로 한다. 표 5의 실험조건 1, 2, 3을 통해 UL1699B 시험조건에 따른 최소아크전류를 만족하는지 확인하였다. 실험조건 4를 통해서는 전극간격, 전압, 전류 등 변수 간 관계를 통해 DC 아크특성을 도출한다.

실험순서는 먼저 아크발생장치의 전원스위치를 키고, 0점 조정 버튼을 눌러 전극이 맞닿게 한다. DC 차단기를 On시키고, 직류전원에서 전원을 공급한다. 실험조건에 따른 이동전극 속도, 전극간격을 입력 후 시작 버튼을 눌러 이동전극을 이동시켜 아크를 발생시킨다.

그림. 10. 아크 발생 및 소호

Fig. 10. Arc generation & extinction

../../Resources/kiee/KIEE.2020.69.11.1778/fig10.png

그림. 11. 아크 발생 실험 파형

Fig. 11. Arc generation test waveform

../../Resources/kiee/KIEE.2020.69.11.1778/fig11.png

표 5. 조건 1, 2, 3의 실험결과

Table 5. Test result of condition 1, 2, 3

No.

UL1699B Condition

Test Result

Minimum Iarc (A)

Minimum Iarc (A)

1

2.5

2.59

2

7.0

7.11

3

7.0

8.04

그림. 12. 전극간격 및 전류에 따른 아크 저항의 변화

Fig. 12. Arc resistance change by electrode spacing and current

../../Resources/kiee/KIEE.2020.69.11.1778/fig12.png

그림. 13. 전극간격 변화에 따른 아크 전압­전류 관계

Fig. 13. Arc voltage­current relationship by electrode spacing

../../Resources/kiee/KIEE.2020.69.11.1778/fig13.png

4.2 실험결과

그림 10은 주위온도 26.8℃, 습도 36.5% 상황에서 표 4의 실험조건 1 전압 312V, 전류 3A, 전극속도 2.5m/s, 전극간격 0.8㎜ 아크 발생 시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아크는 성공적으로 발생하였으며, (a)는 0점 상태, (b)는 전극간격이 벌어지면서 DC 아크가 발생하는 상태, (C)는 DC 릴레이가 오픈된 후 아크가 소호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11은 실험 조건 중 하나인 전압 312V, 전류 3A, 전극간격 0.8㎜ 조건에서 획득한 파형이다. I-1는 아크가 생성된 전로에 흐르는 전류, I-2는 I-1의 AC 성분, V는 전극 양단에 걸리는 아크 전압, P는 I-1와 V에 의해 계산된 아크 전력을 나타낸다. 표 5표 4의 실험조건 1, 2, 3에 따라 측정된 최소아크전류를 나타낸 것으로 UL1699B(‘18)의 최소아크전류를 만족시켰다.

DC 아크 특성 분석은 아크 발생 시간 동안 얻어진 아크 전압 V, 아크 전류 I 데이터의 평균값을 취하여 변수 간 관계를 도출한다. 그림 12그림 13표 4의 실험조건 4에 따라 측정된 데이터를 통해 얻어진 결과이다. 그림 12는 전극간격 및 전류 변화에 따른 아크 저항의 변화를 나타낸다. 아크 저항은 낮은 전류에서 높고, 전극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아크저항은 낮은 전류범위 및 전극간격에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다. 그림 13은 전극 간격을 0.8㎜에서 4.0㎜로 단계적으로 변화시켰을 때 아크 전압과 아크 전류의 관계이다. 실험에서 아크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아크 전압은 감소하며, 아크의 전극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전극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 증가한다. 실험에서 보인 결과는 그림 2에 나타난 전압 및 전류의 관계와 같은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아크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아크가 안정화 되어 아크의 플라즈마 영역의 전기적 저항이 감소하고, 아크 저항 감소에 따라 전극 양단의 전압이 감소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5. 결 론

본 논문은 UL1699B 아크시험조건에 만족하고 정밀한 제어를 요구하는 DC 아크발생장치를 제시하였다. DC 아크발생장치는 모터컨트롤 시스템, 전극 시스템, 아크발생회로로 구성되었다. 모터 및 선형 액추에이터를 사용한 자동화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제어에 대한 정확성을 신뢰할 수 있으며, 아크 발생에 대한 동일한 조건에서 반복실험이 가능하다. 전극홀더에서 전극을 탈부착 할 수 있게 개발하여 전극 형상, 전극 재료에 따른 아크 특성 또한 확인할 수 있다.

개발품에 대하여 UL1699B(‘18) 아크시험조건을 기반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성공적으로 아크가 발생하였으며, UL1699B 시험조건에 따른 최소아크전류를 만족하였다. 전극간격 등의 변수에 따른 아크 전압, 아크 전류 등의 데이터를 취득하였으며, 데이터를 통해 DC 아크 특성 분석이 가능함을 증명하였다.

개발된 DC 아크발생장치는 DC AFCI 개발 및 시험에 사용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건에서 도출된 데이터 및 변수 간 관계를 통한 아크 특성 분석 및 모델링, 시험 및 제품의 표준화 연구 등에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This is a research (No.20192910100090) fund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in 2020 눙 suppor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ing, and we thank the relevant ministries.

References

1 
M. K. Alarn, F. Khan, J. Johnson, J. Flicker, 2015, A Comprehensive Review of Catastrophic Faults in PV Arrays: Types, Detection, and Mitigation Techniques, IEEE Journal of Photovoltaics, Vol. 5, No. 3, pp. 982­997DOI
2 
D. Dini, P. Brazis, K. Yen, 2011, Development of Arc Fault Circuit Interrupter requirements for Photovoltaic systems, 37th IEEE Photovoltaic Specialists Conference, pp. 1790DOI
3 
C. C. Grant, 2010, Fire Fighter Safety and Emergency Response for Solar Power System, Fire Protection Research Foun- dationGoogle Search
4 
K. M. Park, J. Y. Park, S. J. Hong, S. B. Bang, S. Y. Lee, 2020, Fire Statistics and Case Study of Photovoltaic System through Analysis of Fire Status Survey, 51th KIEE Summer Conference,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Google Search
5 
J. J. Shea, 2011, Identifying causes for certain types of elec- trically initiated fires in residential circuits, Fire and Materials, Vol. 35, No. 1, pp. 19­42DOI
6 
2014, National Electrical Code,” NFPA70, Article 690,” Solar Photovotaic System,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Google Search
7 
2013, UL1699B-Outline of Investigation for Photovoltaic (PV) DC Arc-Fault Circuit Protection, Underwriters LaboratoriesGoogle Search
8 
2018, UL1699B-Standard for Photovoltaic (PV) DC Arc-Fault Circuit Protection, Underwriters LaboratoriesGoogle Search
9 
W. B. Nottingham, 1926, Normal arc characteristic curves: depen- dence on absolute temperature of anode, Phys. Rec., Vol. 28, No. 4, pp. 764-768DOI
10 
R. F. Ammerman, T. Gammon, P. K. Sen, J. P. Nelson, 2010, DC arc models and incident energy calculations, IEEE Trans. Ind. Appl, Vol. 46, No. 5, pp. 1810­1819DOI
11 
X. Yai, L. Herrera, S. Ji, K Zou, J. Wang, 2014, Charac- teristic study and time domain discrete wavelet transform based hybrid detection of series dc arc faults, IEEE Trans. Power Electron., Vol. 29, No. 6, pp. 3103-3115DOI
12 
Kenneth M. Armijo, Jay Johnson, Michael Hibbs, Armando Fresquez, 2014, Characterizing Fire Danger from Low- Power Photovoltaic Arc-Faulrs, Sandia National Laboratories, Albuquerque, NM, 87185DOI

저자소개

Kwang-Muk Park
../../Resources/kiee/KIEE.2020.69.11.1778/au1.png

He received the B.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Deajin University and the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Je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in 2008, 2018,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senior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Sun-Bae Bang
../../Resources/kiee/KIEE.2020.69.11.1778/au2.png

He received the B.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Myongji University and the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in 2002, 2009,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head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Jin-Young Park
../../Resources/kiee/KIEE.2020.69.11.1778/au3.png

He received the B.S. degrees in electronic engineering from Sejong University and the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Je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in 2007, 2018,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senior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Seong-Jun Hong
../../Resources/kiee/KIEE.2020.69.11.1778/au4.png

He received the B.S. degrees in physics from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nd the M.S. degrees in energy conversion from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in 2010~ 2015,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senior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 ration.

Soon-Hyung Lee
../../Resources/kiee/KIEE.2020.69.11.1778/au5.png

He received the B.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Dongshin University and the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in 2014, 2018,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 member of thr ESS Safety Management Committee and CEO of Seongang Enginee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