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onic Engineering/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orea.)



Dickson charge pump, dual-polarized, rectifier, RF-energy harvesting system

1. 서 론

최근 에너지 절약 및 에너지의 효율적 운용에 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신재생에너지 관련 분야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는 주로 주변 환경에 존재하는 에너지를 하베스팅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운용되며,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태양광 발전, 풍력 발전, 수력 발전 등이 존재한다. 최근에는 전자 소재 및 반도체 관련 기술에 대한 개선 및 발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의 에너지 하베스팅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기존 기술로는 효율 문제로 인해 적용하지 못했던 에너지 밀도가 낮은 에너지원인 진동, 온도차, RF/마이크로파 등의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식들이 소개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 또한 진행되고 있다(1). RF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는 상술한 RF/마이크로파 형태의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며, 기본적으로 안테나, 임피던스 매칭회로, 정류회로로 구성된다. 일반적인 RF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는 방송, 통신, 소규모 무선 시스템 등 주변 환경으로 방사된 다양한 형태의 RF 에너지를 수집하며 이를 DC 형태의 에너지로 변환한다(2). 현재 2.45 GHz인 RF 주파수 대역은 널리 알려진 대표적 ISM (Industrial, Science, Medical)대역으로(3), Wi-Fi 및 ZigBee, 블루투스 기기들이 해당 대역을 사용하고 있다. 최근 들어 상기 대역의 RF 신호는 관련 설비들의 활발한 보급 및 사용으로 인해 도심 및 그 인근 지역이라면 어디서든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해당 지역 내에서 RF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해당 대역에서 동작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는 가정용 및 산업용 소형 환경 센서 및 IoT 장치의 전원 공급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저밀도의 한정적인 RF 신호를 변환하는 RF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특성상 단일 RF 신호를 변환하는 것보다 다중 대역(4-6), 다중 편파(7-11)를 이용해 에너지를 수집하는 것이 면적 대비 많은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수집 할 수 있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 사용된 정류회로는 2.45 GHz의 단일 주파수 대역에 정합되어 있으므로 수신 효율 향상을 위해 선형 편파 안테나 대신 안정적인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이중 편파 안테나를 사용하여 에너지를 수집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또한 단일 대역을 사용하는 상황에서는 RF신호를 DC로 변환하는 정류회로의 효율이 RF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성능을 좌우하는 데 큰 영향을 주므로 적절한 효율을 갖는 정류회로 구조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2.45 GHz 대역의 RF 에너지를 이중 편파 안테나를 사용하여 DC 신호로 변환하는 RF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의 정류회로 효율에 대해 연구한 결과를 다루고자 한다. 이중 편파 RF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에 사용된 정류회로의 구조에 따른 RF to DC 변환 효율을 비교하여, 최적의 성능을 갖는 정류회로 구조를 제안한다.

2. 이중 편파 RF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이중 편파 RF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는 기본 RF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기능을 두 개의 각 편파에 하나씩 적용한 장치이다. 그림 1은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이중 편파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에 대한 구조 및 한 편파에 해당하는 회로를 나타낸다. 사용된 이중 편파 안테나는 서로 수직으로 배치된 선형 편파 안테나 두 개를 이용하여 구현되었다.

그림. 1. 제안된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구조(a) 및 한 편파의 회로도(b).

Fig. 1. Configuration of the proposed energy harvesting system and circuit diagram of single polarization.

../../Resources/kiee/KIEE.2021.70.2.360/fig1.png

2.1 RF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와 편파 손실

RF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은 운용 시 타 무선 시스템 대비 손실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이를 줄이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단일 대역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은 편파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을 줄이는 방법을 통해 수신 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안테나의 주요한 특성 중 하나인 편파는 전기장의 방향으로 정의되며, 선형편파와 원형편파가 존재한다. 무선 시스템에 널리 사용되는 안테나인 다이폴 및 패치 안테나의 경우 선형 편파의 특성을 지니므로 해당 안테나의 수신 효율을 높이려면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와의 편파 방향이 일치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송신 안테나의 편파 방향은 파악하기 쉽지 않으므로 두 안테나 간의 편파 방향이 맞춰지지 않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며, 이로 인해 편파 방향 불일치로 인한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편파 불일치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은 편파 손실 인자 $PLF$로 표현되며 이에 대한 식은 다음과 같다.

(1)
$P L F=\frac{\left|\bar{E}_{\mathrm{Inc}} \cdot \bar{E}_{\mathrm{Trans}}\right|^{2}}{\left|\bar{E}_{\mathrm{Inc}}\right|^{2}\left|\bar{E}_{\mathrm{Trans}}\right|^{2}}$

여기서, $\bar{E}_{\mathrm{Inc}}$는 입사 전기장 벡터, $\bar{E}_{\mathrm{}}$는 방사 전기장 벡터를 의미한다. 각각의 전기장 벡터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PLF$는 식(4)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2)
$\hat{\rho}_{w}=\frac{\bar{E}_{\mathrm{Inc}}}{\left|\bar{E}_{\mathrm{Inc}}\right|}$

(3)
$\hat{\rho}_{a}=\frac{\bar{E}_{\mathrm{Trans}}}{\left|\bar{E}_{\mathrm{Trans}}\right|}$

(4)
$PLF=\left |\hat\rho_{w}\bullet\hat\rho_{a}\right |^{2}$

여기서, $\hat\rho_{w}$는 입사파, $\hat\rho_{a}$는 송신 안테나의 단위 편파 벡터이며, $PLF$는 다음과 같이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 사이의 각도 $\phi$에 대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5)
$PLF= |\cos\phi |^{2}$

편파 불일치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을 포함하여 프리스 전달 공식으로 나타낸 수신 안테나의 입사 전력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6)
$P_{R}=(PLF)\bullet\dfrac{P_{T}G_{T}G_{R}\lambda^{2}}{(4\pi R)^{2}}$ (W)

여기서, $P_{R}$은 수신 안테나에서 입사하는 전력이며, $PLF$는 편파 손실 인자, $P_{T}$는 송신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전력, $G_{T}$는 송신 안테나의 이득, $\lambda$는 중심 주파수의 파장, $R$은 두 안테나 사이의 거리이다.

위 식을 통해 수신 안테나의 입사 전력은 두 안테나 사이의 각도에 의해 결정되며, 편파 불일치에 대한 손실은 두 안테나 사이가 의 차이를 가질 때 최대가 되어 이론상 수신되는 전력이 0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편파 손실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사용된 이중 편파 안테나는 단일 선형편파 안테나에 비해 편파 손실에 의한 수신 전력 저하가 적으므로 다양한 편파 방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2.2 정류회로 효율 및 Dickson 차지 펌프 정류 회로

정류회로의 효율은 RF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성능을 좌우하는 결정적인 요소이다. RF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에서의 정류 회로 효율 $\eta_{RF-DC}$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7)
$\eta_{{RF}-{DC}}=\dfrac{V_{{load}}^{2}}{R_{{load}}}\dfrac{1}{P_{\\in}}\times 100$ (%)

여기서 $V_load$는 부하 저항에 걸리는 전압, $R_{load}$는 부하 저항, $P_{\\in}$은 정류회로로 입사하는 전력을 나타낸다. 일반적인 RF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안테나에서 수신하는 전력은 수 $\mu W$ 수준의 미약한 교류 신호이므로 이를 직류 신호로 변환함과 동시에 출력 전압을 상승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정류회로는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 비선형 소자인 다이오드를 사용하며, 반파 정류회로부터 전파 정류회로, 차지펌프 정류회로 등 다양한 구조의 정류회로를 사용하여 직류 출력을 얻고 있다(12).

그림. 2. Dickson 차지 펌프의 기본 구조(a) 및 다단 dickson 차지 펌프 회로(b)

Fig. 2. Basic structure of a Dickson charge pump (a) and N-stage Dickson charge pump circuit (b).

../../Resources/kiee/KIEE.2021.70.2.360/fig2.png

제안된 시스템은 두 개의 Dickson 차지 펌프 회로를 사용하여 이중 편파 안테나에 대응하는 정류 회로 구조를 갖는다. 그림 2는 Dickson 차지 펌프의 기본 구조와 다단 구조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Dickson 차지 펌프 회로는 한 단당 한 쌍의 다이오드와 한 쌍의 커패시터로 구성된 회로로써 배전압(Voltage multiply) 기능이 있으며, 여러 개의 단을 제한 없이 연결하여, 간단히 전압을 높일 수 있는 정류회로라는 장점이 있으나, 연결된 정류회로의 단수가 증가할수록 다이오드의 손실로 인한 효율 감소가 증가하므로 적용하는 시스템에 따라 적절한 정류회로 단수 설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 사용된 dickson 차지펌프의 정류회로 소자는 Skyworks 사의 SMS-7630-061 쇼트키 다이오드와 0.1 uF 세라믹 커패시터가 사용되었으며, DC 출력단에 부하저항으로 1 kΩ 저항을 사용하였다.

그림. 3. Dickson 차지 펌프의 직렬연결 회로 구조(a) 및 병렬연결 회로 구조(b)

Fig. 3. Circuit structure of a Dickson charge pump connected in series (a) and parallel (b).

../../Resources/kiee/KIEE.2021.70.2.360/fig3-1.png

../../Resources/kiee/KIEE.2021.70.2.360/fig3-2.png

2.3 제안된 이중 편파용 정류회로 구현

이중 편파 안테나에서는 총 두 개의 RF 입력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얻은 입력 전력을 가장 효율적으로 변환하는 정류회로의 구조를 검증하기 위해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Dickson 차지 펌프 정류 회로에 구성된 다이오드 단수를 1단부터 4단까지 총 4가지 단계의 정류회로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각 단계별로 차지 펌프 회로의 직류 출력 부분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총 8개의 모델을 제작하였다. 모든 차지 펌프 회로의 반사계수는 2.45 GHz 중심주파수에서 최소 -14 dB 이하가 되도록 정합하였다. 최종 구현된 Dickson 차지 펌프의 회로도는 그림 3과 같다.

그림. 4. 제안된 시스템의 측정 환경 셋업

Fig. 4. Measurement test setup of the proposed system.

../../Resources/kiee/KIEE.2021.70.2.360/fig4.png

3. 실험적 검증

3.1 측정 환경 구축

측정 환경은 그림 4와 같이 구축하였다. 2.45 GHz RF 신호 발생기에서 나온 정현파 신호가 double-Rigid 혼 안테나에서 방사되며, 이는 25 cm 이격된 이중 편파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로 입사된다. RF 신호 발생기에서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정류회로까지의 총 손실은 -20 dB이며 이를 보상하여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로 입사하는 수신 전력을 조절하여 실제 정류회로에 가해지는 전력의 조절 범위는 -20 dBm부터 10 dBm으로 지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직류 출력을 디지털 멀티미터와 연결하여 출력전압 및 출력전력을 측정하였다.

표 1. 각 정류회로 구조별 최대 측정값

Table 1. Maximum measured results for each rectifier circuit structure

구분

최대 전압

최대 전력

최대 효율

직렬

1단

1.328 V

0.882 mW

21.44 %

2단

1.341 V

0.897 mW

19.58 %

3단

0.897 V

0.44 mW

8.31 %

4단

0.943 V

0.352 mW

6.98 %

병렬

1단

1.224 V

0.749 mW

19.09 %

2단

1.351 V

0.911 mW

19.59 %

3단

1.201 V

0.721 mW

16.23 %

4단

1.032 V

0.533 mW

11.65 %

3.2 측정 결과

앞서 제시한 8가지 정류회로 모델에 대해 측정을 실시하여 얻은 결과는 그림 5와 같다. 그림 5(a)와 (b)는 각각 직렬 및 병렬연결 장치의 단수 별 출력 전압을 도식한 것이며, 그림 5(c)와 (d)는 단수 별 출력 전력, 그림 5(e)와 (f)는 변환 효율

그림. 5. 입사 전력에 따른 정류회로 구조별 출력전압, 하베스팅된 전력, 효율; (a)-(c) 병렬 1~4단 구조, (d)-(f) 직렬 1~4단 구조.

Fig. 5. Output voltage, harvested power, and efficiency of rectifier circuits with regard to input power: (a)-(c) Parallel structure of 1~4 level stage and (d)-(f) Serial structure of 1~4 level stage.

../../Resources/kiee/KIEE.2021.70.2.360/fig5.png

을 나타낸다. 측정 결과 직렬 및 병렬연결 방식 모두 다이오드 연결 단수가 높아질수록 다이오드에 의한 손실로 인해 변환 효율의 저하가 나타나기 시작하며, 4단으로 구성된 정류회로가 가장 낮은 변환 효율을 보였다. 출력 전압 및 전력, 효율을 종합적으로 비교했을 때 가장 최적의 변환 효율을 나타낸 것은 병렬 2단 회로임을 확인하였다.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8가지 정류회로에 대한 입사전력 별 출력 전압과 전력, 효율을 비교하였으며, 4단 다이오드를 사용한 Dickson 차지 펌프 회로 두 개가 서로 병렬로 연결된 구조가 가장 최적의 효율을 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RF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에서 출력 효율이 높은 정류회로를 사용한다는 것은 동일 면적, 동일 RF 입사 전력에서 얻는 에너지의 양이 증가함을 의미하며, 이는 더욱 많은 에너지를 유효한 에너지로 바꿀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저 전력 소자의 에너지원에 대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안한 장치는 저 전력 소자 구동 또는 저용량 배터리 충전 등 저 전력 시스템의 전원장치로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21년도 과학기술 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No. 2019R1C1C1008102) 및 산업통상자원부 재원으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KETEP)의 지원(No. 20194030202430)을 받아 수행한 연구과제입니다.

References

1 
Seung-pil Moon, Tae-wan Kim, Seong-hoon Kim., May 2016, Energy harvesting technology overview and research trends, The proceedings of KIEE, Vol. 65, No. 5, pp. 7-15Google Search
2 
R. K. Sidhu, J. Singh Ubhi, A. Aggarwal, 2019, A Survey Study of Different RF Energy Sources for RF Energy Harvesting, 2019 Int’l Conf. on Autom. Comp. and Tech. Management (ICACTM), Vol. london, No. united kingdom, pp. 530-533DOI
3 
Korea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Agency(KCA), Radiowave Nuri, 2020, Frequency Usage Status Chart, https://spectrummap.kr/radioInfo/radioUseConditionDiagramView.do?menuNo=20601, Vol. ast modi- fied Jun. 2020, No. accessed Oct 10. 2020Google Search
4 
K. Bhatt, S. Kumar, P. Kumar, C. C. Tripathi, Dec 2019, Highly Efficient 2.4 and 5.8 GHz Dual-Band Rectenna for Energy Harvesting Applications, IEEE Antennas Wireless Propag. Lett., Vol. 18, No. 12, pp. 2637-2641DOI
5 
H. Sun, Y. Guo, M. He, Z. Zhong, 2013, A Dual-Band Rectenna Using Broadband Yagi Antenna Array for Ambient RF Power Harvesting, IEEE Antennas Wireless Propag. Lett., Vol. 12, pp. 918-921DOI
6 
S. Shen, C. Chiu, R. D. Murch, 2017, A Dual-Port Triple- Band L-Probe Microstrip Patch Rectenna for Ambient RF Energy Harvesting, IEEE Antennas Wireless Propag. Lett., Vol. 16, pp. 3071-3074DOI
7 
H. Sun, Y. Guo, M. He, Z. Zhong, 2012, Design of a High-Efficiency 2.45-GHz Rectenna for Low-Input-Power Energy Harvesting, IEEE Antennas Wireless Propag. Lett., Vol. 11, pp. 929-932DOI
8 
C. Song, Y. Huang, J. Zhou, J. Zhang, S. Yuan, P. Carter, Aug 2015, A High-Efficiency Broadband Rectenna for Ambient Wireless Energy Harvesting, IEEE Trans. Antennas Propag., Vol. 63, No. 8, pp. 3486-3495DOI
9 
Z. Harouni, L. Cirio, L. Osman, A. Gharsallah, O. Picon, 2011, A Dual Circularly Polarized 2.45-GHz Rec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EEE Antennas Wireless Propag. Lett., Vol. 10, pp. 306-309DOI
10 
H. Zhang, S. Gao, W. Wu, Y. Guo, Dec 2018, Uneven-to-Even Power Distribution for Maintaining High Efficiency of Dual-Linearly Polarized Rectenna, IEEE Microw. Wireless Compon. Lett., Vol. 28, No. 12, pp. 1119-1121DOI
11 
M. Mattsson, C. I. Kolitsidas, B. L. G. Jonsson, June 2018, Dual-Band Dual-Polarized Full-Wave Rectenna Based on Differential Field Sampling, IEEE Antennas Wireless Propag. Lett., Vol. 17, No. 6, pp. 956-959DOI
12 
C. R. Valenta, G. D. Durgin, June 2014, Harvesting Wireless Power: Survey of Energy-Harvester Conversion Efficiency in Far-Field,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IEEE Microw. Mag., Vol. 15, No. 4, pp. 108-120DOI

저자소개

박정수(Jeong-Su Park)
../../Resources/kiee/KIEE.2021.70.2.360/au1.png

2019년 8월 경상대학교 전자공학과(공학사),

2019년 9월~현재 동 대학원 전자공학과 석사과정

[주 관심분야] RF 에너지 하베스팅, UAV 무선 통신시스템, RF 제어 시스템 설계

이왕상(Wang-Sang Lee)
../../Resources/kiee/KIEE.2021.70.2.360/au2.png

2004년 2월 숭실대학교 정보통신전자공학부(공학사),

2006년 2월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및 전자공학과(공학석사),

2013년 8월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및 전자공학과(공학박사),

2006년 2월~2006년 8월 KT 컨버전스본부 전임연구원,

2006년 9월~2010년 8월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전자파기술센터 선임연구원,

2013년 9월~2014년 8월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녹색교통물류시스템공학연구소 선임연구원,

2014년 9월~현재 경상대학교 전자공학과 부교수

[주 관심분야] RF/Microwave Antenna, Circuit, System, Near- and Far-field Wireless Power Transfer & Communications Systems, RFID, EMI/EM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