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Mechatronics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Solar panel cleaning robot, tracked wheel robot, suction pad control, air pressure control

1. 서 론

최근 산업의 발전과 소비문화의 확산으로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고 그 에 따른 탄소 배출량이 증가하고 있어 전 세계적인 탄소 배출량 감소를 위해 친환경 재생 에너지 발전이 주목받고 있다(1). 그 중 전기 에너지를 발전하는 친환경 에너지는 연료전지, 석탄 가스화, 폐기물, 바이오, 해양, 수력, 풍력 그리고 태양광 등이 있지만 최근 2년 간의 추이는 태양광 패널 발전량 증가가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다(2).

하지만 태양광 발전은 여러 환경 요인으로 발전 효율에 많은 차이가 생긴다. 습도, 일사량, 온도, 대기 중 먼지 등 다양하게 있지만 이중 태양광 패널 표면에 쌓이는 먼지 또는 조류 분비물을 포함한 다양한 이물질로 인해 태양광 패널의 발전량이 저하되고 있다.

태양광 패널은 주로 그늘이 드리우지 않는 건물 옥상이나 높고 넓은 산 위에 설치되므로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낮아 사람이 직접 청소 및 관리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위치 특성상 태양광 패널의 각도는 25도 내외로 설치되는데 일반 청소로봇 역시 청소하기가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드론을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림 1은 드론이 직접 청소를 하는 개념도이다. 드론의 작업시간과 경사면에서 청소를 수행하는 어려운 점이 있다. 그림 2에서 드론은 청소 로봇을 나르기만 하고 청소로봇이 패널 위에서 청소하는 경우이다.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패널의 관리 및 청소를 위해 그림 2의 청소로봇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청소 목적을 위해 기존에 다양한 태양광 패널 청소로봇이 개발되었다. 태양광 패널 위아래에 레일을 달아 좌우로 움직이며 청소할 수 있는 로봇이 있다(3). 이 경우 설치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청소이동로봇이 태양광 패널 위를 주행하며 청소한다(4). 더 높은 경사를 갖는 태양광 패널 위를 주행하기 위해 바퀴에 Suction mechanism을 사용한 로봇이 있다(5,6).

태양광 패널은 일정 이상의 경사각을 갖기 때문에 이와 비슷한 mechanism을 갖는 패널을 오를 수 있는 로봇이 개발되었다(7). 먼저 Ducted fan의 추력을 사용하여 벽에 붙을 수 있는 로봇이 있다(8).

그림. 1. Dr. SPC의 개념도 1

Fig. 1. The 1st Concept of Dr. SPC

../../Resources/kiee/KIEE.2021.70.2.395/fig1.png

Ducted fan의 특성상 로봇의 무게는 가벼워야 하고 여기서 사용한 로봇의 무게는 약 900g이다. 다음으로 흡입력과 진공력을 모두 사용한 로봇으로 벽면과 로봇 사이의 공기 압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2겹의 Skirt mechanism을 사용하였다(8). 이 로봇의 특징은 Suction skirt로 진공력을 높이고 바퀴에 스프링을 달아 수직 항력을 높여 벽에 붙은 상태로 3.3kg의 로봇 무게를 제외하고 10kg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는 창문 청소용 이동로봇이 있다. 마찬가지로 진공력을 사용하고 접촉 면적이 다소 넓은 Tracked wheel을 사용하여 창문을 청소하는 임무를 수행한다(9-12).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이처럼 기울어진 표면에서 작업하는 이동로봇을 개발하는 것이다. 그림 2에 보여진 것처럼 드론이 실어 나를 수 있도록 가볍고, 30도 경사진 패널에서 미끄러짐 없이 이동이 가능한 로봇을 설계 및 제작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목적을 위해 초기 모델(Dr. SPC v1)로 덕티드 팬을 사용하여 흡입력을 생성하고 메카넘 휠을 사용하여 전방향 움직임을 구현하였다(13). 하지만 패널에 부착하는 힘이 미약하고 메카넘휠의 마찰이 작아 미끄러지는 문제가 있었다.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통해서 이를 다시 설계하여 공기압력으로 부착힘을 키우고 조절하여 미끄러지지 않는 로봇(Dr. SPV v2)을 개발하였다(14). 실험을 통해 35도 경사의 태양광 패널 위에서 성공적으로 주행할 수 있었다. 또한 패널에서 방향을 바꾸기 위해 몸체가 회전하는 방식을 설계하였으며 헤딩각을 잘 제어하기 위해 슬라이딩 제어 기법을 사용하여 오차를 줄였다.

그림. 2. Dr. SPC의 개념도 2

Fig. 2. The 2nd Concept of Dr. SPC

../../Resources/kiee/KIEE.2021.70.2.395/fig2.png

2. 본 론

2.1 Dr.SPC v1 시스템

2.1.1 전체 시스템

그림 3은 첫 번째 모델인 이동 로봇의 설계 및 실제 제작된 로봇을 보여준다. 메카넘휠을 사용하여 헤딩 변화 없이 전후좌우 움직이도록 설계하였다. 컨트롤러는 DSP tms320f28335를 사용하였다. 덕티드 팬은 12V, 최대 추력이 0.9kg이고 두 개를 사용하였다. 로봇의 총 무게는 배터리 포함 4kg이다.

그림. 3. 청소용 이동 로봇 System, v1

Fig. 3. Creaning robot system, v1

../../Resources/kiee/KIEE.2021.70.2.395/fig3.png

2.1.2 덕티드 팬 방식

그림 3의 로봇의 가운데 두 개의 덕티드 팬의 추력은 1.8kg으로 실제 실험을 통해 로봇이 패널에 붙어있기 힘든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하여 그림 4의 Suction skirt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그림 4는 덕티드 팬을 이용해 패널과 로봇 사이 진공력을 생성하기 위한 2가지의 skirt를 나타낸다.

그림. 4. Ducted fan Skirt

Fig. 4. Ducted fan skirt

../../Resources/kiee/KIEE.2021.70.2.395/fig4.png

그림 5는 등판각 $\theta$에서 이동 로봇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낸 것이다. $F_{Thrust}$는 덕티드 팬의 추력, $F_{Grav y}$는 COM(center of mass)에 작용하는 중력, $F_{vacuum}$는 Suction skirt에서 생기는 진공력, $F_{Trac on}$ 은 견인력, $F_{Friction}$는 메카넘휠에 작용하는 마찰력이다.

그림. 5. 힘의 분석

Fig. 5. Force analysis

../../Resources/kiee/KIEE.2021.70.2.395/fig5.png

동역학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z 축 방향 힘은

(1)
$\sum F_{z}=2(F_{vacuum}+F_{Thrust})+F_{Grav y}\cos\theta =N$

여기서 N은 바퀴에 발생하는 수직항력이다. y 축 방향 힘은

(2)
$\sum F_{y}=F_{traction}-4F_{friction}-F_{Grav y}\sin\theta =0$

마찰력은 다음과 같다.

(3)
$F_{Friction}=\mu N$

여기서 $\mu$은 마찰계수이다.

다음 식을 만족해야 이동로봇이 정지하거나 y축 양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4)
$4\mu(2(F_{vaccum}+F_{Thrust})+F_{Grav y}\cos\theta)\ge F_{Grav y}\sin\theta$

그림 6은 이동로봇의 제어 블록선도를 나타낸다. $\psi$ 와 $\psi_{d}$는 각각 이동 로봇의 헤딩 각도와 헤딩 각도 목표값이며 $x$와 $x_{d}$는 각각 이동 로봇의 위치와 위치 목표값을 나타낸다. $\tau_{FR,\:}\tau_{FL,\:}\tau_{RR,\:}\tau_{RL}$은 바퀴에 들어가는 토크 값이다.

그림. 6. 제어블록도

Fig. 6. Control block diagram

../../Resources/kiee/KIEE.2021.70.2.395/fig6.png

2.1.3 실험 결과

그림 7은 덕티드 팬의 추력을 최대화하기 위해 바퀴를 빼고 37도 등판 각에서 실험한 것을 보여준다. 최고 속력의 덕티드 팬을 켰을 때는 잘 버티다가 끄면 미끄러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바퀴를 달면 마찰력의 부족으로 미끄러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림. 7. 등판 실험

Fig. 7. Suction experiment with wheel

../../Resources/kiee/KIEE.2021.70.2.395/fig7.png

그림 7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석션 스커트(Suction skirt)를 달았다. 그림 8은 바퀴를 달고 3D printer Suction skirt와 실리콘 bowl 석션 스커트를 달고 실험하는 것을 보여준다. 그림 8(a)는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패널 면과 유격이 없어 잘 붙어있지만 유연하지 않아 진공 힘이 바퀴의 수직항력으로 잘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림 8(b)은 실리콘 bowl을 잘라 만든 석션 스커트로 면이 매끄럽지 않아 skirt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그 결과 두 경우 모두 진공력이 발생하지 않아 붙지 못하고 미끄러지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시 설계하였다.

그림. 8. 흡입력 실험

Fig. 8. Suction Experiment

../../Resources/kiee/KIEE.2021.70.2.395/fig8.png

2.2 Dr.SPC v2 시스템

2.2.1 Dr.SPC v2 시스템 설계

앞서 발생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Dr. SPC v2는 석션패드(Suction pad)와 패널 사이의 공기압력과 석션패드의 높이를 제어하여 두 개의 Tracked wheel에 작용하는 수직 항력을 최대로 높였다. 그림 9는 Dr. SPC v2의 설계 모습이다. 추가적으로 석션 패드의 높낮이를 제어하는 메커니즘이 그림 9의 로봇의 가운데에 나타나 있다. 트랙 휠은 패널과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지만 방향을 회전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해결 방법으로 석션패드를 낮춰 Track wheel을 패널로부터 띄운 후 그림 9(c)에 보여진 Step motor를 사용하여 헤딩각 제어를 한다.

그림. 9. Dr.SPC v2 시스템 설계

Fig. 9. Dr.SPC v2 system design

../../Resources/kiee/KIEE.2021.70.2.395/fig9.png

2.2.2 Dr.SPC v2 시스템 제작

로봇의 전체 무게는 대략 5kg 이내이며 그림 10은 Dr. SPC v2의 센서 및 모터 등 전체 모습이다. 센서, 모터와 컨트롤러 위치 구성을 나타낸다. 가운데 있는 석션패드를 Vacuum motor와 Bmp 388 Air pressure sensor를 사용하여 Pad 내 압력을 제어한다. 석션 패드는 일정한 공기압력을 갖고 Solar panel 위에 흡착되어 양쪽 Tracked Wheel에 작용하는 수직항력을 높여준다. 석션패드가 panel 위에 부착되고 수직항력을 최대화하기 위해 Suction pad 높이를 Screw motor와 Vl53l0x 거리 센서를 사용해 제어한다. 약 29도 등판각을 갖는 태양광 패널을 주행할 수 있다. 하지만 태양광 패널 위에서 헤딩각을 변화시키기 위해 마찰력이 높아진 Tracked wheel을 사용하면 wheel이 track을 이탈함과 동시에 패널에 상처를 줄 수 있다.

헤딩 제어는 전 후진할 때 ARS의 Yaw각 sensor를 사용하여 제어한다. 옆 라인으로 이동할 때는 석션패드를 낮춰 Track wheel을 panel과 함께 띄우고 Step motor를 사용해 로봇의 헤딩각을 돌린 다음 움직인다.

그림. 10. Dr.SPC v2 시스템 구조

Fig. 10. Dr.SPC v2 System structure

../../Resources/kiee/KIEE.2021.70.2.395/fig10.png

2.2.3 Dr.SPC v2 내부 시스템 구성

그림 11은 Dr.SPC v2의 내부 시스템 구조를 나타낸다. 공기압 센서와 적외선 거리센서 데이터는 IC(Inter-Integrated Circuit) 통신을 통해 아두이노로 수신받고 SCI(Serial Peripheral Inter- face)로 DSP와 통신한다. 이동로봇의 헤딩각을 측정하기 위한 Gyro sensor 역시 SCI 통신한다. Track wheel motor encoder를 통해 이동로봇이 이동한 위치를 알 수 있다. 센서에서 얻은 data와 제어 목적에 따라 계산된 값은 PWM으로 모터를 제어한다.

그림. 11. Dr. SPC v2 내부 시스템

Fig. 11. Dr. SPC v2 Internal System

../../Resources/kiee/KIEE.2021.70.2.395/fig11.png

2.2.4 제어 방식

그림 12는 Dr.SPC v2의 제어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이동로봇의 헤딩각은 Sliding mode 제어를 사용하였고 이동 로봇의 위치는 PD제어를 사용하였다. 석션패드 높이는 P제어를 하였고 내부 압력은 PD제어를 하였다.

이동로봇의 위치제어는 다음과 같은 PD 제어기를 사용하였다.

(5)
$u_{x}= k_{d}\dot e_{x}+ k_{p}e_{x}$,

여기서 $e_{x}= x_{d}- x$ 이고 $k_{d},\: k_{p}$는 제어기 이득값이다.

헤딩각도 제어를 위해서는 슬라이딩모드제어를 사용하였다. 그 이유는 트랙 휠로 인한 마찰력으로 경로를 벗어나는 경우가 있어 이를 줄이고자 하였다. 헤딩각의 오차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6)
$e_{\psi}=\psi -\psi_{d}$, $\dot e_{\psi}=\dot\psi -\dot\psi_{d}$

여기서 $\psi$는 헤딩각도이다.

오차 평면함수는 다음과 같다.

(7)
$s(e_{\psi},\:\dot e_{\psi})= k_{c}(\dot e_{\psi}+\lambda e_{\psi})$

여기서 $\dot e_{\psi},\: e_{\psi}$ 오차평면의 함수이고 $\lambda$는 양수의 기울기 상수이다. Lyapunov function $V =\dfrac{1}{2}s^{2}$을 만족하는 조건을 보여준다.

(8)
$\dot V = s\dot s =k_{c}s(\ddot e_{\psi}+\lambda\dot e_{\psi})= k_{c}s(\ddot\psi -\ddot\psi_{d}+\lambda\dot e_{\psi}) $

비선형 시스템을 $\ddot\psi = f +u_{\psi}$을 간주하고 헤딩각에 대한 슬라이딩 모드 제어법칙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9)
$u_{\psi}=\ddot\psi_{d}-\lambda\dot e_{\psi}-k_{s}sign(s)$

여기서 $sign(s)=s/|s|$로 signum 또는 sign function이다. 식(9)(8)에 대입하면

(10)
$\dot V =k_{c}s(f+u_{\psi}-\ddot\psi_{d}+\lambda\dot e_{\psi})$

여기서 $k_{c},\: k_{s}$는 양의 상숫값이고, 식(10)은 다음과 같이 된다.

(11)
$\dot V =k_{c}s(f-k_{s}sign(s))$

안정성을 만족하기 위해 식(11)에서 $\dot V$가 0보다 작아지려면 슬라이딩 모드 게인값 $k_{s}$는 다음과 같이 충분히 크게 정하면$\dot V$는 0보다 작음을 알 수 있다.

(12)
$k_{s}=F +\eta ,\:(F\ge |f|)$

여기서 $F$는 알고 있는 모델식이고 $\eta$는 양의 수이고 다음을 만족한다.

(13)
$\dfrac{1}{2}\dfrac{d}{dt}s^{2}\le -\eta |s|$

결과적으로 이동로봇의 토크로 들어가는 식은 다음과 같다.

(14)
\begin{align*} \tau_{R}= u_{x}+u_{\psi}\\ \tau_{L}= u_{x}-u_{\psi} \end{align*}

제어방식은 그림 12에 나타나 있다. 석션 패드 제어와 공기압 제어는 별도로 이루어진다.

그림. 12. Dr.SPC v2 제어 블록 다이어그램

Fig. 12. Dr.SPC v2 Control block diagram

../../Resources/kiee/KIEE.2021.70.2.395/fig12.png

표 1. Dr.SPC v2 시스템 변수

Table 1. Dr.SPC v2 System Parameters

Parameters

Definitions

Unit

$\psi$

Heading angle

radian

$x$

Mobile robot position

m

$h$

Suction pad height

m

$p$

Suction pad internal pressure

atm

2.2.5 석션 패드 제어

그림 13은 석션 패드의 높낮이를 제어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림. 13. 위 아래 움직이는 Suction Mechanism

Fig. 13. Suction up and down mechanism

../../Resources/kiee/KIEE.2021.70.2.395/fig13.png

모터를 통해 석션 패드의 높낮이 움직임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 리니어 모터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공압 펌프를 사용하여 석션 패드의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고 공압센서를 사용하여 석션 힘을 제어한다.

그림. 14. Suction pad 높이 제어

Fig. 14. Suction pad height control

../../Resources/kiee/KIEE.2021.70.2.395/fig14.png

2.2.6 방향각 제어

그림 15는 로봇의 헤딩각도를 제어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Dr. SPC v2모델에서는 태양광 패널 위에서 안정적으로 움직이기 위해 트랙 휠 바퀴를 채택하여 방향전환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위치이동과 방향회전을 스위칭함으로써 해결하였다. 방향 전환시에는 위치 제어를 사용하지 않고 스텝 모터를 사용하여 몸체 전체를 회전하여 방향을 바꾼다. 그림 15는 (a)의 초기 위치에서 왼쪽으로 90도 회전한 다음 (그림 15(c)) 다시 오른쪽으로 90도 회전(그림 15(e))하고 원위치(그림 15(f))로 돌아오는 실험을 보여준다.

그림. 15. 방향각 제어

Fig. 15. Heading angle control

../../Resources/kiee/KIEE.2021.70.2.395/fig15.png

2.2.7 경로 추종 제어 실험 방법

그림 16은 전체적인 로봇의 청소 과정의 흐름도를 보여준다. 드론이 청소 이동 로봇을 태양광 패널 위에 안착할 때 드론의 회전 날개를 보호하기 위하여 이동 로봇은 태양광 패널 기준 좌측 위에서부터 시작한다. 이동로봇은 첫 번째로 헤딩각과 석션 패드 높이 offset을 초기화한다. 두 번째는 석션 패드를 태양광 패널과 맞닿을 수 있도록 한다. 세 번째는 석션 패드 내부 압력 제어를 시행하고 0.96 atm 미만이면 높이를 올려 트랙 휠에 작용하는 수직 항력을 증가시킨 후 주행 제어를 수행한다. 주행 제어 중 석션 패드의 당기는 힘 때문에 석션 패드가 태양광 패널과 떨어질 수가 있어 만약 석션 패드 내부 압력이 1보다 커지면 모든 주행 제어를 멈추고 다시 석션패드를 내려 반복 수행한다.

그림. 16. Dr.SPC v2 시스템 제어 흐름도

Fig. 16. Dr.SPC v2 System control flow chart

../../Resources/kiee/KIEE.2021.70.2.395/fig16.png

2.2.8 경로 추종 제어 실험 결과

이동 로봇은 그림 16의 제어 흐름도에 맞춰 주행한다. 그림 17은 약 5kg 되는 Dr. SPC v2가 28도 경사각의 태양광 패널 위에서 방향을 바꾸면서 전후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림 17(a)에서 보면 처음에 아래에서 위로 움직인 다음 그림 17(b)에서 오른쪽으로 90도 회전하고 다시 90도 회전하여 아래 쪽으로 180도 방향을 바꾼 다음에 그림 17(c)에서 처럼 아래로 움직인다.

그림 18그림 16의 제어 알고리즘을 수행한 결과이다. 그림 18(a)는 시간에 따른 석션패드의 높이 변화를 알 수 있다. 패드의 위치가 주행할 때는 약 70mm로 유지하다가 헤딩각을 바꾸기 위해 약 64mm로 움직인 것을 알 수 있다. 방향을 아래로 180도 바꾸기 위해 세 번의 내림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18(b)는 석션 패드 내부 압력 그래프다. 약 0.94atm으로 제어가 되고 있다. 그림 18(c)는 시간에 따른 헤딩각 오차를 보여준다. 90도의 헤딩각이 변할 때 주행 제어는 꺼지고 스텝 모터를 사용하여 몸체를 회전한다. 중간에 약 90도로 튀는 현상은 방향 전환시 나타나는 현상이다. 90도 돌린 후 주행 제어가 다시 시작하기 전에 헤딩각은 초기화된다. 헤딩각 제어후에 순간적으로 오프셋이 발생하는 이유는 트랙의 마찰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18(d)는 Gyro sensor로 얻은 헤딩각과 Track wheel Encoder의 위치를 계산하여 얻은 실제 이동로봇의 경로다. 실제 기준 경로를 잘 추종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17. 전진 후진의 움직임

Fig. 17. Move forward and backward control

../../Resources/kiee/KIEE.2021.70.2.395/fig17.png

그림. 18. Dr.SPC v2 제어 결과

Fig. 18. Dr.SPC v2 control results

../../Resources/kiee/KIEE.2021.70.2.395/fig18_1.png

../../Resources/kiee/KIEE.2021.70.2.395/fig18_2.png

3. 결 론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청소를 위한 이동로봇을 설계 및 제작하였다. 많은 시행착오 과정을 거쳐 설계를 변경하고 제작하기를 반복하여 기울어진 태양광 패널 위에서 성공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 부착힘을 키우기 위해 공압을 이용한 석션 힘을 사용하였고 이 힘과 이동로봇의 움직이는 힘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로봇이 태양광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움직일 수 있었다. 트랙 휠의 마찰로 방향전환이 쉽지 않으므로 로봇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전체 몸체를 회전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동로봇은 전 후진과 방향 전환을 통해 등판각을 갖는 태양광 패널 위를 주행할 수 있었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has been supported by KEPCO of Korea under the grant R19XO01-44 in 2019.

References

1 
KEEI, 2019, YearBook F Energy statistics, KEEIGoogle Search
2 
KEEI, 2020, Monthly Korea Energy Trends, KEEIGoogle Search
3 
Ecobright, http://www.ecobright.co.kr/Google Search
4 
ES-SPCR, http://www.solartodaymag.com/news/articlePrint.html? idxno=4724Google Search
5 
M. J. Kim, S. W. Kwon, M. S. Choi, Y. H. Yim, J. S. Kong, M. S. Jang, O. S. Kwon, E. H. Lee, 2007, Instrument of building outer wall window cleaning robot and controller layout that use vacuum adsorption technology, IEEK Conference, pp. 259-260Google Search
6 
M. I. Seo, M. H. Kim, J. H. Kim, D. H. Kim, 2020, Autonomous Driving System Design of Solar Panel Cleaning Robot Using Vacuum Adsorption Mechanism, Transactions of the KSME, A, Vol. 44, No. 8, pp. 569-579Google Search
7 
S. K. Park, W. J. Jang, D. H. Kim, 2020, Development of a Walking-type Solar Panel Cleaning Robot Capable of Driving on Inclined Solar Panel,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20, No. 5, pp. 79-88DOI
8 
P. Sekhar, R. S. Bhooshan, 2014, Duct fan based wall climbing robot for concrete surface crack inspection, 2014 Annual IEEE India Conference (INDICON), pp. 1-6DOI
9 
I. M. Koo, T. D. Trong, Y. H. Lee, H. P. Moon, J. C. Koo, S. K. Park, H. R. Choi, 2013, Development of Wall Climbing Robot System by Using Impeller Type Adhesion Mechanism, Journal of Intelligent Robot System, Vol. 72, pp. 57-72DOI
10 
Q. Zhou, X. Li, 2016, Experimental comparison of drag- wiper and roller-wiper glass-cleaning robots, Industrial Robot, Vol. 43, No. 4, pp. 409-420DOI
11 
M. Vega-Heredia, R. Elara Mohan, Tan Yeh Wen, J. Siti Aisyah, A. Vengadesh, S. Ghanta, S. Vinu, 2019, Design and modelling of a modular window cleaning robot,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 103, pp. 268-278DOI
12 
M. A. V. J. Muthugala, M. Vega-Heredia, A. Vengadesh, G. Sriharsha, M. R. Elara, 2019, Design of an Adhesion- Aware Façade Cleaning Robot, IEEE IROS, pp. 1441-1447DOI
13 
D. W. Kwon, S. Jung, 2020, Implementation of a Mobile Robot Using Ducted Fans for Cleaning Solar Panel, KIEE ConferenceGoogle Search
14 
D. W. Kwon, S. Jung, 2020, Experimental Studies on Sliding Mode Control for Heading Angle of a Solar Panel Cleaning Robot, CICS’20Google Search

저자소개

권동욱(Dong-wook Kwon)
../../Resources/kiee/KIEE.2021.70.2.395/au1.png

2018년 충남대학교 물리학과 졸업. 2018년 충남대학교 메카트로닉스공학과 석사입학.

2021년 2월 충남대학교 메카트로닉스공학과 석사졸업예정.

관심분야는 드론 시스템, 로봇 설계 및 제어, 이동로봇

정 슬(Seul Jung)
../../Resources/kiee/KIEE.2021.70.2.395/au2.png

1988년 미국 웨인 주립대 전기 및 컴퓨터 공학과 졸업.

1991년 미국 캘리포니아대 데이비스 전기 및 컴퓨터 공학과 석사.

1996년 동 대학 박사 졸업.

1997년~현재 충남대학교 메카트로닉스공학과 교수.

관심분야는 지능로봇시스템, 드론, 로봇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