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2.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3.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Flow rate, Spray pump, Coriolis flow meter, Peristaltic, Coating, Tablet

1. 서 론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는 품질이 보장된 우수한 의약품을 제조 및 공급하기 위해 의약품 제조소의 구조, 설비를 비롯하여 의약품의 원료, 자재 등의 구입으로부터 제조, 포장 등 모든 공정 관리와 출하에 이르기까지 제조 및 품질관리 전반에 걸쳐 지켜야 할 사항을 규정한 기준이며, 이에 따라 각 사업장에서는 자체 기준을 수립하여 의약품 제조소를 관리하여야 한다(1).

정제의 일반적인 제조 공정은 칭량 -> 과립 -> 타정 -> 코팅 -> 자동검사로 이루어져 있고, 코팅공정의 중요도가 증가하고 있다.

코팅의 목적은 불쾌한 맛, 냄새, 자극성 및 작열감 등을 차단할 수 있고 대기 중의 수분, 산소, 탄산가스 등을 차단함으로써 주약의 안정화를 지속시킬 수 있고 또한 주약의 방출 속도를 조절함에 따라 약효 발현을 의도적으로 속방 또는 서방출화 함으로써 혈중 농도를 조절하고 체내 약효 발현 부위 및 시간 조절을 할 수 있으며 기타 상품 가치의 향상 목적으로 소비자의 편의성 고양에 일익을 줄 수 있는 등 다양하다(2).

서방정이란 일반 정제와 달리 약 성분이 우리 몸 안에서 좀 더 천천히 나오도록 특수하게 만들어진 의약품으로 약효가 한 번의 복용으로 오래 지속되기 때문에 복약의 횟수를 감소시킨다는 장점이 있으며, 다양한 만성 질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3).

정제 코팅기에서 코팅하는 제품들의 코팅 용도가 단순 당의, 필름 코팅에서 정제 제형 및 기전의 발전으로 서방정과 같은 제품들이 다수 개발되면서 주성분을 분사, 코팅하기 때문에 정확하고 정밀한 코팅을 위해 제품마다 의약품 제조 지시서에 의한 유량 기준[g/min]이 설정되어 있고, 작업 전 분사 건 5∼6개의 분사용액을 측정 용기에 받아 저울로 칭량을 하는 사전 유량 테스트 후 분사펌프의 회전수를 유량기준에 맞게 수동 설정하며 매번 30분 이상이 소요된다.

유량센서의 종류(4) 로는 와류 및 초음파 방식, 전자 및 정전용량방식, 열식(키엔스사의 M3 플로센서), 차량유량센서, 증기유량센서, 코리올리 유량계, 초음파식 가스 스팀 유량계 등이 있다. 분사펌프시스템에 정확한 유량제어를 위해 코리올리유량계를 적용한 분사펌프시스템을 사용하여 사전 유량 테스트 없이 유량계에서 자동으로 유량을 측정, 펌프의 회전수를 조정, 제어하는 방식으로 공정 변경이 필요하게 되었다.

제약공장 정제 제조공정의 품질관리관리 항목(5), 제조공정관리(6), 포장 공정 관리(7), 정제 코팅기의 구조(8), 코팅 주요 변수(9), 코리올리 유량계의 원리인 코리올리힘의 발생원리(10), 연동펌프의 동작 원리(11)에 대해 조사 및 연구하였다.

장시간 분사에 따른 코팅용액 분사펌프시스템 튜브의 탄력 변형에 의한 불균일한 코팅용액 분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 코리올리유량계를 적용한 정제코팅기의 분사펌프 유량제어시스템 설계방법을 제안한다. 이것에 대하여 2절에서는 제약공장에서의 공정관리와 유량제어 현황 및 문제점, 3절에서는 정제 코팅기의 분사펌프 유량제어시스템 설계, 4절에서는 검증 및 고찰을 기술하기로 한다.

2. 제약공장에서의 공정관리와 유량제어 현황 및 문제점

2.1 정제 제조공정상의 품질관리

일반적인 제약공장의 정제 제조공정 흐름도는 Fig. 1과 같은 원료 칭량, 과립, 혼합, 타정, 코팅, 이물검사, 포장 순으로 진행되며, 그 품질관리는 원료 혼합, 과립, 타정, 코팅, 포장 공정으로 나누어 실시되고 있다.

그림 1 제약공장의 정제 제조공정 흐름도

Fig. 1 Pharmaceutical factory tablet manufacturing process flow chart

../../Resources/kiee/KIEE.2024.73.1.201/fig1.png

2.2 제약공장의 제조 및 포장 공정관리

제조 공정관리에서는, 제품의 제조단위마다 제조지시서와 통합된 제조기록서 작성, 해당 작업에 종사하지 않는 사람의 작업소 출입 제한, 작업전 시설 및 기구의 청결상태 확인, 작업 중인 작업실과 보관용기 및 기계ㆍ설비에 제품명과 제조번호 등 표시 등이 준수되어야 한다(6).

포장 공정관리에서는 다른 의약품이나 다른 제조단위를 동시 또는 연속하여 포장할 경우에는 의약품 상호 간의 혼동 및 교차오염과 자재 상호 간의 혼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작업실을 펜스 또는 파티션 등으로 구획하도록 요구하고 있다(7).

2.3 코팅공정과 주요변수

정제 제조공정 중의 코팅 공정에는 많은 경험과 기술적 이해가 필요하며, 이와 관련한 많은 주요 변수들을 Table 1에 제시한다. 코팅의 주된 목적은 정제 형태 제품의 물성을 높이고, 제품을 습기로부터 보호하는 데 있으며, 잇점으로서는 다음 공정인 포장작업의 용이함, 향, 맛, 컬러의 부여로 인한 제품의 미적 가치 상승, 릴리즈 조절이 가능한 코팅액의 처방을 통한 정제의 기능성 향상 등이 있다.

코팅용액 분사량이 많을수록 빠른 코팅시간이 보장되지만, 코팅용액이 건조능력 이상으로 공급될 경우 공급량 과도로 인해 여러 가지 코팅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표 1 코팅 주요 변수(9)

Table 1 Coating main variables(9)

../../Resources/kiee/KIEE.2024.73.1.201/tbl1.png

그림 2 정제 코팅기의 구조(8)

Fig. 2 Structure of tablet coating machine(8)

../../Resources/kiee/KIEE.2024.73.1.201/fig2.png

Fig. 2의 정제 코팅기의 분사펌프시스템에는 주로 연동펌프를 사용하는데 펌프헤드의 회전수로 코팅용액의 공급량을 제어하고, 분당 분사량[g/min]을 단위로 관리한다. 코팅용액의 점도나 스프레이건의 노즐팁의 사이즈, 연동펌프에 사용하는 튜브의 탄력이 공급량에 영향을 미친다.

2.4 코리올리 유량계 원리 및 특징

Table 1의 5번 Liquid Spray Rate은 코팅공정상의 중요한 변수로서 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코리올리 유량계를 적용한 분사펌프시스템이 필수적이다. 이 유량계는 코리올리 효과를 이용한 것으로, 회전하는 물체의 질점이 회전 중심 쪽으로 방향을 향하거나 멀리 떨어져 있는 물체에 대응하여 운동 시 관성력이 생기는 원리를 적용한 것이다.

그 동작원리를 Fig. 3에 제시한다. 직선 운동하는 점 질량에 회전 운동이 가해지면 코리올리 힘이 작용하여 측정관 운동의 변화로부터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U 자형 측정관이 원 진동수 w, 진동 각속도 Ω 로 진동할 때, 속도 V 로 유동하는 유체에 작용하는 코리올리 힘(Fc)는 식 (1.1)과 같이 구하여 진다.

그림 3 코리올리힘의 발생원리(10)

Fig. 3 Principle of generation of Coriolis force(10)

../../Resources/kiee/KIEE.2024.73.1.201/fig3.png

(1.1)
Fc = 2 Δm Ω V [N]

여기서, Ω = Ω0 cos wt [rad/s] : 측정관의 진동 각속도

Δm [kg] : 유동하는 유체의 단위 질량

V [m/s] : 유동속도

2.5 연동펌프의 원리 및 특징

다음에는 분사펌프에 사용되는 연동펌프의 동작 원리를 Fig. 4에 보인다(6). 먼저, 입구부분의 롤러가 A부분에서 하우징과 튜브를 막아주고, 롤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롤러 사이에 있는 유체가 회전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 이 후 롤러가 B부분을 지나며 막혀 있던 튜브를 놓아주게 되고, 유체는 출구를 통과하게 된다. 이 때, 뒷 쪽의 롤러가 튜브를 막아주고 있기 때문에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림 4 연동펌프의 동작원리(11)

Fig. 4 Operating principle of peristaltic pump(11)

../../Resources/kiee/KIEE.2024.73.1.201/fig4.png

3. 정제 코팅기의 분사펌프 유량제어시스템 설계

3.1 분사펌프 유량제어시스템의 제어절차

Fig. 5에 분사펌프유량제어시스템의 제어절차를 제시한다. 먼저, SS-1 ON을 통하여 유량제어 시스템의 전원을 가동시키고, 코팅 용액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 유량 설정을 한다. 다음에 PBL-1A, ON을 수행하여 연동펌프를 가동하고, 인버터는 설정값과 현재값을 비교하여 0∼60[Hz]의 주파수로 감속기, 모터를 구동시킨다. 유량계에서는 현재 유량값을 실시간으로 읽어 제어기에 측정값을 전달하고 제어기는 설정값과 비교하여 보정값을 인버터에 전달하여 설정값과 현재값이 같아질 때까지 제어를 반복 수행한다. 또한, 제어기에서 현재 유량값을 읽어 기록계에 전달하며 유량기록계는 현재 유량값 기록을 시작한다. PB-1B, ON을 수행하면 연동펌프는 OFF된다.

그림 5 분사펌프 유량제어시스템 제어 절차

Fig. 5 Control procedure for spray pump flow control system

../../Resources/kiee/KIEE.2024.73.1.201/fig5.png

Fig. 6Fig. 5의 제어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분사펌프 유량제어시스템의 전기제어회로 설계를 제시한다. 전원 ON(SS-1) 버튼을 ON 시키고, DS 제어기에 원하는 유량값을 설정, 펌프 ON(PBL-1A)한다. 유량계에서 현재 유량값을 읽어 4∼20[㎃] 값으로 DS 제어기에 전송하고, DS 제어기는 설정값과 유량계에서 전송받은 현재 유량값을 비교하여 인버터에 주 아날로그 출력인 제어 보정값 0∼20[㎃] 전송함과 동시에 보조 아날로그 출력으로 유량 기록계에 4∼20[㎃]의 현재 유량값을 전송한다.

그림 6 분사펌프 유량제어시스템 전기제어회로

Fig. 6 Electrical control circuit of spray pump flow control system

../../Resources/kiee/KIEE.2024.73.1.201/fig6.png

인버터는 DS 제어기로부터 받은 0∼20[㎃]에 대응하는 0∼60[Hz] 주파수 값을 감속기와 모터로 전달하여 구동하게 되며, 유량 기록계는 현재 유량값 기록을 한다. 그 외 전원 표시등은 SS-1을 ON 시킬 때 점등되고, SS-1을 OFF하면 소등되며, 연동펌프 ON 표시등은 PBL-1A를 ON할 때 점등되고. PB-1B, ON 하면 연동펌프 OFF 된다. 변압기는 380[V]을 220[V] 제어전압으로 변성하고, 변압기 1차측에는 부하 단락, 지락 시 보호를 위해 FUSE 1[A]가 설치되며, 유량계의 구동전원으로는 DC 24[V] 컨버터를 사용한다.

분사펌프 유량제어시스템은 이동식으로 조작 및 분해가 편리하도록 하고, 전원은 3상 3선식 380[V] 16[A] 이하로 그 연결 및 투입 여부를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해야한다.

3.2 분사펌프 유량제어시스템 기계기구 설계

기계기구 설계 요구 및 검토사항으로는, 용액 제조용기의 분리 및 연결 용이, 이동형으로 필요 시 코팅 장비와 분리가 가능, 용액 접촉 부분의 SUS 316, 316L사용, 분배기 및 유량계의 세척 밸리데이션 통과가능 재질 및 구조, 이동장치의 하부 바퀴 잠금/고정 장치 부착, 5∼6개 노즐의 개별 유량과 총 유량 허용 오차 ±2% 이내 등이 만족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앞에서 언급한 설계조건이 만족되도록 Fig. 7에 분사펌프 유량제어시스템의 기계기구 설계절차를 제시한다.

Fig. 7은 코팅용액의 이동순서를 나타낸 것으로 유량제어 시스템의 시작부터 끝까지 코팅용액의 흐름을 실제 조사 후 작성 하였다.

그림 7 분사펌프 유량제어시스템의 기계기구 설계 흐름도

Fig. 7 Machine design flow chart for spray pump flow control system

../../Resources/kiee/KIEE.2024.73.1.201/fig7.png

4. 검증 및 고찰

4.1 유량제어시스템 제작

설계 요구 사항 및 검토 사항을 반영하여 Fig. 9와 같은 분사펌프 유량 제어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Fig. 9의 분사펌프 유량제어 시스템 제작에 사용된 주요 부품의 사양은 우선 유량계는 Endress+Hauer社 83F, 8mm 코리올리 유량계, DS 제어기는 YOKOGAWA社 UT32A-000-11-00, 연동폄프는 WATSON MAR LOW社 313/314 Pumphead, 인버터는 LS electric社 SV004IG5A-4로 제작되었다.

Fig. 8의 분사펌프 유량제어 시스템은 쉽게 분리가 가능한 이동형 구조로 설계하였고, 유량계, 제어판넬, 분배기, 연동펌프 등의 주요 부품을 최대한 공간과 면적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배치하였다. 특히, 유량계의 취부 설계는 유량계 입구는 아래쪽으로, 출구는 위쪽으로 하여 유량 측정오차를 최소화하였다.

그림 8 분사펌프 유량제어시스템의 기계기구 구조

Fig. 8 Machine structure of spray pump flow control system

../../Resources/kiee/KIEE.2024.73.1.201/fig8.png

최초 가동 시 1회 정밀 제어를 위해 설정이 필요하며 제조용액 베셀에 물을 넣고 베셀 출구 -> 분사펌프 유량 제어 시스템의 시작인 유량계 입구 -> 유량계 출구 -> 분배기 입구 -> 분배기 출구 -> 연동펌프 튜브 -> 코팅기 분사건 입구 순으로 튜브와 호스로 연결, 조립하고 코팅기 분사건 입구에 용액을 받을 수 있는 측정 용기를 설치하며 유량 사용 범위인 200 ∼1,050[g/min]의 중간 값인 625[g/min]값으로 DS 제어기를 설정한 후 펌프 ON 버튼을 누른다. DS 제어기 아날로그 0∼20[㎃] 출력의 오토 튜닝을 실시하여 P, I, D 값을 설정한다. 또한 유량계의 출력 값이며 DS 제어기의 입력값 인 4∼20[㎃]의 샘플링을 타임을 인버터 속도 변화를 관찰, 감시하며 시간 값을 설정하여 오버슈팅과 제어 편차가 감소되게 설정하였다.

4.2 실증시험

4.2.1 실증시험조건

시험조건 첫 번째는 유량계 설정에 따른 측정값의 허용기준으로 설정값 ±2% 이내이며, 제조지시서에 명시된 허용오차값으로 제품 개발 시 품질검사를 통해 정해지는 범위이다.

두 번째는 시험에 사용되는 저울과 스톱워치는 교정을 받고 유효기간 이내에 있는 것을 사용해 측정해야 한다.

세 번째는 측정결과의 재연성과 연속성을 검증하기 위해 연속 3회 시험하여 평균값을 측정, 기준으로 하며 시험 용액은 정제수를 사용하고 유량계 사용 범위인 200∼1,050 [g/min]으로 한다.

그림 9 분사펌프 유량제어시스템의 정면 모습

Fig. 9 Front view of spray pump flow control system

../../Resources/kiee/KIEE.2024.73.1.201/fig9.png

4.2.2 실증시험절차

실험조건과 같이 준비한 후 최초 가동 시 연동펌프 출구 튜브에 물이 가득 차도록 최소 200[g/min]으로 DS, 제어기 유량을 설정하며 코팅기 분사건 입구에서 시험 용기로 물을 받는다. 코팅기 분사건 입구에서 개별 연동펌프의 유량이 육안으로 안정되는 것과 인버터의 속도 제어 변동값이 안정된 것을 확인 후 유량계 사용범위 최소값부터 최대값까지 순서대로 유량 200, 400, 600, 800, 1,050[g/min]로 DS 제어기를 설정한다. 설정값에서 각각 3회 시험하며 물을 시험 용기에 받아 저울로 측정하고 기록한다. 위의 서술 내용을 흐름도로 작성하여 설명하면 Fig. 10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Preparation (test conditions) DS controller 200[g/min] setting Coating machine spray gun entrance/ Receiving test container water Check the stabilization of individual peristaltic pump flow rate and inverter speed control fluctuation values 200~1,050 [g/min] DS controller Test each setting 3 times, measure test container scale

그림 10 실증 실험절차 흐름도

Fig. 10 Verification test procedure flow chart

../../Resources/kiee/KIEE.2024.73.1.201/fig10.png

4.2.3 실험결과

시험절차대로 실시하여 Table 2, 실험결과 1과 같은 시험 결과를 얻었으며, 설정값 200∼1,050[g/min]에서 각 3회 측정시 허용오차 범위인 설정값 ±2% 이내로 설계 요구사항을 만족하였다

표 2 실험결과 1

Table 2 Experiment result 1

Setting value [g/min]

Pump capacity

(%)

Measures[g/min]

Permit

error

Result (Pass

/Fail)

#1

#2

#3

200

25.0

201

203

200

196∼204

Pass

400

33.8

407

400

403

392∼408

Pass

600

48.5

593

599

595

588∼612

Pass

800

62.2

791

801

809

784∼816

Pass

1,050

96.5

1,041

1,046

1,053

1,029∼1,071

Pass

코팅 작업 전 수동 유량 측정을 통한 단순 속도 제어에서 코리올리 유량계를 통한 속도제어로 일정한 유량을 작업 처음부터 끝까지 유지할 수 있어 코팅 품질 향상과 수동 유량테스트가 필요 없어 작업 시간 30분 이상 단축할 수 있으며, 코팅 용액의 총 분사시간이 항상 일정하여 정제 코팅 두께가 일정해진다. 또한 신제품 도입 시 분사유량 설정값을 변경해 가면서 최적화된 생산 공정 데이터를 쉽게 설정 가능하다.

코리올리 유량계의 코팅 용액 점도에 대한 특성을 파악, 시험하고자 Table 3과 같이 정제 제품별 코팅 용액의 점도를 측정하였으며, 400[mPa∙s] 이상 점도의 제품에서 분사펌프 유량제어시스템 적용에 허용오차가 벗어나는 편차가 발생함을 확인하였고, 점도 325[mPa∙s] 까지는 문제없이 사용 가능하였다. 코리올리 유량계의 특성상 점도가 일정값 이상이 되면 유량 측정 범위가 감소함을 Table 4는 T2F seal 15% 실험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Table 4는 T2F seal 15%, 점도 482.4[mPa∙s] 분사펌프 유량제어시스템 Gun결 개별 유량을 측정 결과이며, Table 4의 T2F seal 15% 실험결과에서 회색으로 표시된 항목이 기준을 벗어난 결과들이며, 유량계 설정 값 1,100[g/min]에서 분사펌프 시스템 부하율은 80%로 과부하로 인해 장시간 사용 시 연동펌프 튜브에 가해지는 변형 및 탄성 변화를 고려해야 한다. 점도가 증가할수록 선형성이 나빠지고 영점변화와 유체의 완화 시간에 의한 것으로 높은 점도를 측정하는 경우 원래의 성능을 어느 정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특정한 유동률 이상에서는 선형성이 나빠져 일정한 정확도로 측정할 수 없으므로 측정 가능한 유량범위가 감소하는 것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

표 3 제품 점도 실험 결과 (제품은 약어로 표시)

Table 3 Product viscosity test results (products are indicated by abbreviations)

Product

ALF

TAF

XPF

ASF seal

T2F seal 15%

MNF

RLF

T2F seal 8%

RRF

Viscosity

mPa∙s

123.9

146.7

62

226.3

482.4

432

453.6

61

325

표 4 T2F seal 15% 실험 결과

Table 4 T2F seal 15% test results

T2F seal 15%, Viscosity 482.4[mPa∙s]

Gun

Flow meter setpoint [g/min]

480

510

540

1,100

1,200

Individual basis

80

(75∼85)

85

(80~90)

90

(85∼95)

183

(178∼188)

200

(195∼205)

Based on average

80

(78∼82)

85

(82∼87)

90

(88∼92)

183

(181∼185)

200

(198∼202)

1

79.9

84.3

88.5

182.4

199

2

78.2

80.3

84.8

176.4

191.6

3

82.4

87.9

93.2

186.4

201.8

4

75.6

81

85.6

180.2

194.2

5

82

86.6

91.8

188.2

206.2

6

76.5

81.5

86.3

181

194.2

Sum

474.6

501.6

530.2

1,094.6

1,187

4.3 결과 고찰

실증시험을 통해 정제수로 분사펌프 유량제어시스템의 유량을 측정하였을 때 Table 3과 같이 설정값 200∼1,050[g/min] 범위에서 허용오차 범위 이내의 유량 값이 측정되었으며, 설정값 800[g/min]에서 오차가 0.3으로 가장 정확한 시험값을 Fig. 11과 같이 얻었다.

그림 11 실증 실험결과 고찰

Fig. 11 Review of empirical test results

../../Resources/kiee/KIEE.2024.73.1.201/fig11.png

400[mPa∙s] 이상 점도의 제품에서 분사펌프 유량제어시스템에서 허용오차에서 벗어나는 편차가 발생함을 확인하였고 점도 325[mPa∙s] 까지는 문제없이 사용 가능하였다. 점도가 증가할수록 선형성이 나빠지고 영점변화와 유체의 완화 시간에 의한 것으로 높은 점도를 측정하는 경우 원래의 성능을 어느 정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특정한 유동률 이상에서는 선형성이 나빠져 일정한 정확도로 측정할 수 없으므로 측정 가능한 유량범위가 줄어든다.

코팅공정의 분사펌프시스템에 코리올리유량계를 적용한 속도제어로 일정한 공급량을 분사 시작부터 끝까지 유지할 수 있어 연동펌프 튜브의 탄력 변화 및 변형으로 인한 기존의 수동 설정 연동펌프 헤드 회전수 제어의 코팅용액 공급량 변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5. 결 론

의약 기술의 발전으로 주성분을 코팅공정에서 분사하여 지속효과를 길게 하고 약의 복용 횟수를 감소시키는 제형의 신약이 많이 개발, 판매되어 정제 제조 공정에서 코팅 공정의 중요도가 상승하고 있다. 정제의 코팅공정에서 분사펌프 속도제어방식을 수동 유량 테스트 후 단순하게 속도값을 설정하는 기존의 방식에서는 분사 중 튜브의 변화 및 변형으로 인한 유량편차가 발생하여 정제코팅 품질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높은 점도의 코팅용액에서는 코리올리 유량계를 통과하는 유량이 제한되어 허용오차를 벗어나고 특정한 유동률 이상에서 선형성이 나빠져 일정한 정확도로 측정할 수 없어 측정 가능한 유량범위가 줄어든다. 코팅 용액의 점도와 분사시간은 반비례 관계로 점도를 낮추고 분사시간을 길게 적용하면 되지만 코팅시간이 길어져 작업시간이 증가하므로 점도에 따른 코팅시간 최적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게 위하여 코리올리 유량계를 적용한 분사펌프 유량제어시스템을 설계에 반영하여 구축된 시험설비에 적용하였고, 그 결과 정제 코팅공정에서 분사펌프속도제어시스템의 유량편차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정밀 유량제어에 사용되는 코리올리 유량계를 사용하는 분야에 적용되어 용액에 점도를 확인하고 점도와 분사 시간을 최적화하는데 도움이 되며, 정제 코팅 공정의 일정한 코팅용액 분사로 정제 코팅 품질 향상과 신제품 도입 시 코팅용액 분사량 최적화를 위한 공정 파라미터 설정시간과 작업시간 단축으로 인류 건강 증진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References

1 
2019, Korean Pharmaceutical Education Council Pharmaceutical Quality Science Subcommittee,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Management, Shinil Books, pp. 1-3Google Search
2 
K. H. Shin, 2004, Process Control and Effect for Aqueous Enteric Tablet Coating Syste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Science master's thesis, pp. 1-2Google Search
3 
E. Y. Kim, Samsung Diabetes Newsletter, Vol. 306Google Search
4 
J. O. Kim, D. S. Kim, H. Y. Cho, 2015, A Comparison of Flow Sensor, a collection of papers from the Korean Society for Electronic Engineering's Summer Conference, pp. 1,654Google Search
5 
2017, Korean Pharmaceutical Education Council Pharmaceutical Quality Science Subcommittee, Pharmaceutical Quality Science, Shinil Books, pp. 313-324Google Search
6 
202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s Pharmaceutical Quality Division, Guidance on Good Manufacturing Practices(GMP) for Medicinal Product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pp. 325-356Google Search
7 
202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s Pharmaceutical Quality Division, Guidance on Good Manufacturing Practices(GMP) for Medicinal Product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pp. 357-377Google Search
8 
Glatt, 2011, Operation Manual GLATT Coater GCS700, pp. 69Google Search
9 
Larry L. Augsburger, Stephen W. Hoag, 2008, Pharmaceutical Dosage Forms: Tablets 3rd Edition, CRC Press, pp. 398-437Google Search
10 
K. W Lim, J. G. Ji, 2006, Development of Small Size Coriolis Mass Flow Me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Vol. B-30, No. 6, pp. 497-504DOI
11 
Y. S Jeong, C. S Lee, T. K. Lee, 2016, A Study for Regulating Flow Fluctuation and Preventing Backflow of Peristaltic Pum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luid Mechanics, Vol. 19, No. 5, pp. 28-34DOI

저자소개

고정인 (Jeong-In Koh)
../../Resources/kiee/KIEE.2024.73.1.201/au1.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National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Agency Credit Bank System, Korea, in 2017.

He will get the M.S. degree fro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dustry in 2024.

He has been working in the technical support Department of Handok Co., Ltd. since 2001.

E-mail : Jeongin.koh@handok.com

김종빈 (Jong-Bin Kim)
../../Resources/kiee/KIEE.2024.73.1.201/au2.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in 2022.

He will get the M.S. degree fro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2024.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operation and design of power distribution system with distributed generation.

E-mail : bin30129@naver.com

이민구 (Min-Goo Lee)
../../Resources/kiee/KIEE.2024.73.1.201/au3.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in 2022.

He will get the M.S. degree fro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2024.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operation and design of power distribution system with distributed generation.

E-mail : lmg1006@naver.com

김재언 (Jae-Eon Kim)
../../Resources/kiee/KIEE.2024.73.1.201/au4.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from the University of Hanyang in 1982 and 1984, respectively. He was affiliated with KERI as a reasearcher from 1984 to 1989; a senior resear-cher from 1989 to 1996; and a team leader of advanced distribution systems and custom power lab from 1997 to 1998.

He received his Ph.D. from Kyoto University, Japan in 1996.

He has been a professor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since 1998.

His current interests are design of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analysis of power quality; operation and design of AC &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with DER and advanced distribution systems such as microgrid, LVDC and MVDC

E-mail : jekim@cb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