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Korea.)



IoT, electrical safety, open connectivity foundation, modbus, bridge

1. 서 론

자가용 전기설비는 전기사업용 전기설비 및 일반용 전기설비 외의 전기설비를 지칭하며, 통상 전압 600 V 이상 용량 75 kW 이상의 전력을 수전하여 사용하는 건물이나, 용량 20 kW 이상의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된 전기설비를 지칭한다. 자가용 전기설비는 설비의 소유자가 전기안전 관리자를 선임하거나, 전기안전관리 대행 제도를 이용하여 전기설비의 안전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설비의 안전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전기안전 관리시스템 또는 감시시스템이 개발 및 보급되어 있다. 주로 수배전 설비에 모니터링 기능을 접목한 시스템이 활용되고 있으며, 인터넷을 이용하여 전력설비를 원격 모니터링 및 전력품질, 전력 DB축적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공공건물 및 산업용 건물 등의 대형 건축물 내에는 다수의 수배전 설비를 설치한 전기실을 마련하여 건물의 전기설비 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기존의 수배전 설비 관리시스템은 통상 설비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모니터링 모듈, 설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설비의 이상 상태의 전조를 분석하고 이상을 진단하는 진단 모듈, 그리고 허가된 관리자가 접속 및 관리하기 위한 보안 모듈 등으로 구성되고, 원격 모니터링을 위해 인터넷과 연결될 원격지 서버에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 사물인터넷 (IoT) 기술의 보급이 활성화됨에 따라 IoT 기반의 전기설비 관리시스템을 통해 수배전 설비의 상태정보 및 제어반의 제어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IoT 기반의 전기설비 관리 시스템은 특고압반, 고압반, 저압반과 같은 수배전반, 자동제어반, 계장제어반, MCC반과 같은 제어반의 각종 상태정보(전압, 전류, 전력, 역률, 주파수)를 IoT 기반으로 실시간 수집하고 인터넷망과 연결된 클라우드 서버 등에 전송하여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전기설비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15]. IoT 기술을 적용한 예를 보면, 자가용 전기설비의 수명과 관련이 깊은 환경 인자를 모니터링해서 사고를 조기에 감지한다. 또한, 전기설비의 수명과 부하 연관성을 분석하고 고장 징후 및 자산관리 기능에 기계학습과 함께 적용하는 연구도 있다[1]. 기후 및 전기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자가용 전기설비에 온도, 부분 방전, 접지저항, 변압기 유중 센서 등 센서 장치를 설치하고 IoT 플랫폼과 연동하여 안전데이터를 수집하기도 한다[2].

기존의 IoT를 지원하는 전기안전 관리시스템들은 IoT 표준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기설비의 상태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그러나, 각 전기설비별 상태정보를 표현하는 IoT 정보모델의 표준이 미흡한 상태이기 때문에 각 시스템 개발자들이 자체적으로 정의한 비표준 기반의 정보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이한 전기안전 관리시스템들 간의 상호 연동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IoT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기존의 전기설비와의 연동도 고려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IoT 표준 기반의 전기안전 관리시스템의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된 전기안전 관리시스템은 종래의 전기설비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모드버스 데이터모델과 IoT 데이터모델 간 연동 변환 기능을 제공하여 비 IoT 전기설비와의 연동을 지원할 수 있다. 제안된 전기안전 관리시스템의 구조 및 데이터모델 간 연동 변환 기능의 시험을 위해 프로토타입 시스템의 테스트베드 적용 결과를 제시한다.

2. 관련 연구 및 문제 정의

전기안전을 위한 통합 감시 및 분석시스템 관련하여 국내외에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전기안전 감시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과전압, 과전류, 고조파 등의 측정에 의한 정전사고 예방에 주력하고 있으며 아날로그 측정값의 디지털값으로의 변환 기법에 기반한 온도, 전압, 전류 등 여러 가지 측정 지표의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IoT 기술의 보급 확산에 따라 IoT 기능을 지원하는 전기안전 관리시스템의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고압 수용가의 자가용 전기설비의 안전관리를 위해, 전기안전관리자가 실시하는 일상점검을 체계적으로 진행할수 있도록 자가진단표, 진단 DB 기능 등을 탑재한 진단정보 종합관리시스템이 제안되었다[3]. IT와 전력설비를 융합한 전력IT 기반의 전기안전 감시 시스템 관련 연구 및 개발도 그동안 활발히 진행되었다[4]. 최근 사물인터넷 기술의 전력설비 분야 도입이 활성화됨에 따라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수배전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기술[5], 사물인터넷 기반의 자가용 전기설비 안전관리 시스템 구조[6], 사물인터넷 어댑터를 활용한 전기안전관리시스템[7]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사물인터넷 전기설비 관리시스템은 주로 자가용 전기설비 중 수배전반의 상태정보 및 제어반의 제어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며,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실시간 수집된 정보를 인터넷으로 연결된 클라우드 또는 별도의 데이터 수집서버로 전송하는 구조를 가진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IoT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전기안전 관리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개발된 IoT를 지원하는 전기안전 관리시스템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1) 비표준 IoT 정보모델 사용

기존의 IoT 지원 전기안전 관리시스템들은 전기설비의 상태정보의 전달을 위해 IoT 표준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으나, 각 설비들의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모델은 표준기반이 아닌 각 시스템 개발자들이 임의의 정보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전기안전 관리시스템들 간의 상호 연동이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기존의 전기설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모드버스 통신기능의 경우 각 설비별 데이터 모델을 임의로 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모드버스를 사용하는 설비 간 연동이 어렵다.

2) IoT 미지원 설비와의 연동 문제

IoT 기능을 지원하는 전기설비들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으나, 여전히 IoT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전기설비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전기설비의 상당수는 모드버스 기반의 통신기능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IoT 기반의 전기설비 안전관리 시스템의 개발 시 기존의 모드버스 기반 전기설비의 연동을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IoT 표준 기반의 전기안전 관리시스템의 구조를 기술하고, 프로토타입 시스템의 테스트베드 적용 결과를 제시한다.

3. IoT 표준 기반의 전기안전 관리시스템

3.1 IoT 기반 전기안전 관리시스템 구조

전기안전 관리시스템의 핵심 기능은 전기설비에서 전기안전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각 전기설비의 전기안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기와 각 전기설비들에서 수집 및 전달되는 데이터를 수집/저장/관리하기 위한 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 관리시스템은 데이터의 수집 및 관리를 위한 데이터 수집 서버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안전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서비스 서버로 구성된다. 현재 대부분의 전기설비는 통신기능이 있는 제어기가 탑재되어 있지 않거나, 통신기능을 지원하더라도 IoT 표준 기반 기능을 지원하지 않음에 따라, 전기설비의 안전관리에 필요한 전기안전 데이터를 제어기가 제공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전기설비에 센서모듈을 추가 장착하여 전기안전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하지만 센서모듈 또한 제어기와 마찬가지로 IoT 표준기술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모드버스 통신 프로토콜이 전기 설비들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모드버스 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전기설비들을 연동하기 위해서는 모드버스 통신 프로토콜을 수용하여 IoT 통신으로 변환할 수 있는 어댑터 기능을 가지는 장치가 필요하다[7].

그림. 1. IoT 기반의 전기안전 관리시스템 개요

Fig. 1. Overview of IoT based electrical safety management system

../../Resources/kiee/KIEE.2020.69.1.217/fig1.png

그림 1은 전기설비 안전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IoT 표준 기반의 전기안전 관리시스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표시된 것처럼, IoT 미지원 설비는 시리얼 통신의 모드버스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IoT 어댑터에 연결된다. IoT 지원 전기설비는 IoT 어댑터와 IoT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인 OCF (Open Connectivity Foundation)의 표준 데이터 모델을 사용하여 연결된다. 소규모 전기설비를 관리하는 경우에는 IoT 지원 전기설비가 데이터 수집서버에 직접 OCF 통신 프로토콜로 연결될 수도 있다. IoT 어댑터와 데이터 수집 서버 간의 정보 교환은 OCF에서 제공하는 IoTivity 오픈 소스를 활용하여 구현하였다. 수집된 전기안전 데이터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웹 기반의 전기안전 데이터 시각화 기능과 모바일 앱 기반의 시각화 기능을 제공한다[8].

전기안전 관리시스템에서 상호운용성 보장을 위해서는 전기설비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를 표준화된 데이터 모델 형태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설비별로 관리해야 할 데이터 유형을 분류하고 이에 따른 데이터 모델을 정의하여 표준화를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데이터에 대한 표준화가 잘 이루어져야 서로 다른 제조사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설비들간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추후 예측을 위한 데이터 분석도 용이하게 된다. 전기설비의 측정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모델은 대표적으로 IEC 61850을 비롯한 다양한 표준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9]. 그러나, 전기설비 측정 데이터들에 대한 IoT 표준 기반의 데이터 모델은 아직 초기 단계이며, OCF 국제표준으로 태양광 발전 설비에 대한 IoT 데이터 모델이 개발되었다[10][11].

그림 2는 모드버스 기반의 전기설비와 IoT 어댑터 및 데이터 수집서버 간의 연결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수배전 설비 자체적으로 제어기가 탑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모드버스를 사용하는 시리얼 통신을 통해 IoT 어댑터와 연결된다. 전기설비에 제어기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나 별도의 전기안전 센서를 추가 탑재한 경우에는 센서장치 제어기가 센서 장치로부터 전기안전 데이터를 취합하여 시리얼 통신을 통해 IoT 어댑터로 모니터링 데이터를 전달한다. IoT 어댑터는 전기설비 및 센서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OCF 표준에서 정의된 IoT 기반 센서 데이터 메시지로 생성 후, 데이터 수집서버로 인터넷을 이용하여 전달한다. 데이터 수집서버와 IoT 어댑터 간에는 OCF에서 제공하는 IoTivity 공개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전기안전 관리시스템에서는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안전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차단기의 제어기로 차단 명령을 보내서 자동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림. 2. 모드버스 기반 전기설비와 IoT 어댑터 간 상세 연결 구조

Fig. 2. Connection structure for modbus based electrical equipment and IoT adaptor

../../Resources/kiee/KIEE.2020.69.1.217/fig2.png

그림 3은 전기안전 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웹 기반의 시각화 기능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웹 기반의 시각화 기능은 사용자 등록, 자가용 전기설비 등록 (설비, 센서 장치), 전기안전 관리 시나리오 등록, 전기설비의 식별자 등록 등을 수행하기 위한 관리자 모드를 제공한다. 사용자 모드에서는 주요 데이터 및 세부 데이터 확인, 전기안전 관리 시나리오 구동, 전기 안전도, 결선도, 시험 결과서 열람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그림 4는 현장에서 사용하기 위한 모바일 앱 기반의 시각화 기능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모바일 앱에서는 현장 혹은 외부에서 현재 데이터 모니터링, 점검 및 확인 시 날짜/시간별 검색, 전기안전 제어 시나리오 현황 확인, 전기 안전도 확인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그림. 3. 전기안전 관리시스템의 웹 기반 시각화 기능

Fig. 3. Web based visualization function for electrical safety management system

../../Resources/kiee/KIEE.2020.69.1.217/fig3.png

그림. 4. 모바일 앱 기반 시각화 기능

Fig. 4. Mobile application based visualization function

../../Resources/kiee/KIEE.2020.69.1.217/fig4.png

3.2 IoT 표준 기반 전기설비 연동을 위한 OCF 데이터 모델

본 절에서는 전기설비 중 분산전원 용도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태양광 발전 설비에 대하여, IoT 기반 연동을 위한 OCF 데이터 모델을 기술한다. IoT 기술의 확산에 따라, 사용자 영역인 가정, 건물, 공장 등의 설비들을 IoT 기반의 OCF 플랫폼을 활용하여 연결하기 위한 표준 및 오픈소스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전기설비를 OCF 기반으로 IoT 연결을 제공하는 작업은 아직 초기 단계이다. 따라서, 사용자 측의 전기설비를 OCF 기반으로 IoT 연결을 제공하고, 전력 공급자측 전력 설비와의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서 IEC 61850 표준과 호환 가능한 OCF 데이터 모델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림 1에서 도시되었던 바와 같이, OCF 데이터 모델을 지원하는 전기설비는 IoT 어댑터와 IoT 통신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태양광 발전 설비의 기본 구성 디바이스는 태양광 패널, 배터리 시스템, 인버터, 차단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 설비의 기능은 IEC 61850-7-420 국제표준을 참고하여 정의된다[12]. 그림 5는 본 논문에서 고려하는 태양광 발전 설비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5. 태양광 발전 설비 기본 구성

Fig. 5. Basic configuration of PV generation facility

../../Resources/kiee/KIEE.2020.69.1.217/fig5.png

표 1은 본 논문에서 대상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각 구성 설비별 역할 및 세부 수행 기능을 나열한 것이다.

표 2는 차단기 (Circuit Breaker) 설비의 리소스 정의 모델을 나타낸 것이다. 리소스 모델은 리소스를 표현하기 위한 세부 요소별로 요소 명칭, 값, 필수 여부 등을 정의하고 있다. 차단기 이외의 설비에 대해서도 표와 같은 형태로 리소스 모델이 정의되고 있다[8][10][11][13]. 정의된 설비별 리소스 모델을 기반으로 OCF의 다른 장치들에서 태양광 발전 설비들과 연동이 가능할 수 있다.

표 1. 태양광 발전 시스템 설비별 기능

Table 1. Function for PV generation system equipment

설비 명칭

설비별 역할

필요 리소스 및

리소스 별 기능

Circuit Breaker

태양광 발전 시스템과 전력망과의 차단 및 연결을 위한 차단기

- Circuit Breaker: 태양광 발전 설비의 보호를 위한 차단기 리소스

Battery System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여 피크 저감 등의 용도로 저장된 전력을 방전

- Battery: 에너지 저장을 위한 배터리 리소스

Inverter

태양광 패널에서 생성된 DC 전기를 AC로 변환

- Inverter: DC/AC 변환을 위한 인버터의 규격 및 동작 상태를 정의하는 리소스

PV Array System

태양광 어레이의 출력을 제어

- PV Connection Terminal: PV 어레이가 통합 접속되어 어레이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리소스

표 2. 차단기의 OCF 데이터 모델 리소스 속성 정의

Table 2. Resource attributes of OCF data model for circuit breaker

속성명

값의 형식

필수 여부

접근 모드

설명

id

multiple types: see schema

선택

읽기/쓰기

리소스 ID

rated voltage

number

필수

읽기

제조시 결정되는 정격전압 (V)

rated breakingcurrent

number

필수

읽기

제조시 결정되는 정격 차단 전류 (A)

n

multiple types: see schema

선택

읽기/쓰기

rated current

number

필수

읽기

제조시 결정되는 정격 전류 (A)

if

array: see schema

선택

읽기

본 리소스에서 지원되는 OCF 인터페이스 집합

leakage current

number

선택

읽기

누설전류 (mA)

time stamp

string

필수

읽기

RFC3339 형식에 따른 데이터의 타임스탬프(예: 2016-02-15T09:19Z, 1996-12-19T16:39:57-08:00) 주) 1/100초 단위의 시간이 사용되어야 함[14]

rt

array: see schema

선택

읽기

리소스 종류

insulation resistance

number

선택

읽기

차단기의 절연저항 (MΩ)

status

string

필수

읽기

차단기 상태 (1=꺼짐/2=꺼짐/3=차단)

3.3 모드버스 데이터 모델과 OCF 데이터 모델 간 연동을 위한 모드버스/OCF 연동 브리지

분산전원용 발전설비 중 태양광 발전 설비의 주요 디바이스인 태양광 패널, 차단기, 배터리, 인버터에 대한 IEC 61850 모델 송배전 설비의 자동화를 위해, 송배전 설비 내 다양한 전기 설비들의 데이터 모델링 방법을 정의하는 표준 기반의 OCF 데이터 모델이 OCF 2.0.5 표준 규격으로 제정 완료되었다[8]. 그러나, 현재까지 모드버스 기반의 전기설비가 널리 사용됨에 따라, 모드버스를 사용하는 전기 설비를 OCF 기반의 IoT 환경으로 연동하기 위해서는 모드버스 데이터 모델을 OCF 데이터 모델로 변환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데이터 모델의 변환은 모드버스/OCF 연동 브리지 (Bridge)를 통해 지원될 수 있다. 모드버스/OCF 연동 브리지 기능은 별도 장치에 구현되거나, 본 논문의 3.1절에서 기술된 IoT 어댑터 내에 탑재될 수 있다.

그림 6은 모드버스 데이터 모델을 사용하는 차단기의 데이터 모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모드버스 데이터 모델은 총 4개의 입출력 가능한 데이터 모델이 있으며, 각 데이터 모델 별 주소체계를 사용한다. 주소는 각 데이터 모델 별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형식으로 모드버스를 구현하는 측에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각 설비 제조사마다 자체적인 모드버스 데이터 모델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이한 제작사 설비간 상호 호환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표 3은 모드버스 데이터 모델의 분류를 나타낸 표이다.

그림. 6. 차단기의 모드버스 데이터 모델 예

Fig. 6. An example of modbus data model for circuit breaker

../../Resources/kiee/KIEE.2020.69.1.217/fig6.png

표 3. 모드버스 데이터 모델 분류

Table 3. Classification of modbus data model

데이터

모델 구분

데이터 값 크기

동작

설명

Discrete Input

1비트

읽기

장치의 I/O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Coils

1비트

읽기/쓰기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수정 가능한 데이터

Input Registers

16비트

읽기

장치의 I/O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Holding Registers

16비트

읽기/쓰기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수정 가능한 데이터

모드버스 데이터 모델을 OCF 데이터 모델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표 4와 같이 동일한 데이터 명칭을 사용하는 데이터를 OCF의 대응되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하면 된다[13].

표 4. 모드버스 데이터 모델 Input Registers의 OCF 변환 테이블 예

Table 4. Modbus data model conversion example of input registers to OCF data model

Input Register 주소

모드버스

데이터 명칭

데이터 값 크기

OCF 리소스 속성

(oic.r.circuitbreaker)

418

rated voltage

unsigned 16비트

rated voltage

419

rated breaking current

unsigned 16비트

rated breaking current

420

rated current

unsigned 16비트

rated current

421

leakage current

unsigned 16비트

leakage current

422

insulation resistance

unsigned 16비트

insulation resistance

423

status

unsigned 16비트

status

표 4에 표시된 것처럼, 모드버스 데이터 모델과 OCF 데이터 모델이 동일한 데이터 명칭을 사용하여 1:1로 대응되는 쉽게 변환이 될 수 있다. 그러나, 1:1로 대응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별도의 매핑 작업이 필요하다. 표 5는 모드버스 데이터 모델과 OCF 데이터 모델이 직접 매핑되지 않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모드버스 입력 레지스터 419번을 절연저항 데이터로 사용하고 데이터의 이름이 ‘resistance of insulation’으로 표기되어 있으나, OCF 데이터 모델에서는 절연저항을 ‘insulation resistance’로 사용함에 따라 단순 매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모드버스 입력 레지스터 420번의 전류는 세부적으로 어떤 전류를 의미하는지 명확하지 않다. 변환 가능한 OCF 데이터 모델의 전류 항목은 정격차단전류, 정격전류, 누설전류 등 3가지가 존재하므로, 매핑을 위한 추가 고려가 필요하다. 입력 레지스터 421번의 차단횟수는 대응되는 OCF 데이터 모델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변환이 불가능하다.

표 5. 모드버스와 OCF 데이터 모델간 불일치 예

Table 5. Example of difference between modbus and OCF data models

../../Resources/kiee/KIEE.2020.69.1.217/tbl5.png

그림 7은 모드버스 데이터 모델을 사용하는 전기 설비와 OCF 설비 간의 연동을 위한 변환 프로세스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모드버스/OCF 데이터 모델 변환을 위해 모드버스 데이터 정의 파일을 사전 교환 후, 해당 파일에 기록된 모드버스 데이터 정보를 OCF 데이터 모델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테이블을 구성한다. 그 후, 수신된 모드버스 데이터를 OCF 데이터로 변환하게 된다. 변환 이후 OCF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여 OCF 서버측으로 전달하고, 최종적으로 OCF 클라이언트가 OCF 서버에 접속하여 OCF 데이터 모델로 변환된 모드버스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그림. 7. 모드버스/OCF 데이터 모델 변환 프로세스

Fig. 7. Conversion process for modbus to OCF data models

../../Resources/kiee/KIEE.2020.69.1.217/fig7.png

일반적으로 모드버스 설비는 타임스탬프 정보를 지원하지 않지만 OCF 데이터 모델은 타임스탬프 정보를 필수로 가지고 있다. 따라서 모드버스 서버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타임스탬프 정보를 추가해 주어야 한다. 그림 8은 모드버스와 OCF 데이터 모델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연동 브리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모드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OCF 데이터로 변환될 때 타임스탬프 처리 모듈을 통해 OCF 데이터 모델에서 사용하는 타임스탬프 형식으로 타임스탬프를 생성하여 변환 프로세스로 전달한다. OCF에서 정의된 태양광 발전 설비는 OCF 클라이언트에서 OCF 서버의 내용을 단방향으로 읽기 동작만을 지원하고 있으므로, 연동 브리지에서도 모드버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OCF 데이터 모델로 변환하여 OCF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단방향 읽기 동작만 지원한다.

연동 브리지 내 모드버스 클라이언트는 모드버스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며, 모드버스 서버는 모드버스 슬레이브 기능을 수행한다. 모드버스 클라이언트는 모드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변환 프로세스로 전달한다. 변환 프로세스는 모드버스 프레임내 포함된 데이터를 OCF 데이터모델 형식으로 변환하여 OCF 서버로 전달한다. 데이터모델 변환 시 타임스탬프 정보는 별도의 타임스탬프 모듈을 통해 전달받는다. 모드버스 데이터모델을 변환하기 위해서는 모드버스 데이터 정보가 필요하며, 모드버스 데이터 정보 및 모드버스 서버가 지원하는 서비스는 사용자를 통해 입력받아 모드버스 데이터모델 DB에 저장된다. 저장된 모드버스 데이터모델 정보를 기반으로 모드버스 서버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사전에 정의된 OCF 데이터모델로 변환한다.

그림. 8. 모드버스/OCF 데이터 모델 연동 브리지 구조

Fig. 8. Bridging architecture of modbus and OCF data model conversion

../../Resources/kiee/KIEE.2020.69.1.217/fig8.png

모드버스/OCF 연동 브리지는 변환 프로세스를 통해 OCF 통신과 모드버스 통신을 분리한다. 다음은 OCF와 모드버스 간의 정보 교환에 필요한 요구사항이다.

- 일반적으로 이벤트 주도로 전송되는 런타임 운영 정보 (상태 정보, 측정 정보)가 변환 프로세스를 통해 교환됨. 두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검색은 독립적이며 다른 속도로 수행될 수 있음

- 데이터 모델의 다른 정보 (매개 변수, 구성 및 설명 정보, 대체)에 대한 런타임 액세스는 게이트웨이에 의해 직접 전달되어야 하며, 이러한 데이터 모델을 사용하는 서비스도 매핑되어야 함

4. 테스트베드 구축 및 시험 결과

본 논문에서 개발된 IoT 기반 전기안전 관리시스템의 실증을 위해 그림 9와 같이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였다. 테스트베드는 약식수전설비로 설치되었고, 모드버스/OCF 연동 브리지 기능이 탑재된 IoT 어댑터는 AISS 제어기, ACB 제어기와 연동되고, 18개의 온도 센서, 4개의 부분방전 센서, 1개의 접지센서, 변압기의 유입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한다. 전기안전 데이터 수집 서버에서는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안전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AISS 제어기로 차단 명령을 보내서 자동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용 제품인 ACB 제어기로부터는 제어기에서 수집되고 있는 약 100여 가지의 데이터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8]. 그림 10은 각 큐비클 별로 설치된 상세 설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림. 9. IoT 기반 전기안전 관리시스템 테스트베드 구성

Fig. 9. Testbed configuration for IoT based electrical safety management system

../../Resources/kiee/KIEE.2020.69.1.217/fig9.png

그림. 10. 테스트베드 큐비클 별 상세 설비 구성도

Fig. 10. Detailed equipment configurations for testbed cubicles

../../Resources/kiee/KIEE.2020.69.1.217/fig10.png

5. 결 론

IoT 기술의 보급이 확산되고 전력설비 기술과 IoT 기술이 융합됨에 따라 전기설비 관리시스템에 IoT 기능을 적용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및 이상징후 전조 예측, 운용관리 등을 지원하는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IoT 기반 전기설비 관리시스템은 다양한 전기설비별 상태 정보를 표현하는 IoT 정보모델을 자체적으로 정의한 비표준 기반의 정보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전기안전 관리시스템들 간 상호 연동이 어려우며, 전기안전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전기안전 관련 고도화 서비스들의 개발 및 보급도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기존에 보급되어 있는 IoT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대부분의 기존 전기설비와의 연동도 고려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IoT 표준 기반의 전기안전 관리시스템의 구조를 제안하였다. 특히, 제안된 전기안전 관리시스템은 기존의 전기설비에서 널리 사용되는 모드버스 데이터 모델을 IoT 데이터 모델로 변환할 수 있는 연동 변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비 IoT 전기설비와의 연동을 지원할 수 있다. 제안된 전기안전 관리시스템 프로토타입 시스템의 시험을 위해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운용 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IoT 표준기반 모드버스/OCF 연동 전기안전 관리시스템을 통해 IoT 지원 전기설비 뿐만 아니라 비 IoT 설비들도 통합하여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MOTIE)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입니다. (No. 20162220200010)

References

1 
KESCO, Sundosoft co., 2017, Construction of the machine learning system based on big data for preventing from and responding to electric fires, NIA II-RER-D-17012Google Search
2 
Hyunjoo Kang, Taehyung Shim, SungHei Kim, Sangjin Jeong, Yoon-Young An, 2018, A Tesbed for Experimenting IoT Platform on High-Voltage Customer Electrical Installation, ICTC2018, pp. 1301-1304DOI
3 
Hyeon-Woo Lee, Jong-Min Kim, Ill-Moo Lee, Sang-Bong Yoo, Kyung-Bae Jang, February 2017, A Study on the Private Electrical facilities Diagnostic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1, No. 2, pp. 71-81Google Search
4 
S. I Lee, H. J Jeon, G. H. Kim, S. M. Bae, 2008, Design of Electrical Safety Monitoring System on Electrical Power IT Basis, in Proc. of Power Electronics Conference, pp. 583-585Google Search
5 
Young-Dong Lee, January 2016, Distributing Board Monitoring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 20, No. 1, pp. 200-206DOI
6 
Hyunjoo Kang, Yoon-Young An, Sangjin Jeong, May 2017, Architecture of Electrical Safety Management for High-Voltage Power Installations Based on IoT Platform,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Vol. 42, No. 5, pp. 1077-1084DOI
7 
Yoon-Young An, Taehyung Shim, Hyunjoo Kang, 2018, Development of Electrical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IoT Adapter, KIEE Conference, pp. 18-19Google Search
8 
Yoon-Young An, Sangjin Jeong, May 2019, Overview of OCF standards for safety management of electrical equipment, The proceedings of KIEE, Vol. 68, No. 5, pp. 4-9Google Search
9 
2013-03, Communication networks and systems for power utility automation-Part 1: Introduction and overview, IEC 61850-1 Edition 2.0Google Search
10 
2019-09, OCF Device Specification, OCF 2.0.5Google Search
11 
2019-09, OCF Resource Type Specification, OCF 2.0.5Google Search
12 
2009-03, Communication networks and systems for power utility automation - Part 7-420: Basic communication structure -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logical nodes, IEC 61850-7-420 Edition 1.0Google Search
13 
2019-12, Interfaces for interworking between Modbus-based PV systems and OCF platform, TTAGoogle Search
14 
2002-07, Date and Time on the Internet: Timestamps, IETF RFC 3339Google Search
15 
Hyunjoo Kang, Sung-Hei Kim, Taehyoung Shim, Sangjin Jeong, Yoon-Young An, October 2019,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Scheme and Management Method of High Voltage Electric Installation Based on IoT Platform,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8, No. 10, pp. 1275-1282Google Search

저자소개

정상진 (Sangjin Jeong)
../../Resources/kiee/KIEE.2020.69.1.217/au1.png

1999년 2월:KAIST 전산학 학사

2001년 8월:KAIST 정보통신공학 석사

2014년 2월 :KAIST 정보통신공학 박사

2003년 2월 – 현재: ETRI 표준연구본부 책임연구원

<관심분야>

- 사물인터넷기반 전기안전 기술

- 마이크로그리드 및 ESS 안전 기술

- 분산전원/계통 연계통신 기술

안윤영 (Yoon-Young An)
../../Resources/kiee/KIEE.2020.69.1.217/au2.png

1991년 2월:경북대학교 전자공학 학사

1993년 2월:경북대학교 전자공학 석사

2006년 8월 : 경북대학교 전자공학 박사

1993년 3월 – 현재: ETRI 표준연구본부 책임연구원

<관심분야>

- 스마트그리드/마이크로그리드 기술 분야

- 전기안전을 위한 ICT 기술 분야

-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술

강현주 (Hyunjoo Kang)
../../Resources/kiee/KIEE.2020.69.1.217/au3.png

1999년 8월:안동대학교 컴퓨터공학과 학사

2002년 2월:KAIST 정보통신공학 석사

2002년 1월 – 현재: ETRI표준연구본부 책임연구원

<관심분야>

- 전기안전을 위한 ICT 기술

- LED 시스템 조명 유선 프로토콜 기술

-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술

심태형 (Taehyoung Shim)
../../Resources/kiee/KIEE.2020.69.1.217/au4.png

2008년 8월: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학사

2016년 2월: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석/박사

2016년 1월 – 현재: ETRI 표준연구본부 선임연구원

<관심분야>

- 전기안전을 위한 ICT 기술

- 신재생 에너지 및 마이크로그리드 표준 기술

김성혜 (Sung-Hei Kim)
../../Resources/kiee/KIEE.2020.69.1.217/au5.png

1991년 2월:이화여자대학교 전자계산학과 학사

1995년 2월 : 충남대학교 전산학과 석사

2007년 2월 : 충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박사수료

1991년 1월 – 현재: ETRI 표준연구본부 책임연구원

<관심분야>

- 전기안전을 위한 ICT 기술

- 신재생 에너지 및 마이크로그리드 표준 기술

- 스마트 공장 디지털 트윈 표준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