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2. (Smart Electrical & Signaling Division,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Korea.)



Arc flash, Ultraviolet, Photosensor, Power equipment, Electric railway

1. 서 론

신재생에너지 기반의 발전설비와 전기철도의 직류 전력설비는 1,500 V이하인 고압설비이며 도시철도 노선증가와 분산전원의 확대로 직류 전력설비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1-3). 직류설비는 재생에너지의 연계를 위해 분산전원 인근에 설치되고 도시철도는 지하 또는 옥내에 설치되고 있다(4,5). 최근에는 분산전원과 철도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ESS (Energy Storage System) 기반의 전력설비가 활용되고 있다(6). 직류 전력설비는 절연파괴, 누설, 비접촉에 의해 전기결함인 아크플래시가 발생되며 전기 화재의 원인으로 안전을 위해 필수적으로 검출해야한다(7). 아크플래시의 검출방법은 온도, 압력, 음향, 빛, 전기적 방법으로 검출되고 있다(8). 광센서를 이용한 전기결함 검출은 비접촉식으로 일반적으로 400 nm 이하의 아크플래시를 검출이 가능하나 파장대역에 따라 태양광 등에 대한 외부 노이즈가 높은 단점이 있다(9). 따라서 태양광에 영향을 받지 않는 220 nm 대역의 아크검출기가 최근 철도차량의 팬터그래프와 전차선간의 비접촉에 따른 이선현상을 검출하는 시스템의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10). 특히 220 nm 대역의 자외선 영역은 구리 또는 구리합금의 아크방전 밀도가 가장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11). 전기철도에서 사용되는 이선아크는 25 kV의 전차선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광센서를 사용하여 검출하고 있으며 광센서는 검측 거리의 따른 파워밀도를 설정하여 아크를 판단한다(10). 그러나 220 nm대역의 아크방전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열화와 관련되어 응용된 연구는 보고된 바 없다(12). 고압설비의 아크플래시는 노화된 전선, 반단선 등 도체의 불안전한 연결부위에서 발생되므로 아크플래시의 발생량과 시간을 측정하여 열화특성을 검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고압설비의 열화특성 판단을 위해서는 아크플래시의 재연을 통해 각 발생원인에 따른 광밀도, 발생시간 및 거리에 따른 오차 등을 교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아크플래시를 모의하고 이를 측정한 연구는 보고되고 있으며 아크플래시를 재연하여 이를 정량화하는 연구는 보고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20 nm 영역의 아크플래시를 재연하기 위한 교정장치에 대해 나타내었다. 교정장치는 표 2와 같이 제논계열의 150 W 램프를 사용하였으며 시험을 위해 광센서는 PMT (Photo Multiplier Tube)를 이용하였다. 아크플래시 재연 장치는 재연 가능한 아크광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아크밀도, 발생시간과 거리에 따른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열화발생 장치의 표준 사양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2. 본 론

2.1 220 nm 대역의 광센서의 파워밀도와 응답속도 교정 시스템 구현

본 논문에서는 220 nm 대역의 아크플래시를 광학적으로 재연하고 이를 이용한 센서의 교정시스템을 구성하였다. 그림 1에 아크플래시의 파워밀도와 응답속도 교정을 위한 시스템 계략도를 나타내었다. 시스템의 교정 광원은 광센서가 220 nm 대역의 아크플래쉬를 검출하도록 구성하였으며 고강도의 기체 방전의 모의 가능한 출력 150 W의 제논램프를 사용하였다. 교정광원의 안정적 출력을 위해 100 mm × 280 mm의 하우징을 통해 고정하였고 앞단에 28 mm의 원통형 출력단을 설치하였다. 교정광원의 전압은 220 V이며 소비전력은 350 VA이다. 교정광원의 제어를 위해 17.8 V 전원을 입력하였고 이때 전류는 8.48 A이며 D-SUB 터미널을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Fig 1. System schematic for calibration of power density and response speed of arc flash

../../Resources/kiee/KIEE.2020.69.10.1474/fig1.png

표 1에 200 nm에서 245 nm까지 5 nm 대역별로 측정한 교정광원의 출력과 측정불확도를 나타내었다. 파장별 검측은 24℃에서 습도 60 %이며 광원과 계측기의 간격은 500 mm 이다. 표 1에서와 같이 광원은 파장이 200 nm에서 245 nm로 증가할수록 파워밀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기체 방전 모의가 가능한 제논 램프를 이용할 경우에도 220 nm 대역에서의 높은 광밀도를 안정적으로 모의하는 것이 가능하나 파워 밀도는 낮은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광원의 파장별 광밀도만 사용하여 220 nm 대역의 광센서의 파워밀도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광원의 출력을 높이거나 교정에서 파워밀도를 별도로 검출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220 nm 대역의 아크플래시 파장을 재연하는 것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1. Output and uncertainty of a calibrated light source measured for each 5 nm band from 200 nm to 245 nm

Wavelength

(nm)

Spectral Irradiance

(㎼·cm-2·nm-1)

Uncertainty of Calibration

(%) (k=2)

200

0.0646

15

205

0.0580

15

210

0.0556

14

215

0.0582

14

220

0.0690

14

225

0.0902

14

230

0.1233

9

235

0.1607

9

240

0.1992

9

245

0.2371

9

220 nm 대역의 광센서 교정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는 그림 2와 같이 나타내었다. 표 1과 같이 아크플래시 모의를 위한 교정광원은 200 nm부터 다양한 파장대역의 광량이 검출되므로 220 nm 대역의 BPF (Band Pass Filter)를 이용하였다. BPF 고정 후 100 %, 80 %, 30 %, 10 %, 0 %의 ND (Neutral Density) 필터를 각각 고정하였다. 또한 BPF 필터도 파장별 감도 특성을 위해 220 nm 필터를 포함하여 5개의 BPF를 고정할 수 있도록 각각 구성하였다. 그림 2와 같이 BPF와 ND필터를 통과한 광원은 디스크 모양의 광초퍼를 이용하여 광원이 발생시간에 따른 응답특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림 2에 광센서의 응답특성 측정을 위한 순서도를 나타내었다. 광초퍼는 원형의 디스크 타입을 이용하였고 PID제어를 통해 구동되며 최대 6,000 Hz까지 구동하도록 구성하였다. PID제어는 제어대상의 출력값과 목표값을 비교 후 오차를 연산하여 제어값을 도출하는 피드백 구조이다. 그림 2와 같이 PXI는 광초퍼의 출력주파수과 출력전압을 입력받고 설정 주파수와 연산하여 광초퍼를 제어한다.

Fig 2. Picture of block diagram of the overall calibration system

../../Resources/kiee/KIEE.2020.69.10.1474/fig2.png

시스템의 구성품은 표 2와 같이 주요사양을 나타냈으며 220 nm 대역의 광원과 광량의 측정과 반응속도 시험의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성능을 나타냈다.

Table 2. Main specification of calibration system

Component

Section

Information

Lamp

Type

Xenon

Watt

150W

Spectral Distribution

180nm to 2000nm

Chopper

Slots

200EA

Frequency

500Hz to 20kHz

Power Meter

Output Signal

10㎽/㎠

PMT

Peak Sensitivity

Wavelength

420nm

2.2 220 nm 대역의 광센서의 파워밀도 시험 결과

그림 3에 220 nm 대역의 광센서의 파워밀도와 응답속도 검출을 위한 교정시스템 구성 사진을 나타내었다. 그림 3과 같이 광센서는 시험을 위해 185 nm에서 850 nm까지 검출이 가능한 PMT를 사용하였다. PMT는 25 mm의 직경으로 220 nm 대역필터 고정을 위해 지그를 구성하였으며 출력은 전압으로 나타냈다.

Fig 3. Configuration of overall calibration system that includes a UV lamp, filters and optical chopper disk.

../../Resources/kiee/KIEE.2020.69.10.1474/fig3.png

시험은 Labview 기반 보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PMT의 출력 전압을 광파워밀도(µW/cm$^{2}$)로 교정하기 위해 투과대역별 ND필터를 이용하였다. 광량 측정계는 Hamamatsu사의 UV Power Meter를 사용하였으며 응답속도는 1 sec 이다. 광량측정을 위한 UV Power Meter는 0 mW/cm$^{2}$부터 10 mW/cm$^{2}$까지 220 nm 중심파장으로 검출을 할 수 있다. 측정결과를 나타내기 위해 RS-232C와 NI PXI-1031를 연결하여 구성하였으며 PMT는 NI PXI-6259과 연결하여 전압을 측정하였다.

광센서의 파워밀도 교정결과는 표 3과 같이 나타내었다. 교정결과는 ND필터의 투과율에 따라 광센서의 전압 출력이 감소하였다. 이때 최소제곱법과 레벤버그-마르카토법을 이용하여 실험 데이터를 식1과 같이 직선의 기울기를 계산한다. 여기서. x는 PMT 센서의 제어전압, a는 기울기, b는 절편값이다.

(1)
$F = ax + b$

Table 3. Calibration result for power density of photosensor according to transmittance of ND filter

Item

UV Power Meter Output (㎼/㎠)

Photosensor

Output (V)

ND 0%

83

6.68

ND 80%

55

4.41

ND 20%

18

1.49

ND 80% + 20%

12

0.99

그림 4표 3식(1)을 적용한 결과를 추세선으로 나타냈다. UV 파워미터와 광센서의 출력전압과의 관계는 그림 4와 같이 선형적인 특성을 나타냈으며 ND 필터의 투과율과 반비례 한다. 투과율은 센서와 빛간의 거리에 비례하므로 그림 4의 기울기를 계산하여 아크플래시의 발생지점과 광센서간의 거리에 따른 센서의 특성값을 교정할 수 있다.

Fig 4. Result of correlation between power density and photosensor voltage

../../Resources/kiee/KIEE.2020.69.10.1474/fig4.png

2.3 220 nm 대역의 광센서의 응답속도 시험 결과

그림 5에 220 ㎚ 대역의 광센서의 응답속도 검출을 위한 순서도를 나타내었다. 광센서의 응답속도를 위해 광초퍼 디스크는 30개의 분할 슬롯을 이용하였고 구동속도는 2 kHz에서 6 kHz까지 변화하며 제어하였다. 측정결과는 NI PXI-6259로 검출하였으며 광초퍼 구동 펄스와 광센서의 구동펄스를 상호 비교하여 에러율을 비교한다.

그림 6은 광센서의 응답속도와 초퍼의 응답속도를 나타냈으며 피크값 기준으로 광센서의 펄스 간격을 측정하였다. 그림 6(a)는 약 100 ㎲, 그림 6(b)는 약 80 ㎲를 나타냈으며 초퍼의 구동 펄스 보다 약 2배 감소하였다. 에러율은 그림 5의 순서도를 적용하였으며 5 kH에서 50 %, 6 kH에서 52 %로 나타냈으며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광센서의 출력 에러가 미세하게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광초퍼 구동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광센서의 출력속도가 낮아지므로 본 시험에서 사용한 광센서를 이용하여 광초퍼의 구동속도가 10 kH 조건에서 100 us 미만의 아크광 검출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10 kHz의 아크광 검출은 광초퍼의 출력 주파수를 10 kHz으로 조정하여 아크광의 검출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Fig 5. Flow chart of arc response test

../../Resources/kiee/KIEE.2020.69.10.1474/fig5.png

Fig 6. Picture of measurement results for photosensor as a function of chopper

../../Resources/kiee/KIEE.2020.69.10.1474/fig6.png

100 us의 아크광 검출은 미소 시간의 아크광을 측정하여 유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시간으로 철도의 경우 5 ms의 아크광이 구리 전차선에 유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광센서의 응답속도와 아크광의 발생시간을 측정하도록 구현된 교정시스템이므로 각 설비의 유해 아크 발생시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 된다. 향후 제안한 교정시스템을 이용하여 센서를 교정한 이후에 아크광의 밀도와 발생시간을 정밀하게 측정한 검측 결과를 이용하여 진단시스템으로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3.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전기철도와 신재생에너지에서 사용되는 1,500 V 미만의 고압설비의 노화된 전선, 반단선 등 도체의 불안전한 연결부분에서 발생되는 아크플래시의 발생량과 시간을 검출하는 센서의 교정시스템 구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특히 고압설비의 열화에 따른 아크플래시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광밀도, 발생시간 및 거리에 따른 오차를 교정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220 nm 영역의 아크플래시를 재연하기 위한 교정 장치는 제논계열의 150 w 램프를 이용하였고 ND필터와 광초퍼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시험은 제논램프는 220 nm 대역의 아크광원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아크밀도, 반응속도, 거리에 따른 광센서를 교정할 수 있었다. 시험 결과는 현장에서 광센서의 특성값을 설정하도록 광량과 광센서의 출력 관계의 지표를 나타냈으며 광센서의 반응속도는 주파수가 증가하면 약 2 %의 에러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220 nm 대역의 아크광 교정장치는 고압설비의 열화진단을 위한 광센서의 표준 교정 장치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한국전력공사의 2020년 선정 기초연구개발 과제 연구비에 의해 지원되었음 (과제번호 : R20XO02-14 )

References

1 
K. W. Park, 2014, Status and Prospect for DC distribution Technology of Low voltage, Journal of Electrical world Monthly magazine, No. 453, pp. 61-67Google Search
2 
Y. Park, H. S. Jung, C. M. Park, S. H. Jang, 2011, Implementation of a Condition Monitoring System for Mold Transformers in DC Substation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0, No. 9, pp. 1788-1794DOI
3 
2018, Korea Electro-Technical Code (KEC), Korea Electric AssociationGoogle Search
4 
S. Y. Kim, S. H. Lee, J. O. Kim, 2012, The economic evaluation of renewable energy penetration based on grid parity according to the ratio of DC power supply,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1, No. 1, pp. 16-21DOI
5 
Y. S. Kim, J. M. Kim, 2005, Study on the effective earthing method in underground section of railways, Fal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pp. 767-775Google Search
6 
H. S. Jung, Y. Park, H. C. Kim, 2010, Smart Grid and Intelligent Railway Power Grid, Journal of Railway, Vol. 13, No. 6, pp. 41-48Google Search
7 
S. K. Choi, W. S. Kwon, Y. J. Lee, C. H. Ban, G. H. Choi, 2010, Analysis of Arc Characteristics in DC Distribution System, Summer Conference of the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pp. 111-112Google Search
8 
J. Shea, 2007, Conditions for Series Arcing Phenomena in PVC Wiring, IEEE Transactions on Components and Packaging Technologies, Vol. 30, No. 3, pp. 532-539DOI
9 
Lim D.S., Kim J.O., 2019, Reducing Damage from Arc-Flash Accident with Ultraviolet Wavelength and Noise Detec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3, No. 4, pp. 56-65Google Search
10 
Y. S. Park, K. M. Na, Y. Park, 2018, An Implement of Vision based Measurement Technology for Traction Power System up to 250 km/h,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7, No. 7, pp. 976-980DOI
11 
Y. Park, Y. H. Cho, S. Y. Kwon, K. Lee, W. H. You, 2011, Development of an Arc Detector Assessment System by Loss of Contact Between Pantograph and Contact Wire in Electric Railway,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0, No. 11, pp. 2171-2175DOI
12 
D. S. Lim, J. O. Kim, 2019, Reducing Damage from Arc-Flash Accident with Ultraviolet Wavelength and Noise Detec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3, No. 4, pp. 56-65DOI

저자소개

나경민 (Kyung-Min Na)
../../Resources/kiee/KIEE.2020.69.10.1490/au1.png

2015년 고려대 전자 및 정보공학부 졸업(학사),

2018년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철도시스템공학 졸업(공학석사),

현재 동대학원 교통시스템공학 박사과정

이기원 (Kiwon Lee)
../../Resources/kiee/KIEE.2020.69.10.1490/au2.png

1997년 RIT(미) 기계공학(공학석사) 졸업,

2009년 성균관대 기계공학 졸업(공학박사),

현재 한국철도 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박철민 (Chulmin Park)
../../Resources/kiee/KIEE.2020.69.10.1490/au3.png

2004년 성균관대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졸업(공학석사),

2016년 한국교통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졸업(공학박사),

현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박 영 (Young Park)
../../Resources/kiee/KIEE.2020.69.10.1490/au4.png

2000년 성균관대 전기전자 및 컴퓨터공학부 졸업(공학석사),

2004년 동대학원 동학과 졸업(공학박사),

현재 한밭대학교 전기시스템공학 교수